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827B1 -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827B1
KR100939827B1 KR20080046774A KR20080046774A KR100939827B1 KR 100939827 B1 KR100939827 B1 KR 100939827B1 KR 20080046774 A KR20080046774 A KR 20080046774A KR 20080046774 A KR20080046774 A KR 20080046774A KR 100939827 B1 KR100939827 B1 KR 10093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block
mold
waste resin
bound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794A (ko
Inventor
윤선일
Original Assignee
(주)동방리테크
윤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리테크, 윤선일 filed Critical (주)동방리테크
Priority to KR2008004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8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3/189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arts being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0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means for positioning, fastening or clamping the material to be formed or preforms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 방법은, 폐수지를 가열 및 가압하여 녹이고, 용융된 폐수지를 다수 개로 구분하여 색상을 입히는 폐수지 용융공정; 색상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색상부제1금형과, 이 색상부제1금형에 결합되어 색상블록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색상부제2금형의 사이에 한 색상의 용융된 폐수지를 투입하여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색상블록을 하나 또는 다수 개 성형하되, 색상블록의 테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색상블록 제조공정; 경계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체부제1금형과, 이 전체부제1금형에 결합되어 경계블록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전체부제2금형 중 전체부제2금형의 내벽면 일측에 제조된 색상블록을 가설치하는 색상블록 가설공정; 제조된 색상블록과 다른 색상을 갖는 용융된 폐수지를 상기 전체부제1금형과 전체부제2금형 사이에 투입하고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색상블록이 일측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체로 결합하되, 색상블록의 걸림턱의 상부를 수지가 덮어 색상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경계블록을 제조하는 경계블록 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경계블록의 제조에 폐수지를 이용하여 폐수지의 활용성을 높이는 한편, 경계블록을 다중 톤 형으로 제조하되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부분이 서로 일체화되어 성형, 제작되므로 분리되지 않 는 경계블록이 제공되며, 블록의 기 제조된 색상블록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불량율이 최소화된다.
도로, 경계석, 경계블록, 제조, 색깔

Description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경계블록{METHOD FOR MANUFACTURING MULTY TONE TYPE'S BOUNDARY BLOCK USING WASTE RESIN AND BOUNDARY BLOCK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폐수지의 재활용을 통해 자원절감 및 환경보호를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중 톤을 갖는 경계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이 간단하며, 다중 톤을 갖는 부분이 일체화되어 성형 제작되어 이탈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 경계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폐수지를 이용한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로경계블록은 도로의 인도나 화단 등의 끝단을 따라 설치되어 차도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도로 시설물로서, 예전에는 주로 콘크리트를 소정 형태의 형틀에 부어 굳히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경우에 따라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가공하여 제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경계블록 중에서, 석재로 이루어진 도로경계블록의 경우, 외관이 미려한 장점은 있으나 지나치게 무거워 설치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그 재료비용 및 가공비용이 높아 범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도로경계블록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과도한 중량으로 인해 설치 작업이 불편한 점은 마찬가지이며, 그 제조 시 형틀에 부어진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해 많은 시간과 넓은 장소가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 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석재 또는 콘크리트 재질의 도로경계블록들은 취성을 갖는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차량의 충돌을 비롯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균열이 생기고, 내부에 흡수된 수분의 결빙으로 인해 갈라지기도 하며, 제설을 위해 도로에 뿌려지는 염화칼슘 등의 화학 물질에 의해 부식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의 교통 안전을 위해, 도로경계블록에 야광체나 재귀성 반사체(이하, '야간식별체'로 통칭함)를 설치하여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경계블록의 존재와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데, 종래에는 제조된 경계블록에 야간식별체를 부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 및 비용 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계블록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야간식별체를 접합하는 경우, 고정력이 약할 뿐 아니라 경계블록이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접촉 시에는 물론 사람 등의 접촉으로 인한 작은 힘에도 쉽게 야간식별체가 분리되고, 이를 피하 기 위해 경계블록의 표면에 홈을 내서 야간식별체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경우,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폐수지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로경계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4064호)을 출원하여 등록받기도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비교적 작은 야간식별체를 설치하는 기술로는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되는 멀티 톤을 부여하기 어려웠다.
