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418B1 -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418B1
KR102510418B1 KR1020200171840A KR20200171840A KR102510418B1 KR 102510418 B1 KR102510418 B1 KR 102510418B1 KR 1020200171840 A KR1020200171840 A KR 1020200171840A KR 20200171840 A KR20200171840 A KR 20200171840A KR 102510418 B1 KR102510418 B1 KR 10251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cutting
molded body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198A (ko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흥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덕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덕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4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cutting the moulded article into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한 복수의 블록 성형체에 접촉 충격으로 절단하여 자연석의 표면을 일률적으로 가공함과 동시에 제품을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생산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식재영역을 조성할 수 있게 상하로 관통된 식재공을 형성하며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방에 옹벽을 형성하게 전면을 이루는 절단가공면을 형성 가능하되,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로 이루어진 스플릿절단부;를 포함하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Split Retaining Wall Block Having Nature Stone Su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성형한 복수의 블록 성형체에 접촉 충격으로 절단하여 자연석의 표면을 일률적으로 가공함과 동시에 제품을 신속하면서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이나 주택단지 조성,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각종 토목공사의 시행과정에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상의 유실로 인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옹벽은 다양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으나, 성토지에서는 블록의 후면에 연결된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가 뒤채움 토사에 의해 받는 하중으로 블록의 횡 방향 변위를 억제하도록 시공하는 옹벽 시공방법을 널리 적용하고 있고, 절개지에서는 블록과 지중볼트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을 널리 적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옹벽의 시공시에는 옹벽블록을 이용하게 되는데, 옹벽블록은 골재와 시멘트를 적절한 혼합비로 혼합한 몰탈을 이용하여 성형, 양생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옹벽블록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63402호(2004.09.20.)에는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한 조의 연결벽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각 연결벽의 사이공간에는 중공부가 마련된 블럭본체; 상기 전면벽체의 상부면에 구비된 돌출턱; 상기 돌출턱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면벽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각 연결벽의 하부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설치홈; 상기 배면벽체와 각 연결벽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된 지오그리드; 및 상기 지오그리드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상기 삽입홈에 설치된 지지바; 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블럭 간에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옹벽블럭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옹벽블록의 전체 면이 성형 양생된 그대로를 유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질감이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하고 미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31180호(2005.11.19.)에는 배근된 철근에 결합공을 형성한 연결앵글이 다수 개 용접·고정된 철근조립체가 매입되고, 전면에는 일정 크기의 자연석과 그 사이를 부순 모래 및 왕사를 충진하여 형성된 콘크리트물로서, 양측의 가장자리 중앙 부분에 사다리꼴 형상의 요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한 직육면체의 형상의 판블록과 양단에 다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한 결합용 앵글이 다수개 구비되어, 이들 판블록 두 개가 일정한 거리로 서로 마주보고, 각 연결앵글에 결합용 앵글이 체결기구에 의해 고정된 옹벽블록이 구성되어, 이를 조적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옹벽블록을 쌓으면서 판블록 간의 구속력을 주도록 구성함에 따라 전면에 자연석이 드러나 외관이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주는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531180호의 경우에는 자연석에 의한 자연미를 구현할 수 있지만, 자연석의 가공공정 및 별도의 조립공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제품의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402호 (2004.09.20.)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31180호 (2005.11.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단 가공영역을 구비한 대칭 구조의 옹벽블록을 일괄적으로 성형 생산하면서 절단 가공영역에 접촉 충격을 가해 자연석 표면을 조성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우수한 자연미를 구현하며,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은 내부에 식재영역을 조성할 수 있게 상하로 관통된 식재공을 형성하며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방에 옹벽을 형성하게 전면을 이루는 절단가공면을 형성 가능하되,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로 이루어진 스플릿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플릿절단부에는 골재에 색채 성분의 혼합물을 혼입하여 색상을 갖는 절단가공면을 형성한다.