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114Y1 -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114Y1
KR200384114Y1 KR20-2005-0004273U KR20050004273U KR200384114Y1 KR 200384114 Y1 KR200384114 Y1 KR 200384114Y1 KR 20050004273 U KR20050004273 U KR 20050004273U KR 200384114 Y1 KR200384114 Y1 KR 200384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inder
bead
resin
lan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수
곽상운
곽태경
Original Assignee
곽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상운 filed Critical 곽상운
Priority to KR20-2005-0004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114Y1/ko
Priority to EP05764988A priority patent/EP1773584A1/en
Priority to PCT/KR2005/001882 priority patent/WO2005123379A1/en
Priority to US11/570,712 priority patent/US20080305699A1/en
Priority to JP2007516400A priority patent/JP2008502513A/ja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체, 상기 구조체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은 도로의 노변, 중앙선, 차선, 갈림길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조체 외면에 형성된 코팅면을 가짐에 따라 표면에 오염물질들의 부착을 막을 수 있고, 일단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쉽게 제거가 가능하므로 내오염성이 뛰어나고,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체의 부식이나 산성화를 차단하여 수명을 증가 시키고, 시공이 용이하고 표면의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개선과 표면의 비드에 의하여 차선 규제봉의 재귀반사효과를 증대하며, 기존의 차선차단봉의 반사지 탈락과 같은 문제를 제거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선 규제봉{BOLLARD PLASTIC FLUORO}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변, 중앙선, 차선, 갈림길 등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봉으로서 비드 코팅면을 가짐에 따라 표면에 오염물질들의 부착을 막을 수 있고, 일단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쉽게 제거가 되므로 내오염성이 뛰어나고,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체의 부식이나 산성화를 차단하여 수명을 증가 시키고, 시공이 용이하고 표면의 내후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개선과 표면의 비드에 의하여 차선 규제봉의 재귀반사효과를 증대하며, 기존의 차선차단봉의 반사지 탈락과 같은 문제를 제거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상에는 노변, 중앙선, 차선, 갈림길 등에 방호벽 또는 방호책 외에도 차선변경 등을 규제하는 등의 목적으로 차선 규제봉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급차선 변경, 끼어들기 등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하며, 급회전구간에서는 도로의 회전모습을 미리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사고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운전자나 보행자가 주간 및 야간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면을 밝은 색의 도료나 식별이 용이한 도료 등으로 색칠되어진 띠(반사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지는 차선 규제봉이 설치된 도로가 옥외의 악천후 속에 설치됨에 따라 태양광, 도로변의 오염물, 먼지, 기타 바람에 날려 온 파편, 우박, 오물 등에 의하여 쉽게 변색, 탈색, 탈락 되므로 내후성이 떨어지고, 봉 자체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어 장시간 사용시 스크래치, 파손 및 오염물질이 묻는 경우가 많아 자주 반사지 교체 또는 전체 봉의 교체를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교체의 경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차선 규제봉의 반사지 등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반사지의 상부에 도로변의 오염물, 먼지, 오물, 얼룩 등이 쉽게 묻고, 이러한 오염은 특히 반사면의 정전기로 인하여 더욱 증대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선 규제봉을 쉽게 식별할 수 없어서 상기 기술한 차선 규제봉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차선 규제봉의 내오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기존의 차선 규제봉은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떨어짐에 따라 시설 유지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차선 규제봉의 표면이 손상되어 자동차 불빛의 재귀반사효과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에 오염물의 부착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쉽게 제거가 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표면의 내후성,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내식성, 내구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재귀반사효과가 뛰어나며, 장기간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조체;
상기 구조체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체;
상기 구조체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지는 바인더로 이루어진 바인더층;
상기 바인더층에 부착되는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부착층;
상기 부착층의 외면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은 구조체, 상기 구조체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상기 차선 규제봉의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 표면에 수지바인더를 도포하고 도포된 수지바인더가 경화되기 이전에 수지바인더 상부에 비드를 분사하고 경화시켜 비드 돌기가 형성되는 비드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 구조체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차선 규제봉의 구조체로 사용되는 모든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일반적인 봉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기타수지, 금속제, 콘크리트, PVC, FRP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종류의 차선 규제봉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의 구조체 표면에 사용되는 수지바인더는 바인더로 작용하는 성분으로 주로 통상 외장용에 사용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크릴계 수지, 세라믹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rcryl based resin)는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제형의 아크릴 우레탄, 수성 아크릴하이드로졸, 에멀젼 무용제형 아크릴 실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예로 히드록실 부분 및 아미노 부분에서 발견된 활성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및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한 일반적으로 공지된 열경화성 수지가 있다.
