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465Y1 - 도로 경계석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0465Y1 KR200320465Y1 KR20-2003-0010810U KR20030010810U KR200320465Y1 KR 200320465 Y1 KR200320465 Y1 KR 200320465Y1 KR 20030010810 U KR20030010810 U KR 20030010810U KR 200320465 Y1 KR200320465 Y1 KR 2003204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 foundation concrete
- road
- block
- boundary bloc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구분하여 안전을 유도하는 경계석에 대하여 개시한다.
도로의 양단에 설치되는 L형측구 및 기초 콘크리트과, 인도측단에 설치되며 L형측구 및 기초 콘크리트에 결합되는 경계블럭을 형성함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의 경계석 자리 중앙에 요철턱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요철턱의 주변바닥에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경계석 자리에 얹어지는 경계블럭의 저면에는 요철턱과 결합되는 고정 키과 핀홀에 끼워지는 앵커를 형성하고, 도로측 하단을 돌출 연장하여 L형 측구가 결합되는 고정지지부를 형성하며, 인도측의 상단 모서리에는 보도블럭이 얹어지는 지지홈을 형성하여서 기초콘크리트에 양생결합되는 L형측구와 앵커 및 요철턱에 의해 시설 후 지반침하 또는 다양한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어 매우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며, 폐품의 활용으로 제작되는 경계블럭에 다양한 색상을 착색함이 가능하여 색상배치에 따른 미려함이 제공되며, 부식으로 파손이 없고, 폐자재의 활용도의 극대화와, 시설물 교체시기의 연장으로 인한 예산절감, 안정된 시공상태의 유지로 인한 도로의 미려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자동차의 안정된 주행을 유도하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인도와 도로의 경계위치에 설치하는 기초 콘크리트과,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얹어 시멘트로 고정하여 인도의 시공기준이 되는 경계블럭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콘크리트 양생을 이루어 도로시공의 기준이 되는 L형측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계블럭은 인도의 시설에 따라서 보도블럭과 근접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인도에는 도2에서 처럼 기초 콘크리트과 경계 블럭과 주변에는 모두 흙과 모래등이 채워 성토다짐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인도에는 사람과 그외 자전거 오토바이 등이 왕래하고 하중이 있는 물품이 적재 및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그에 대한 하중이 지면에 작용하여 눌려지게 된다. 또한 비와 눈등이 내려 흙속으로 스며들게 되어 도로경계석의 시공 후 소정의 시간이 흐르면 지면이 내려 앉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지면에서 발생하는 하중은 경계블럭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이로인하여 경계블럭은 기초 콘크리트에서 점선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경계블럭의 단면구조는 통상적으로 하면 폭이 상면 폭보다 20mm정도 크게 되어 있고, 기초 콘크리트과 L형측에 의해 형성된 홈에 경계블럭의 바닥부가 시멘트로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어서 하부에서 잡아주는 고정력이 상부 측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경계블럭은 콘크리트, 시멘트 제품이므로 여름과 겨울을 지나면서 온도의 변화와, 동결한계로 인해 제품이 파손되는 현상이 있으며, 자동차의 무리한 운행으로 인한 충격에 견디지 못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도로경계석을 시공하고 난 뒤에는 미관을 해치는 현상이 있어 일정한 예산을 들여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이로써 국민의 세금이 낭비되고, 도로 및 인도의 구조도 안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작과 시설이 용이하면서도, 시설 후 사용수명이 길고, 충격과 기후 변화에도 잘견디어 예산의 낭비를 막고, 도로와 인도의 구조를 안전하게 유지하며, 버려지는 폐자재를 활용하여 횐경오염도 방지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양단에 설치되는 L형측구 및 기초 콘크리트과, 인도측단에 설치되며 L형측구 및 기초 콘크리트에 결합되는 경계블럭을 형성함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의 경계석 자리 중앙에 요철턱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요철턱의 주변바닥에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경계석 자리에 얹어지는 경계블럭의 저면에는 요철턱과 결합되는 고정 키과 핀홀에 끼워지는 앵커를 형성하고, 도로측 하단을 돌출 연장하여 L형 측구가 결합되는 고정지지부를 형성하며, 인도측의 상단 모서리에는 보도블럭이 얹어지는 지지홈을 형성하여서 기초콘크리트에 양생결합되는 L형측구의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 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도로경계석에 대한 설치상태를 보안 평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대한 설치상태의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기초 콘크리트과 경계블럭의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도로 200...인도 300...경계석
310...기초 콘크리트 312...요철턱 314...핀홀
320...경계블럭 322...고정 키 323...고정지지부
324...앵커 325...지지홈 400...보도블럭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대한 설치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로(100)의 양단에 설치되는 L형측구(309) 및 기초 콘크리트(310)과, 인도(200)측단에 설치되며 L형측구(309) 및 기초 콘크리트(310)에 결합되는 경계블럭(32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310)의 표면 중앙에 요철턱(312)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요철턱(312)의 주변바닥에 핀홀(314)을 형성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310)표면에 얹어지는 경계블럭(320)의 저면에는 요철턱(312)과 결합되는 고정 키(322)와 핀홀(314)에 끼워지는 앵커(324)를 형성하고, 도로측 하단을 돌출 연장하여 L형 측구(309)가 양생결합되는 고정지지부(323)를 형성하며, 인도(200)측의 상단 모서리에는 보도블럭(400)이 얹어지는 지지홈(325)을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경계블럭(320)은 고정지지부(323)에 의해서 저면폭이 상부폭의 2배이상 넓게 형성된다.
