KR20140013601A -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01A
KR20140013601A KR1020120081328A KR20120081328A KR20140013601A KR 20140013601 A KR20140013601 A KR 20140013601A KR 1020120081328 A KR1020120081328 A KR 1020120081328A KR 20120081328 A KR20120081328 A KR 20120081328A KR 20140013601 A KR20140013601 A KR 2014001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center
boundary
integrally coupl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권엽
오오근
Original Assignee
오권엽
오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권엽, 오오근 filed Critical 오권엽
Priority to KR102012008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601A/ko
Publication of KR2014001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측구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에 일체로 결합 된다.
따라서,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블록과 측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경계석과 측구를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율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고, 경계블록과 측구를 시공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줄어들어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경계블록이 측구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고, 도로상의 물이 잘 빠지도록 측구에 물이 빠지는 입구가 많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까지 연통된 관이 연결되어 있어 폭우에도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The boundary block integrally joined with the side gutter}
본 발명은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경계블록과 측구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효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경계블록과 측구를 시공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하며, 시공시간을 줄여 시공비를 절감하고, 폭우에도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차량이 운행되는 차도와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를 구획하고자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이 설치되어 구획되며, 상기 경계블록에 접한 차도 측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수구 등이 설치되는 측구가 시공된다.
특히, 상기 측구는 비나 눈에 의해 생긴 도로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 양쪽 또는 한쪽 도로에 평행하게 만든 배수구로서, 하수구가 완비된 시가지에서는 차도의 양쪽을 낮게 포장한다거나 낮은 L자형의 측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구를 설치하는 것은 자동차 주행 상의 안정성과 주차 등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측구에 유입된 물은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된 집수 유입구에 떨어져 하수도로 흘러든다.
한편, 하수도가 없는 도로에서는 주로 단면이 U자형으로 되어 있는 측구가 사용되는데, 깊이는 약 40cm 이상이며 덮개를 한 곳도 있다. 이러한 측구는 노면의 배수뿐만 아니라, 도로에 인접한 가옥으로부터 오수의 배수구도 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도로변에 차도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고자 설치되는 종래의 경계블록과 측구는, 먼저 경계석을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통상적인 제조방식에 의해 별도로 제작한 다음,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으로 운반하여 시공하거나 또는 측구와 함께 시공하는 것이며, 상기 측구는 지면에 일정 폭을 가지면서 평탄성을 갖도록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도로변에 설치되는 종래의 경계블록과 측구는 별도의 제작 과정과 각각의 시공 작업을 통하여 시공됨으로써, 즉 경계블록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과 측구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됨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 또한 상당히 큰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경계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물에서 제작부터 운반 및 시공이 각각 별개로 이루어짐으로써, 경계블록 제작 및 시공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측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에 거푸집 등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거푸집에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의 혼합물인 콘크리트나 몰탈 등을 충진한 후 가압작업을 거쳐 경화시켜 시공되는 것으로, 이 또한 경계블록을 시공하는 것과 별도의 시공 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따른 번거롭고 많은 시공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개별적으로 시공되는 경계블록과 측구의 시공을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경계석에 일체로 형성된 측구를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효율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두 번째 목적은 경계블록과 측구를 시공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하고 시간을 줄여 시공비를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며, 세 번째 목적은 경계블록이 측구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도록 하며, 폭우에도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측구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에 일체로 결합 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블록과 측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경계석과 측구를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율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경계블록과 측구를 시공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줄어들어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이 다수 결합 시 정연하게 결합 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경계블록이 측구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며, 도로상의 물이 잘 빠지도록 측구에 물이 빠지는 입구가 많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까지 연통된 관이 연결되어 있어 폭우에도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투명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형상을 달리한 사시도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조립상태를 보여 주는 결합사시도
도 1e는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조립상태를 보여 주는 분리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투명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투명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측구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에 일체로 결합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투명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측구(100)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 형태로서, 상기 측구(100)는 좌측과 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20)을 통해 빗물 등의 물이 인입되어 상기 하수관(110)을 통해 타 측구(100)의 하수관(110)으로 이동된다.
또한,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130)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130')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 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0)의 형태를 도면에서와 같이 반드시 사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사각형상이 서로 끼워 맞추기에는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130)의 상하 두께는 7cm정도나 그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다.