상기 세라믹계 수지는 규산에스테르, 이의 가수분해 생성물, 수분산형 실리카졸, 또는 알콜분산형 실리카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바인더는 도포의 용이성을 위하여 그 점도가 100,000 내지 200,000 cP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0 cPs부근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지바인더층의 도포방법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붓으로 칠하기, 스프레이, 침지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지바인더는 상기 구조체 표면에 도포하고, 상기 수지바인더가 경화되기 이전에 수지바인더의 상부에 비드를 분사하고 부착시켜 경화한다.
또한 상기 수지 바인더의 경화 방법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경화방법이 이에 작용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지 바인더(도료)의 타입에 따라 자연건조, 소부건조, 냉각고화, 촉매경화, 자외선경화 및 전자선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적용분야 및 시공방법의 적정성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수지 바인더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비드(bead)는 구형, 타원형, 또는 이에 준하는 모든 형상의 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형태로 구형의 비드들이 수지바인더의 상부에 비드 돌기를 형성하여 피착면과 접착물간의 접촉면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뿐만 아니라, 수지바인더 상부에 형성된 비드 돌기들 간의 요철에 공기 또는 물이 들어올 경우 공기 또는 물이 비드 상부로 퍼지면서 공기막 또는 수막이 형성되어 물체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접착물의 점착이나 부착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비드는 수지바인더 상부에 분사 및 경화된 후, 수지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수지바인더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돌기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형상과 입자 크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비드의 형태로는 다양한 공지의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무색 또는 유색의 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 비드인 것이 외부 미관 및 재귀반사 효과의 특성상 좋으며, 그 재질로는 세라믹 비드, 금속 비드, 수지 비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공지의 다양한 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 비드, PMMA 비드, 지르코니아 비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강도 및 부착방지 특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드층의 강도 및 변색, 탈색 방지, 수지바인더와의 정전기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유리 비드인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유리 비드는 유리, 파유리, 유리 섬유, 또는 유리 커렛 등을 분쇄하여 얻는 유리 분말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유리 조성은 A, C, E, 내알칼리성 유리 분말 조성 등 수지바인더와 상용성이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리 비드는 구형, 타원형, 또는 이에 준하는 모든 형상의 유리 비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가 분포된 것부터 일정한 크기만을 선별한 것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드의 입경은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의 구조체 표면의 재질,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 내지 3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인 것이 좋다. 또한 이들은 수 ㎛의 작은 입도와 수 ㎜의 큰 입도의 비드들의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 및 물성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드의 입경이 3 ㎜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착면과 접착물의 접촉면이 증가되며, 분산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비드는 요구되는 오염물의 부착 방지성, 피착면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양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지바인더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그 양이 너무 미미하여 오염물로 인한 오염성의 방지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지바인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함량이 많아 경화된 후에 비드가 탈락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바인더가 경화되기 전 수지바인더 상부에 분사된 비드는 경화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착면 (구조체)(1)에 도포된 수지바인더(2)에 의해 고정되어 수지바인더(2) 상부로부터 돌출된 비드 돌기(3)를 형성한다.
또한 구조체 표면에 코팅면 형성시 상기 수지바인더에 유리 분말(glass powder)을 추가로 혼합하여 피착면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유리 분말은 열팽창계수가 수지바인더와 비슷하여 열수축, 팽창에 의한 틈이 생기지 않으며, 이로써 비드와 수지바인더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비드가 탈락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차선 규제봉의 표면에 오염물이나 접착물의 부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분말은 계면분리를 억제하고 외부에서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전달하여 손상이 현저히 저하되는 코팅면 조직을 형성한다.
