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793B1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2793B1 KR102272793B1 KR1020180141685A KR20180141685A KR102272793B1 KR 102272793 B1 KR102272793 B1 KR 102272793B1 KR 1020180141685 A KR1020180141685 A KR 1020180141685A KR 20180141685 A KR20180141685 A KR 20180141685A KR 102272793 B1 KR102272793 B1 KR 102272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stone
- waste plastic
- boundary
- coupling
- ston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경계석 본체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경계석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폐플라스틱을 색상별로 선별하여 색상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으로 인한 자원관리 및 환경보호를 할 수 있고 경계석 색깔로 주변 지역 환경에 따른 속도를 구분할 수 있고 화분용도로 확장하여 경관조성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색상별로 선별하여 식물 식재가 가능한 경계석을 색상별로 가공하고 설치 시공하여 경계석 색상으로 설치 주변 지역의 환경을 식별하고 식물 식재로 경관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경계석은 행정계 및 관민, 민민의 용지 경계 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매설하는 돌로, 자연석,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
경계석은 크게 규격이 작은 도로 경계석과 규격이 큰 보차도 경계석의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경계석은 통상 길이 1m로 제작되고 폭과 높이만 달라지게 된다.
콘크리트 재질의 경계석은 가격이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내충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인도를 통행하는 사람들이나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 등에 의해서 쉽게 균열을 보이거나 국부적으로 파손되고, 운반 및 설치시에 쉽게 깨지고 손상되어 폐기처리되는 일이 빈번함은 물론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 물류비 및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경계석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할 경우 주변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깨진 파편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그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경계석을 천연 화강암이나 대리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화강암이나 대리석의 경우 콘크리트에 비해 내구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그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합성수지 재질의 경계석은 폐타이어 및 폐플라스틱과 같은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고 제조원가를 어느 정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경계석은 색상이 한결같아서 색상의 변화를 줄 수 없으며, 따라서 항시 색상이 획일적이고 단순하여 미화적인 측면에서 미약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경계석의 설치 작업시 복수의 경계석들 각각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삼각대 등의 측정공구를 사용하여 숙련공이 일일이 수평을 맞추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경계석을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인건비가 상승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0289(2012.02.03)호에는 폐합성수지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도로경계석 상단부용 성형 재료와 도로경계석 하단부용 성형 재료로서 서로 상이한 구성의 합성수지 성형 재료를 동시에 가열 압착 성형하여 형성되는 장방형의 합성수지 도로경계석으로서, 상기 경계석 하단부의 저면에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휨 강성 보강을 위하여 배치되는 보강 시멘트 조형물을 일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19966(1998.07.01)호에는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써 1개블록을 3개의 단위블록체로 구분 성형하여 각 단위블록체를 쐐기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경계블록을 이루되 중심 단위블록체에는 화훼포트를 삽탈 가능하게 하고, 양단의 단위 블록체에는 흙 등을 수장하는 격실을 형성하며, 도로에 연하는 측면에는 반사판을 착설하여 이루어지는 도로용 경계블록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플라스틱을 색상으로 선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별 경계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부합물을 첨부하여 폐플라스틱 활용에 따른 강도저하를 보강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형 경계석을 제작하여 주변 경관을 조성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플라스틱으로 제작한 복수의 경계석들 각각의 연결 설치가 용이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경계석 본체,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경계석 본체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경계석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폐플라스틱을 색상별로 선별하여 색상별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 길이 방향으로 긴 함체형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면에 상기 식재공간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경계석 본체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면의 두께를 관통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석 본체는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양단에 결합턱이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 및 좌우 양측 중 타측의 양단에 결합홈이 절곡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턱과 이웃하는 경계석의 상기 결합홈을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복수의 경계석들 각각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경계석 본체의 저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블록과 결합블록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다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경계석 본체의 내측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경계석 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수평 조절할 수 있다.