상기 단부(150)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상기 단부(150) 측면으로 차도가 형성되고, 상기 차도를 형성하는 아스팔트와 같은 재질의 차도를 구성하는 물질이 경사진 형태의 상기 단부(150)에 까지 덮여지게 함으로써 상기 측구(100)가 차도와 쉽게 분리되거나 또는 차도와 측구 사이에 금이 가는 등의 균열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측구의 단부(150)를 덮는 아스팔트와 같은 물질의 높낮이가 일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끼움공(160)은 상기 측구가 일체로 형성된 경계블록의 이동이나 시공 시 상기 끼움공(160)에 직접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공(160)에 들어가는 도구를 끼워 넣고 그 도구를 기계로 이동하는 등의 이동이나 운반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측구(100)에 형성된 끼움공(160)은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한 쌍의 끼움공(160)이 바람직하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형상을 달리한 사시도로서, 도 1c를 참고하면,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다른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사용장소나 목적에 따라 상기 경계블록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또는 폭을 넓게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조립상태를 보여 주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e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조립상태를 보여 주는 분리사시도로서, 도 1d와 도 1e를 참고하면, 측구가 일체로 형성된 경계블록을 다른 경계블록과 결합 시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40)에는 다른 경계블록의 돌출부(130')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 시 정연하게 결합 된다.
도 1d에서와 같이 결합 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은 상기 측구(100)의 통공(120)을 통해 빗물 등이 인입되면, 하수관(110)을 통해 다른 경계블록의 하수관(110)으로 이동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a를 참고하면, 도 1a에 도시된 도면에서 측구(100)의 하수관(110)이 다른 형태를 보여 주는 실시예로서, 상기 하수관(110)은 일측이 측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타측단의 내경이 일측단의 내경 보다 크며,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이 2개 이상 결합 될 때 측단면으로부터 돌출된 하수관(110)은 다른 경계블록의 내경이 큰 하수관(110)에 삽입 결합 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b를 참고하면,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시공 시 도로의 코너(Corner)와 같이 굴곡이 있는 곳에 설치되는 제 3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측구(100)와 경계블록(200)이 일정한 각도로 굴곡진 형태를 보여준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c를 참고하면, 도 1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시공 시 도로에 경사면이 형성된 곳에 설치되는 제 4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경계블록(200)의 일측면이 타측면에 비해 상하 높이가 경사에 따라 줄어 들고, 측구(100)는 도 1a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일측면의 높이가 줄어든 상기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 형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된다.
또한,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되며, 상기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되는 측구(100)는 일측면이 일정 간격(d)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면이 상기 돌출된 간격(d) 만큼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구(100)가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시 일측면이 일정 간격(d)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면이 상기 돌출된 간격(d) 만큼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것은 도 3에 도시된 경계블록을 다수 결합 시 돌출된 측면이 오목한 측면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 시 정연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돌출부에 대응되어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시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된 측면이 일정 간격(d)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140)가 형성된 측면이 상기 돌출된 간격(d) 만큼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체로 결합 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구(100)가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시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된 측면이 일정 간격(d)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140)가 형성된 측면이 상기 돌출된 간격(d) 만큼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경계블록을 다수 결합 시 돌출된 측면이 오목한 측면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 시 정연하게 결합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5a와 도 5b를 참고하면,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다.
이때, 상기 경계블록(200) 및 측구(100)가 결합 된 일측면 후방 모서리에 상기 경계블록(200)과 측구(100)에 걸쳐 육면체 형상의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블록(200) 및 측구(100)가 결합 된 타측면 후방 모서리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131)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1)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돌출부(131)는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되는 측구(100)가 정연하게 결합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측구(100)는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 중앙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사각형상의 멘홀(170)과 상기 멘홀(170)을 덮기 위한 뚜껑(180)이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1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은 도 1a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 의한 경계블록이 다수 연결된 후 제 8실시예에 의한 경계블록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측구에 형성된 멘홀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 8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에 형성된 멘홀(170)을 통해 하수와 함께 인입된 찌꺼기를 뚜껑(180)을 열고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뚜껑(180)의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뚜껑의 형태는 사각이나 원형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뚜껑의 두께는 상기 걸림턱(171)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투명사시도로서, 도 7a와 도 7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측구(100)는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U자형의 하수관(1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U자형의 하수관(111)은 폭우가 쏟아져 다량의 빗물이 하수관으로 유입될 때 다량의 빗물을 인입되게 함으로써 하수관 내에서 빗물을 정체 없이 유입되게 하여 차도나 보도에 물이 차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사시도로서,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측구(100)는 좌,우측 하단부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반원통형의 하수관(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1)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측구(100)는 별도의 하수관을 설치하지 않고 저면에 하수관 역할을 하는 반원통형의 형상을 만들어서 상기 