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80Y1 - 도로용 경계블럭 - Google Patents

도로용 경계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80Y1
KR0133380Y1 KR2019960021771U KR19960021771U KR0133380Y1 KR 0133380 Y1 KR0133380 Y1 KR 0133380Y1 KR 2019960021771 U KR2019960021771 U KR 2019960021771U KR 19960021771 U KR19960021771 U KR 19960021771U KR 0133380 Y1 KR0133380 Y1 KR 013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body
boundary
outer shell
recycling
lumino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264U (ko
Inventor
조창연
조정연
Original Assignee
조창연
조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연, 조정연 filed Critical 조창연
Priority to KR2019960021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380Y1/ko
Publication of KR980008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거나 차선의 경계를 구분하는 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 종래 콘크리트와 화강석으로 경계석은 충격에 쉽게 파손되며,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고, 프라스틱 경계석은 내부가 비여있어서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측 저면에 결합홈(4)을 갖고 내부상단에 조립돌기(3)를 갖고 전방에 야광판(6)이 삽입되는 야광판 삽입구(5)를 갖는 외피본체(3)와, 양측저면에 결합공(11)과 결합홈(9)을 갖고 상측에 조립홈(8)이 설치되어 외피본체(2)에 삽입설치되는 재활용 몸체(7)와, 상기 재활용 몸체(7)의 저면에서 외피본체(2)를 연속연결하는 결속구(10)를 구성시켜 내부에 재활용수지를 넣어 외피와 일체화시켜 견고하고 외관은 미려하며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용 경계블록
재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일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외피본체에 대한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 : 경계블럭 2 : 외피본체
3 : 조립돌기 4, 9 : 결합홈
5 : 야광판 삽입구 6 : 야광판
7 : 재활용 몸체 8 : 조립홈
10 : 결속구 11 : 결합공
본 고안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거나 차선의 경계를 구분하는 라인 표시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프라스틱류를 재생시킨 물질을 내부에 넣고 외부는 프라스틱을 사출하여 견고하도록 하는 도로용 경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블럭은 콘크리트 경계브럭과 화강석 경계블럭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겨울철 동파와 인장력의 제로 상태로 파괴되어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야광페인트로 도색하게 되나 쉽게 지워지므로 유지보수비의 소모가 큰 결점과 함께 파손후에는 국토를 오염시키는 산업쓰레기로 분류되어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화강석은 고가이면서 채광해야 하므로 자원과 국토를 회손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제품들은 재료가 무거운 중량물이기 때문에 설치가 어렵고 설치후 결합력이 없어서 외부의 충격에도 설치부위가 쉽게 변형되어 미관을 해치는 결점이 있었다.
최근에 와서는 프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하여 경계블럭이 제안되었으나 내부가 비어있고 리브를 설치하여 보강하고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색체가 변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이역시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각종 프라스틱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분자구조가 같은 물성과 색상별로 분류하여 가능하므로 분류작업상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커 제대로 재생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과 본 출원인의 선출원한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4697호 (명칭:폴리에틸렌수지 칼라 차선 블록)를 개량한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집된 각종 프라스틱을 분류하지 않고 재생시켜 본체내에 저장하여 견고한 제품을 제공하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고 경계블럭 상호간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면의 한쪽방향이나 양방향에 야광판(6)이 삽입되는 야광판 삽입구(5)가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 일전한 간격을 두고 파이프형 조립돌기(3) 설치하며 하측 양단에 결합홈(4)을 설치한 외피본체(2)와, 상기 외피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며 각종 프라스틱으로 재생되어 지고 상측에 조립돌기(3)와 결합되는 결합홈(8)을 갖고 하측 양단에 결합홈(9)과 그안쪽에 결합공(11)을 갖는 재활용 몸체(7)와, 상기 결합공(11)에 조립되도록 양측이 돌출되며 경계블럭(1)(12)을 연결시키는 결속구(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돌기(3)는 원형 또는 사각형 외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재활용 몸체(7)는 수집된 모든 프라스틱이 혼합되어 재생되어진 것이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같이 본 고안은 분자구조가 같은 어느 특성수지를 이용하여 외피본체(2)를 성형한다.
그리고 분자구조가 서로다른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재활용 몸체(7)를 제조하여 굳기전에 변형이 불가능한 형틀에 외피본체(2)를 넣고서 재활용 몸체(7)를 넣어 압착시키면 조립돌기(3)에 조립홀(8)이 결합되면서 외피본체(2)의 변형이 없이 재활용 몸체(7)를 외피본체(2)와 일체형이 되도록 결합시켜 경계블럭(1)을 완성시킨다.
이때 재활용 몸체(7)는 분자구조가 서로 다르게 되므로 용융과정에서 어떤수지는 완전히 녹은 상태이고 어떤수지는 녹지않은 상태가 되나 완전히 녹은 수지가 흐르면서 녹지않은 수지를 감싸서 서로 결합력을 갖고 재활용 몸체(7)를 이루게 된다.
상기의 방법 외에 외피본체(2)와 재활용 몸체(7)를 성형시킨후 조립공정에서 굳어진 재활용 몸체(7)의 외피에 열을 가하여 녹아지도록 한후 외피본체(2)를 형틀에 넣고나서 재활용 몸체(7)를 압착시켜 조립돌기(3)와 조립홀(8 )이 결합되도록 하면 외피본체(2)와 재활용 몸체(7)는 일체형이 되면서 경계블럭(1)을 완성시킨다.
이렇게 제조된 경계블럭(1)은 내부에는 분자구조가 서로다른 수집된 각종 합성수지류를 재활용하여 채우고 외피에는 분자구조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표면의 아름다움과 색상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인도와 처도의 경계선상에 경계블럭(1)(12)을 설치하여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도와 차도의 경계인 바닥선상을 수평되게 하여서 응고전 상태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적당량 도포하고 그 상부에 경계블럭(1)을 올려놓으면서 약간의 힘을 가하면 굳어지기 전상태의 모르타르나 콘크리트가 재활용 몸체(7)의 저면과 함께 응고되는 것이다.
이때 결속구(10)를 결합공(11)에 삽입시키면 결합홈(4)(9)을 통하여 연속해서 연결되는 경계블럭(1)을 연결시켜 서로 결속력을 갖도록하는 것이다.
한편 경계블럭(1)의 전면에 있는 야광판 삽입구(5)에 야광판(6)을 삽입시키면 인도와 도록를 구분할뿐만 아니라 야간에 자동차의 운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 밝힌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피는 미려하도록 하고 내피는 수집된 수지를 분리작업하지 않고 그대로 재활용히여 내피로 사용해서 경계블럭을 제공함으로 설치후 내부가 체워있으며 화강석보다 견고하여 외부의 충격에 파손되는일이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수명이 다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며 수집된 수지를 분리작업 없이 재활용되므로 많은량의 프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연속하여 연결할때 결속구에 의하여 상호 벌어짐으 방지하며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며 전방에 야광판을 설치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소정의 길이를 갖고 인도와 차도의 경계선이나 인도와 화단의 경계선상에 구분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있어서, 양측저면에 결합홈(4)을 갖고 내부상단에 조립돌기(3)를 갖고 전방에 야광판(6)이 삽입되는 야광판 삽입구(5)를 갖는 외피본체(3)와, 양측 저면에 결합공(11)과 결합홈(9)을 갖고 상측에 조립홈(8)이 설치되어 외피본체(2)에 삽입설치되는 재활용 몸체(7)와, 상기 재활용 몸체(7)의 저면에서 외피본체(2)를 연속연결하는 결속구(10)를 구성시킨 도로용 경계블럭.
KR2019960021771U 1996-07-24 1996-07-24 도로용 경계블럭 KR013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771U KR0133380Y1 (ko) 1996-07-24 1996-07-24 도로용 경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771U KR0133380Y1 (ko) 1996-07-24 1996-07-24 도로용 경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64U KR980008264U (ko) 1998-04-30
KR0133380Y1 true KR0133380Y1 (ko) 1999-02-18