상기 경계블럭(320)과 기초 콘크리트(310)이 결합되는 요철턱(312)과 고정 키(322)은 도4와 같이 대칭되는 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결합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도 5처럼 기계적 요소인 터브테일의 형상으로 상호 맞물림 면적을 증가시켜 결합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구성이다.
상기 경계블럭(320)은 콘크리트가 아닌 폐타이어, 폐플라스틱, 폐비닐을 재생한 원료로 압축성형하며, 압축성형시에 바닥면의 수곳에 일정간격으로 앵커(324)를 매입한다.
상기 경계블럭(320)을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압축성형할 때 사용용도에 따라서 안료를 함께 배합하여 성형하게 되면 압축성형 후 경계블럭(320)의 표면에 소정의 색상이 표출되어 안전과 경계에 대한 시각적 작용과 함께 경계블럭 시공 후 별도의 도색작업을 감소 및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먼저 기초 콘크리트(310)을 도로(100)의 양측단과 인도(200)의 경계부분에 시공하고, 그 위에 폐자재로 압축성형된 경계블럭(320)을 얹어 놓으면서 경계블럭(320)의 저면으로 돌출 된 수개의 앵커(324)가 기초 콘크리트(310)의 표면에 형성된 핀홀(314)로 삽입시키면 기초 콘크리트(310)의 요철턱(312)에 경계블럭(320)의 고정 키(322)에 맞닿게 되어 키이(Key)역활을 이루게 되는 데, 이는 도4와 같은 상태이다.
이후 경계블럭(320)과 기초 콘크리트(310)이 결합된 부분에 L형측구(309)를 시공한다. 그러므로 경계블럭(320)의 고정지지부(323)는 L형측구(309)와 기초 콘크리트(310)사이에 끼워진 형태를 이루게 되어 안정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의 결합구조에서 경계블럭(320)은 저면의 폭이 상면의 폭보다 2배 정도 넓어서 결합구조의 상태는 매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경계블럭(320)을 기초 콘크리트(310)과 L형측구(309)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도에 통상의 방법과 같이 보도블럭(400)을 설치하고, 보도블럭(400)의 일단이 경계블럭(320)의 상부 지지홈(325)에 얹어지게 시공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상태로 인해 기초 콘크리트(310)과 경계블럭(320)은 요철턱(312)과 고정 키(322)가 키이(key)작용을 하고 , 또한 기초 콘크리트(310)에삽입된 앵커(324)가 상기 키이(key)작용을 보강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인도에 작용하는 하중이 경계블럭(320)의 측면에 가해져도 종래처럼 경계블럭(320)이 기울어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도의 상태가 최초의 시공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작용을 이룬다.