그 이유는 하나의 금형으로 여러 가지 색상을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 각기 다른 금형을 제조하여 서로 붙이기 어려운 문제점 등에 기인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계블록의 제조에 폐수지를 이용하여 폐수지의 활용성을 높이는 한편, 경계블록을 다중 톤 형으로 제조하되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부분이 서로 일체화되어 성형 제작되어 분리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블록의 기 제조된 색상블록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불량율을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은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폐수지를 가열 및 가압하여 녹이고, 용융된 폐수지를 다수 개로 구분하여 색상을 입히는 폐수지 용융공정; 색상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색상부제1금형과, 이 색상부제1금형에 결합되어 색상블록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색상부제2금형의 사이에 한 색상의 용융된 폐수지를 투입하여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색상블록을 하나 또는 다수 개 성형하되, 색상블록의 테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색상블록 제조공정; 경계블록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체부제1금형과, 이 전체부제1금형에 결합되어 경계블록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전체부제2금형 중 전체부제2금형의 내벽면 일측에 제조된 색상블록을 가설치하는 색상블록 가설공정; 제조된 색상블록과 다른 색상을 갖는 용융된 폐수지를 상기 전 체부제1금형과 전체부제2금형 사이에 투입하고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색상블록이 일측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체로 결합하되, 색상블록의 걸림턱의 상부를 수지가 덮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경계블록을 제조하는 경계블록 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전체부제2금형은 제조된 색상블록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색상블록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색상부제2금형의 일측에 위치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색상블록의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체부제2금형에서 색상블록이 설치되는 위치 중 상기 위치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색상블록의 돌출된 일측이 위치고정홈에 맞물려 색상블록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한 채 경계블럭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색상블록은 하나 또는 다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은 위 제조방법 중 어느 한 가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경계블록의 제조에 폐수지를 이용하여 폐수지의 활용성을 높이는 한편, 경계블록을 다중 톤 형으로 제조하되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부분이 서로 일체화되어 성형 제작되어 분리되지 않는 경계블록이 제공된다.
또한, 블록의 기 제조된 색상블록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불량율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은,
폐수지를 가열 및 가압하여 녹이고, 용융된 폐수지를 다수 개로 구분하여 색상을 입히는 폐수지 용융공정; 색상블록(3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색상부제1금형(20)과, 이 색상부제1금형(20)에 결합되어 색상블록(30)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색상부제2금형(10)의 사이에 한 색상의 용융된 폐수지를 투입하여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색상블록(30)을 하나 또는 다수 개 성형하되, 색상블록(30)의 테두리에 걸림턱(31, 32)이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색상블록(30) 제조공정; 경계블록(4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체부제1금형(200)과, 이 전체부제1금형(200)에 결합되어 경계블록(40)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전체부제2금형(100) 중 전체부제2금형(100)의 내벽면 일측에 제조된 색상블록(30)을 가설치하는 색상블록(30) 가설공정; 제조된 색상블록(30)과 다른 색상을 갖는 용융된 폐수지를 상기 전체부제1금형(200)과 전체부제2금형(100) 사이에 투입하고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색상블록(30)이 일측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체로 결합하되, 색상블록(30)의 걸림턱(31, 32)의 상부를 수지가 덮어 색상블록(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경계블록(40)을 제조하는 경계블록(40) 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폐수지 용융공정
원료인 폐수지 용융공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원료인 폐수지에 충진재와 첨가제를 혼합하고, 혼합된 재료를 1차 용융시킨 후, 용융된 재료에 안료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재료를 2차 용융시켜 준비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다중 톤형의 경계블록(40)을 제조하므로 필요한 색상의 수에 맞추어 각기 다른 안료를 투입하여 다수 개의 용융된 폐수지를 준비하도록 한다.
여기서, 충진재는 경계석의 강도를 보강하고, 치수안정성 확보 및 적정한 중량 증가를 위한 것으로, 탄산칼슘, 모래, 탄산칼슘과 PMMA (Polymethylmethacrylate)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폐수지의 중량비 100에 대하여 충진재를 중량비 10 내지 30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재를 중량비 10 이하의 소량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충진재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중량비 30 이상으로 많은 양을 혼합할 경우에는 회분율이 높아지는 등 재료의 물성이 떨어지게 된다.
