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48Y1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Google Patents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2648Y1 KR200472648Y1 KR2020120002861U KR20120002861U KR200472648Y1 KR 200472648 Y1 KR200472648 Y1 KR 200472648Y1 KR 2020120002861 U KR2020120002861 U KR 2020120002861U KR 20120002861 U KR20120002861 U KR 20120002861U KR 200472648 Y1 KR200472648 Y1 KR 2004726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ne
- flooring
- mixed
- cement
- s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natural stones, e.g. sett 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분과 시멘트, 모래 등을 혼합하여 만든 석재로 바닥재를 형성하고 상기 석분이 혼합된 바닥재의 상부에 석재 플레이트를 부착 성형하여 바닥을 견고하게 하고 투수성과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성형된 바닥재 몸체(10)의 상부 내측부에 복수개의 수납부(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투수공(16)이 형성되며 좌우측면부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각각 끼워져서 성형되는 석재 플레이트(104)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 고정하도록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0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는 다양한 크기와 색감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으므로 조경용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고, 변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 조경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여 수요자의 요구가 향상됨과 동시에 투수성이 우수하여 물이 고이거나 침수될 염려가 없으며, 지반의 침하가 방지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그로 인한 비용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강암, 화산암, 대리석, 자갈 등의 석재를 이용하여서 제품의 내구성과 견고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안료를 혼합하여 공원, 아파트, 공공시설에 맞추어 색상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의 자연석 칼라 자갈들을 부가하여 이용하여서 건물 및 주변환경의 조경을 우수하게 표현할 수 있음으로 미려함이 우수하게 표현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성형된 바닥재 몸체(10)의 상부 내측부에 복수개의 수납부(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투수공(16)이 형성되며 좌우측면부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각각 끼워져서 성형되는 석재 플레이트(104)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 고정하도록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0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는 다양한 크기와 색감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으므로 조경용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고, 변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 조경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여 수요자의 요구가 향상됨과 동시에 투수성이 우수하여 물이 고이거나 침수될 염려가 없으며, 지반의 침하가 방지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그로 인한 비용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강암, 화산암, 대리석, 자갈 등의 석재를 이용하여서 제품의 내구성과 견고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안료를 혼합하여 공원, 아파트, 공공시설에 맞추어 색상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의 자연석 칼라 자갈들을 부가하여 이용하여서 건물 및 주변환경의 조경을 우수하게 표현할 수 있음으로 미려함이 우수하게 표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분과 시멘트, 모래 등을 혼합하여 만든 석재로 바닥재를 형성하고 상기 석분이 혼합된 바닥재의 상부에 석재 플레이트를 부착 성형하여 바닥을 견고하게 하고 투수성과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교통산업이 발달하면서 인구와 물자의 이동이 급증하였으며, 이로인하여 각종 산업 폐기물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산업 폐기물의 처리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차량의 폐타이어는 연간 공급되는 차량의 수가 증가하면서 배출되는 양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소각 등 폐기 처분할 경우 유독가스가 배출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폐타이어를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공원, 공공시설, 아파트 놀이터, 아파트 단지의 주변 보도 및 인도 등 시멘트 및 콘크리트로 깔려 있던 바닥을 폐타이어를 이용한 바닥재를 이용하여 대체하는 지자체가 증가하였다.