야간에 경계석 식별을 위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야광 스티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상별로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분쇄하고 분쇄한 폐플라스틱에 부합물을 첨부하여 상기 경계석을 제조하는 재생 원료로 사용하고, 상기 재생 원료는 신플라스틱 또는 자갈을 부합물로 첨부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은 폐플라스틱을 색상으로 선별 이용하여 빨강, 녹색, 파랑 등의 색상별 각각의 경계석을 제조할 수 있고, 설치된 경계석의 색상에 따라 주변 주거형태(학교주변, 주거지역, 상권 등)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가 속도 표지판 등을 보지 않고도 도로 경계석의 색상만으로 제한 속도를 준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은 속이 빈 함체 형태로 내부에 식재 공간을 형성하여 화분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은 설치 시공시 수평 조정을 위해 삼각대 등의 측정공구 없이도 자체적으로 수평 조절을 할 수 있고 복수의 경계석들 각각을 슬라이드방식으로 밀착 결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한 경계석의 설치 시공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의 길이방향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의 길이방향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경계석(100)은 경계석 본체(110)와 받침대(120)를 포함할 수 있고,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waste plastic)은 합성수지 부스러기, 합성섬유 부스러기, 합성고무 부스러기 등 합성 고분자 화합물과 관련하는 고형상 또는 액상의 쓰레기를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석(10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재질의 폐플라스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착색된 PP재질의 폐플라스틱을 색상별로 선별하여 분쇄처리한 후 부합물을 첨부하여 강도를 보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계석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며 일 길이 방향으로 긴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도로나 인도를 구분해주도록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경계석 본체(110)는 대략 1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폭과 높이는 설치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경계석 본체(110)는 경계석 본체(110)의 넓은 면을 전,후면이라 할 때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면에 배수부(111)를 형성하여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계석 본체(110)는 내부에 흙을 채우고 꽃이나 나무 등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S)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면에 형성한 배수부(111)를 통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분을 가꾸고 시즌마다 계절별 꽃으로 단장하여 도시재생과 경관을 단장할 수 있게 한다.
배수부(111)는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경계석 본체(110)을 구성하는 측부의 두께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들(410)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관통공들(410)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경계석 본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부(111)는 내부의 식재공간(S)에 있는 물이 복수개의 관통공들(410)의 사면(斜面)을 따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경계석 본체(110)는 또한, 경계석 본체(110)의 좌우 양측부 각각에 이웃하는 다른 경계석과 결합하여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113) 및 제2 결합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는 경계석 본체(110)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좌우 양단에 결합턱(113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115)는 경계석 본체(110)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좌우 양단에 결합홈(115a)이 절곡 형성되어 그 결합홈(115a) 부분에 이웃하는 다른 경계석 본체의 제1 결합부의 결합턱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턱(113a)은 결합홈(115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 단면이 대략 "T"자형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수평방향 단면이 대략 "T"자형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115a) 내부에는 인입 가능하되 결합홈(115a)의 입구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120)는 경계석 본체(110)를 지면에 대해 수평적으로 설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받침대(120)는 경계석 본체(110)와 동일한 소재인 폐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120)는 경계석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받침대(120)는 도 3에 보여진 바와 같이, 경계석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한쌍의 연결부재(130)를 통해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120)는 경계석 본체(110)의 저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블록(121)과 결합블록(12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다리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재(310)는 나산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로 되어 있어 받침대(120)를 나사산을 따라 회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하여 경계석 본체(11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310)는 경계석 본체(110)의 내측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나사산이 받침대(120)의 결합블록(121)에 형성된 나사홈에 끼워맞춤 형식으로 삽입되어 받침대(120)를 자전시켰을 때 받침대(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경계석 본체(11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의 길이방향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경계석(100)과 이웃하는 다른 경계석(20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계석 본체(110)의 제2 결합부(115)와 인접한 다른 경계석 본체(210)의 제1 결합부(213)를 상호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213)의 결합턱(213a)을 제1 결합부(115)의 결합홈(115a)에 인입하여 결합홈(115a)을 따라 결합턱(213a)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15a)과 결합턱(213a) 사이는 상호 맞물림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으로 복수의 경계석들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결합부(113)와 제2 결합부(115)의 상호 맞물림에 의한 밀착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한 쌍의 경계석 사이를 줄눈밴드 등으로 밀실하게 채우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서, 폐플라스틱을 수거한 후 색상별로 선별한다(단계 S610). 일 실시예에서, 수거한 폐플라스틱을 무색 단일 재질과 유색 단일 재질, 복합 재질로 선별할 수 있다.
플라스틱(Plastic)은 합성수지가 대부분인 고분자 물질을 주원료로 하는 것으로 열가공하거나 또는 경화제, 촉매, 중합제 등을 사용하여 시이트, 판, 관, 막대기 등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한 것 또는 그 원료를 말한다. 플라스틱은 열에 반응하는 성질에 따라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열에 의해 녹아 몇번이고 그 모양을 바꿀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한번 열에 의해 모양이 만들어지면 그 뒤로는 다시 녹지 않는 것을 말한다.
폐플라스틱은 PP, PS, PE, ABS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에 첨가제와 색상원료를 넣고 녹인 것을 성형하여 만든 다양한 색상의 제품의 폐플라스틱을 이용할 수 있다.