첨가제는 열에 의한 분해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이린산과 같은 열안정 제와 자외선에 의한 광열화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살리실산에테르와 같은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한다.
이 첨가제는 주재료인 폐수지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전체 혼합물의 0.5 내지 1% 이내의 소량을 투입해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혼합 전에 폐수지의 선별 및 파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폐수지에 포함된 목재나 금속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선별된 폐수지를 파쇄기 등으로 균일한 크기로 파쇄하여 용융성 및 성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된 폐수지원료는 상기 1차용융공정을 통해 용융되면서 혼합된 재료들이 균일하게 섞이도록 가공된다.
이에 사용되는 용융장치는 스크류를 회전시켜 수지를 가압이송시키면서 히터에 의한 열을 가해 용융시키는 통상적인 합성수지 용융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료가 고르게 녹을 수 있도록 혼련 성능을 향상시키고 적은 발열량으로도 성형이 가능하도록 이방향 2축 스크류를 구비하고, 원료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높은 발열 온도를 내도록 히터의 온도를 구역 별로 조절 가능한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크류를 소정 구간 별로 공급부, 압축부, 믹싱부 및 계량화부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나선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공급부에서는 원료의 수분 제거를 위해 대략 100℃ 내외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압축부에서는 150 내지 200℃, 상기 믹싱부와 계량부에서는 200 내지 250℃ 정도가 되도록 점진적으로 온도가 높아지게 하여 과도한 열공급으로 인해 원료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
안료는 대략 300℃ 이상의 온도에 대한 내열성을 갖으며, Q.U.V 테스트 500시간에 탈색이 발생되지 않는 안료를 사용하되, 그 혼합비율은 수지 또는 수지와 충진재가 혼합된 원료 100 중량비에 대하여 10 내지 15 중량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가 혼합된 재료는 안료의 착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2차 용융을 거친다.
이 2차 용융은 전술한 1 차 용융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색상블록(30) 제조 공정
색상블록(30) 제조 공정은 색상블록(3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색상부제1금형(20)과, 이 색상부제1금형(20)에 결합되어 색상블록(30)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색상부제2금형(10)의 사이에 2차 용융된 여러 종류의 폐수지 중 한 가지를 투입하여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도 1의 도면기호 (30')는 색상블록(30) 제조를 위해 투입되는 폐수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색상부제1금형(20)의 상부는 색상부제2금형(10)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색상부제2금형은 내측에 색상부제1금형(20)이 삽입되도록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측벽(11)을 따라 끝단에는 걸림턱(31, 32)을 형성하기 위한 걸림턱형성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조되는 색상블록(3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테두리의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걸림턱(31, 32)이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색상블록(30) 제조 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색상부제1금형(20)과 색상부제2금형(10)의 내부에 용융된 폐수지를 투입하여 프레스 성형하는데, 경우에 따라 액상으로 용융된 재료를 닫힌 금형 내부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폐수지를 상온에서 유동성을 갖는 고체 형태가 되도록 하고, 소정량의 폐수지 덩어리를 색상부제2금형(10)의 상부에 배치한 다음, 색상부제2금형(10)을 색상부제1금형(20)과 합체되도록 상향 이동시키되, 폐수지 덩어리가 색상부제2금형(10)의 내측 상면부에 먼저 접촉되면서 압축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폐수지 용융물을 유동성 고체 상태로 하여 성형하는 경우, 금형에 투입하기 전에 병렬로 근접 설치된 둘 이상의 롤러 사이로 폐수지 덩어리를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기포를 제거하고 재료의 혼화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진 다음, 탈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색상블록(30) 제조는 최종 완성되는 경계블록(40)의 톤이 몇 가지인지, 즉, 몇 개의 색상을 갖는 모형들이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는 지에 따라 하나 또 는 다수 개를 제조하여 준비하도록 한다.
완성된 색상블록(30)의 도면을 보면 테두리를 따라 걸림턱(31, 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색상블록(30) 가설공정
경계블록(4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체부제1금형(200)과, 이 전체부제1금형(200)에 결합되어 경계블록(40)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전체부제2금형(100) 중 전체부제2금형(100)의 내벽면 일측에 제조된 색상블록(30)을 가설치한다.