또한, 조경용 바닥재로서는 상기와 같은 폐타이어 바닥재를 깔고 그 위에 나무 판재를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비용이 매우 고가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 및 탈색이 되어 흉물스럽게 변화되어서 조경용으로서의 바닥재의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투수성이 나빠서 눈 또는 비가 많이 오는 경우, 물이 고이거나 침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미관이 유려하지 못하고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갈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재는 잡석과 모래 위에 설치되는 경우,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와 사람들이 다니면서 하중이 지속적으로 바닥재에 가해져서 압력이 발생하므로 지반이 침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석분을 혼합한 석재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성형하므로서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물 고임현상이나 침수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색깔을 갖는 화강암, 화산암, 대리석 등의 석재를 부착시킴으로서 다양한 색감을 연출하고 장시간에 걸쳐서 변화가 적으며 사계절에 따른 온도변화 차이에도 갈라지거나 변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한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조경용으로 설치한 석재를 이용한 바닥재가 변색되지 않고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조경용으로 우수한 색감을 연출할 수 있는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성형된 바닥재 몸체(10)의 상부 내측부에 복수개의 수납부(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투수공(16)이 형성되며 좌우측면부에는 상기 바닥재 몸체(10)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에 안료를 더 혼합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성형되는 복수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각각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바닥재 몸체(10)에 의해 주변이 둘러싸이는 석재 플레이트(104)와;
좌우측부로 돌출된 고정편(20)과 상하부로 돌출된 간격 유지편(22)으로 형성되어 십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편(20)은 복수 개의 인접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복수 개의 인접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 고정하며, 상기 간격 유지편(22)은 복수 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복수 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클립(106);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각각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바닥재 몸체(10)에 의해 주변이 둘러싸이는 석재 플레이트(104)와;
좌우측부로 돌출된 고정편(20)과 상하부로 돌출된 간격 유지편(22)으로 형성되어 십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편(20)은 복수 개의 인접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복수 개의 인접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 고정하며, 상기 간격 유지편(22)은 복수 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복수 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클립(106);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는 다양한 크기와 색감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으므로 조경용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고, 변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 조경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여 수요자의 요구가 향상됨과 동시에 투수성이 우수하여 물이 고이거나 침수될 염려가 없으며, 지반의 침하가 방지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그로 인한 비용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강암, 화산암, 대리석, 자갈 등의 석재를 이용하여서 제품의 내구성과 견고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종류의 안료를 혼합하여 공원, 아파트, 공공시설에 맞추어 색상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의 자연석 칼라 자갈들을 부가하여 이용하여서 건물 및 주변환경의 조경을 우수하게 표현할 수 있음으로 미려함이 우수하게 표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결합되는 클립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결합되는 클립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고안은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성형하고 내측부에 복수개의 수납부(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투수공(16)이 형성되며 좌우측부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 고정하도록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클립(10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는 석분 30%와, 시멘트 20%와, 모래 50%를 섞어서 혼합하고 안료를 상기 시멘트의 5%내외로 혼합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에 결합되는 클립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여 보면, 우선, 본 고안의 이중 바닥재(100)는 복수개의 수납부(12)가 형성된 바닥재 몸체(10)를 구비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부착 성형되는 복수개의 석재 플레이트(104)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들 사이에는 클립(106,107)이 각각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클립(106,107)들은 석재 혼합 바닥재(102)간에 설치되어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침하를 방지하고,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상부 모서리 부분이 서로 맞닿아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이중 바닥재(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바닥재 몸체(1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재 몸체(10)의 내측부에는 사각형상의 수납부(12)가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12)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석재 플레이트(104)가 각각 대응하여 부착 성형된다.
상기 바닥재 몸체(10)의 좌우측면부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14)에는 복수개의 클립(106)이 끼워져서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투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수공(16)은 상기 석재 플레이트(104)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투수공(16)을 통해서 물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는 상기 석재 플레이트(104)가 각각 삽입되고 고정되는바, 상기 이중 바닥재(100)는 소정의 금형에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상기 석재 플레이트(104)의 원료를 채우고 프레스로 가압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중 바닥재(100)는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소정의 금형에 먼저 투입하여 성형한 후, 상기 성형된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상기 석재 플레이트(104)를 2차로 투입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성형한다.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석재 플레이트(104)를 부착 성형하기 위한 접착제로는 에폭시 접착제 또는 콘크리트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 가공한다.
상기 석재 플레이트(104)는 사각형, 다각형상 등의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재질로는 화강석, 화산암, 대리석, 점판암 등의 석재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재 몸체(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투수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재 몸체(10) 일측면부에는- 바람직하기로는 좌우측면에는 고정홈(14)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14)에는 클립(106)이 각각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클립(106)은 십자형상의 몸체(24)로 이루어져 있고, 좌우측부로 돌출된 고정편(20)과, 상하부로 돌출된 간격유지편(22)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부로 돌출된 고정편(20)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끼워져서 고정되고 2개 이상의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 사이에 고정되는 클립(106)의 간격유지편(22)은 석재 혼합 바닥재(102)들 간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 간에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클립(106)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거나 그 높이를 높게 하거나 작게 하는 등의 크기 조절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사양은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 되어서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클립(107)을 보여준다.