또한, 본 고안의 경계블럭(320)은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압축 성형한 구조인 관계로 여름과 겨울의 온도변화에 대한 신축변형과, 운행 중인 자동차 바퀴에 의한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어 내어 깨지거나, 부스러지지 않아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압축성형시에 안료를 섞을 수 있어서, 성형 후 그 색상에 의해 별도의 도색작업이 생략되는 작용을 이루고, 도색된 색상이 변질되거나, 퇴색되지 않아 항상 처음 시공한 상태의 색상을 제공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해 경계블럭이 부스러지는 현상과,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현상과, 인도의 지반침하 및 하중 전달에 의한 시공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경계블럭과 기초 콘크리트 및 L형측구가 상호 맞물리는 키이(Key)구조에 의해서 장기간 사용해도 부스러짐, 파손과 위치 이탈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축 성형시 폐자재에 안료를 섞을 수 있어 시공 후 도색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색상이 오래동안 유지되는 효과, 그리고,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환경의 오염을 예방함과 동시에 자원 및 국가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 도로의 양단에 설치되는 L형측구 및 기초 콘크리트과, 인도측단에 설치되며 L형측구 및 기초 콘크리트에 결합되는 경계블럭을 형성함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의 경계석 자리 중앙에 요철턱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요철턱의 주변바닥에 핀홀을 형성하며, 상기 경계석 자리에 얹어지는 경계블럭의 저면에는 요철턱과 결합되는 경계블럭(320)과 핀홀에 끼워지는 앵커를 형성하고, 도로측 하단을 돌출 연장하여 L형 측구가 결합되는 고정지지부를 형성하며, 인도측의 상단 모서리에는 보도블럭이 얹어지는 지지홈을 형성하여서 기초콘크리트에 양생결합되는 L형측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 상기 1항에 있어서, 고정지지부를 형성한 경계석은 폐비닐, 폐프라스틱, 폐타이어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요철턱과, 경계블럭의 고정 키은 상호 맞물려 이탈되지 않는 터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0810U KR200320465Y1 (ko) | 2003-04-09 | 2003-04-09 | 도로 경계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0810U KR200320465Y1 (ko) | 2003-04-09 | 2003-04-09 | 도로 경계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0465Y1 true KR200320465Y1 (ko) | 2003-07-23 |
Family
ID=4933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0810U KR200320465Y1 (ko) | 2003-04-09 | 2003-04-09 | 도로 경계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046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2450B1 (ko) * | 2017-06-13 | 2018-04-27 | 통명석재 주식회사 | 충격완화가 가능한 저상버스 정류장용 기능성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086933A (ko) * | 2018-01-15 | 2019-07-24 | 안주환 |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
KR20200012319A (ko) * | 2018-07-26 | 2020-02-05 |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 보도경계블록. |
-
2003
- 2003-04-09 KR KR20-2003-0010810U patent/KR2003204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2450B1 (ko) * | 2017-06-13 | 2018-04-27 | 통명석재 주식회사 | 충격완화가 가능한 저상버스 정류장용 기능성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086933A (ko) * | 2018-01-15 | 2019-07-24 | 안주환 |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
KR102016837B1 (ko) * | 2018-01-15 | 2019-10-21 | 안주환 |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
KR20200012319A (ko) * | 2018-07-26 | 2020-02-05 |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 보도경계블록. |
KR102258398B1 (ko) * | 2018-07-26 | 2021-06-01 |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 보도경계블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98996B2 (en) |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 |
KR200320465Y1 (ko) | 도로 경계석 | |
KR100892419B1 (ko) |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 |
KR10076341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 |
JP2010095904A (ja) | 横断歩道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横断歩道 | |
KR101253593B1 (ko) | 경계석 | |
KR200213559Y1 (ko) | 금속판으로 보강한 건설용 블록 | |
KR100966851B1 (ko) | 탄성 보도블록 | |
KR200324264Y1 (ko) | 합성수지 경계석 | |
KR200472648Y1 (ko)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
KR20120013623A (ko) | 차도용 투수형 골재 셀 블록 | |
KR200401150Y1 (ko) | 휨방지판이 내장된 고무보도블럭 | |
CN218969680U (zh) | 一种具有防滑功能的高稳定性盲道 | |
KR200178967Y1 (ko) |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 |
KR200391852Y1 (ko) | 조립식 횡단보도 | |
KR102508397B1 (ko) |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 |
JP7485306B2 (ja) | 防滑用レール状ブロック体及び道路構造 | |
KR100562746B1 (ko) | 폐유리를 이용한 포장 방법 | |
KR200327724Y1 (ko) | 도로경계블록 | |
KR200248495Y1 (ko) | 차도 인도 경계석 | |
KR100636704B1 (ko) | 개선된 투수율을 갖는 탄성포장 시공방법 및 그 탄성포장층 | |
KR200357147Y1 (ko) | 폐타이어칩을 이용한 물흐름 경사각이 형성된 투수형더블블럭 | |
KR200393642Y1 (ko) | 금속재 보도블록 | |
KR200244686Y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 |
KR200378258Y1 (ko) | 물흐름 경사각이 형성된 투수형 고무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