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954B1 -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954B1
KR101114954B1 KR1020090045555A KR20090045555A KR101114954B1 KR 101114954 B1 KR101114954 B1 KR 101114954B1 KR 1020090045555 A KR1020090045555 A KR 1020090045555A KR 20090045555 A KR20090045555 A KR 20090045555A KR 101114954 B1 KR101114954 B1 KR 101114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arble
block
morta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050A (ko
Inventor
이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9004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된다. 이러한 블록은 일반 모르타르 및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각각 제조하고,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성형몰드의 중간부에 투입하는 동시에 일반 모르타르를 성형몰드의 양단부에 투입하고, 성형몰드내의 원료를 진동 및 가압하여 중간부 및 양단부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 및 일반 모르타르가 각각 형성된 블록 성형체를 성형 및 양생하고 블록 성형체의 중간부를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분리 블록으로 제조된다.
일반 모르타르, 인조대리석 모르타르, 성형몰드

Description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BLOCK HAVING ARTIFICIAL MARBLE BOARD SU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조대리석이 성형된 중간부를 절단하여 제조되는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대리석은 그 자체가 지니는 문양과 질감으로 인해 최고급 건축재로 널리 쓰인다.
천연 대리석은 생산량이 제한되고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천연 대리석의 느낌이 나는 인조대리석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는 콘크리트 보도블록의 표면에 인조 대리석층을 성형한 기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경우, 블록제조용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재료(11)를 형틀에 투입하고, 투입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재료(11)에 진동을 가해 다지고, 그 위에 인조석용 재료(12)를 투입하여 진동을 가해 다진 후, 프레스로 가압 성형하고 양생하여 인조석층이 구비된 보도블록(10)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블록제조용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재료를 투입하여 다진 후 인조석용 재료를 투입하기 때문에, 이들 경계면에 대한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하나의 보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재료투입, 진동, 가압, 양생 순으로 진행되는 1회 성형 사이클이 필요한 바, 많은 수의 블록을 제조하려면 그 수 만큼의 성형 사이클의 반복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따라서, 그에 따른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성형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상,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대리석이 성형된 블록 성형체의 중간부를 절단하여 표면에 인조대리석이 형성되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의 제조방법은, 일반 모르타르 및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각각 제조하는 원료 제조단계와, 상기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성형몰드의 중간부에 투입하는 동시에 상기 일반 모르타르를 상기 성형몰드의 양단부에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와, 상기 성형몰드내의 원료를 진동 및 가압하여 중간부 및 양단부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 및 일반 모르타르가 각각 형성된 블록 성형체를 성형하는 블록 성형체 성형단계와, 성형된 블록 성형체를 양생하는 단계와, 블록 성형체의 중간부를 양생 후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한 쌍의 분리 블록을 성형하는 분리 블록 성형단계와, 분리된 한 쌍의 분리 블록의 절단면을 다듬는 표면 마감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2mm 골재 0.4~0.6 중량부, 2~6mm 골재 0.6~1 중량부, 7~13mm 골재 1~1.4 중량부, 석분 또는 모래 0.4~0.8중량부, 시멘트 0.5~0.8 중량부, 플라이 애쉬 0.2~0.4 중량부, 나머지 시멘트안료, 및 기타 혼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블록 성형체 성형 단계는, 상기 중간부의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중심으로 양단부에 일반 모르타르가 대칭되는 모양으로 블록 성형체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은, 중간부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가 성형되고 양단부에 일반 모르타르가 대칭되게 성형된 블록 성형체에서, 상기 블록 성형체의 중간부를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분리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2mm 골재 0.4~0.6 중량부, 2~6mm 골재 0.6~1 중량부, 7~13mm 골재 1~1.4 중량부, 석분 또는 모래 0.4~0.8중량부, 시멘트 0.5~0.8 중량부, 플라이 애쉬 0.2~0.4 중량부, 나머지 시멘트안료, 및 기타 혼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블록 성형체의 중간부에는 상기 블록 성형체의 양단부가 대칭되게 절단되도록 절개 라인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성형 사이클에서 두 개의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럭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곱게 절단되는 블록 성형체의 인조대리석 성형 부분이 블록의 표면에 구성되므로, 부드러운 인조대리석 표면을 통해 미려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호퍼 및 성형몰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제조하기 전 상태인 블록 성형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조대리석이 성형된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를 절개하여 그 절단면에 인조대리석 표면이 형성된 한 쌍의 분리 블록(2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분리 블록(200)을 제조하기 위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통상의 일반 모르타르와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각각의 혼합기(331),(332)에서 혼합된 후 호퍼(310)에 동시 투입된다. 