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162B1 -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162B1
KR100713162B1 KR1020050128697A KR20050128697A KR100713162B1 KR 100713162 B1 KR100713162 B1 KR 100713162B1 KR 1020050128697 A KR1020050128697 A KR 1020050128697A KR 20050128697 A KR20050128697 A KR 20050128697A KR 100713162 B1 KR100713162 B1 KR 10071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rtar
polishing
mixing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애
Original Assignee
이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애 filed Critical 이미애
Priority to KR102005012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순골재, 자갈, 모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제1 몰탈로 표면층을 형성하고 상기한 표면층에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무기안료와 물을 혼합하여 제2 몰탈로 돌설부를 갖는 연마층을 형성한 성형체에 다시 서로다른 안료가 섞인 몰탈로 코팅을 한 다음 자연 및 건사로 양생하여 상기한 연마층의 돌설부에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표면을 연마하여 강도가 우수하고 연마층의 연마된 돌설부위와 연마되지않은 연마층의 조화와 연마된 안료의 색깔부와 연마되지 않은 안료의 다른 색깔부의 조화로 디자인이 미려하고 연마되지 않은 연마층은 표면이 거칠어서 미끄러짐을 방지가 되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순골재와, 자갈, 모래, 시멘트의 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몰탈을 만드는 제 1혼합단계(10)와;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1차 몰탈을 금형에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층(90)을 성형하는 제 1성형단계(20)와;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혼합물과 물과 무기안료를 혼합하여 2차 몰탈을 만드는 제 2 혼합단계(30)와; 상기 제 1성형단계를 거친 표면층(90)의 표면에 2차 몰탈을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 소정부위에 돌설부(101)를 형성한 연마층(100)을 성형하는 제 2 성형단계(40)와; 상기 제 1, 2성형단계(20, 40)를 거쳐 금형내에서 표면층(90)과 연마층(100)으로 형성한 성형체를 금형에서 분리한 분리단계(50)와; 상기 분리단계(50)를 거친 후 상기 성형체에 안료가 희석된 코팅용 몰탈로 코팅시키는 코팅단계(60)와; 상기 색소 코팅단계(60)를 거친 상기 성형체를 상온양생을 거쳐 1500℃ 로 건식 양생시키는 양생단계(70)와; 상기 양생단계(70)를 거친 후 상기 연마층(100)의 돌설부(101)를 표면연마방법으로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80)와; 상기 연마단계(80)를 거친 후 자연양생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1, 2차 몰탈, 제 1, 2혼합단계. 제 1, 2성형단계, 분리단계, 코팅단계, 양생단계, 연마단계, 표면층, 돌설부, 연마층

Description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The footpath block making method which has the grinding part to form the projection part in the su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의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 연마층의 돌설부의 연마단계를 거친 모습을 나타낸 평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혼합단계 20: 제 1성형단계
30: 제 2혼합단계 40: 제 2성형단계
50: 분리단계 60: 코팅단계
70: 양생단계 80: 연마단계
90: 표면층 100: 연마층
101: 돌설부
본 발명은 부순골재, 자갈, 모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제1 몰탈로 표면층을 형성하고 상기한 표면층에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무기안료와 물을 혼합하여 제2 몰탈로 돌설부를 갖는 연마층을 형성한 성형체에 다시 서로다른 안료가 섞인 몰탈 코팅을 한 다음 자연 및 건사로 양생하여 상기한 연마층의 돌설부에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표면을 연마하여 강도가 우수하고 연마층의 연마된 돌설부위와 연마되지 않은(표면의 10~70%) 연마층의 조화와 연마된 안료의 색깔부와 연마되지 않은 안료의 다른 색깔부의 조화로 디자인이 미려하고 연마되지 않은 연마층은 표면이 거칠어서 미끄러짐을 방지가 되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도블럭은 주로 모래골재를 주재료로 한 몰탈 경화물로 양생되고 표면처리를 거치지 않은 미가공 제품이므로 외관미가 조악하고 표층이 거칠어 보행감각이 불편하며 우수 등에 의해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여 풍화현상이 조기에 발생하므로 내구성이 비교적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도블럭의 표면의 소정부위에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가져서 그 연마층에 형성한 연마된 돌설부와 연마되지 않는 연마층의 조화로 인한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보도블럭이 제공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본 발명은 부순골재, 자갈, 모래,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제1 몰탈로 표면층을 형성하고 상기한 표면층에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무기안료와 물을 혼합하여 제2 몰탈로 돌설부를 갖는 연마층을 형성한 성형체에 다시 서로 다른 안료가 섞인 몰탈로 코팅을 한 다음 자연 및 건사로 양생하여 상기한 연마층의 돌설부에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표면을 연마하여 강도가 우수하고 연마층의 연마된 