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46B1 -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46B1
KR101172246B1 KR1020120045878A KR20120045878A KR101172246B1 KR 101172246 B1 KR101172246 B1 KR 101172246B1 KR 1020120045878 A KR1020120045878 A KR 1020120045878A KR 20120045878 A KR20120045878 A KR 20120045878A KR 101172246 B1 KR101172246 B1 KR 10117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tone body
fence
coating layer
synthetic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국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국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국산업
Priority to KR102012004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계석 본체를 합성목재로 형성하고, 경계석 본체 및 휀스부의 외표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과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경계석의 경량화를 이룩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용이하게 부착되지 않아 내식성과 내오염성을 크게 향상시켜 항상 청결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경계석 본체의 길이방향의 전측에는 한 쌍의 체결봉을 돌출형성하고, 후측에는 상기 체결봉에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 및 일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부를 갖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고정 체결되되, 외표면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휀스부(2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공(3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공(3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연결봉(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는 휀스부(20)가 삽탈 가능하도록 삽탈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석 본체(10) 및 휀스부(20)의 표면에는 코팅제가 피복된 코팅층(5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목재 도로경계석{An Artificial Timber Boundary Stone Equipped with the Fence}
본 발명은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목재로 된 경계석 본체 및 그 상부에 설치되는 휀스부의 외부면의 표면에 고기능성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피복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중량이 가벼워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용이하게 부착되지 않으므로 내식성과 내오염성을 크게 향상시켜 항상 청결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경계석 본체의 길이방향의 전측에는 한 쌍의 체결봉을 돌출 형성하고, 후측에는 상기 체결봉에 대응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 및 일부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부를 갖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거나, 차도의 중앙선에 설치되어 통행방향이 다른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콘크리트재로서 형성되며, 차량이 도로경계석의 건너편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대략 1미터 정도 높이의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도로경계석 모두를 콘크리트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성으로 형성될 경우 승용차에 착석하여 운전하는 운전자에게는 도로 건너편의 상황을 전혀 알 수 없을 뿐 아니라 보행자 입장에서도 차량의 주행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도로경계석의 상부는 휀스부로 형성하여 도로경계석 건너편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는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로경계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재로 형성되므로 중량이 무거워 시공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차량과 사람이 자주 통행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각종 분진과 오염물질, 점착물 등이 다량으로 피착되어 도로경계석의 외관 뿐 아니라 주변 미관 또한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계석 본체는 물론 휀스부를 세척하여 외관과 주변 미관을 깨끗하게 할 수도 있으나, 그렇게 할 경우 인력 및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가사, 상기 경계석 본체와 휀스부를 세척하더라도 상기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상 다량으로 발생하는 각종 분진이나 오염물질, 점착물 등에 의해 쉽게 더러워지게 되어 많은 인력과 비용의 투자가 필요한 도로경계석 세척작업은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사실상 그대로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심한 경우에는 강재(鋼材)로 형성되는 휀스부가 녹스는 경우에만 교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도로경계석은 차량과 사람의 통행이 많은 설치위치의 특성상 자주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안전과 미관을 위해 정기적으로 혹은 사고시마다 교체해 주고 있으며, 그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막대한 비용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로경계석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한번 고정 체결되면 해제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이를 교체하는 데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교체작업의 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10289호에는 폐합성수지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도로경계석 상단부용 성형 재료와 도로경계석 하단부용 성형 재료로서 상이한 구성의 합성수지 성형 재료를 동시에 가열 압착 성형하여 형성되는 장방형의 합성수지 도로경계석으로서, 상기 경계석 하단부의 저면에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휨 강성 보강을 위하여 배치되는 보강 시멘트 조형물을 일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도로경계석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일부만을 합성수지로 대체하고 나머지 부분은 시멘트로 이루어져 중량을 경량화하기에는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도로경계석의 중량을 경량으로 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내오염성, 내식성이 뛰어난 도로경계석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계석 본체를 합성목재로 하고, 그의 상부에 형성되는 휀스부를 형성하되, 상기 경계석 본체 및 휀스부의 외측면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를 피복시킨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도로경계석의 중량을 경량화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분진이나 오염물질, 점착물 등이 점착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별도의 세척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도로경계석의 외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고정 체결되되, 외표면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휀스부(2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공(3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공(3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연결봉(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표면에는 코팅제가 피복된 코팅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50)의 일부 표면에는 발광도료층(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고정 체결되되, 외표면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휀스부(2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공(3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공(3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연결봉(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표면에는 코팅제가 피복된 코팅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50)의 일부 표면에는 발광도료층(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판이 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제가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과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코팅층(50)이 15㎛ 내지 25㎛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도로경계석의 재질을 콘크리트에서 합성목재로 대체함으로써 경량화에 의한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둘째, 합성목재로 된 경계석 본체 및 휀스부의 외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도로경계석의 내오염성, 내식성의 향상에 의한 내구성을 증가시켜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분진, 오염물질, 점착물 등의 부착을 방지시켜 외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로 인해 주변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셋째, 경계석 본체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한 쌍의 연결공을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공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연결봉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도로경계석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할 시, 파손된 부분이 포함된 해당 도로경계석만 교체 가능하여 체결 및 교체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넷째, 경계석 본체와 그 상부에 형성되는 휀스부를 분리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경계석 본체만 설치하여 설치상황에 따라 구조를 유연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휀스부만 파손을 입은 경우 휀스부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연결 구조도이다.