전체부제1금형(200)과 전체부제2금형(100)은 색상블록 형성을 위한 금형과 같은 형태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전체부제1금형(200)의 상부 역시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색상블록(3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 경계블록(40)의 전체부제2금형(100)이나 색상블록(30)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테이프 등을 붙여 색상블록(30)을 전체부제2금형(100)에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항시 가설 공정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체부제1금형(200) 내측으로 약간의 홈을 형성하여 색상블록(30)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색상블록(3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홈의 깊이가 지나치게 깊으면 완성된 경계블록(40)에서 색상블록(30)이 지나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갖게 되므로 홈의 깊이는 단지 위치를 세팅할 수 있을 정도로 1 ~ 5 mm 정도로 얕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블록(30)을 정확한 위치에 가설치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으로 상기 색상블록(30) 제조 공정에서 색상부제2금형(10)의 일측에 위치고정홈을 형성하여 제조된 색상블록(30)의 일측이 돌출된 돌기(33)를 갖도록 형성하고,
전체부제2금형(100)에는 색상블록(30)의 돌기(33) 위치에 대응되도록 즉, 색상부제2금형(10)의 위치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고정홈(120)을 형성하여 돌기(33)가 보조고정홈(120)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색상블록(30)을 전체부제2금형(100)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 경계블록(40)을 제조하도록 할 수도 있다.
4. 경계블록(40) 제조공정
제1공정인 폐수지 용융공정에서 준비된 폐수지 중 색상블록(30)의 제조에 사용되지 않은 것을 준비한 후 색상블록(30)이 가설치되어 있는 전체부제2금형(100)과 전체부제1금형(200)의 사이에 투입하고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색상블록(30)이 일측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성형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의 도면기호 (40')은 경계블록(40) 형성을 위해 투입되는 수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의 특징은 색상블록(3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1, 32)의 상 부를 수지가 덮게 되는 것으로 도 3의 (a)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10) 즉, 색상블록(30)의 상부 공간(110)을 도 6의 (a)와 같이 수지가 덮음으로 인해 색상블록(30)의 저면과 경계블록(40) 제조공정에서 용융된 수지가 맞대어져 접착되는 면 외에도 색상블록(30)의 테두리 걸림턱(31, 32)을 용융된 수지가 덮어 일체화되는 것에 있다.
즉, 최종 완성된 후 색상블록(30)이 외부 충격이나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경계블록(40)에서 잘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색상블록 제조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
(a) 색상부제1금형과 색상부제2금형의 세팅 상태를 나타낸 도면.
(b) 색상부제1금형에 폐수지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c) 색상부제1금형이 색상부제2금형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d) 색상부제1금형과 색상부제2금형이 결합되어 프레스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e) 탈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색상블록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색상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체부제1금형과 전체부제2금형의 세팅 상태를 나타낸 도면.
(a) 색상블록 설치측 단면
(b) 색상블록 미설치측 단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전체부제1금형에 폐수지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a) 색상블록 설치측 단면
(b) 색상블록 미설치측 단면
도 5는 전체부제1금형이 전체부제2금형 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a) 색상블록 설치측 단면
(b) 색상블록 미설치측 단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전체부제1금형과 전체부제2금형이 결합되어 프레스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a) 색상블록 설치측 단면
(b) 색상블록 미설치측 단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체부제2금형으로부터 경계블록이 탈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a) 색상블록 설치측 단면
(b) 색상블록 미설치측 단면
도 8은 완성된 본 발명의 경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색상블록의 일측에 돌기를 형성하여 위치를 가이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색상부제2금형 11 : 측벽
12 : 걸림턱형성부 20 : 색상부제1금형
21 : 삽입부 30 : 색상블록
31, 32 : 걸림턱 33 : 돌기
40 : 경계블록 100 : 전체부제2금형
110 : 공간 120 : 보조고정홈
200 : 전체부제1금형 210 : 삽입부

Claims (5)

  1. 경계블록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폐수지를 가열 및 가압하여 녹이고, 용융된 폐수지를 다수 개로 구분하여 색상을 입히는 폐수지 용융공정;
    색상블록(3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색상부제1금형(20)과, 이 색상부제1금형(20)에 결합되어 색상블록(30)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색상부제2금형(10)의 사이에 한 색상의 용융된 폐수지를 투입하여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색상블록(30)을 하나 또는 다수 개 성형하되, 색상블록(30)의 테두리에 걸림턱(31, 32)이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색상블록(30) 제조공정;
    경계블록(4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전체부제1금형(200)과, 이 전체부제1금형(200)에 결합되어 경계블록(40)의 상부 및 측면부를 형성하는 전체부제2금형(100) 중 전체부제2금형(100)의 내벽면 일측에 제조된 색상블록(30)을 가설치하는 색상블록(30) 가설공정;
