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724Y1 - 도로경계블록 - Google Patents

도로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724Y1
KR200327724Y1 KR20-2003-0020500U KR20030020500U KR200327724Y1 KR 200327724 Y1 KR200327724 Y1 KR 200327724Y1 KR 20030020500 U KR20030020500 U KR 20030020500U KR 200327724 Y1 KR200327724 Y1 KR 200327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ver
road boundary
boundary bloc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로
Original Assignee
정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로 filed Critical 정영로
Priority to KR20-2003-0020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다수 연결 설치되어 인도와 차도를 경계짓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중량블록과, 상기 중량블록의 전면과 상면 및 후면을 감싸는 것으로 소정두께를 가지며 그 내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형돌기가 성형되어 있는 합성수지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도로 경계블록은, 기 설치되어 있던 파손된 경계블록을 합성수지제 커버로 감싸 제작하므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버에 칼라를 부여하여 도로미관을 아름답게 함과 동시에 도로를 향하는 외주면에는 반사시트를 부착하여 야간에 도로의 경계가 더욱 분명하도록 한다. 또한 파손된 경계블록이 없을 경우에는 폐타이어를 녹인 용탕에 예컨대 콘크리트 파편이나 폐석재 등의 중량물을 투입하고 커버의 내측면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로 상기 커버를 씌워 제작한 경우 외부충격에 강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경계블록{Road boundary block}
본 고안은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로 경계블록은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설치되는 차도와 인도를 경계짓는 토목용 자재의 하나이다. 상기 경계블록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단위 경계블록을 도로를 따라 연속하여 시설함으로써 인도와 차도를 구획한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로 경계블록의 대부분은 콘크리트나 석재로 제작된다. 상기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시멘트와 자갈과 모래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제작이 비교적 단순하며 그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그 피막의 강도가 약하여 각종 풍화작용에 의해 서서히 변질, 변색되고 특히 겨울철에는 습기 및 온도변화에 따라 쉽게 동파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경계블록이 부서지면 내부의 자갈 등이 외부로 드러나 보여 거리의 미관을 크게 해치게 되므로 결국 경계블록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하는 불편과 유지 관리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석재 경계블록은, 자연에서 채석한 석재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한 것으로 콘크리트 경계블록보다 미려하고 잘 부서지지 않기는 하지만 경계블록의 수요에 맞추기 위해 계속적으로 채석하여야 하므로 환경을 훼손한다는 결정적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기 설치되어 있던 파손된 경계블록을 합성수지제 커버로 감싸 제작하므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버에 칼라를 부여하여 도로미관을 아름답게 함과 동시에 도로를 향하는 외주면에는 반사시트를 부착하여 야간에 도로의 경계가 더욱 분명하도록 하고, 또한 파손된 경계블록이 없을 경우에는 폐타이어를 녹인 용탕에 예컨대 콘크리트 파편이나 폐석재 등의 중량물을 투입하고 커버의 내측면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로 상기 커버를 씌워 제작한 경우 외부충격에 강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로경계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이 도로에 시설된 모습을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커버의 도립 절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이 시설된 모습을 일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의 다른 구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경계블록 13:커버
15:중량블록 17,18:접착제
19:삼각돌기 21:반사시트
23:보강부 25:끼움홈
27:선형돌기 29:중량물
31:충진물
