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295B1 - 경계석 - Google Patents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295B1
KR101406295B1 KR1020110116614A KR20110116614A KR101406295B1 KR 101406295 B1 KR101406295 B1 KR 101406295B1 KR 1020110116614 A KR1020110116614 A KR 1020110116614A KR 20110116614 A KR20110116614 A KR 20110116614A KR 101406295 B1 KR101406295 B1 KR 10140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oundary stone
stone
present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328A (ko
Inventor
김갑숙
Original Assignee
서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철 filed Critical 서종철
Priority to KR102011011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2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경계석 본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상면에 상기 경계석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 내에 상기 연결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한 쌍의 경계석 본체의 상호 연결 시 상기 경계석 본체와 일체화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상기 경계석 본체를 차례로 정렬 배치할 때 일측 경계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과 타측 경계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에 상기 연결바가 삽입됨으로서 상기 경계석 본체들이 정연하게 정렬되게 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의 내측면으로 중공 형상의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가볍고 경제적이며, 각 경계석에 상호 결합수단을 제공하여 경계석들이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측면으로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어 경계석으로 스며드는 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계석{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경계석의 시공의 용이성은 물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그 재료에 따라 시멘트 콘크리크 경계석과 석재 경계석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보도와 차도를 구별하는 보차도 경계석, 녹지와 보도를 구별하는 녹지 경계석, 대개 도로의 흙과 시멘트 재료를 구별하는 재료분리 경계석으로 대별할 수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 경계석은 재료의 구입 및 제조가 용이하여 석재 경계석 블록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또한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운반이나 설치 작업 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시멘트 콘크리트 경계석은 대기 중의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에 노출된 경우 쉽게 부식되어 강도가 약해지는 취약한 내식성을 갖고 있으며, 흡수율이 매우 크기 때문에 우수에 의한 수분의 흡수 및 증발 과정이 계속 반복되다 보면 열화 현상이 급진전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특히 겨울철에는 동결융해 작용에 의해 균열 또는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와 같이 파손된 경계석은 교체 시공하기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교체공사 시의 교통 방해 및 보행자의 불편을 야기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석재 경계석은 화강암 등의 천연 석재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고 장식효과가 큰 장점이 있으나, 재료비와 임가공비가 많이 소요되어 시멘트 콘크리트 경계석에 비해 생산원가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시공시의 작업효율이 낮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상존하며, 중량에 비해 강도가 매우 약하여 운반 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경미한 충격에도 손상이 잘 되고, 특히 설치 후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쉽게 손상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 경계석의 시공방법은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51)위에 1차 거푸집(52,53)을 설치하는 단계와, 그 설치된 1차 거푸집(52,53) 사이에 기초 콘크리트(54)를 타설하여 일부 양생시키는 단계와, 일부 양생된 기초 콘크리트(54)의 윗면을 평평하게 정리하고 1차 거푸집(52,53) 중의 차도쪽 거푸집(53)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거푸집(52,53) 중의 하나의 거푸집(53)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부 양생된 기초 콘크리트(54) 위에 경계석을 올려서 일렬로 올려지는 무수히 많은 경계석(55)들의 열과 높이를 타공방식으로 마주어 설치하는 단계와, 제거된 거푸집(53)이 설치되어 있던 면을 치핑하고 완전 양생시키는 단계와, 남아있는 하나의 1차 거푸집(52)과 함께 L형 측구 시공을 위한 2차 거푸집(56) 하나를 추가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거푸집(52,56) 사이에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하고 L형 측구 콘크리트(57) 윗면을 정리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경계석(55)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은 경계석(55)을 올리기 위한 기초 콘크리트(54)를 타설하는 1차 거푸집(52)과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하기 위한 2차 거푸집(56)을 설치해야 하므로 경계석(55) 설치를 준비하는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계석(55)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다시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 및 양생해야 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이 반복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경계석은 경화특성상 고강도 발현을 위하여 장시간에 걸쳐 양생시간이 소요되므로, 제조 시 사용되는 거푸집의 회전효율이 낮아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외에도 기초 콘크리트(54) 위에 경계석(55)을 시공한 후,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할 때 경계석(55) 뒤쪽은 별도의 뒤채움 콘크리트로 타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뒤채움 콘크리트의 타설은 5cm 정도의 좁은 공간에 뒤채움 콘크리트를 투입해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지에 설치되는 보차도 경계석과, 녹지와 인도 사이의 경계지에 설치되는 녹지 경계석은 빗물의 일부가 경계석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되는 물은 차도의 지반층 또는 인도의 지반층, 녹지의 지반층에 계속적으로 흡수되는 경우 지반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별도 집수하여 안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하여 휨, 인장, 부착강도 및 