이때, 혼합기(331)에 혼합된 일반 모르타르는 통상의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모르타르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다른 혼합기(332)에서 혼합되는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2mm 골재 0.4~0.6 중량부, 2~6mm 골재 0.6~1 중량부, 7~13mm 골재 1~1.4 중량부, 석분 또는 모래 0.4~0.8중량부, 시멘트 0.5~0.8 중량부, 플라이 애쉬 0.2~0.4 중량부, 나머지 시멘트안료, 및 기타 혼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구성함에 있어서, 골재, 석분 또는 모래, 시멘트, 플라이 애쉬, 시멘트안료, 및 기타 혼화제 등은 각각 독자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 특성을 살리면서, 그리고 인조대리석의 특성을 유지하고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조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적절한 조합비를 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쳤으며, 그 결과 상기 비율의 구성이 가장 적합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특히,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요소가 상기의 함량비보다 크게 되면, 다시 말해 물 중량부가 상기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면, 블록 성형시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유압에 의해 퍼지게 되면서 제대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고,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요소가 상기의 함량비보다 작게 되면, 다시 말해 물 중량부가 상기 기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되면, 블록 성형시 인조대리석 모르타르에는 기포가 많이 발생되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아울러, 인조대리석으로서 천연대리석과 유사한 질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적정 크기의 골재가 인조대리석 모르타르에 골고루 혼합되어야 하는 바, 이를 고려하여 인조대리석을 구성하는 골재는, 1~2mm 골재 0.4~0.6 중량부, 2~6mm 골재 0.6~1 중량부, 및 7~13mm 골재 1~1.4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여기서, 특정 크기의 골재 함량이 상술한 함량비 미만이거나 초과하게 되면, 해당 크기의 골재 함량이 다른 크기의 골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거나 줄어들게 되고, 다른 구성 요소(시멘트, 플라이 애쉬, 혼화재...) 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석분 또는 모래는 0.4~0.8 중량부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해당 함량비를 벗어나게 되면 다른 구성 요소(시멘트, 플라이 애쉬, 혼화재...) 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시멘트는 점결의 목적과 강도조절을 위해 사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시멘트 0.5~0.8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 함량이 0.5 중량부이하이면 점결력과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0.8 중량부 이상이면 점결력과 강도는 향상되나 상대적으로 다른 물질이 적게 되므로 목적하는 질감의 인조대리석의 제조가 어렵다. 아울러, 플라이 애쉬는 0.2~0.4 중량부 사용되어 모르타르의 수화열을 억제하거나 응결 경화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혼화제로는 모르타르의 동결융해작용(凍結融解作用)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한 AE(Air-Entraining agent)제와, 물의 양을 대폭 절감하면서 고강도의 콘크리트를 구현하기 위한 고유동화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한편, 호퍼(310)에 투입된 원료 즉, 일반 모르타르와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호퍼(310)의 격벽(311)에 의해 안내되어,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성형몰드(320)의 중간부에 충진되고,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성형몰드(320)의 양단부에 각각 충진된다.
성형몰드(320)내에 충전된 원료는, 진동 및 가압과정을 통해 일반 모르타르 와 인조대리석 모르타르의 경계면이 서로 맞붙게 되면서 블록 성형체(100)로 성형된다. 즉, 블록 성형체(100)는 해당 중간부(110)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가, 해당 양단부(120)에 일반 모르타르가 서로 일체로 성형되는 구조이며, 이때,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에는 절개 라인홈(130)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개 라인홈(130)은 블록 성형체(100)의 절단시 절단기의 이동을 안내하여, 블록 성형체(100)의 양단부(120)가 대칭되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성형된 블록 성형체(100)는 양생 과정을 거치고, 블록 성형체(100)가 양생되면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는 절단기를 통해 절단된다. 이렇게 절단된 블록 성형체(100)는 그 절단면이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한 쌍의 분리 블록(200)으로 분리되며, 해당 절단면은 마감 처리 과정을 통해 다듬어 진다. 이와 같이 해당 양단부(120)가 중간부(11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블록 성형체(100)는, 절단기에 의해 두 개의 분리 블록(200),(200')으로 분리되므로, 상술한 1회 성형 사이클을 통해 두 개의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럭의 제조가 가능하다.
