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98B1 - 보도경계블록. - Google Patents

보도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98B1
KR102258398B1 KR1020180087460A KR20180087460A KR102258398B1 KR 102258398 B1 KR102258398 B1 KR 102258398B1 KR 1020180087460 A KR1020180087460 A KR 1020180087460A KR 20180087460 A KR20180087460 A KR 20180087460A KR 102258398 B1 KR102258398 B1 KR 10225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protrusion
flower bed
bound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319A (ko
Inventor
정현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riority to KR102018008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도의 경계블럭과 조경블럭을 일체로 형성하여 화단이 형성된 부분에서 흙 등이 보도로 임의적으로 흘러내리지 않토록 함은 물론 보행의 편의성을 구현하면서 콘크리트로 성형된 상태에서도 화강암과 같이 단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손상이 방지된 보도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도경계블록.{BOUNDARY BLOCK BETWEEN SIDEWALK AND FLOWER BED}
본 발명은 보도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도경계블록(일명 뒷돌이라 함)의 구조를 변경하여 화단이 형성된 부분에서 흙 등이 보도로 임의적으로 흘러내리지 않토록 함은 물론 보행의 편의성을 구현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여 그 손상이 방지된 것이다.
현재 도로와 보도가 구비되는 곳에는 반드시 시공된 보도블록의 밀려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와 보도의 경계를 구분하는 부분에 차도경계블록이 시공되어지고, 동시에 보도의 타측으로는 보도의 밀려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뒷돌이 시공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차도경계블록의 보도측으로는 차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면서 보도가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차도로 밀려나감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도경계블록이 시공되어지고 보도는 이러한 차도경계블록과 동일 평면상으로 시공되어짐으로서 보행시 보행자의 걸림이 없게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보도는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도블록으로 시공되어지는데 이러한 보도블록은 대부분 지반에 박히는 것이 아니고 놓여지는 것이어서 차도경게블록에 지지되는 타측으로도 이러한 보도블록의 밀려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뒷돌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뒷돌은 대부분 보행자의 보행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토록 보도블록과 동일평면상으로 지면에 박아서 고정하게 됨으로 지면에 깔리게 되는 보도블록의 밀려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차도경계블록이나 보도블록의 밀려남을 방지하기 위한 뒷돌은 통상 하절기의 빗물이나 또는 동절기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포되어지는 염화칼슘에 의하여 변형되어짐(깨짐이나 부서져 나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성형된 것을 사용치 못하고, 고가의 화강암으로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인데다가 이러한 화강암도 동일한 색감을 갖는 것을 사용하게 됨으로 이러한 시공을 위해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뒷돌을 화강암을 사용함으로서 염화칼슘 등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어지는데 이러한 뒷돌의 시공이 보도블록의 상면과 동일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매립되어짐으로 보도블록의 밀려남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만일 뒷돌의 일측방으로 화단을 구현토록 할 경우에는, 화단의 흙 등이 시공된 보도블록의 상면으로 아주 손쉽게 밀려나오게 되고 특히 비가 올 경우에는 빗물과 함께 흙탕물이 보도블럭의 상면으로 넘쳐 흐르게 되면서 도시의 지저분함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에 상당한 문제점을 야기토록 하고 있는 것이고 보도블록이 지면에 평평하게 놓여져 있는 것에 불과하여 이러한 흙탕물에 의한 지면의 쓸려 내려감에 의하여 평평한 면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서 보도블록을 재시공하여야 하는 등의 비 경제적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1 내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단(100)과 뒷돌(200)의 사이에 조경블록(300)을 별도로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뒷돌(200)의 규격이 10×100×10㎝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조경블록(300)은 10×10×15㎝로 이루어져 폭이 같고 높이가 높아 화단의 흙이 보도(400)쪽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조경블록(300)은 통상 콘크리트로 성형되어진 것을 사용치 못하고 대부분 소성가공한 블럭으로 사용하게 됨으로 고가라는 점과, 탄화되면서 색상 구현이 어렵고, 조경블럭(300)이 화단의 면적을 점유하게 되면서 좁아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고, 상기의 뒷돌(200)의 시공과는 별도로 화단 조성시 조경블록도 다시 시공하여야 함에 따라 경제적인 손실 등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경블럭(300)은 하나의 뒷돌(200)에 10개를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 조경블럭의 사이로 틈새가 발생되면서 흙탕물이 많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틈새로 흘러내리게 되면서 실질적인 흙탕물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KR 20-0340104 Y1 KR 20-0433162 Y1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재질과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밖에 없었던 뒷돌에 조경블록을 동시에 구비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의 해결은 물론 보행자의 보행시 간섭도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반에 매립되어지는 본체와 본체의 상측으로 일체로 구비되어져 돌출되어지는 돌출부로 형성하고, 상기 지반에 매립되어지는 본체는 보도블록과 수평면이 이루어지게 매립되게 시공된 상태에서 그 상층으로 돌출되어지는 돌출부는 보도가 형성된 부분으로는 경계면을 구비토록 하고, 화단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는 수직면으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보행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화단의 흙이 보도로 흘러내려오는 것을 차단토록 한 보도경계블록으로 구현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부로 인하여 보도경계블록을 동일한 시공방법으로 시공만함으로서 화단에서 흙이 보도블록의 상면으로 흘러내림을 완벽하게 차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보행자가 보행시 간섭도 발생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보행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내지 도1b는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뒷돌과 조경블럭의 사용상태도.