상기 유리 분말은 다양한 입자 형상과 입자 크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분말의 입자는 유리, 파유리, 유리 섬유, 또는 유리 커렛 등을 분쇄하여 얻는 것으로, 유리 조성은 A, C, E, 내알칼리성 유리 분말 조성 등 수지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E-글래스 조성의 유리 분말이 각종 소재에 대한 부착성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분말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특히 10 ㎛ 내지 1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1 ㎜인 것이 좋다. 상기 유리 분말의 입경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비드와 수지바인더 간의 결합력 향상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너무 큰 경우에는 수지바인더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없으며, 코팅층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수축 및 팽창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유리 분말은 상기 수지바인더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비드와 수지바인더 사이의 결합력 부여효과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수지바인더의 함량이 감소되어 피착면에 대한 코팅층의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팅면 형성시 상기 수지바인더는 필요에 따라 유리 섬유(glass fib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경화된 부착 방지체의 인장력 및 내크랙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유리 섬유는 E 조성의 장유리 섬유 또는 내알칼리성 조성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섬유경이 10 내지 20 ㎛인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균일한 스트랜드(strand) 길이로 절단한 절단 섬유(chopped fiber) 또는 평균 섬유 길이로 분쇄하여 제조한 분쇄 섬유(milled fiber)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절단 섬유는 2 내지 12 ㎜ 정도의 섬유 길이로 재단된 것이 바람직하며, 분쇄 섬유는 평균 섬유길이가 100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분쇄 섬유가 코팅면의 인장력 보강 및 분산성 면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며, 절단 섬유와 분쇄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 섬유는 수지바인더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경화된 코팅면의 균열,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지바인더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의 충전제, 전도성 필러, 안료, 반응촉매, 증점제, 유동성 조절제, 습윤제, 자외선 안정제, 또는 침강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도성 필러(filler)는 도전성 분말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수지층에 포함되어 이에 전도성을 부가하여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내오염성을 더욱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코팅면의 형성은 다양한 차선 규제봉 구조체 면에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 구조체 표면상의 코팅면 형성은
첫째, 구조체 표면에 수지바인더와 필요에 따라 유리 분말, 유리 섬유, 또는 첨가제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직접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경화되기 이전에 비드를 분사하여 수지바인더 상부에 비드를 부착,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둘째,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 상에 수지바인더와, 필요에 따라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유리 분말, 유리 섬유, 또는 첨가제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직접 코팅하고,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 또는 이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경화되기 이전에 비드를 분사하고 수지바인더 상부에 비드를 부착, 경화시킨 후, 상기 성분들이 코팅된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을 기존의 또는 신설의 차선 규제봉 구조체 표면에 스티커식이나 시트타입으로 바인더를 통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둘째 방법의 경우에 차선 규제봉은 그 구성이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외면에 도포되어지는 바인더로 이루어진 바인더층, 상기 바인더층에 부착되는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부착층, 상기 부착층의 외면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공지의 다양한 접착제가 이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은 공지의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차선규제봉에 사용되는 반사지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셋째, 구조체에 반사지를 포함하는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 등의 부착층을 바인더를 통하여 부착한다. 이를 통하여 공지의 차선규제봉과 유사한 형상이 제조된다. 이후에 상기 부착층과 부착층과 접하는 구조체 외면 또는 구조체 전체 외면에 수지바인더와 필요에 따라 유리 분말, 유리 섬유, 또는 첨가제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직접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를 함유하는 혼합물이 경화되기 이전에 비드를 분사하여 수지바인더 상부에 비드를 부착,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셋째 방법의 경우에 차선 규제봉은 그 구성이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외면에 도포되어지는 바인더로 이루어진 바인더층, 상기 바인더층에 부착되는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부착층, 상기 부착층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외면(구조체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코팅면은 구조체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일부에 대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코팅면의 형성은 이미 설치된 차선 규제봉의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차선 규제봉을 제조하면서 그 표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바인더와 필요에 따라 유리 분말, 유리 섬유, 또는 첨가제들을 혼합한 혼합물은 도포되는 피착면의 재질, 요구 조건, 면적 등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코팅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피착면이나 부직포에 도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특히 상기 성분들이 중력외 방향으로 도포될 경우 비산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롤러나 붓칠을 이용하여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성분이 비산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는 코팅면는 형성하고자하는 피착면의 재질이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피착면에 대하여 0.05 내지 2.0 ㎜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이 좋다. 