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되, 상기 스플릿절단부의 절단가공면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 구조를 이루며 일체로 구성하는 블록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성형체의 상단에는 상기 스플릿절단부의 절단가공면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절단가이드홈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은 (a)내측에 옹벽블록의 형상을 갖되 옹벽블록 2개가 대칭 구조로 한 쌍을 이루는 블록성형체의 성형공간이 구비된 성형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b)상기 성형몰드 내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타설하는 단계와; (c)상기 성형몰드 내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되, 식재공 및 돌기부, 절단가이드홈이 형성된 블록성형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d)상기 (c)단계에서 성형된 블록성형체를 상기 성형몰드로부터 분리하도록 탈형하는 단계와; (e)상기 블록성형체를 연속 이송하면서 상기 절단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촉 충격을 가해 자연석 표면의 절단가공면을 갖는 2개의 옹벽블록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몰드의 성형공간 중 옹벽블록의 절단가공면이 성형되는 절단 가공영역의 콘크리트 골재를 구분 투입하되,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를 투입하여 타설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b)단계에서 절단 가공영역의 콘크리트 골재에 색채 성분의 혼합물을 혼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블록성형체의 절단 가공 이전에 상기 블록성형체에 대응하여 양쪽 측 방향에서 푸쉬하면서 접촉 지지하여 절단 가공위치를 맞추게 정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블록성형체에 접촉 충격을 가해 2개의 자연석 표면을 갖는 옹벽블록으로 스플릿 절단하므로,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제조가 간단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제품의 품질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은 옹벽블록의 절단가공면을 성형하는 영역에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구성하므로, 접촉 충격에 따른 원활한 분리작용은 물론 절단가공면의 천연성을 보다 가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의 일실시예에서 블록성형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의 일실시예에서 블록성형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서 (e)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내부에 식재영역을 조성할 수 있게 상하로 관통된 식재공을 형성하며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하는 옹벽블록에 있어서, 전방에 옹벽을 형성하게 전면을 이루는 절단가공면을 형성 가능하되,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로 이루어진 스플릿절단부;를 포함하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a)내측에 옹벽블록의 형상을 갖되 옹벽블록 2개가 대칭 구조로 한 쌍을 이루는 블록성형체의 성형공간이 구비된 성형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b)상기 성형몰드 내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타설하는 단계와; (c)상기 성형몰드 내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되, 식재공 및 돌기부, 절단가이드홈이 형성된 블록성형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d)상기 (c)단계에서 성형된 블록성형체를 상기 성형몰드로부터 분리하도록 탈형하는 단계와; (e)상기 블록성형체를 연속 이송하면서 상기 절단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촉 충격을 가해 자연석 표면의 절단가공면을 갖는 2개의 옹벽블록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식재영역을 조성할 수 있게 상하로 관통된 식재공(11)을 형성하며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3)를 형성하는 옹벽블록(10)에 있어서, 스플릿절단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스플릿 옹벽블록(10)은 전체적으로 전면 및 후면, 좌우 측면,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식재공(11)은 상하면을 관통 형성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도 1에는 2개)을 구비토록 형성한다.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의 측면에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플릿 옹벽블록(10) 간에 상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돌기(15) 및 결합홈(17)을 형성한다. 즉,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의 한쪽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5)를 형성하고,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의 반대쪽 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결합홈(17)을 형성하여 좌우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옹벽블록(10) 간에 결합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의 전방 양측에는 요철형태를 이루어 입체적 문양을 형성하므로, 옹벽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면서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플릿절단부(20)는 천연석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질감의 절단면을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플릿절단부(2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에 옹벽을 형성하게 노출된 전면을 이루는 절단가공면(21)을 형성한다.
상기 스플릿절단부(20)는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에서 상기 절단가공면(21)을 형성하기 위한 구분된 골재입자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플릿절단부(20)는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플릿절단부(20)의 골재는 골재입자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입자크기를 혼합 적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스플릿절단부(20)는 골재를 5~9㎜, 10~14㎜, 15~19㎜로 입자크기별 구분하고, 입자별 골재를 고루 혼합 적용하여 조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플릿절단부(20)에는 골재에 색채 성분의 혼합물을 혼입하여 색상을 갖는 절단가공면(21)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스플릿절단부(20)의 절단가공면(21)을 조성하는 골재의 색채 성분으로는 내광성 및 내열성을 갖는 무기안료를 사용한다.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가 한 쌍을 이루게 구성한다. 즉,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은 상기 스플릿절단부(20)가 일체를 이루되, 상기 스플릿절단부(20)의 절단가공면(21)을 기준으로 전후 대칭 구조를 이루며 일체로 구성하는 블록성형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성형체(100)에는 상단에 상기 스플릿절단부(20)의 절단가공면(21)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절단가이드홈(110)을 구성한다. 즉, 상기 블록성형체(100)는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 2개가 일체를 이루게 구성하되,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에 접촉 충격을 가하여 절단함에 따라 상기 스플릿절단부(20)의 절단가공면(21)을 갖는 2개의 상기 스플릿 옹벽블록(10)을 구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몰드를 준비하는 (a)단계(S10)와, 콘크리트 타설하는 (b)단계(S20)와, 양생 및 성형하는 (c)단계(S30)와, 성형몰드로부터 탈형하는 (d)단계(S40)와, 옹벽블록(10)으로 절단하는 (e)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단계(S10)에서는 옹벽블록(10)을 성형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이루는 성형몰드를 준비한다.