도 5,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휀스부 체결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본체 또는 휀스부의 외표면 코팅 구조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의 사용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 및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은, 합성목재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고정 체결되되, 외표면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휀스부(2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공(3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공(3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연결봉(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는 휀스부(20)가 삽탈 가능하도록 삽탈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석 본체(10) 및 휀스부(20)의 표면에는 코팅제가 피복된 코팅층(5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사각 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의 측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방향의 단면은 사다리꼴로 형성하여 안정적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재질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져서 천연 질감을 나타내고 내수성과 내후성이 우수하다. 상기 합성목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수지와, 목분(일반적으로 50% 이상) 및 기타 첨가물로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내구성, 내수성, 내후성을 특징으로 하고, 데크, 펜스, 사이딩, 루버 등의 조경 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또한, 상기 경계석 본체(10)는 차량과 사람이 쉽게 넘기 어렵도록 높이와 크기로 형성하여 차도와 인도의 사이에 설치하였을 때, 보행도로와 차량도로를 안정감 있게 구분해 줄 수 있도록 하고, 개별단위로 차량도로와 보행도로를 구분하는 것보다 여러 개가 길이방향으로 체결된 구성이 보다 안정감 있는 구분기능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는 연결공(30)을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공(30)에 삽입가능하게 대응 형성되는 연결봉(40)으로, 상기 경계석 본체(1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도로경계석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지면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교체작업이 어려웠던 종래의 도로경계석에 비해 해당부분을 용이하게 해제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계석 본체(10)만으로는 차량과 사람의 통행에 상호적으로 완전한 안전을 제공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는 휀스부(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휀스부(20)는 보행도로를 통행하는 사람과, 차량도로에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각각의 위치에서 도로경계석 건너편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로경계석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위해 상기 휀스부(20)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아연도금강판 이나 도금 부착량이 균일하며 평활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안전성이 높은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으로 만든 강봉(鋼棒)으로서 'n'형으로 절곡 형성하되, 한 쌍의 하부는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일체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휀스부(20)를 상기 경계석 본체(10)와 분리체결이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는 휀스부(20)의 하부에 대응되는 한 쌍의 삽탈홈(11)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삽탈홈(11)에는 휀스부(20)의 하부를 긴밀하게 끼움으로써 상기 경계석 본체(10)와 휀스부(20)가 분리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계석 본체(10)를 지상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도 2와 같이 경계석 본체(10)만을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도 1과 같이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휀스부(2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휀스부(20)를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경계석 본체(10)와 휀스부(20) 모두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휀스부(2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한 쌍의 삽탈홈(11)이 수직으로 형성된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면과 후측면 각각에 상기 삽탈홈(11)의 하부를 측면에서 수평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삽탈홈(11)에 끼워지는 휀스부(20) 하부에는 상기 체결공(12)에 대응되는 끼움공(21)을 형성하게 되면, 휀스부(20)의 하부를 삽탈홈(11)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휀스부(20)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끼움공(21)은 체결공(12)과 일치되어 서로 통하게 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위치가 일치된 끼움공(21)과 체결공(12)에 체결봉(13)을 관통하여 끼워 넣게 되면, 상기 휀스부(20)는 상측 방향으로 빠지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체결되며, 그와 반대로 상기 체결봉(13)을 끼움공(21)과 체결공(12)으로부터 빼내게 되면, 상기 휀스부(20)는 경계석 