내구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경계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경계석의 측면에 배수관을 형성하여 경계석을 정렬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측구의 구축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경계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면으로 중공 형상의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는 경계석 본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상면에 상기 경계석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 내에 상기 연결홈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한 쌍의 경계석 본체의 상호 연결 시 상기 경계석 본체와 일체화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상기 경계석 본체를 차례로 정렬 배치할 때 일측 경계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과 타측 경계석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에 상기 연결바가 삽입됨으로서 상기 경계석 본체들이 정연하게 정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계석 본체는 내측면으로 중공 형상의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수관은 상기 경계석 본체의 일 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경계석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경계석 본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세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바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야광물질 또는 발광안료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가볍고 경제적이며, 각 경계석에 상호 결합수단을 제공하여 경계석들이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측면으로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어 경계석으로 스며드는 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은 도로에서의 야간 운행시 차도와 인도의 구분을 확실히 함으로써 야간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이 재료분리 경계석에 사용된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이 녹지 경계석에 사용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이 보차도 경계석에 사용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기초 콘크리트 시공단계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종래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경계석을 올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L형 측구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종래의 L형 측구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그리고
도 12는 종래의 경계석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성,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결합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은 크게 경계석 본체(10)와, 연결홈(20) 및 연결바(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석분이나 기타 견고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물질은 물론 재활용 원자재 등에 유, 무기안료와 여러 종류의 보조제가 혼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계석 본체(10)의 표면은 마모와 긁힘을 견디기 위한 상당한 정도의 경도 및 강도를 요구하고, 내부 충격완화를 요구한다. 따라서,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파손 및 경계석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경계석 본체(10)는 사출성형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지므로 생산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에 보급할 수 있으며, 가벼우므로 취급이 용이하여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없어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경계석의 크기가 제한받을 필요는 없으나, 사용의 편의에 의해서 상기 경계석의 본체(10)의 크기는 대략 높이와 폭을 각각 20 내지 30cm, 길이를 100 내지 120cm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석 본체(10)가 성형되어 지는 경우에는 장방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세부 구조로는 보차도 경계석, 녹지 경계석, 재료분리 경계석에 맞춰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경계석 본체(1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경계석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홈(20)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경계석을 일렬로 정렬 배치할 때 동일한 평면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경계석 본체(10)의 상면에 수평으로 홈이 대략 2 내지 5cm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계석 본체(10)를 차례로 정렬 배치할 때 하나의 경계석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홈(20)에 인접하여 정렬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경계석 본체(10)의 연결홈(20)을 이어서 정렬 배치한 후 후술되는 연결바(30)를 끼워 넣으면 이웃하는 경계석 본체(10)들이 결합되어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바(30)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홈(20) 내에 상기 연결홈(20)의 형상과 대응하여 장착되고 한 쌍의 경계석 본체(10)의 상호 연결 시 상기 경계석 본체(10)와 일체화된다. 여기서 연결바(30)의 재료도 PVC나 PE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바(30)는 야광물질 또는 발광안료가 포함된 도료에 의해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바(30)에 포함된 야광물질에 의하여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보도와 차도의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상기 야광물질에 발광안료를 더 첨가하면 빛 반사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발광안료로서는 축광 또는 잔광의 효과를 갖는 형광물질이 아니라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야간 운행 시 전조등의 빛에 의하여 경계석의 존재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경계석 본체(10)의 저중량을 실현하기 위하여 성형 시 내측면으로 배수관(4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경계석을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지에 일렬로 정렬 배치할 때, 차례로 정렬되는 경계석 본체(10)의 측면, 즉 차도 방향으로 배수관(40)이 형성되어 도로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하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관(4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경계석 