도2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도경계블록의 사시도 또는 단면도또는 순서도 또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도경계블럭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도경계블럭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지반에 매립되어지는 본체(10)를 중심으로 양측단에는 밀착면(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는 경계면(21)과 차단면(22)이 형성된 돌출부(20)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보도경계블럭(1)으로써,
특히, 복수의 보도경계블록(1)들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밀착된 상태로 지면 위에 놓여졌을 때,
지반에 매립되는 본체(10)는 보도블록(2)과 수평면이 이루어지게 매립되어 상기 보도블럭(2)들이 밖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해 주고, 그 상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0)는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계면(21)에 의해 일측에 다수의 보도블럭(2)들이 놓여지는 영역으로 구획되어지는 한편, 타측은 하방향으로 내려온 차단면(22)에 의해 화단(3)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구획되어지게 함으로써,
보행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화단의 흙이 보도 영역으로 흘러 내려오지 않도록 차단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의 본체(10)는 일측에 매립되는 다수의 보도블럭(2)을 측방향에서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상기 보도블럭(2)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높이도 상기 보도블럭(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매립시 보도블록(2)의 상면과 동일 수평면을 유지할 때 본체(10)의 하단(12)이 상기 보도블록(2)보다 더 깊게 매립되어져, 측방향으로 보도블럭(2)이 밀려나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그리고 이러한 보도경계블럭(1)의 본체(1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통공된 중공부(14)를 형성하여, 매립된 상태에서의 고정력을 우수하게 함은 물론, 중량을 저감토록 하여 시공이나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중공부(14)는 본체 내측에 형성되면서 수화열에 의해 균열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 형성된 것이며, 특히 본체(10)의 접촉면(11)에 형성된 중공부(14)의 단면 크기 보다 후방에 위치한 차단면(22)에 형성된 중공부(14)의 단면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중공부(14)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몰드(40)로부터 중공부(14)가 형성된 보도경계블럭(1)이 용이하게 빠짐되도록 하는 한편, 매립시 테이퍼진 중공부(14)에 의해 압력분산이 이루어지면서 보다 더 향상된 고정력을 가지도록 하면서도, 시공 후 우(雨)천시에도 보도블럭(2)의 빗물이 테이퍼진 중공부(14)를 따라 화단(3) 쪽으로 용이하게 물 빠짐 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중공부(14)는 본체(10)의 접촉면(11)에 다수의 보도블럭(2)이 밀착되면서 그 중공부(14)가 가려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중공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형성된 돌출부(20)는, 경계면(21) 일측에 하방향으로 내려온 차단면(22)을 형성하면서, 상기 경계면(21)과 차단면(22)이 만나는 지점을 뾰족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파손 및 용이하게 몰드로부터 보도경계블럭(1)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계면(21)과 차단면(22)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평면(23)을 형성하거나, 혹은 만곡면(2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8과 도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도경계블럭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때의 보도경계블럭(1)은 지반에 매립되어지는 본체(10)를 중심으로 양측단에는 밀착면(13)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는 경계면(21)과 차단면(22)이 형성된 돌출부(2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20)는 본체 후방으로 편심되게 기울어지면서 경계면(21) 앞쪽에 평평한 상면(15)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가 지반에 매립되면서 접촉면(11)에 다수의 보도블럭(2)이 밀착되었 때 보도블록(2)의 상면과 본체(10)가 용이하게 동일한 수평면에 놓이게 시공하면서,
편심된 돌출부(20)의 경계면(21)에 의해 보도블럭(2)들이 놓여지는 영역과 차단면(22)에 의해 화단(3)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구획되게 함으로써,