    제조된 색상블록(30)과 다른 색상을 갖는 용융된 폐수지를 상기 전체부제1금형(200)과 전체부제2금형(100) 사이에 투입하고 양측 금형을 가압하여 상기 색상블록(30)이 일측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체로 결합하되, 색상블록(30)의 걸림턱(31, 32)의 상부를 수지가 덮어 색상블록(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경계블록(40)을 제조하는 경계블록(40) 제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부제2금형(100)은 제조된 색상블록(30)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색상블록(30)을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부제2금형(10)의 일측에 위치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색상블록(30)의 외주면 일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체부제2금형(100)에서 색상블록(30)이 설치되는 위치 중 상기 위치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고정홈(120)이 형성되어 있어 색상블록(30)의 돌출된 일측이 위치고정홈에 맞물려 색상블록(30)의 정확한 위치를 조정한 채 경계블럭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 방법.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KR20080046774A 2008-05-20 2008-05-20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KR10093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774A KR100939827B1 (ko) 2008-05-20 2008-05-20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774A KR100939827B1 (ko) 2008-05-20 2008-05-20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94A KR20090120794A (ko) 2009-11-25
KR100939827B1 true KR100939827B1 (ko) 2010-02-02

Family

ID=4160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6774A KR100939827B1 (ko) 2008-05-20 2008-05-20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206B1 (ko) * 2012-05-01 2013-09-27 김문성 투톤 세라믹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036B1 (ko) * 1996-04-04 1999-05-15 이영렬 폐 타이어를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JP2002086483A (ja) * 2000-09-14 2002-03-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rp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40032613A (ko) * 2002-10-10 2004-04-17 남승완 2색 겹층 구조의 식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4064B1 (ko) * 2006-04-10 2006-12-06 (주)동방리테크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도로경계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036B1 (ko) * 1996-04-04 1999-05-15 이영렬 폐 타이어를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JP2002086483A (ja) * 2000-09-14 2002-03-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rp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40032613A (ko) * 2002-10-10 2004-04-17 남승완 2색 겹층 구조의 식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4064B1 (ko) * 2006-04-10 2006-12-06 (주)동방리테크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도로경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94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94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flat agglomerated stone products
KR100939827B1 (ko) 폐수지를 이용한 다중 톤형 경계블록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경계블록
KR100654064B1 (ko) 폐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도로경계석
KR100615557B1 (ko) 복합 우레탄 탄성 투수 인.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758467B1 (ko) 폐전선피복물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목재대용제품의제조방법
EP2173948A2 (en) Border block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115634A (ko) 인도블록
KR100980772B1 (ko) 폐자재를 활용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1283806B1 (ko) 야광기능 및 다양한 외관디자인을 갖는 인조석 및 이의제조방법
KR100490260B1 (ko)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
KR20040100193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중 탄성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100758801B1 (ko) 줄눈이 일체화된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51460Y1 (ko) 기능성 경계블록
JPH09110494A (ja) 樹脂コンクリ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88117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20060110171A (ko) 논슬립을 가지는 계단용 디딤평판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2021070990A (ja) 舗装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4950641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390677Y1 (ko) 논슬립을 가지는 계단용 디딤평판
KR100885752B1 (ko) 탄성 포장시 무늬 시공 방법
KR200355191Y1 (ko)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
KR100533288B1 (ko) 재생골재를 이용한 인터로킹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0289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합성수지 도로경계석
KR100257677B1 (ko) 도로경계블럭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3101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재활용 기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