본체(10) 내부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관(40)은 적당한 집수정(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40)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일 측면에 연장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구멍(4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일 측면에 상기 경계석 본체(10)에 대해 수직으로 세로바 형태의 배수공(44)이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경계석 본체(10)의 내부가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 설치 및 해체작업시 가벼움에 의한 작업의 용이함을 제공함은 물론 경계석 본체(10)의 좌우 연결이 연결홈(20)과 연결바(30)로 이루어짐으로 별도의 뒷채움시에 별도의 충진재의 사용이 없이도 뒷채움재의 흘러내림이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이 재료분리 경계석에 사용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흙포장 등 녹지와 녹지 사이의 경계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흙과 콘크리트와 같이 포장재료를 분리시켜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이 녹지 경계석에 사용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경계석은 녹지와 인도 사이의 경계지에 설치되는 녹지 경계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녹지 경계석을 쌓아 쾌적한 녹지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녹지공간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빗물이나 인도에서 흘러나오는 빗물 등을 배수관(40)을 통하여 빗물의 일부가 경계석으로 배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이 보차도 경계석에 사용된 예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경계석은 보차도 경계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에서의 야간 운행시 차도와 인도의 구분을 확실히 함으로써 야간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흙 2. 시멘트
3. 녹지 4. 보도
5. 차도 6. 집수정
10,10'. 경계석 본체 20. 연결혼
30. 연결바 40. 배수관
42. 배수구멍 44. 세로바 형태의 배수공

Claims (3)

  1. 장방 형상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중공 형상의 배수관(40)이 형성되어 있는 경계석 본체(10);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홈(20); 및
    상기 연결홈(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상기 경계석 본체(10)를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결홈(20)에 삽입되어 상기 경계석 본체(10)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경계석 본체(10)들이 정연하게 정렬되도록 하는 연결바(3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40)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구멍(42)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세로바 형태의 배수공(44)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바(30)는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야광물질 또는 발광안료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2. 삭제
  3. 삭제
KR1020110116614A 2011-11-09 2011-11-09 경계석 KR10140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14A KR101406295B1 (ko) 2011-11-09 2011-11-09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614A KR101406295B1 (ko) 2011-11-09 2011-11-09 경계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28A KR20130051328A (ko) 2013-05-20
KR101406295B1 true KR101406295B1 (ko) 2014-06-12

Family

ID=4866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614A KR101406295B1 (ko) 2011-11-09 2011-11-09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902B1 (ko) * 2021-01-27 2022-12-22 한경수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27Y1 (ko) * 1993-07-19 1997-03-15 새길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제 도로경계블럭
KR19990011951U (ko) * 1998-12-24 1999-03-25 박용운 배수공을 형성한 도로경계석
KR100816304B1 (ko) * 2008-01-21 2008-03-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배열과 설치가 간편한 도로 경계석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27Y1 (ko) * 1993-07-19 1997-03-15 새길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제 도로경계블럭
KR19990011951U (ko) * 1998-12-24 1999-03-25 박용운 배수공을 형성한 도로경계석
KR100816304B1 (ko) * 2008-01-21 2008-03-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배열과 설치가 간편한 도로 경계석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328A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6670B (zh) 一种装配式车载路面及其施工方法
CN102433819A (zh) 一种半柔性结构透水行道及其铺装方法
US20140169878A1 (en)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KR101845525B1 (ko) 친환경 혼합자재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럭 및 이를 구비한 배수처리시스템
KR102281919B1 (ko) 도로포장용 투수 블록
CN111576127B (zh) 一种公路工程新旧路面拼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60071384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조립식 포장공법
CN106758638A (zh) 一种城市海绵砖及其施工工艺
CN102888830A (zh) 塑料水渠及其施工方法
CN113463458A (zh) 一种稳定的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406295B1 (ko) 경계석
KR20120135711A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CN110983907A (zh) 一种装配式自排水人行道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0974329B1 (ko) 경계블록
RU84857U1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CN107268368A (zh) 锁扣缝隙透水砖
KR100717112B1 (ko) 다기능 도로경계블록
KR102006108B1 (ko)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공사지반 임시보수용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공사지반 임시보수 시공방법
CN207347874U (zh) 一种路面及广场的积水导流系统
CN211446428U (zh) 一种天然石材道路结构
KR102258398B1 (ko) 보도경계블록.
KR101394509B1 (ko) 이중구조로 형성된 도로 경계석
CN210621367U (zh) 一种绿色环保连锁块砖
CN218404891U (zh) 一种高强度市政园林绿化用透水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