상기 클립(107)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14)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 바닥재(100)는 상기 석재 플레이트(104)가 상부로 돌출되어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 나아가서는 그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면과 동일한 위치에 석재 플레이트(104)가 오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고 실시할 수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는 석분 30%, 시멘트19-20%, 모래 50%, 안료(시멘트의 5% 내외)로 혼합되어 성형된다.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는 석재, 석재분, 자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다양한 자연석 색상을 갖는 칼라 자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칼라 자갈은 에폭시를 이용하여 부착 성형된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석재를 사용하였으나 더 나아가서는 화강석 가루 또는 황토 가루 등 다양한 석재 가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도 7 및 도 8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내측부에 복수개의 사각형상의 석재 플레이트(104)를 부착 성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는 한장의 석재 플레이트(104)를 부착 성형할 수 있음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실시 가능하다 할 것이고, 이러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본원고안의 권리 범위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바닥재 몸체 12 : 수납부
14 : 고정홈 16 : 투수공
18 : 몸체 20 : 고정편
22 : 간격 유지편
100 : 이중 바닥재 102 : 석재 혼합 바닥재
104 : 석재 플레이트 106,107 : 클립
14 : 고정홈 16 : 투수공
18 : 몸체 20 : 고정편
22 : 간격 유지편
100 : 이중 바닥재 102 : 석재 혼합 바닥재
104 : 석재 플레이트 106,107 : 클립
Claims (2)
-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성형된 바닥재 몸체(10)의 상부 내측부에 복수개의 수납부(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투수공(16)이 형성되며 좌우측면부에는 상기 바닥재 몸체(10)의 깊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석분과 시멘트와 모래에 안료를 더 혼합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성형되는 복수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와;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부(12)에 각각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상기 석재 혼합 바닥재(102)의 바닥재 몸체(10)에 의해 주변이 둘러싸이는 석재 플레이트(104)와;
좌우측부로 돌출된 고정편(20)과 상하부로 돌출된 간격 유지편(22)으로 형성되어 십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편(20)은 복수 개의 인접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복수 개의 인접한 석재 혼합 바닥재(102)를 서로 연결 고정하며, 상기 간격 유지편(22)은 복수 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 사이에 끼워져 상기 복수 개의 석재 혼합 바닥재(102)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클립(106);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861U KR200472648Y1 (ko) | 2012-04-07 | 2012-04-07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861U KR200472648Y1 (ko) | 2012-04-07 | 2012-04-07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024U KR20130006024U (ko) | 2013-10-16 |
KR200472648Y1 true KR200472648Y1 (ko) | 2014-05-14 |
Family
ID=5148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2861U KR200472648Y1 (ko) | 2012-04-07 | 2012-04-07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264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067B1 (ko) | 2015-10-19 | 2017-01-06 | 강계수 | 그래핀을 함유한 실내 난방용 전도성 바닥재 및 그 바닥재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845B1 (ko) | 2022-04-06 | 2024-07-01 | 신성균 | 피라미드형 정자 바닥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0807A (ja) * | 1994-05-09 | 1995-11-14 | Hayashi Prod Corp | ブロック体連結構造 |
-
2012
- 2012-04-07 KR KR2020120002861U patent/KR20047264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0807A (ja) * | 1994-05-09 | 1995-11-14 | Hayashi Prod Corp | ブロック体連結構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067B1 (ko) | 2015-10-19 | 2017-01-06 | 강계수 | 그래핀을 함유한 실내 난방용 전도성 바닥재 및 그 바닥재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024U (ko)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L70588Y1 (pl) | Uniwersalny element budowlany | |
KR200472648Y1 (ko) |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 |
KR101266082B1 (ko) |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 |
KR101972320B1 (ko) | 다용도 조립형 보도 블록 | |
US20090129864A1 (en) | Cementitious paver | |
KR20080114297A (ko) | 소하천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20140005626U (ko) | 화강석 석분을 이용한 이중 바닥재 | |
KR20130037927A (ko) |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 |
JP4300232B2 (ja) | コンクリート床構造 | |
KR20170111622A (ko) |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78965B1 (ko) | 건설용 석재블록 | |
KR20140000204U (ko) | 화강석 석분을 이용한 이중 바닥재 | |
KR20140138552A (ko) | 화강석 석분을 이용한 이중 바닥재 | |
KR102510418B1 (ko) |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97120B1 (ko) | 투수형 현무암 인조 판석과 그 제조방법 | |
KR101579580B1 (ko) |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 |
JP4402089B2 (ja) | 床材 | |
KR102272793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
KR20140002312U (ko) | 이중 바닥재 | |
KR20090008925A (ko) | 격자망을 가지는 보도용 포장 구조체 | |
JP3141199U (ja) | 歩道用路板材 | |
KR200413509Y1 (ko) | 수로용 식생 블록 | |
TWM514489U (zh) | 透水化妝蓋 | |
KR101019180B1 (ko) | 줄눈 일체형 블록 | |
CN209011087U (zh) | 一种河道防渗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