보행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화단의 흙이 보도 영역으로 흘러 내려오지 않게 차단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보도경계블럭(1)의 본체(10)에는 측방향으로 통공된 중공부(14)를 형성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중공부(14)를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몰드(40)로부터 중공부가 형성된 보도경계블럭(1)이 용이하게 빠짐되도록 하는 한편, 매립시 테이퍼(Taper)진 형상의 중공부(14)에 의해 압력분산이 이루어지면서 보다 더 향상된 고정력을 가지도록 하고, 더불어 시공 및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우(雨)천시에 보도블럭(2)의 빗물이 중공부(14)를 따라 화단(3) 쪽으로 용이하게 물 빠짐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돌출부(20)는, 경계면(21) 일측에 하방향으로 내려온 차단면(22)을 형성하면서, 상기 경계면(21)과 차단면(22)이 만나는 지점을 뾰족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파손 및 용이하게 몰드로부터 보도경계블럭(1)을 분리하기 위하여, 경계면(21)과 차단면(22)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평면(23)을 형성하거나, 혹은 만곡면(2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추부는 일측으로 기울어져 편심되게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20)의 차단면(22)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화단의 지반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돌출부(20)의 경계면(21)은 보도블록(2)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화단(3)의 흙이 보도블럭(2)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더 넓은 보행구간과 화단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가 편심되게 형성하면서 경계면(21) 전방에 형성된 본체(10)의 상단(15)에는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16)을 형성하여, 울타리(4)나 펜스 혹은 안내판 등이 용이하게 끼움되어지면 설치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관통홀(16)은 실시 예에 따라 경계면(21)과 차단면(22) 사이에 형성된 평면(23)이나 만곡면(24)에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16)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울타리(4)나 펜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지반으로 용이하게 물 빠짐되도록 하거나 수화열에 의해 균열되거나 내구성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도경계블럭(1)은, 고가의 화강암이 일정한 크기로 절삭되어, 지반에 매립되는 본체(10)와 보도 영역 및 화단 영역으로 구획하는 돌출부(2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고강도의 내구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색상과 문양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몰드(40)의 내공간(41)에 습식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양생되었을 때,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습식 콘크리트는 -20 ~ 30도의 작업장 온도에서 시멘트와 1/3정도의 물과 첨가제를 혼합하고,
상기 시멘트와 골재(자갈, 모래)를 1대1 내지 1대3의 비율로 혼합하는 한편,
상기 시멘트 중량의 3.0 ~ 5.0% 내외의 액상형 조강제를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상온 그늘에서 양생한 것이다.
이때 첨가제는 시멘트 질량의 0.2 내지 2.0% 정도의 범위 내에서 폴리카르복실산 기반의 혼합재(예, BASF의 마스터그레니움 115(MasterGlenium 115))를 혼합하여 분산 및 습윤 작용에 의해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시공성(Workability)를 향상시키면서 20% 정도의 단위 수량을 감소시켜 골재와 시멘트 입자의 침강으로 표면에 블리딩 (bleeding)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 고강도 압축자재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시멘트와 골재가 1대1 이하의 비율을 유지할 경우에는 시멘트가 분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시멘트와 골재가 1대3의 비율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시멘트와 골재의 비율이 1:1 내지 1:3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재는 폴리카르복실산 기반의 하이 레벨의 감수기능을 가진 혼합물로써, 상온에서 1050 ~1,090의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5~8의 pH농도와, CL-ion 함유량이 0.1%wt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써,
특히 시멘트의 0.2% 이하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습윤 및 분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2.0% 이상의 비율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시멘트의 사용량이 많아지거나 크랙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가능한 상기 첨가제가 시멘트 질량의 0.2 내지 2.0% 정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혼합재는 실시 예에 따라 점도를 바꾸기 위한 개질제(예, BASF사의 마스터매트릭스 100(MasterMatrix 100))와, 수성 마이크로 실리카 기반의 현탁액(예, BASF사의 마스터라이프 500(MasterLife 500))과, 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예, BASF사의 마스터포조리스(MasterPozzolith))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습식 콘크리트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진 혹은 경사진 밀착면(42)이 형성된 몰드(40)의 내공간(41) 안쪽으로 주입되어져, 일정한 크기의 보도경계블럭(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몰드(40)의 내공간(41)에는 중공부(14) 또는 관통홀(16)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몰드(40)의 상단에 밀착되는 고정 플레이트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가압시 본체에 중공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몰드(40)의 밀착면(42)에는, 실시 예에 따라 특정 문양이나 라인 패턴 혹은 돌출된/내입된 형상에 대응하는 패턴의 성형부(44)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생이 완료되어 몰드(4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경계면의 표면에 무늬부(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무늬부(32)는, 도13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시트(30)가 부착되어져, 야간에도 용이하게 가로등의 빛에 반응하여 화단과 도로가 구분되어지게 할 수도 있지만,