색상별로 선별한 폐플라스틱을 일정크기의 미립자로 분쇄한 후(단계 S620), 색깔을 내고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분쇄된 폐플라스틱 80%에 대해 신플라스틱 20%을 부합물로 첨가하여 재생원료를 만든다(단계 S630). 여기에서, 폐플라스틱과 신플라스틱을 혼합하여 이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쇄된 폐플라스틱 1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생원료에 자갈을 골고루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재생원료에 자갈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폐플라스틱만을 사용하여 경계석을 제조하는 경우 가벼운 중량으로 인한 안정성 저하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재생원료를 규격화된 공정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경계석(100)으로 생산한다(단계 S640). 즉, 재생원료를 고온 가열한 후 사출성형을 통해 경계석 본체(110)와 받침대(120)를 각각 생산하고 생산한 경계석 본체(110)와 받침대(120)는 연결부재(310)를 통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외력에 의해 경계석(100)이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경계석(100)을 수거하여 재생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인 자원관리를 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생산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100)은 주변 지역의 환경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교주변은 빨강 경계석, 주거지역은 녹색 경계석, 상권은 파랑 경계석으로 설치 시공하여 해당 지역을 이동하는 운전자 등이 속도제한 표지판을 보지 않더라도 도로 경계석의 색깔로 속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계석을 설치한 지역의 주변 환경에 맞춰 경계석 색상이 정해지면 지면에 경계석을 세워 설치 시공을 할 수 있다.
먼저, 설치할 지면의 토공을 평탄하게 정리하고 다짐 작업한 후 경계석(100)을 설치 시공하게 된다. 이때, 수평을 잡기 위해 별도의 측량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연결부재(310)를 통해 경계석 본체(110)에 연결된 받침대(120)를 회동시켜 경계석 본체(1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간단하게 수평을 조절하여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경계석들(100)을 길게 연결하여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의 밀착이 중요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슬라이드방식으로 복수의 경계석들(100)을 상호 끼움 결합하여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가 밀착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경계석(100)과 인접한 다른 경계석(200)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경계석(100)의 제1 결합부(113)에 형성된 결합턱(113a)을 경계석(200)의 제2 결합부(215)에 형성된 결합홈(215a)에 인입시켜 결합홈(215a)을 따라 결합턱(113a)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경계석(100)과 경계석(200)의 수평 또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면에 경계석(100)을 설치한 후 경계석(100) 내부의 식재공간(S)에 흙을 채우고 꽃이나 나무 등을 식재하여 주변 경관을 조성하는 화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계석(100)의 일측면에 야광용 스티커(320)를 부착하여 야간에 경계석(100)이 눈에 뛸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어두운 야간에도 운전자가 경계석(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야광용 스티커(320)는 도 5에 보여진 바와 같이, 경계석(100)의 일측면에 경계석(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부착될 수 있으며, 야광 안료가 포함되거나 표면에 야광 도료가 도포되어 어두운 야간에 주변으로 빛을 제공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은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도시공간에 활용함으로써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되는 비용이 높은 화강암, 대리석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경계선을 화분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도시재생과 경관을 단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200: 경계석
110,210: 경계석 본체
111: 배수부
113,213: 제1 결합부 113a,213a: 결합턱
115,215: 제1 결합부 115a,215a: 결합홈
120: 받침대
121: 결합블록 123: 복수개의 다리들
310: 연결부재 320: 야광용 스티커
410: 복수개의 관공통들
110,210: 경계석 본체
111: 배수부
113,213: 제1 결합부 113a,213a: 결합턱
115,215: 제1 결합부 115a,215a: 결합홈
120: 받침대
121: 결합블록 123: 복수개의 다리들
310: 연결부재 320: 야광용 스티커
410: 복수개의 관공통들
Claims (8)
-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일 길이 방향으로 긴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공간 내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공들로 이루어지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경계석 본체;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경계석 본체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도록 상기 경계석 본체의 저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블록과 상기 결합블록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다리들을 포함하는 받침대; 및
상기 경계석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수평을 조절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본체는
좌우 양측 중 일측의 양단에 결합턱이 "T"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좌우 양측 중 타측의 양단에 결합홈이 "T"자형 요홈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턱이 이웃하는 경계석의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움 결합하여 복수의 경계석들 각각을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폐플라스틱을 색상별로 선별하여 선별된 상기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색상별 상기 경계석 본체와 상기 받침대를 제조하고, 설치 지역의 주변 환경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경계석 본체의 내측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경계석 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수평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제1항에 있어서,
