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677B1 -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677B1
KR100257677B1 KR1019980013536A KR19980013536A KR100257677B1 KR 100257677 B1 KR100257677 B1 KR 100257677B1 KR 1019980013536 A KR1019980013536 A KR 1019980013536A KR 19980013536 A KR19980013536 A KR 19980013536A KR 100257677 B1 KR100257677 B1 KR 10025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undary block
waste
molding
mold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462A (ko
Inventor
조정연
조창연
Original Assignee
조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연 filed Critical 조창연
Priority to KR1019980013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677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거나 인도와 녹지공간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
사출에 의하여 외형을 성형한후 내부에 P.E폐비닐이나 폐프라스틱을 재생한 폐기물을 성형하여 그 내부에 삽입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콘크리트나 화강석으로 형성되어 무겁고 설치가 어려우며 폐기시에는 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하는 결점이 있고, 프라스틱 경계블럭은 견고하지 못하여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2)를 성형한후 외측에서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200℃의 온도로 순간적으로 가열하고 금형(16)에 넣은후 본체(2)의 내부 형상을 따라 성형된 성형폐기물(9)을 본체(2)에 조립하고 유압프레스로 가압하여 본체(2)와 성형폐기물(9)이 일체형이 되도록 하며, 본체(2)의 하측에 돌출턱(5)을 설치하여 시멘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정스크루로 본체와 성형폐기물을 일체형이 되로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거나 인도와 녹지공간을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경계블럭에 관한 것으로
사출에 의하여 외형을 성형한후 내부에 P.E비닐이나 폐프라스틱을 재생한 폐기물을 성형하여 그 내부에 삽입후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선블럭은 콘크리트를 이용하거나 화강석을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이들은 무거워 운반이나 가공이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 온도의 심한 변화로 인하여 동파되는 결점이 있으며, 인도와 도로의 경계부분에 세워서 일렬로 설치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약하여 차량의 바퀴에 의해 설치상태가 쉽게 변형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화강석은 우리나라에서 생량량이 극히 일부분이므로 대부분 완제품을 가공하여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운반비의 소모가 많고 외화를 낭비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나 화강석으로 이루어진 경계블럭은 파손되면 재활용이 불가능 하여 매립시켜야 하므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다.
상기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131호 공고번호 95-4902호(1995. 6. 17)가 있으나, 이는 경계블럭이 얇은 두께의 프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설치후 차량의 바퀴가 올라타거나 외력에 의하여 코너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으며, 파손된 후에는 내부가 훤하게 보이므로 외관상 좋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프라스틱으로 사출되는 칼라 경계블럭의 내부에 폐프라스틱을 용융시켜 성형시킨 성형폐기물을 삽입하여 경계블럭과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견고한 경계브럭을 제공하는 동시에 경계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계블럭의 하측으로 발과 같이 돌출턱을 설치하여 기초공사시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지는 경계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형이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사출되는 경계블럭의 내부에 폐기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성형폐기물을 성형하여 삽입하되 경계블럭을 순간적으로 가열한후 압착하여 경계블럭과 성형폐기물이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성형하는 순서를 나타낸 성형순서도.
1 : 경계블럭 2 : 본체
3 : 조림돌출부 4 : 조립홀
5 : 돌출턱 6 : 라운드면
7 : 부착면 8 : 반사 스티커
9 : 성형폐기물 10 : 보강대
11 : 공간 12 : 고정스크류
13 : 시멘트
본 발명은 ∩형으로 본체(2)가 형성되도록 칼라로 경계블럭(1)을 사출하며, 차도(15)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부분을 라운드면(6)을 갖도록 하여 차량의 바퀴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라운드면(6)의 중간부분에는 부착면(7)을 파이도록 성형한후 이곳에 야광체인 반사스티커(8)를 설치한다.
본체(2)의 일측에는 호상이 되게 조립돌출부(3)를 세로로 돌출시키고 반대편에는 조립돌출부(3)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조립홀(4)을 호상이 되게 설치하여 경계블럭(1)의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본체(2)의 가로방향 양측면으로 ┏, ┓형이 되도록 돌출턱(5)을 설치하여 시켄트(13)에 의한 고정이 견고하도록 한다.
사출되어지는 본체(2)의 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성형하며 중간에 보강재(10)를 돌출시키고 그 양측으로 일정한 크기의 공간(11)을 갖는 성형폐기물(9)을 본체(2)와 일체형으로 성형한다.
이때 본체(2)와 성형폐기물(9)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돕기 위하여 돌출턱(5)의 상측에서 설치시 지면에 가리도록 고정스크류(12)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금형에서 일정한형태의 경계블럭(1)이 약3 - 6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하여 보관한다.
P.E비닐이나 폐프라스틱을 로에 삽입하여 녹여서 스크류를 이용하여 압출하고, 압축되는 용융폐기물을 금형틀에 공급하여 성형폐기물(9)을 성형한다.
경계블럭(1)을 도 6 에서와 같이 본체(2)의 외측면에서 가스나 전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약200℃로 순간적으로 가열한다.
순간적으로 가열된 본체(2)를 금형(16)에 삽입한후 성형되어져서 굳기전의 말랑말랑한 성형폐기물(9)을 본체(2)의 내부에 공급한다.
성형폐기물(9)을 공급하여 본체(2)와 조립시킨후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공간(11)에서 가압하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진 본체(2)와 성형되어진 말랑말랑한 성형폐기물(9)이 상호 결합되면서 일체형이 된다.
이렇게하여 본체(2)와 성형폐기물(9)이 일체형이 되어서 경계블럭(1)을 구성하게 되며, 금형(16)에서 분리한후 돌출턱(5)의 상측에서 고정스크류(12)를 이용하여 수축에 의한 본체(2)와 성형폐기물(9)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경계블럭(1)은 지면을 고른후 시멘트(13)를 공급하고 그 상측으로 경계블럭(1)을 대고 누르면 시멘트(13)와 본체(2)의 하측과 돌출턱(5)이 일체형이 되어지면서 고정된다.
경계블럭(1)의 일측에는 조립홀(4)에 조립돌출부(3)가 조립되도록 하면서 연속해서 조립해 나가면 된다.
이때 경계블럭(1)이 일자형으로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2)를 움직이면 조립돌출부(3)와 조립홀(4)이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유동간격을 제공하여 쉽게 보정할 수 있게된다.
또한 설치후 경계블럭(1)의 인도(14)쪽은 직각으로 형성되고 차도(15)쪽으로 라운드면(6)이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의 바퀴가 올라탈 때 충격을 최소화 하면서 부분적인 파손을 방지하고 내부에 성형폐기물(9)이 있어서 더욱 견고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성형 폐기물(9)은 공간(11)이 없이 본체(2)의 내부를 모두 체울 수 있으나 모두 체우면 두께가 다르고 수축율이 본체(2)와 상이하여 전체면에서 골고루 일체형으로 부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경계블럭의 본체를 칼라로 사출한후 내부에 삽입되는 성형폐기물을 폐자재를 이용하므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하며, 폐자재를 재활용하는 경계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를 순간가열한후 금형에서 성형폐기물 유압프레스로 일체형이 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경게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하측으로 돌출턱을 설치하여 시멘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설치후에 유동되지 않고 설치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면에 라운드면을 형성하여 바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도로를 넓게 보이도록 하며, 라운드면의 부착면에 설치되는 반사스티커는 라운드면에서 돌출되지 않아서 손상되지 않아 제역활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Claims (4)