상기 무늬부(32)에 합성수지나 안료 등이 오버몰딩되어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가진 보도경계블럭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보도경계블럭 2:보도블럭
3,100:화단 4:울타리
5:가로등
10:본체 11:접촉면
12:하단 13:밀착면
14:중공부 15:상면
16:관통홀
20:돌출부 21:경계면
22:차단면 23:평면
24:만곡면 30:반사시트
31:무늬부
100:화단 200:뒷돌
300:조경블럭 400:보도

Claims (12)

  1. 내공간(41) 안쪽에 단턱진 혹은 경사진 밀착면(42)이 형성된 몰드(40) 안쪽으로 혼합된 시멘트 주입 후 양생이 완료되었을 때에 분리되면서 형성된 보도경계블록으로서,
    지반에 매립되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평평한 상면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돌출되어지는 돌출부(20)를 형성하여 지반에 매립되는 본체(10)의 상면(15)에 의해 보도블록(2)과 수평면이 이루어지게 매립되면서 그 상층으로 돌출되어지는 돌출부(20)의 일측에 형성된 경계면(21)에 의해 보도가 형성된 영역으로 구획되어지면서 타측에 형성된 차단면(22)에 의해 화단(3)으로 형성되는 영역으로 구획되어 짐으로써 보도블럭의 밀려남을 방지하는 동시에 화단의 흙이 보도로 흘러 내려오는 것이 차단되게 구성되고,
    상기 보도경계블록은 -20 ~ 30도의 작업장 온도에서 시멘트와 물과 첨가제를 혼합하여 양생된 것으로,
    상기 시멘트는 골재를 1대1 내지 1대3의 비율로 혼합하는 한편, 상기 시멘트 중량의 3.0 ~ 5.0% 내외의 액상형 조강제를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상온 그늘에서 양생한 것이고,
    첨가제는 상온에서 1,050 ~1,090의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5~8의 pH농도와 0.1%wt의 CL-ion을 함유하고 있는 폴리카르복실산 기반의 혼합재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재는 시멘트 질량의 0.2 내지 2.0% 정도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져, 분산 및 습윤 작용에 의해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시공성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위 수량을 감소시켜 블리딩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고강도 자재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상측에 형성된 돌출부(20)의 경계면(21)과 차단면(22)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만곡면(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돌출부(20)의 경계면(21)과 차단면(22)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평면(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의 차단면(22)은 일측으로 기울어져 화단(3)의 지반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0)의 경계면(21)은 보도블록(2)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형성됨으로써, 화단(3)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행 간섭을 최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의 평면(23) 또는 돌출부(20)의 만곡면(24) 또는 본체(10)의 상면(15)에는, 상하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16)이 형성되어, 화단(3)과 보도를 구획하는 울타리(4) 또는 펜스 또는 안내판의 수직프레임이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중앙에는 테이퍼진 중공부(14)를 형성함으로써,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빠짐되도록 하는 한편, 매립된 상태에서의 고정력을 우수하게 함은 물론, 중량을 저감토록 하여 시공이나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시공 후 우천시에는 보도블럭(2)의 빗물이 테이퍼진 중공부(14)를 따라 화단(3) 쪽으로 용이하게 물 빠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는 점도를 바꾸기 위하여 개질제와, 수성 마이크로 실리카 기반의 현탁액과, 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소제를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의 경계면(21)에는 반사시트(30)가 부착되어 야간도 용이하게 가로등의 불빛에 반응하여 화단(3)과 보도가 구분되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경계블럭(1)은 내공간(41) 안쪽에 단턱진 혹은 경사진 밀착면(42)이 형성된 몰드(40) 안쪽으로 혼합된 시멘트 주입 후 양생이 완료되어 분리되었을 때에 지반에 매립되어지는 본체(10) 상측으로 상면(15)과 함께 돌출부(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몰드(40)의 밀착면(42)에는 특정 문양이나 라인 패턴 혹은 내입된 형상의 성형부(44)가 형성되어 있어 양생이 완료된 후 몰드(4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경계면(21)의 표면에 무늬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경계블록.