Family

ID=1946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771U KR0133380Y1 (ko) 1996-07-24 1996-07-24 도로용 경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38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29B1 (ko) * 2005-06-14 2008-03-24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차선 규제블럭
KR101256872B1 (ko) * 2010-12-23 2013-04-25 이도경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220108576A (ko) * 2021-01-27 2022-08-03 한경수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30038878A (ko) * 2021-09-13 2023-03-21 어스그린코리아(주) 울트라 경계석과 그 경계석의 시공방법
KR20230046780A (ko) * 2021-09-30 2023-04-06 (주)우연시스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뒤틀림 방지 경계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22B1 (ko) * 1999-10-28 2003-10-10 최충렬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938646B1 (ko) * 2009-08-13 2010-01-25 이성우 재활용 수지 자전거 도로
KR101387054B1 (ko) * 2013-04-04 2014-04-23 이한근 합성수지 경계석
KR102138346B1 (ko) * 2019-12-27 2020-07-28 김인영 보행자 경사 도로용 미끄럼방지 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29B1 (ko) * 2005-06-14 2008-03-24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차선 규제블럭
KR101256872B1 (ko) * 2010-12-23 2013-04-25 이도경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220108576A (ko) * 2021-01-27 2022-08-03 한경수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30038878A (ko) * 2021-09-13 2023-03-21 어스그린코리아(주) 울트라 경계석과 그 경계석의 시공방법
KR20230046780A (ko) * 2021-09-30 2023-04-06 (주)우연시스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뒤틀림 방지 경계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64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380Y1 (ko) 도로용 경계블럭
US5513924A (en) Movement resistant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er
KR101439264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석
EP0913522A1 (de) Kunstharzgebundener Strassenpflaster-Formst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KR100654064B1 (ko)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도로경계석
KR200401214Y1 (ko) 도로 경계석
KR10227279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193283Y1 (ko) 합성 수지재 커버를 일체로 성형한 보,차도용 콘크리트블럭
KR200324264Y1 (ko) 합성수지 경계석
EP0983401B1 (en) Elevated paving structure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0119966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200441854Y1 (ko) 전도방지용 라바콘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KR20021685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197861Y1 (ko) 도로의 경계석
KR20060133895A (ko)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KR200258417Y1 (ko) 경계석
KR0126376Y1 (ko) 차선경계블럭
KR100257677B1 (ko)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RU2781786C1 (ru) Дорожный бордюр
KR200191753Y1 (ko) 보.차도 경계용 블록
KR200373330Y1 (ko) 폐타이어 재활용제 도로경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