본체(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휀스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재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휀스부(20)를 포함하는 도로경계석이 설치되는 위치는 차량과 사람의 통행이 빈번한 곳에 설치됨을 고려할 때, 상기 경계석 본체(10)나 휀스부(20)에는 각종 분진과 오염물질, 점착물 등이 대량으로 점착되어 세척하더라도 쉽게 더러워짐은 앞서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계석 본체(10)나 휀스부(20)의 외표면에 코팅층(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진, 오염물질, 점착물 등이 경계석 본체(10)나 휀스부(20)의 외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방지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코팅층(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나 강재로 형성되는 휀스부(2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50)은 코팅제로 도포 형성됨으로써, 각종 분진, 오염물질, 점착물 등이 휀스부(20)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도로경계석의 외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료에 의한 고급스러운 색상으로 인해 외관의 심미감(審美感)을 더욱 향상시켜 주변 미관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코팅제를 상기 경계석 본체(10)나 휀스부(20)의 외표면에 피복하는 두께는 15~25㎛로 함이 바람직하다. 피복 두께를 15㎛ 미만으로 할 때는 경계석의 표면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은폐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25㎛를 초과하면 두께가 두껍게 되어 건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도장 시 주름이 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며, 완전건조 시에는 균열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경계석 본체(10)나 휀스부(20)의 외표면에 피복되는 코팅층(50)을 형성하는 코팅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코팅제의 제조>
냉각기 및 교반기가 부착된 5ℓ반응기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200g,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20g을 혼합한 다음 이소프로필알코올 50g을 넣고 5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교반시키면서 평균 입자 크기가 20nm인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 200g을 서서히 적하시켰다. 모두 적하시킨 후에 초산을 적당량 투입하여 pH를 5로 조정하고 10시간 동안 계속 반응시키면서, 색상 발현을 위하여 카본블랙의 검은색 안료를 적당량 첨가시켜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도 6,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본체(10)나 휀스부(20)의 일부 외표면에는 발광도료층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코팅층(50)으로 인한 내식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발광도료층(52)에서 발현되는 발광효과를 통해 야간에도 차도와 보도를 확실하게 구분함으로써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그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높이 80cm, 길이 1.5m, 폭 40cm인 합성목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제거한 다음 스프레이방법으로 상기에서 제조된 코팅제를 12㎛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시켜 코팅층이 형성된 경계석 본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제를 12㎛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대신에 7㎛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경계석 본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에서 코팅제를 12㎛ 두께로 2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대신에 30㎛ 두께로 1회 도포하고 경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경계석 본체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 코팅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20중량%, 폴리스티렌 8중량%, 실리콘에멀젼 2.5중량%, 탄산칼슘 30중량%, 촉매 1.5중량%, 안료 2중량%, 유리섬유 36중량%로 이루어진 코팅제를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경계석 본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경계석 본체를 하기와 같은 시험항목별로 시험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내식성
높이 20cm, 길이 30cm, 폭 10cm의 합성목재의 외표면에 상기 코팅제를 피복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편 및 비교예의 시편을 5% 황산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켜 KS D 6711 방법으로 코팅층이 부풀음, 변색, 벗겨짐 및 용출 유무를 측정하였다.
2. 부착성
상기 시편을 예리한 칼을 30°로 하여 소지에 도달하게 등간격 평행선을 1mm 간격으로 11개, 여기에 교차하게 등간격 평행선 11개를 그려 정방형 100개(10mm×10mm)를 만든 후에 KS D 6711에 의거 Box Tape로 이 부분에 대한 박리시험을 행하여 정방형내 도막이 50% 이상 박리된 수를 조사하였다. 이때 ○: 박리가 없음, △: 박리가 30 이하, ×: 박리가 30 이상을 나타낸다.
3. 경도시험
상기 시편 각각 1개씩을 KSD 6711 기준에 의거 건조기에서 180℃, 30분간 건조시켜 1kgf힘으로 10mm 그어 5회 반복하여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4. 발수성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상기 시편을 건조기에서 150℃, 20분간 건조시킨 후 JIS-S-1092 스프레이법으로 발수도를 측정하였으며, 발수도는 100 : 표면에 부착된 습기가 없음, 90 : 표면에 부착된 습기가 약간 있음, 80 : 표면에 부착된 상당한 부분이 젖음을 나타낸다.