G:지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다수 연결 설치되어 인도와 차도를 경계짓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경계블록은;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중량블록과, 상기 중량블록의 전면과 상면 및 후면을 감싸는 것으로 소정두께를 가지며 그 내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형돌기가 성형되어 있는 합성수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바깥쪽면에는 도로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면에 반사시트가 부착되는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전면과 후면의 사이에는 전면과 후면이 앞뒤로 벌어짐을방지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중량블록은 커버 내부면의 형상에 형합하도록 성형되거나 가공된 콘크리트블록 또는 석재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블록은 폐타이어를 녹인 용탕에, 폐기되는 콘크리트 조각이나 폐석재를 투입한 상태로 커버의 내부면에 형합하도록 성형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이 도로에 시설된 모습을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블록(11)은, 그 양단부가 맞대어지며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육면체 형태의 중량블록(15)과, 상기 중량블록(15)을 감싸는 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3)는 합성수지로 사출 형성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며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 또한 대략 ㄷ자의 단면형태를 가져 중량블록(15)의 전면과 상면 및 후면을 커버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13)의 내벽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선형돌기(도 3의 27)가 형성되어 있고 이외에 한쪽 단부에는 보강부(도 2의 2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도 2의 23)는 커버(13)의 전면과 후면을 일체로 연결하여커버(13)가 앞뒤로 벌어지지 않게 한다. 이 때 상기 보강부(23)가 중량블록(15)의 일단부 전체를 커버하지 않도록 하여 보강부(23)의 하부를 통해 이웃하는 중량블록(15)의 사이에 접착제(17)가 주입 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커버(13)의 도로를 향하는 외측면에는 삼각기둥의 형태를 갖는 삼각돌기(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삼각돌기(19)의 외측에는 반사시트(21)가 부착된다. 상기 반사시트(21)는 야간에 자동차의 불빛에 반응하여 운전자에게 차도의 경계를 확실히 알려주는 것으로 예컨대 반사테이프나 반사지 또는 반사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삼각돌기 대신에 다른 형태의 돌기를 형성하여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중량블록(15)은 지면상의 소정위치에 놓여지는 중량물로서 종래의 보통 경계블록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중량블록(15)은, 파손되어 교체되어야 할 콘크리트제 경계블록 또는 석재 경계블록을 버리지 않고, 커버(13) 내부면의 형상에 형합하도록 기계 가공하여 재활용한 것이거나, 또는 폐타이어를 녹인 용탕에 폐석재나 콘크리트 파편 또는 기타 무거운 중량물을 넣어 무게를 부여한 상태로 커버(13) 내부면의 형상에 형합하도록 성형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17)는 경계블록(11)을 시설할 때 적용하는 것으로 이웃하는 중량블록(15)을 상호 결합시켜 사이가 어긋나거나 벌어지지 않게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커버(13)의 바깥쪽 외벽면에 두 개의 삼각돌기(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삼각돌기(19)의 외측면에 반사시트(2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삼각돌기(19)는 커버(13)의 성형시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커버(13)의 내부에 삽입되는 중량블록(15)의 전후면에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끼움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25)은 일정폭 및 깊이를 갖는 홈으로서 커버(13)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돌기(도 3의 27)가 슬라이딩 삽입하는 홈이다. 즉, 커버(13)를 중량블록(15)측으로 하강시킬 때 선형돌기(27)를 수용하며 커버(13)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끼움홈(25)의 내부에 선형돌기(27)가 삽입되므로 중량블록(15)에 대해 커버(13)가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중량블록(15)에 대해 커버(13)를 씌울 때 그 사이에 모르타르나 기타 접착성이 있는 접착제(도 4의 18)를 가하여 중량블록(15)과 커버(13)를 접착시킬 수 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커버의 도립 절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13)의 내벽면에 다수의 선형돌기(27)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선형돌기(27)는 상호 평행하며 중량블록(15)의 끼움홈(도 2의 25)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같이 커버(13)의 일단부에는 보강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23)는 중량블록(15) 단면적의 1/4 내지 1/2의 면적을 가지게 함이 좋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이 시설된 모습을 일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중량블록(15)이 지면(G)상에 일직선으로 놓여져 있고 각 중량블록(15)에는 각자의 커버(13)가 씌워져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중량블록(15)과 커버(13)의 내부면의 사이에는 접착제(18)가 적용되어 중량블록(15)에 대한 커버(13)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유지한다.