통공(120)을 통해 유입된 하수가 연통 된 상기 반원통형의 하수관(111)을 통해 다른 하수관(111)으로 이동하게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의 측구(100)는 별도의 하수관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된 경계블록을 보여 주는 투명사시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 의한 측구가 일체로 결합된 경계블록에서, 측구의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과 같이 경계블록(200)의 배면 중앙에도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측구에 형성된 끼움공(160)처럼 경계블록(200)에도 끼움공(16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구가 일체로 형성된 경계블록의 이동이나 시공 시 상기 끼움공(160)에 직접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공(160)에 들어가는 도구를 끼워 넣고 그 도구를 기계로 이동하는 등의 이동이나 운반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번의 간단한 작업공정을 통하여 경계블록과 측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경계석과 측구를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율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고, 경계블록과 측구를 시공하는데 드는 인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줄어들어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경계블록이 측구에 안정적으로 결합 되며, 도로상의 물이 잘 빠지도록 측구에 물이 빠지는 입구가 많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까지 연통된 관이 연결되어 있어 폭우에도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측구 110,111 : 하수관
120 : 통공 130,130',131 : 돌출부
140,141 : 오목부 150 : 단부
160 : 끼움공 170 : 멘홀
171 : 걸림턱 180 : 뚜껑
200 : 경계블록 d : 간격

Claims (8)

  1.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130)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130')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100)는, 일측이 측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타측단의 내경이 일측단의 내경 보다 크며,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3.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측면이 일정 간격(d)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면이 상기 돌출된 간격(d) 만큼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체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4.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돌출부에 대응되어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된 측면이 일정 간격(d)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오목부(140)가 형성된 측면이 상기 돌출된 간격(d) 만큼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일체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5.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되며, 상기 경계블록(200) 및 측구(100)가 결합 된 일측면 후방 모서리에 상기 경계블록(200)과 측구(100)에 걸쳐 육면체 형상의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블록(200) 및 측구(100)가 결합 된 타측면 후방 모서리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131)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6.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의 하수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사각형상의 멘홀(170)과 상기 멘홀(170)을 덮기 위한 뚜껑(180)이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7. 좌,우측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U자형의 하수관(111)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0)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 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8. 좌,우측 하단부 중앙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반원통형의 하수관(111)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상기 하수관(111)까지 도달하여 서로 연통되는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부에는 수평으로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어 타 돌출부가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정렬 결합시 정연하게 결합 되게 하는 오목부(140)가 형성되며, 정면 상측 모서리에 경사진 단부(150)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일정 간격을 가진 다수의 끼움공(160)이 형성된 측구(100);가 차도와 보도 사이의 경계에 정렬배치되는 경계블록(200);에 일체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KR1020120081328A 2012-07-25 2012-07-25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KR20140013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28A KR20140013601A (ko) 2012-07-25 2012-07-25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328A KR20140013601A (ko) 2012-07-25 2012-07-25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01A true KR20140013601A (ko) 2014-02-05

Family

ID=5026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328A KR20140013601A (ko) 2012-07-25 2012-07-25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6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7617A (zh) * 2016-04-27 2016-08-24 四川中邦模具有限公司 一种兼具集水、排水、渗水的空心路沿石及浇筑模具
KR101973983B1 (ko) 2018-10-08 2019-04-30 전경근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CN111395089A (zh) * 2020-03-25 2020-07-10 陇东学院 一种海绵城市透水砖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7617A (zh) * 2016-04-27 2016-08-24 四川中邦模具有限公司 一种兼具集水、排水、渗水的空心路沿石及浇筑模具
CN105887617B (zh) * 2016-04-27 2019-03-22 四川中邦模具有限公司 一种兼具集水、排水、渗水的空心路沿石及浇筑模具
KR101973983B1 (ko) 2018-10-08 2019-04-30 전경근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CN111395089A (zh) * 2020-03-25 2020-07-10 陇东学院 一种海绵城市透水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3601A (ko)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EP0328639A1 (en) Frame for laying wooden bricks
CN111236389A (zh) 装配式排水装置
JP3944518B2 (ja) 境界ブロックを用いた道路の排水構造
CN113330170B (zh) 生物滞留系统及其构建方法
KR100736899B1 (ko) 관거형 측구
KR20070074512A (ko) 조립식 저류조
JP2006132320A5 (ko)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100717112B1 (ko) 다기능 도로경계블록
CN206256342U (zh) 一种用于地面铺设的自排水地砖
CN211815303U (zh) 一种提高排水性的缝隙透水砖
CN212078172U (zh) 装配式排水装置
CN211143235U (zh) 车库入口底板排水槽
CN210151514U (zh) 一种排水地面砖
CN203668793U (zh) 一种组合路沿石
KR101135350B1 (ko)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200272865Y1 (ko) 카스토퍼 일체형 조립식 배수블럭
KR101083783B1 (ko) 측구일체형 경계석
KR100616274B1 (ko) 개거 시공용 조립 구조물 및 개거 시공방법
RU2200786C1 (ru) Элемент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дождеотводного канала
KR100598771B1 (ko) 도로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
KR101406295B1 (ko) 경계석
CN113605614B (zh) 一种人行道路口坡道结构及其施工方法
CN203096904U (zh) 梳状排水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