5. 내후성 시험
상기 시편 각각 1개씩을 기후 측정기(weather-o-meter, 아틀라스사)를 사용하여 UV 조사량에 따른 변색 정도를 수치화(ΔE) 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내후성 시험시 UV 조사량은 2500kj/m3 이었다. 내후성은 비, 바람, 서리, 눈, 자외선과 같은 기후의 변화에 제품이 견디는 성질로서, 내후성이 우수할수록 ΔE값이 낮으며, 이는 기후 변화에 따라 표면색의 변화나 표면 상태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측정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내식성 이상 없음 약간 갈라짐 약간 갈라짐 약간 변색, 부풀음
부착성 ×
경도 9H 8H 8H 4H
발수성 100 90 90 80
내후성
(2500kj/m3, ΔE)
1.8 2.1 2.2 3.0
본 발명에 의한 도로경계석은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기입자의 평균입자가 나노 크기인 20nm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를 함유하므로 친환경적이며, 고기능성인 코팅제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갖는 도로경계석을 만드는 실시예 중 본 발명의 수치한정 범위 내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은 수치한정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 2, 3과 비교하여 내식성, 부착성, 경도, 발수성, 내후성 면에서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 조성물로 된 도로경계석인 비교예와 비교하여 내식성 등 모든 면에서 매우 우수하여 도로경계석의 표면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내구성 향상에 따라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설명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경계석 본체 11, 21 : 삽탈홈
12 : 체결공 13 : 체결봉
20 : 휀스부 21 : 끼움공
23 : 고정봉 30 : 연결공
40 : 연결봉 50 : 코팅층
52 : 발광도료층

Claims (7)

  1. 합성목재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 고정 체결되되, 외표면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으로 형성된 휀스부(2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공(3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공(3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연결봉(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상부에는 휀스부(20)가 삽탈 가능하도록 삽탈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계석 본체(10) 및 휀스부(20)의 표면에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가 15㎛ 내지 25㎛로 피복된 코팅층(5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50)의 일부 표면에는 발광도료층(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2. 합성목재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10)와;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전측과 후측에 수평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공(30)과; 상기 한 쌍의 연결공(3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연결봉(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하부에는 고정봉(23)으로 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탈홈(21)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석 본체(10)의 표면에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및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제가 15㎛ 내지 25㎛로 피복된 코팅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50)의 일부 표면에는 발광도료층(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45878A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KR10117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78A KR101172246B1 (ko)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78A KR101172246B1 (ko)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246B1 true KR101172246B1 (ko) 2012-08-07

Family

ID=46887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878A KR101172246B1 (ko) 2012-05-01 2012-05-01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4936A (zh) * 2018-08-10 2018-11-09 王喜元 一种防腐蚀路缘石及其施工方法
KR20200012319A (ko) *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보도경계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85Y1 (ko) * 2004-05-11 2004-08-11 주식회사 케이.알 무기계의 코팅층을 갖는 난간구조물
KR100661270B1 (ko) * 2006-10-13 2006-12-26 (주)케이지엔지니어링 공원용 펜스형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85Y1 (ko) * 2004-05-11 2004-08-11 주식회사 케이.알 무기계의 코팅층을 갖는 난간구조물
KR100661270B1 (ko) * 2006-10-13 2006-12-26 (주)케이지엔지니어링 공원용 펜스형 도로 경계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319A (ko) *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보도경계블록.
KR102258398B1 (ko) * 2018-07-26 2021-06-01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보도경계블록.
CN108774936A (zh) * 2018-08-10 2018-11-09 王喜元 一种防腐蚀路缘石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1938A1 (en) Roofing materials
CN101143986A (zh) 地坪漆
US20120288678A1 (en)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with high solar reflectivity
JP6279829B2 (ja) 積層体
KR101172246B1 (ko) 합성목재 도로경계석
JP5498063B2 (ja) 建築物の外壁の施工方法
KR101168428B1 (ko) 절연지주
KR100941284B1 (ko) 미끄럼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KR101197000B1 (ko) 합성목재 방음벽
KR100725661B1 (ko)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100614005B1 (ko)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100822588B1 (ko) 건식형 미끄럼방지 매트 및 그의 제작 및 시공방법
US8197593B2 (en) Low-temperature cure inorganic compositions
CN106928614B (zh) 彩色路面标贴及加工工艺、施工工艺
KR200381060Y1 (ko) 차선 규제봉
CN216514949U (zh) 一种生态园林景观道路结构
KR100970573B1 (ko) 가로등주
KR20060045223A (ko) 가드레일
KR200384114Y1 (ko) 차선 규제봉
CN209799155U (zh) 一种防水防潮的薄壁高钙石塑墙板
KR100963067B1 (ko) 안전 가드레일
KR102470660B1 (ko) 건물의 외벽에 대한 보수보강 및 방수공법
CN216428915U (zh) 一种地坪结构
KR101151453B1 (ko) 세라믹 운모 도료를 적용한 감전보호 및 광고물 부착 방지용 가로등주 및 입설지주의 제조방법
KR101026636B1 (ko) 친환경 파형 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