또한 상호 이웃하는 중량블록(15)의 대향 단부는 보강부(23)에 의해 보강부(23)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23) 하부의 이격공간에는 접착제(17)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17,18)는 예컨대 모르타르 등을 적용할 수 도 있고 경우에 따라 화학 접착제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블록의 다른 구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면(G)에 소정형상의 중량물(29)이 놓여져 있고 상기 중량물(29)의 상부에 충진물(31)이 가해지고 상기 충진물(31) 위에 커버(13)가 씌워져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중량물(29)은 커버(13)의 내부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막대형 부재로서 폐타이어로 제작한 고무블록 또는 사용할 수 없는 석재나 콘크리트 파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중량물(29)은 그 자체가 커버(13)와 같이 길게 연장된 것이어도 되고 짧은 것을 길게 이어 붙인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중량물(29)의 상부에 가해지는 충진물(31)은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르타르로서 중량물(29)과 커버(13) 사이의 내부공간을 채운다. 상기 충진물(31)이 중량물(29)을 덮은 상태로 중량물(29)에 대해 커버(13)를 하강시키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진물(31)이 중량물(29)과 커버(13)의 내부공간을 채우며 중량물(29)과 더불어 하나의 중량블록(15)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충진물(31)이 커버(13)와 중량물(29)의 사이를 채운 상태로 굳으면 경계블록(11)이 완성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도로 경계블록은, 기 설치되어 있던 파손된 경계블록을 합성수지제 커버로 감싸 제작하므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커버에 칼라를 부여하여 도로미관을 아름답게 함과 동시에 도로를 향하는 외주면에는 반사시트를 부착하여 야간에 도로의 경계가 더욱 분명하도록 한다. 또한 파손된 경계블록이 없을 경우에는 폐타이어를 녹인 용탕에 예컨대 콘크리트 파편이나 폐석재 등의 중량물을 투입하고 커버의 내측면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로 상기 커버를 씌워 제작한 경우 외부충격에 강하고 부식의 염려가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다수 연결 설치되어 인도와 차도를 경계짓는 도로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블록(11)은;
    지면에 놓여지며 중량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끼움홈(25)이 형성되어 있는 중량블록(15)과,
    상기 중량블록(15)의 전면과 상면 및 후면을 감싸는 것으로 소정두께를 가지며 그 내부면에는 상기 끼움홈(25)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선형돌기(27)가 성형되어 있는 합성수지 커버(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의 바깥쪽면에는 도로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면에 반사시트(21)가 부착되는 돌기(19)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의 전면과 후면의 사이에는 전면과 후면이 앞뒤로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과 후면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2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블록(15)은 커버(13) 내부면의 형상에 형합하도록 성형되거나 가공된 콘크리트블록 또는 석재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블록(15)은 폐타이어를 녹인 용탕에, 폐기되는 콘크리트 조각이나 폐석재를 투입한 상태로 커버의 내부면에 형합하도록 성형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블록.
KR20-2003-0020500U 2003-06-27 2003-06-27 도로경계블록 KR200327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00U KR200327724Y1 (ko) 2003-06-27 2003-06-27 도로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500U KR200327724Y1 (ko) 2003-06-27 2003-06-27 도로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724Y1 true KR200327724Y1 (ko) 2003-09-22

Family

ID=4941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500U KR200327724Y1 (ko) 2003-06-27 2003-06-27 도로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7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60B1 (ko) * 2007-03-09 2007-07-23 (주)보정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한 도로구조물 제작방법
KR20190106070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엔에스피앤피 폐부직포와 폐비닐을 이용한 경계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60B1 (ko) * 2007-03-09 2007-07-23 (주)보정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한 도로구조물 제작방법
KR20190106070A (ko) * 2018-03-07 2019-09-18 주식회사 엔에스피앤피 폐부직포와 폐비닐을 이용한 경계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KR102036727B1 (ko) * 2018-03-07 2019-10-25 주식회사 엔에스피앤피 폐부직포와 폐비닐을 이용한 경계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9001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US4772155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0133380Y1 (ko) 도로용 경계블럭
KR200401214Y1 (ko) 도로 경계석
KR100749364B1 (ko) 경계석
KR100717112B1 (ko) 다기능 도로경계블록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324264Y1 (ko) 합성수지 경계석
KR102045159B1 (ko) 경계석용 줄눈 밴드
KR101002741B1 (ko) 슬래브의 조인트
KR200248377Y1 (ko) 경계석
KR200185705Y1 (ko) 배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경계석
KR0126376Y1 (ko) 차선경계블럭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KR200185662Y1 (ko) 보차도 경계블럭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KR102475902B1 (ko)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45436B1 (ko)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도로 경계석
KR20050108777A (ko) 콘크리트 도로의 줄눈 시공 방법
KR200295930Y1 (ko) 블럭결합형 과속방지턱
KR200222506Y1 (ko) 중앙분리대
CA2033527C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9990008107U (ko)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