  1. 양측에 조립돌출부(3)와 조립홀(4)이 형성되는 본체(2)를 차도와 인도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경계블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폐자재 재활용품인 성형페기물(9)을 본체(2)의 형상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시킨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2)의 양측 저면으로 돌출턱(5)을 구성시킨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2)의 돌출턱(5)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본체(2)와 성형폐기물(9)을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12)를 구성시킨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4. 본체(2)를 성형한후 외측에서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200℃의 온도로 순간적으로 가열하고 금형(16)에 넣은후 본체(2)의 내부 형상을 따라 성형된 성형폐기물(9)을 본체(2)에 조립하고 유압프레스로 가압하여 본체(2)와 성형폐기물(9)이 일체형이 되도록 구성시킨 도로경계블럭의 제조방법.
KR1019980013536A 1998-04-16 1998-04-16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25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36A KR100257677B1 (ko) 1998-04-16 1998-04-16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36A KR100257677B1 (ko) 1998-04-16 1998-04-16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62A KR19980033462A (ko) 1998-07-25
KR100257677B1 true KR100257677B1 (ko) 2000-06-01

Family

ID=1953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536A KR100257677B1 (ko) 1998-04-16 1998-04-16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780B1 (ko) * 2006-04-18 2007-01-09 한부영 합성수지계 도로경계석
KR102515278B1 (ko) * 2022-03-03 2023-03-29 황윤달 도로 경계 블록 제조용 사출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462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2010360A (es) Metodo para moldear un panel.
BR0001859B1 (pt) molde para moldagem de um perfil de envidraçamento elastomérico,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envidraçamento, e envidraçamento.
KR100257677B1 (ko)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333B1 (ko) 열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블록 및 그제조방법
KR980008264U (ko) 도로용 경계블럭
US8955287B2 (en) Replacement expansion joint for cement
CN104179154A (zh) 高分子材料输水系统及制造、安装方法
CN2284262Y (zh) 连锁式复合路缘石
JPS5725930A (en) Manufacture of tile arranging member
CN109693297B (zh) 一种新型路沿石、制作该路沿石的模具及制作方法
KR200274507Y1 (ko) 이중보도블록
KR20090115634A (ko) 인도블록
KR100491480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점자 유도블럭의 제조방법
ES2195808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elemento de caucho estratificado y elemento de caucho estratificado asi fabricado.
KR200193283Y1 (ko) 합성 수지재 커버를 일체로 성형한 보,차도용 콘크리트블럭
CN104859088B (zh) Upvc墙面装饰板的注塑制造方法
KR200160430Y1 (ko) 보도 블록
CN217414356U (zh) 一种组合式路沿石模具
KR810000353Y1 (ko) 콘크리트 판상불록체의 제조용 성형틀
KR100939827B1 (ko)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CN219245147U (zh) 一种道路灌缝胶低温拉伸实验制样模具
CN1048442C (zh) 外装饰材料先安装的混凝土二次制品的制造方法
CN212266161U (zh) 一种新型制砖机面层铺沙装置
CN211415617U (zh) 一种侧面彩料路沿石模具
CN2486592Y (zh) 灰沙路肩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