분리 블록(200)은 콘크리트부(120)와 이 콘크리트부(120)의 해당 전면에 형성되는 인조대리석부(1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콘크리트부(120)는 블록 성형체(100)의 양단부(120)와 동일한 구성이고, 인조대리석부(110)는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인조대리석부(110)는 블록 성형체(100)를 절단기에 의해 곱게 절단한 후 표면 마감처리를 하므로, 부드러운 인조대리석 표면을 통한 미려한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복수의 분리 블록(200)은 옹벽의 축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옹벽의 축조시에는 인조대리석 표면이 외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도 6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블록(200),(200')은 콘크리트부(120)와, 콘크리트부(120)의 전면 형성되는 전면 인조대리석부(110)와, 콘크리트부(120)의 양측면 형성되는 측면 인조대리석부(11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 모르타르 및 인조대리석 모르타르가 투입되는 호퍼(310)에는, 분리 블록(200),(200')의 측부에 인조대리석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벽(31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311) 및 절곡벽(311a)에 의해 둘러싸이는 호퍼(310)의 중간부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동시에, 호퍼(310)의 양단부에 일반 모르타르를 투입하면, 성형몰드(320)에 블록 성형체(100)가 충진되고, 이 블록 성형체(100)가 성형되어 절단되면, 분리된 분리 블록(200),(200')의 전면 및 측면에는 전면 인조대리석부(110) 및 측면 인조대리석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블록(200),(200')은 콘크리트부(120)와, 콘크리트부(12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 인조대리석부(111a)와, 콘크리트부(120)의 전면 타측에 형성되는 타측 인조대리석부(11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인조대리석부(111a)와 타측 인조대리석부(111b)는 서로 다른 질감을 갖는 인조대리석 표면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일측 인조대리석부(111a)와 타측 인조대리석부(111b)에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색상의 골재가 사용되거나, 서로 다른 시멘트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블록(200)의 일측 및 타측 인조대리석부(111a),(111b)는, 분리벽(311b)이 형성된 호퍼(31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호퍼(310)의 분리벽(311b)을 기준으로 일측 공간에는 분리 블록(200)의 일측 인조대리석부(111a)를 구성하는 인조대리석 모르타르가 투입되고, 호퍼(310)의 분리벽(311b)을 기준으로 타측 공간에는 분리 블록(200)의 타측 인조대리석부(111b)를 구성하는 인조대리석 모르타르가 투입된다. 이렇게 투입된 인조대리석 모르타르 및 일반 모르타르는 블록 성형체(100)로 성형되고, 블록 성형체(100)는 분리 블록(200),(200')으로 절단된다.
도 10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4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블 록(200),(200')은 콘크리트부(120)와, 콘크리트부(120)의 전면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인조대리석부(112a)와, 콘크리트부(120)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인조대리석부(1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인조대리석부(112a)와 상측 인조대리석부(112b)에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색상의 골재가 사용되거나, 서로 다른 시멘트안료가 사용되므로, 이들 하측 인조대리석부(112a) 및 상측 인조대리석부(112b)는 서로 다른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분리 블록(200)의 하측 인조대리석부(112a)를 구성할 인조대리석 모르타르와 일반 모르타르를, 먼저 호퍼(310)의 중간부와 양단부에 각각 투입한다. 그리고 분리 블록(200)의 상측 인조대리석부(112b)를 구성할 인조대리석 모르타르와 일반 모르타르를, 호퍼(310)의 중간부와 양단부에 각각 투입한다.
이와 같이, 시간 차를 두고 호퍼(310)에 투입된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서로 다른 질감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므로, 성형된 블록 성형체(100)를 절단하면, 해당 절단면에는 상,하층에 서로 다른 질감을 갖는 상측 인조대리석부(112a)와 하측 인조대리석부(11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호퍼 및 성형몰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제조하기 전 상태인 블록 성형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제4 실시예에 따른 호퍼 및 성형몰드 를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인조석층이 구비된 블록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블록 성형체
110 :블록 성형체의 중앙부(인조대리석부)
120 :블록 성형체의 양단부(콘크리트부)
200 :분리 블록

Claims (6)

  1. 일반 모르타르 및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각각 제조하는 원료 제조단계;
    상기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성형몰드(320)의 중간부에 투입하는 동시에 상기 일반 모르타르를 상기 성형몰드(320)의 양단부에 투입하는 원료 투입단계;
    상기 성형몰드(320)내 원료를 진동 및 가압하여 중간부(110) 및 양단부(120)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 및 일반 모르타르가 각각 형성된 블록 성형체(100)를 성형하는 블록 성형체 성형단계;
    성형된 블록 성형체(100)를 양생하는 단계;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를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한 쌍의 분리 블록(200)을 성형하는 분리 블록 성형단계; 및
    분리된 한 쌍의 분리 블록(200)의 절단면을 다듬는 표면 마감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2mm 골재 0.4~0.6 중량부, 2~6mm 골재 0.6~1 중량부, 7~13mm 골재 1~1.4 중량부, 석분 또는 모래 0.4~0.8중량부, 시멘트 0.5~0.8 중량부, 플라이 애쉬 0.2~0.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성형체(100) 성형단계는, 상기 중간부(110)의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를 중심으로 양단부(120)에 일반 모르타르가 대칭되는 모양으로 블록 성형체(100)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의 제조방법.