특히, 부직포를 이용한 경우에도 부직포 및 상부의 비드 층을 포함한 전체 두께가 상기 범위인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에 따르면 코팅된 차선 규제봉 구조체의 표면에 비드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가 불규칙한 형태로 굴곡을 형성하여 이로 인해 노상의 오염물이나 오물 등과 구조체 표면간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고 표면 장력을 오염물질보다 낮추어 이들의 부착을 막을 수 있고, 일단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접촉면을 최소화 하고, 세척시에도 쉽게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비드 돌기들에 의해 형성된 요철에 먼지 등의 오염이 생길 경우 빗물이나 눈 등의 자연적인 물이나 바람 등에 의한 세척으로 쉽게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어 내오염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코팅면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피착면의 내후성,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면의 내후성 및 내오염성 개선과 함께 표면의 비드 부착에 의하여 차선 규제봉의 재귀반사효과를 증대하며, 이러한 개선된 재귀반사효과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우레탄 수지 1 ㎏을 25 ㎝ × 15 ㎝의 구조체 위에 각각 0.5 ㎜의 두께로 도포하고, 상기 우레탄 수지가 경화되기 이전에 평균입도가 0.1 ㎜인 유리 비드 800 g을 분사하고 경화하여 우레탄 수지 표면에 유리 비드 돌기가 부착된 차선 규제봉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코팅면이 형성된 차선 규제봉의 일면에 각각 접착제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를 부착한 결과, 각각에 테이프가 붙지 않았다. 또한, 상기 코팅면이 형성된 차선 규제봉을 흑연으로 오염시킨 후 물로 세척한 결과 오염부위가 쉽게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차선 규제봉은 부착방지기능이 우수하고, 내오염성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평균입도가 50 ㎛인 유리 비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차선 규제봉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팅면이 형성된 차선 규제봉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코팅면이 형성된 차선 규제봉을 흑연으로 오염시킨 후 물로 세척한 결과 오염부위가 쉽게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우레탄 수지 1 ㎏에 평균입도가 200 메쉬이고 비중이 2.54인 유리 분말 1 ㎏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구조체에 각각 도포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코팅면을 형성하고, 흑연으로 내오염성 여부를 실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대등한 정도의 내오염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에서 형성한 코팅면에 외부 압력을 가하여 유리 비드의 탈락 여부를 관찰한 결과, 유리 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유리 분말을 사용한 실시예 3의 코팅면이 더욱 우수한 유리 비드 결합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우레탄 수지 1 ㎏에 평균섬유두께 13.5 ㎛, 평균 섬유길이 300 ㎛의 분쇄 유리 섬유 100 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구조체에 각각 도포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코팅면을 형성하고, 내오염성 여부를 실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대등한 정도의 내오염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평균입도가 200 메쉬이고 비중이 2.54인 유리 분말 1 ㎏ 및 평균섬유두께 13.5 ㎛, 평균 섬유길이 300 ㎛의 분쇄 유리 섬유 100 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구조체에 각각 도포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코팅면을 형성하고, 내오염성 여부를 실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대등한 정도의 부착방지 및 내오염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우레탄 수지 1 ㎏을 25 ㎝ × 15 ㎝의 부직포 표면에 코팅하고, 상기 우레탄 수지가 경화되기 이전에 평균입도가 1 ㎜인 유리 비드 800 g을 분사하고 경화하여 우레탄 수지 표면에 유리 비드 돌기가 부착된 코팅면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코팅면이 형성된 부직포를 구조체에 부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성 여부를 실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대등한 정도의 부착방지 및 내오염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에서 유리 비드 대신에 PMMA 비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차선 규제봉을 형성하고, 실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대등한 정도의 부착방지 및 내오염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에서 유리 비드 대신에 지르코니아 비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차선 규제봉을 형성하고, 실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대등한 정도의 부착방지 및 내오염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에 따르면 코팅된 차선 규제봉 구조체의 표면에 비드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가 불규칙한 형태로 굴곡을 형성하여 이로 인해 노상의 오염물이나 오물 등과 구조체 표면간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고 표면 장력을 오염물질보다 낮추어 이들의 부착을 막을 수 있고, 일단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접촉면을 최소화 하고, 세척시에도 쉽게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유리 비드의 경우는 차선 규제봉 표면에 대전을 방지하여 정전기로 인한 먼지 입자의 부착을 사전에 차단하고, 비드 돌기들에 의해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이크로 포어(pore)에 유입되는 자연적인 빗물이나 바람은 차선 규제봉 표면에 수막이나 공기막을 형성하면서 오염물질을 밀어내어 먼지 등의 오염이 생길 경우 빗물이나 눈 등의 등에 의한 세척으로 쉽게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어 내오염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코팅면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피착면의 내후성, 내오염성,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체의 부식이나 산성화를 차단하여 내식성 향상 및 수명 증가를 통한 내구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를 가지기 위한 시공이 매우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기존의 재귀반사를 위한 반사지의 탈락염려가 없으므로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선 규제봉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며, 또한 이러한 표면의 내후성 및 내오염성 개선과 함께 표면의 비드 부착에 의하여 차선 규제봉의 재귀반사효과를 증대하며, 이러한 개선된 재귀반사효과를 별도 관리를 하지 않고 자정작용에 의해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 코팅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피착면 (구조체)