  12. 삭제
KR1020180087460A 2018-07-26 2018-07-26 보도경계블록. KR10225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60A KR102258398B1 (ko) 2018-07-26 2018-07-26 보도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60A KR102258398B1 (ko) 2018-07-26 2018-07-26 보도경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19A KR20200012319A (ko) 2020-02-05
KR102258398B1 true KR102258398B1 (ko) 2021-06-01

Family

ID=6951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60A KR102258398B1 (ko) 2018-07-26 2018-07-26 보도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914A (ja) * 1998-12-17 2000-06-27 Takeshi Ota はめ込み式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0320465Y1 (ko) * 2003-04-09 2003-07-23 정성필 도로 경계석
KR100671061B1 (ko) * 2006-07-13 2007-01-1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도로에 면한 공동주택 단지 화단 경계석 조립체.
KR101066027B1 (ko) * 2010-09-17 2011-09-20 영남산업 주식회사 도로 경계블록
KR101172246B1 (ko) * 2012-05-01 2012-08-07 주식회사 보국산업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KR101380591B1 (ko) * 2013-09-25 2014-04-04 주식회사 정우소재 경계석 블록용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문양 경계석 블록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양 경계석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06B1 (ko) * 2002-12-31 2005-03-28 신촌종합건설(주)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KR200340104Y1 (ko) 2003-08-31 2004-01-31 변경진 화단 경계용 인조석 블럭
KR200433162Y1 (ko) 2006-09-29 2006-12-11 박상희 조경용 경계블럭
KR20080080868A (ko) * 2007-03-02 2008-09-05 (주)대우건설 콘크리트 조기강도 발현형 혼화제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콘크리트 조성물
KR20130005332U (ko) * 2012-03-02 2013-09-11 장진 화단의 흙내림 방지턱이 있는 경계석
KR101683685B1 (ko) * 2014-04-18 2016-12-07 박효진 도로경계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8914A (ja) * 1998-12-17 2000-06-27 Takeshi Ota はめ込み式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0320465Y1 (ko) * 2003-04-09 2003-07-23 정성필 도로 경계석
KR100671061B1 (ko) * 2006-07-13 2007-01-1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도로에 면한 공동주택 단지 화단 경계석 조립체.
KR101066027B1 (ko) * 2010-09-17 2011-09-20 영남산업 주식회사 도로 경계블록
KR101172246B1 (ko) * 2012-05-01 2012-08-07 주식회사 보국산업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KR101380591B1 (ko) * 2013-09-25 2014-04-04 주식회사 정우소재 경계석 블록용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문양 경계석 블록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문양 경계석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19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122B1 (ko) 투수성 자전거 도로의 포장방법
Autelitano et al. Criteria for the selection and design of joints for street pavements in natural stone
KR102258398B1 (ko) 보도경계블록.
CN209211198U (zh) 一种城市环保路面
KR101199916B1 (ko)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333B1 (ko) 투수성 및 식별성을 갖는 분리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1018426A (zh) 用于路沿石的混凝土、路沿石及其制备方法
KR101201460B1 (ko) 보조기층용 투수성 블록의 제작방법 및 그 포장방법
KR101206688B1 (ko) 미끄럼 방지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CN208701457U (zh) 人行道砖、应用人行道砖的人行道以及工程道路
KR100877350B1 (ko) 자연석 및 인조석을 이용한 투수성 마감층 포장재 및 마감층의 포장방법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EP1489057A1 (en) Concrete for paving
CN203834313U (zh) 一种公路路面拦水带
CN208949668U (zh) 一种环保沥青路面
KR100717112B1 (ko) 다기능 도로경계블록
CN209493780U (zh) 一种透水沥青路面
KR20120103266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295B1 (ko) 경계석
KR101448335B1 (ko) 조립식블록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구비하는 도로의 시공방법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CN210621367U (zh) 一种绿色环保连锁块砖
CN210287995U (zh) 改性环氧树脂砂浆彩色路面防滑耐磨系统
KR200185705Y1 (ko) 배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경계석
CN203654123U (zh) 用于安装纵向瓦片结构的透水路面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