  4. 중간부(110)에 인조대리석 모르타르가 성형되고 양단부(120)에 일반 모르타르가 대칭되게 성형된 블록 성형체(100)에서, 상기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를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인조대리석으로 구성된 분리 블록(200)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조대리석 모르타르는 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2mm 골재 0.4~0.6 중량부, 2~6mm 골재 0.6~1 중량부, 7~13mm 골재 1~1.4 중량부, 석분 또는 모래 0.4~0.8중량부, 시멘트 0.5~0.8 중량부, 플라이 애쉬 0.2~0.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성형체(100)의 중간부(110)에는 상기 블록 성형체(100)의 양단부(120)가 대칭되게 절단되도록 절개 라인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KR1020090045555A 2009-05-25 2009-05-25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1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55A KR101114954B1 (ko) 2009-05-25 2009-05-25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55A KR101114954B1 (ko) 2009-05-25 2009-05-25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50A KR20100127050A (ko) 2010-12-03
KR101114954B1 true KR101114954B1 (ko) 2012-03-06

Family

ID=4350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555A KR101114954B1 (ko) 2009-05-25 2009-05-25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43B1 (ko) * 2011-09-30 2013-10-07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인조 라임스톤용 조성물
KR101603054B1 (ko) * 2014-04-04 2016-03-14 주식회사 한본산업 무정형 마블 무늬를 갖는 옹벽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정형 마블 무늬를 갖는 옹벽블록
KR20180042778A (ko) * 2016-10-18 2018-04-26 김한울 다양한 색상을 갖는 컬러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92848B1 (ko) * 2019-10-28 2020-03-24 서곤성 대리석 모사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205104B1 (ko) * 2020-07-23 2021-01-21 그린스톤주식회사 자연석 미감 판석 제조장치
KR102229417B1 (ko) * 2020-07-23 2021-03-19 그린스톤주식회사 자연석 미감을 갖는 옹벽블럭
KR102510418B1 (ko) * 2020-12-10 2023-03-16 흥덕산업 주식회사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30Y1 (ko) 2001-12-06 2002-03-12 (주)동방에스엔씨 시멘트 블록 성형기의 성형부 구조
KR200388932Y1 (ko) 2005-04-08 2005-07-07 (주)덕산기계 표면이 섬세한 친환경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하기 위한이중구조의 성형틀
KR100713162B1 (ko) 2005-12-23 2007-05-02 이미애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US20070216058A1 (en) 2006-03-17 2007-09-20 Ecologica Carmelo Inc. Paving block and molding process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30Y1 (ko) 2001-12-06 2002-03-12 (주)동방에스엔씨 시멘트 블록 성형기의 성형부 구조
KR200388932Y1 (ko) 2005-04-08 2005-07-07 (주)덕산기계 표면이 섬세한 친환경 콘크리트블록을 성형하기 위한이중구조의 성형틀
KR100713162B1 (ko) 2005-12-23 2007-05-02 이미애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US20070216058A1 (en) 2006-03-17 2007-09-20 Ecologica Carmelo Inc. Paving block and molding proces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50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954B1 (ko)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US20180194164A1 (en) Stratified and agglomerated artificial stone article
KR102371586B1 (ko) 물결 형태 패턴을 갖는 엔지니어드 스톤의 제조방법
KR101215731B1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외관디자인의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9837A (en) Method or process of producing mosaics.
KR102510418B1 (ko)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0372287B (zh) 一种仿岩石带状构造的多彩混凝土制品及其制作方法
KR100758801B1 (ko) 줄눈이 일체화된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3681B1 (ko) 폐석재를 이용한 블록의 제조방법
KR101940035B1 (ko) 석고를 이용한 인조 현무암 몰드 및 그를 이용한 인조 현무암 제조방법
EP2314432A1 (en) Method for forming floor tiles
EP0989104B1 (en) Agglomerated material comprising baked clay and method for obtaining the same
KR100222229B1 (ko)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RU254325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зитобетонных блоков
KR20090110432A (ko) 황토 바이오 세라믹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9913B1 (ko) 커스트마이즈드형 석판재의 제조방법
ITMI20002335A1 (it) Manufatti costituiti da agglomerati lapidei fabbricati per vibro-compressione contenenti tecnopolimeri in grado di migliorarne le caratteris
KR100854125B1 (ko) 고무부재를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RU200820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одом полусухого прессования пластинчатых издел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черепицы
SU444755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KR970002027B1 (ko) 건축용 벽재 제조용 우레탄 형틀의 제조방법
RO123417B1 (ro) Compoziţie de piatră artificială decorativă
KR101257916B1 (ko) 폐석회석을 이용한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KR101173543B1 (ko) 천연석 질감의 기능성 보도블록
JPH10258407A (ja) 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