2 : 수지바인더
3 : 비드 돌기

Claims (16)

  1. 구조체;
    상기 구조체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2. 구조체;
    상기 구조체 외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도포되어지는 바인더로 이루어진 바인더층;
    상기 바인더층에 부착되는 부직포, 직포 또는 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부착층;
    상기 부착층의 외면 또는 상기 부착층을 포함하는 구조체 외면에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수지바인더층; 및
    상기 도포된 수지바인더층의 상면에 결합되어지고 외부로 돌설되어지는 다수의 비드로 이루어지는 비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바인더가 아크릴계 수지, 세라믹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바인더의 경화 방법으로는 자연건조, 소부건조, 냉각고화, 촉매경화, 자외선경화 및 전자선경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되어지는 수지바인더의 점도가 100,000 내지 200,000 cPs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bead)는 세라믹 비드, 금속 비드, 수지 비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bead)는 유리 비드, PMMA 비드, 지르코니아 비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bead)의 평균입경이 0.2 ㎛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가 수지바인더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바인더에 입경이 10 ㎛ 내지 1 ㎜인 유리 분말(glass powder)을 수지바인더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바인더에 섬유경이 10 내지 20 ㎛인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를 균일한 스트랜드(strand) 길이로 절단한 절단 섬유(chopped fiber) 또는 평균 섬유 길이를 100 내지 300 ㎛로 분쇄한 분쇄 섬유(milled fiber)를 수지바인더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를 추가로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바인더에 충전제, 전도성 필러, 안료, 반응촉매, 증점제, 유동성 조절제, 습윤제, 자외선 안정제, 및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면 또는 부착면의 두께가 0.05 내지 2.0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층은 상기 구조체 표면에 수지바인더를 도포하고 도포된 수지바인더가 경화되기 이전에 수지바인더 상부에 비드를 분사하고 경화시켜 비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규제봉은 상기 부착층에 수지바인더를 도포하고 도포된 수지바인더가 경화되기 이전에 비드를 분사하고 경화시켜 비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비드층을 형성하여, 상기 비드층이 형성된 부착층을 상기 구조체에 바인더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규제봉은 상기 구조체에 상기 부착층을 바인더로 부착하고, 상기 부착층의 외면 또는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외면에 수지바인더를 도포하고 도포된 수지바인더가 경화되기 이전에 비드를 분사하고 경화시켜 비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비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KR20-2005-0004273U 2004-06-17 2005-02-17 차선 규제봉 KR200384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273U KR200384114Y1 (ko) 2005-02-17 2005-02-17 차선 규제봉
EP05764988A EP1773584A1 (en) 2004-06-17 2005-06-17 Structure of preventing stick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CT/KR2005/001882 WO2005123379A1 (en) 2004-06-17 2005-06-17 Structure of preventing stick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11/570,712 US20080305699A1 (en) 2004-06-17 2005-06-17 Structure of Preventing Stick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07516400A JP2008502513A (ja) 2004-06-17 2005-06-17 付着防止体及びその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273U KR200384114Y1 (ko) 2005-02-17 2005-02-17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114Y1 true KR200384114Y1 (ko) 2005-05-11

Family

ID=4368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273U KR200384114Y1 (ko) 2004-06-17 2005-02-17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1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42B1 (ko) * 2012-12-07 2013-07-19 주식회사 에니에스 탄소 볼라드
KR20220088555A (ko) * 2020-12-18 2022-06-2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재귀반사 특성이 우수한 경계석 부착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42B1 (ko) * 2012-12-07 2013-07-19 주식회사 에니에스 탄소 볼라드
KR20220088555A (ko) * 2020-12-18 2022-06-28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재귀반사 특성이 우수한 경계석 부착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563668B1 (ko) 2020-12-18 2023-08-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재귀반사 특성이 우수한 경계석 부착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52192A (en) Marker stripe
KR100740296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45007B1 (ko) 노면 표시 선의 시공방법
KR101168428B1 (ko) 절연지주
KR100316083B1 (ko)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KR101150310B1 (ko) 야간 및 우천시 가시성능이 향상된 도로용 차선 및 이의 도색방법
KR102261217B1 (ko) 우천시 및 야간시 시인성이 향상된 테이프형 차선의 제조방법
KR100725661B1 (ko)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200381060Y1 (ko) 차선 규제봉
KR100941284B1 (ko) 미끄럼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KR200384114Y1 (ko) 차선 규제봉
KR100614005B1 (ko)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10124328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횡단 보도의 시공 방법
KR200384028Y1 (ko) 외장 프레임
KR20060045223A (ko) 가드레일
KR200388955Y1 (ko) 투광성 구조체
KR200389561Y1 (ko) 마감재
KR102344795B1 (ko) 차선 그루빙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2672B1 (ko)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0919248B1 (ko) 포장도로상의 노면표지 구조체 시공방법
KR200381318Y1 (ko) 거푸집
KR101136757B1 (ko) 절연 구조체
KR20060106942A (ko) 비드를 포함하는 등기구 및 전등
KR100680566B1 (ko) 롤형 노면표시 시트
JP6871779B2 (ja) 路面乃至床面表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