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506Y1 -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506Y1
KR200222506Y1 KR2020000027232U KR20000027232U KR200222506Y1 KR 200222506 Y1 KR200222506 Y1 KR 200222506Y1 KR 2020000027232 U KR2020000027232 U KR 2020000027232U KR 20000027232 U KR20000027232 U KR 20000027232U KR 200222506 Y1 KR200222506 Y1 KR 200222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alvanized steel
central separator
steel shee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이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근 filed Critical 이인근
Priority to KR2020000027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506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 자동반사등을 이용하여 아연도금 강판으로 제작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아스팔트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아스팔트 도로의 중앙부 절단홈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시 그 상부에 하부가 오픈되도록 형성한 아연도금 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에는 상부면과 측면에 각각 타원형 홀과 원형홀을 형성하며, 상기 타원형 홀과 원형홀에는 태양열 자동 반사등과 야광 반사판을 결합하며,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아연도금 강판을 고정시키는 경우 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하는 한편, 상기 채움 콘크리트를 타설시 아연도금 강판을 지지하기 위해 형강형 보강재 1,2를 채움 콘크리트에 X 자형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Median strip}
본 고안은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열 자동반사등을 이용하여 아연도금강판으로 제작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도로의 좁은 공간에 설치된 중앙분리대 시설물은 플라스틱 박스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중앙분리대를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 1a는 종래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A'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중앙분리대(10)는 콘크리트블록, 플라스틱 박스 또는 화강석으로 블록을 제작하여 사용되는데, 상기 중앙분리대(10)는 아스팔트 도로(12)의 중앙에 기초콘크리트(14)를 타설하여 그 기초콘크리트(14)의 상부에 중앙분리대(1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중앙분리대(10)는 초기시공이 간단하여 현재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자동차 충돌사고가 매년 수천건에 달하는 관계로, 이로인한 급커브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블록, 플라스틱 박스 또는 화강석으로 제작되는 관계로 자동차 충돌시 파손되어 하자보수를 시행하는데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졌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의 위치가 주간 및 야간에도 확실히 노출되는 태양열 자동반사등을 이용한 도로경계블록을 개발하여 경계석 위치를 자동반사등으로 노출시켜 자동차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앙분리대가 아연도금 강판으로 제작되는 관계로 자동차 충돌사고시에도 중앙분리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그로인해 급커브 도로 및 교차로 구간의 자동차 충돌사고를 방지하고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스팔트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아스팔트 도로의 중앙부 절단홈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시 그 상부에 하부가 오픈되도록 형성한 아연도금 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에는 상부면과 측면에 각각 타원형 홀과 원형홀을 형성하며, 상기 타원형 홀과 원형홀에는 태양열 자동 반사등과 야광 반사판을 결합하며,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아연도금 강판을 고정시키는 경우 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하는 한편, 상기 채움 콘크리트를 타설시 아연도금 강판을 지지하기 위해 형강형 보강재 1,2를 채움 콘크리트에 X 자형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도 1a의 'A-A'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 2a의 'B-B'부를 절단한 도면, 도 2c는 도 2a의 'B-B'부를 절단한 또 다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0 : 중앙분리대 32 : 아스팔트 도로
34 : 기초 콘크리트 36 : 아연도금 강판
38 : 형강형 보강재 1 40 : 형강형 보강재 2
42 : 태양열 자동반사등 44 : 야광 반사판
46 : 타원형 홈 48 : 원형홈
50 : 절단홈 52 : 채움 콘크리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B-B'부를 절단한 도면이며, 도 2c는 도 2a의 'B-B'부를 절단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중앙분리대(30)는 아연도금 강판으로 제작되며, 상기 중앙분리대(30)는 아스팔트 도로(32)의 중앙에 설치되는데, 상기 기초 콘크리트(34)에는 그 상부에 중앙분리대(30)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기초 콘크리트(34)와 중앙분리대(30)의 사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채움한다. 도 2a에서 좌,우측은 아스팔트 포장을 시행한 아스팔트 도로(32)를 나타낸다.
상기 중앙분리대(30)는 전체구조가 아연도금 강판(36), 형강형 보강재 1(38), 형강형 보강재 2(40), 태양열 자동반사등(42) 및 야광 반사판(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분리대(30)는 좌,우측과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오픈되어 채움 콘크리트(52)가 타설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연도금 강판(36)은 상부에 길게 타원형 홈(46)이 형성되고 전방에 원형홈(48)이 형성되며, 상기 형강형 보강재 1(38)과 형강형 보강재 2(40)는 형강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태양열 자동반사등(42)은 아연도금 강판(36)의 타원형 홈(46)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야광 반사판(44)은 외부에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일측은 편평하고 타측은 타원형 형상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아연도금 강판(36)에는 내측에 형강형 보강재 1(38)과 형강형 보강재 2(40)를 상,하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형강형 보강재 1(38)과 형강형 보강재 2(40)에는 그 사이에 채움 콘크리트(52)를 타설한다. 또한,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아연도금 강판(36)에는 내측에 형강형 보강재 1(38)과 형강형 보강재 2(40)를 X자형으로 겹치게 설치한 상태에서 채움 콘크리트(52)를 타설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일 상부에 있는 그림은 기존도로의 시공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중앙부에 위치한 그림은 도로의 위치를 측량한 후 중앙분리대가 설치될 구간에 대하여 아스콘 커팅을 시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일 하부에 있는 그림은 중앙분리대(3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50은 아스팔트 도로(32)의 중앙부에 형성된 절단홈(50)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과 같이, 중앙분리대(30)는 기초 콘크리트(32)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아연도금 강판(36)은 기초 콘크리트(32)의 상부에 채움 콘크리트(5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형강형 보강재 1(38)과 형강형 보강재 2(40)가 채움 콘크리트(52)에 고정되면서 아연도금 강판(36)을 지지하며, 상기 아연도금 강판(36)에는 상부로 형성된 타원형 홀(46)에 태양열 자동반사등(42)이 결합되고 전방으로 형성된 원형홀(48)에 야광 반사판(44)을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중앙분리대(30)는 주간에 태양열 자동반사등(42)이 이용되고 야간에 야광 반사판(44)이 중앙분리대(30)의 위치를 명확하게 나타내므로 운전자들의 주행을 돕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중앙분리대(30)는 채움 콘크리트(52)의 상부에 아연도금 강판(36)을 설치하는 관계로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직접적으로 채움 콘크리트(52)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고 아연도금 강판(36)을 통해 형강형 보강재 1,2(38)(40)와 채움 콘크리트(52)에 전달되는 관계로 중앙분리대의 파손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에 대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는 채움 콘크리트의 상부에 아연도금 강판을 설치하는 관계로 자동차와 중앙분리대의 충돌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직접적으로 채움 콘크리트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고 아연도금 강판을 통해 형강형 보강재 1,2와 채움 콘크리트에 동시에 전달되는 관계로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격감시킬 수 있어 중앙분리대에 대한 하자보수를 시행하는데 사용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중앙분리대는 상부에 태양열 자동반사등을 설치하고 전방에 야광반사판을 설치하고 있는 관계로 주간 및 야간에 운전자들이 중앙분리대의 위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면서 운전을 할 수 있게되고 그로인해 급격하게 증가추세에 있는 자동차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Claims (1)