야간에 경계석 식별을 위해 상기 경계석 본체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야광 스티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별로 선별된 폐플라스틱을 분쇄하고 분쇄한 폐플라스틱에 부합물을 첨부하여 상기 경계석을 제조하는 재생 원료로 사용하고,
상기 재생 원료는
신플라스틱 또는 자갈을 부합물로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685A KR102272793B1 (ko) | 2018-11-16 | 2018-11-16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685A KR102272793B1 (ko) | 2018-11-16 | 2018-11-16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379A KR20200057379A (ko) | 2020-05-26 |
KR102272793B1 true KR102272793B1 (ko) | 2021-07-05 |
Family
ID=7091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1685A KR102272793B1 (ko) | 2018-11-16 | 2018-11-16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27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8401B1 (ko) | 2021-01-22 | 2021-12-10 | 김민영 | 경계석 구조체 및 시공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416Y1 (ko) * | 2000-06-16 | 2000-11-15 | 김봉근 | 도로 조경용 경계석 |
KR200362068Y1 (ko) * | 2004-07-01 | 2004-09-16 | 택산산업개발(주) |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경계블록 |
KR100736388B1 (ko) * | 2006-02-08 | 2007-07-06 | 이은혜 | 다기능 도로 경계석 |
KR100905322B1 (ko) * | 2009-02-21 | 2009-07-02 | (주) 부경종합기술단 | 식재형 경계블록의 받침대 |
KR100986930B1 (ko) * | 2009-10-14 | 2010-10-08 | 최구호 | 조경수 식재가 가능한 경계석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9966Y1 (ko) | 1995-02-13 | 1998-07-01 | 김순근 | 도로용 경계블록 |
KR19980056981U (ko) * | 1997-01-27 | 1998-10-15 | 최명식 | 도로 경계블럭 |
KR100748581B1 (ko) * | 2005-01-19 | 2007-08-13 |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 해안 구조물의 인명 보호 구조체 |
KR20060133898A (ko) * | 2006-06-19 | 2006-12-27 | 이혜옥 | 폐플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내장하는 도로경계블록 |
KR101116628B1 (ko) * | 2009-05-07 | 2012-03-07 | 박진영 |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
KR20120010289A (ko) | 2010-07-24 | 2012-02-03 | 주식회사 비즈코리아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 도로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합성수지 도로경계석 |
-
2018
- 2018-11-16 KR KR1020180141685A patent/KR1022727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2416Y1 (ko) * | 2000-06-16 | 2000-11-15 | 김봉근 | 도로 조경용 경계석 |
KR200362068Y1 (ko) * | 2004-07-01 | 2004-09-16 | 택산산업개발(주) |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경계블록 |
KR100736388B1 (ko) * | 2006-02-08 | 2007-07-06 | 이은혜 | 다기능 도로 경계석 |
KR100905322B1 (ko) * | 2009-02-21 | 2009-07-02 | (주) 부경종합기술단 | 식재형 경계블록의 받침대 |
KR100986930B1 (ko) * | 2009-10-14 | 2010-10-08 | 최구호 | 조경수 식재가 가능한 경계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7379A (ko) | 2020-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16780B2 (en) | Post sleeve assembly | |
KR102272793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
US9157197B2 (en) | Functional roa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39264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도로경계석 | |
KR20120135711A (ko) |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16628B1 (ko) |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 |
KR100736388B1 (ko) | 다기능 도로 경계석 | |
KR101283346B1 (ko) |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 |
KR101579580B1 (ko) |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 |
KR101252539B1 (ko)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
CN214530003U (zh) | 一种彩色路面铺装模块 | |
KR200472648Y1 (ko)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
KR200399087Y1 (ko) | 보도블록 | |
KR200416851Y1 (ko) | 주차 안내 블록 | |
US12054895B1 (en) | Composite epoxy-concrete paver with enhanced durability and aesthetic appeal | |
KR101406295B1 (ko) | 경계석 | |
KR101778586B1 (ko) | 빗물침투형 인도와 차도의 칼라 경계석 및 그 경계석을 이용한 포장 시공방법 | |
KR100514660B1 (ko) | 폐타이어 고무칩과 세골재를 이용한 고무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
CN211665460U (zh) | 一种剪纸纹路的景观铺砖 | |
CN2910997Y (zh) | 生态透水砖 | |
KR20060133895A (ko) | 폐프라스틱을 이용하고 발광부재를 갖는 중앙분리블럭 | |
KR102258398B1 (ko) | 보도경계블록. | |
CN101274447A (zh) | 彩色混凝土侧石专用塑料组合模具 | |
KR20070011899A (ko) |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11171Y1 (ko) | 경계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