상기에서 성형몰드는 내측에 성형대상인 옹벽블록(10)의 형상을 갖는 성형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옹벽블록(10) 2개가 대칭 구조로 놓여 한 쌍을 이루는 블록성형체(100)의 성형공간이 구비된 성형몰드를 준비한다.
상기 (b)단계(S20)에서는 상기 (a)단계(S10)에서 준비된 상기 성형몰드 내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타설한다.
상기에서 콘크리트 골재를 투입함에는 전후로 구분된 골재입자의 골재를 구분하여 투입한다. 즉, 상기 성형몰드의 성형공간에서 상기 옹벽블록(10) 중 후방을 이루는 영역에는 일반적인 옹벽블록(10)의 콘크리트 입자를 적용하여 투입하고, 상기 성형몰드의 성형공간 중 옹벽블록(10)의 절단가공면(21)이 성형되는 절단 가공영역의 콘크리트 골재를 구분 투입하되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를 투입하여 타설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b)단계(S20)에서는 투입하는 절단 가공영역의 콘크리트 골재로는 해당 골재입자의 범위 내에서 5~9㎜, 10~14㎜, 15~19㎜ 입자크기별로 구분 준비하고, 입자별 골재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절단 가공영역에 콘크리트 골재를 타설함에는 전체적인 콘크리트 골재를 타설할 때 일괄적으로 타설한다.
또한, 상기 (b)단계(S20)에서는 절단 가공영역의 콘크리트 골재에 색채 성분의 혼합물을 혼입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색채 성분의 혼합물이 혼합된 콘크리트 골재는 절단 가공영역에 콘크리트 골재를 투입할 때 절단가공면(21) 측에 집중적으로 투입한다.
상기에서 색채 성분의 혼합물은 내광성 및 내열성을 갖는 무기안료를 사용한다.
상기 (c)단계(S30)에서는 상기 성형몰드 내 타설된 콘크리트가 성형체로 굳어질 수 있게 양생하여 2개의 옹벽블록(10)이 일체를 이루는 블록성형체(100)를 성형한다.
상기 (c)단계(S30)에서는 식재공(11) 및 돌기부(13), 절단가이드홈(110)이 형성된 블록성형체(100)를 성형한다.
상기 (d)단계(S40)에서는 상기 (c)단계(S30)에서 성형된 블록성형체(100)를 상기 성형몰드로부터 분리하도록 탈형한다.
상기 (d)단계(S40)에서 상기 성형몰드가 분리된 상기 블록성형체(100)는 다음 공정인 상기 (e)단계(S50)를 향해 연속해서 자동 이동시킨다.
상기 (e)단계(S50)에서는 상기 블록성형체(100)에 접촉 충격을 가해 옹벽블록(10)을 절단한다.
상기 (e)단계(S50)에서는 상기 블록성형체(100)를 연속 이송하면서 자동으로 절단가공하되, 상기 블록성형체(100) 중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촉 충격을 가하므로, 자연석 표면의 절단가공면(21)을 갖는 2개의 옹벽블록(10)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e)단계(S50)에서는 상기 블록성형체(100)의 절단 가공 이전에 상기 블록성형체(100)에 대응하여 양쪽 측 방향에서 푸쉬하면서 접촉 지지하여 절단 가공위치를 맞추게 정렬한다. 즉, 상기 블록성형체(100)를 절단 가공할 때 상기 블록성형체(100)의 절단가이드홈(110)이 접촉 충격이 가해지는 위치로 가공위치를 맞춰 정렬시킨다.