  1. 아스팔트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아스팔트 도로(32)의 중앙부 절단홈(50)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3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기초 콘크리트(34)를 타설시 그 상부에 하부가 오픈되도록 형성된 아연도금 강판(36)을 설치하고 상기 아연도금 강판(36)에는 상부면과 측면에 각각 타원형 홀(46)과 원형홀(48)을 형성하며, 상기 타원형 홀(46)과 원형홀(48)에는 태양열 자동반사등(42)과 원형홀(48)을 결합하며, 또한 상기 기초 콘크리트(34)에 아연도금 강판(36)을 고정시키는 경우 채움 콘크리트(52)를 타설하여 지지하는 한편, 상기 채움 콘크리트(52)를 타설시 아연도금 강판(36)을 지지하기 위해 형강형 보강재 1,2(38)(40)를 채움 콘크리트(52)에 X 자형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KR2020000027232U 2000-09-28 2000-09-28 중앙분리대 KR200222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32U KR200222506Y1 (ko) 2000-09-28 2000-09-28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32U KR200222506Y1 (ko) 2000-09-28 2000-09-28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506Y1 true KR200222506Y1 (ko) 2001-05-02

Family

ID=7308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232U KR200222506Y1 (ko) 2000-09-28 2000-09-28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5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46B1 (ko) * 2009-11-30 2011-02-21 박용순 도로용 중앙분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46B1 (ko) * 2009-11-30 2011-02-21 박용순 도로용 중앙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506Y1 (ko) 중앙분리대
KR200215800Y1 (ko) 도로경계블록
JP2612599B2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
KR100749364B1 (ko) 경계석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200410537Y1 (ko) 도로 경계블럭
JP6048766B2 (ja) 反射体の製造方法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378344Y1 (ko) 도로경계석
KR200185662Y1 (ko) 보차도 경계블럭
JP3914376B2 (ja) 道路鋲
GB2252119A (en) Kerb overlay
KR200371172Y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JP3531862B2 (ja) ポール式標識取付け型側溝用コンクリート蓋
KR100621695B1 (ko) 도로보강구조물
KR200326777Y1 (ko) 도로표지병
CN215405764U (zh) 一种橡胶马
KR100412952B1 (ko) 도로 표지병
KR100651254B1 (ko) 컬러 맨홀뚜껑의 구조
KR200179649Y1 (ko) 과속방지턱
CN214882696U (zh) 一种道路桥梁裂缝加固装置
JP3213548U (ja) 側溝蓋および既設開渠の暗渠化構造
KR200357091Y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JP3022690U (ja) 側溝ブロック
JP2000204511A (ja) 縁石ブロックの外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