상기 (e)단계(S50)에서 상기 블록성형체(100)를 절단 가공함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을 향한 상부 절단날(C1)의 하강 접촉으로 충격을 가하되, 상기 블록성형체(100)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탄력적 구조로 지지함에 따라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을 향해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블록성형체(100)가 자연히 하강하며, 하부 절단날(C2)에 상기 블록성형체(100)의 하부가 접촉하면서 충격이 가해져 상기 블록성형체(100)를 절단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블록성형체에 접촉 충격을 가해 2개의 자연석 표면을 갖는 옹벽블록으로 스플릿 절단하므로,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제조가 간단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하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제품의 품질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옹벽블록의 절단가공면을 성형하는 영역에 골재입자가 5~19㎜인 골재만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구성하므로, 접촉 충격에 따른 원활한 분리작용은 물론 절단가공면의 천연성을 보다 가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옹벽블록 11 : 식재공
13 : 돌기부 15 : 결합돌기
17 : 결합홈 20 : 스플릿절단부
21 : 절단가공면 100 : 블록성형체
110 : 절단가이드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내측에 성형대상인 옹벽블록(10)의 형상을 갖는 성형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옹벽블록(10) 2개가 대칭 구조로 한 쌍을 이루는 블록성형체(100)의 성형공간이 구비된 성형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성형몰드 내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타설하되, 상기 옹벽블록(10) 중 후방을 이루는 영역에는 일반적인 옹벽블록의 콘크리트 골재를 투입하고, 상기 성형몰드의 성형공간 중 옹벽블록(10)의 절단가공면(21)이 성형되는 절단 가공영역에는 골재입자가 5~19㎜인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타설하는 단계와;
    (c) 상기 성형몰드 내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되, 식재공(11) 및 돌기부(13), 절단가이드홈(110)이 형성된 블록성형체(100)를 성형하는 단계와;
    (d) 상기 성형된 블록성형체를 상기 성형몰드로부터 분리하도록 탈형하는 단계와;
    (e) 상기 탈형된 블록성형체(100)를 연속 이송하면서 자동으로 상기 블록성형체(100) 중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촉 충격을 가하여 자연석 표면의 절단가공면(21)을 갖는 2개의 옹벽블록(10)으로 절단하되,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을 향한 상부 절단날(C1)의 하강 접촉으로 충격을 가하게 되면, 상기 블록성형체(100)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탄력적 구조로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절단가이드홈(110)을 향해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블록성형체(100)가 자연히 하강하여 하부 절단날(C2)에 상기 블록성형체(100)의 하부가 접촉하면서 충격이 가해져 상기 블록성형체(100)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절단 가공영역의 콘크리트 골재에 색채 성분의 혼합물을 혼입하도록 이루어지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블록성형체(100)의 절단 가공 이전에 상기 블록성형체에 대응하여 양쪽 측 방향에서 푸쉬하면서 접촉 지지하여 절단 가공위치를 맞추게 정렬하도록 이루어지는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제조방법.
KR1020200171840A 2020-12-10 2020-12-10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51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840A KR102510418B1 (ko) 2020-12-10 2020-12-10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840A KR102510418B1 (ko) 2020-12-10 2020-12-10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198A KR20220082198A (ko) 2022-06-17
KR102510418B1 true KR102510418B1 (ko) 2023-03-16

Family

ID=8226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840A KR102510418B1 (ko) 2020-12-10 2020-12-10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788B1 (ko) * 2023-12-01 2024-05-10 구춘원 환경친화형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315A (ja) 1998-12-25 2000-07-11 Kei:Kk サンドイッチ状積層化粧ブロックの成形方法及びその型枠
JP2004515380A (ja) 2000-10-19 2004-05-27 アンカー ウォール システムズ,インク. メーソンリーブロック分割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42B2 (ja) * 1990-04-09 1994-01-19 特殊ブロック事業協同組合 スプリッ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363402Y1 (ko) 2004-06-18 2004-10-01 김방모 옹벽블럭
KR100531180B1 (ko) 2004-10-07 2005-11-29 (주)대풍산업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1827B1 (ko) * 2009-05-14 2011-06-17 주식회사 하렉스엔지니어링 스플리트 가공작업을 겸한 콘크리트 블럭 야적용 큐빙장치
KR101114954B1 (ko) * 2009-05-25 2012-03-06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77949B1 (ko) * 2009-09-21 2011-10-28 문관회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1603054B1 (ko) * 2014-04-04 2016-03-14 주식회사 한본산업 무정형 마블 무늬를 갖는 옹벽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정형 마블 무늬를 갖는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315A (ja) 1998-12-25 2000-07-11 Kei:Kk サンドイッチ状積層化粧ブロックの成形方法及びその型枠
JP2004515380A (ja) 2000-10-19 2004-05-27 アンカー ウォール システムズ,インク. メーソンリーブロック分割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198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526A (en) Mold device for forming concrete pathways
US20180371705A1 (en)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US7674067B2 (en)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US20110293873A1 (en)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US10760267B2 (en)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an interlocking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US11958211B2 (en) Block, block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lock
US20210395971A1 (en) Method of making molded concrete blocks having simulated brick or stone outer surfaces
KR102510418B1 (ko)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1335355A (zh) 一种异型块后浇式轻型挡土墙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102214348B1 (ko) 개량형 pc패널유닛 제조 장치
KR101267859B1 (ko) 자연석 표면을 갖는 절토 또는 성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KR100418448B1 (ko) 자연석을 이용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324A (ko) 건식공법에 의한 공동구 뚜껑의 제조방법
KR20210117009A (ko) 울타리용 콘크리트 블록
CN112654478A (zh) 用于制造混凝土砌块的装置
KR102390723B1 (ko)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제조방법
KR101181890B1 (ko)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CA2627851C (en) Landscaping system
KR20240078725A (ko) 보강토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옹벽용 콘크리트 블록
CN205766738U (zh) 一种市政预制桥墩用造型模板
JPS6011171Y2 (ja) 法止型枠
JPS6332842Y2 (ko)
JPH10258407A (ja) 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