돌설부위와 연마되지 않은 연마층의 조화와 연마된 안료의 색깔부와 연마되지 않은 안료의 다른 색깔부의 조화로 디자인이 미려하고 연마되지 않은 연마층은 표면이 거칠어서 미끄러짐을 방지가 되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순골재와, 자갈, 모래, 시멘트의 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몰탈을 만드는 제 1혼합단계(10)와;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1차 몰탈을 금형에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층(90)을 성형하는 제 1성형단계(20)와;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혼합물과 물과 색소를 혼합하여 2차 몰탈을 만드는 제 2 혼합단계(30)와; 상기 제 1성형단계를 거친 표면층(90)의 표면에 2차 몰탈을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 소정부위에 돌설부(101)를 형성한 연마층(100)을 성형하는 제 2 성형단계(40)와; 상기 제 1, 2성형단계(20, 40)를 거쳐 금형내에서 표면층(90)과 연마층(100)으로 형성한 성형체를 금형에서 분리한 분리단계(50)와; 상기 분리단계(50)를 거친 후 상기 성형체에 안료가 희석된 코팅용 몰탈로 코팅시키는 코팅단계(60)와; 상기 색소 코팅단계(60)를 거친 상기 성형체를 상온양생을 거쳐 1500℃ 로 건식 양생시키는 양생단계(70)와; 상기 양생단계(70)를 거친 후 상기 연마층(100)의 돌설부(101)를 표면연마방법으로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80)와; 상기 연마단계(80)를 거친 후 자연양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몰탈은 혼합물과 물의 중량비율을 8:2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부순골재 39.6중량%와, 모래 41.1중량%와, 자갈 1.5중량%와, 시멘트 17.8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몰탈은 혼합물과 물과 무기안료의 중량비율은 7:2:1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백종석 36.3중량%와, 규사 27.6중량%와, 흑종석 6.3중량%와, 시멘트 29.8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종석과 흑종석은 1~4mm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 연마층의 돌설부의 연마단계를 거친 모습을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을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혼합단계(10)]
부순골재와, 자갈, 모래, 시멘트의 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몰탈을 만든다.
상기 1차 몰탈은 상기 혼합물과 물의 중량비율을 8:2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부순골재 39.6중량%와, 모래 41.1중량%와, 자갈 1.5중량%와, 시멘트 17.8중량%로 혼합한다.
또한, 시멘트 투입량과 자갈 투입량은 기본강도가 ks기준인 5n을 상회하는 배합으로 하여준다.
이는 표면의 강도를 높여주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제 1성형단계(20)]
상기 제 1혼합단계를 거친 1차 몰탈을 금형에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층(9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표면층(90)의 두께는 60~100mm로 형성하는것이 이상적이나 이 수치를 상한 또는 하한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혼합단계(30)]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혼합물과 물과 무기안료를 혼합하여 2차 몰탈을 만든다.
상기 2차 몰탈은 혼합물과 물과 무기안료의 중량비율은 7:2:1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백종석 36.3중량%와, 규사 27.6중량%와, 흑종석 6.3중량%와, 시멘트 29.8중량%로 무기안료(시멘트의 9중량%)가 혼합된다.
또한, 상기 백종석과 흑종석은 1~4mm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상기 백종석은 상기 백종석 분말 10중량%와 1~2mm의 크기의 백종석 43중량%와 3mm이상의 백종석 47중량%로 혼합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흑종석은 1~3mm의 흑종석 70중량%와 4mm의 흑종석 30중량%로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안료로서 자연에서 채취한 원석을 가공 안료를 만든다
이는 다양하게 칼라를 생산할수 있는 안료로서 현재 일반 토목용으로서 만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다시 높은열로 산화시킨 안료는 산화철로 (FE2O3) 탈색이 안되는 안료로서 생산된다
또한, 시멘트 투입량은 기본강도가 ks기준인 5n을 상회하는 배합으로 하여준다.
이는 표면의 강도를 높여주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제 2성형단계(40)]
상기 제 1성형단계를 거친 표면층(90)의 표면에 2차 몰탈을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 소정부위에 돌설부(101)를 형성한 연마층(10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마층(100)의 두께는 8~12mm로 형성하고 상기 연마층(100)의 소정부위에 형성하는 상기 돌설부(101)의 두께는 2~3mm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이수치를 상한 또는 하한으로 형성할 수 있다.
[분리단계(50)]
상기 제 1, 2성형단계(20, 40)를 거쳐 금형내에서 표면층(90)과 연마층(100)으로 형성한 성형체를 금형에서 분리하여 준다.
[ 코팅단계(60)]
상기 분리단계(50)를 거친 후 상기 성형체에다 안료가 희석된 코팅용 몰탈로 코팅시켜준다.상기 색소는 시멘트에 잘 흡수되는 안료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안료로서 자연에서 채취한 원석을 가공 안료를 만든다.
이는 다양하게 칼라를 생산할수 있는 안료(색소)로서 현재 일반 토목용으로서 만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다시 높은열로 산화시킨 안료는 산화철로 (FE2O3) 탈색이 안되는 안료로서 생산된다
[양생단계(70)]
상기 색소 코팅단계(60)를 거친 상기 성형체를 상온에서 양생시킨 후 다시 1500℃에서 건식으로 양생시킨다.
[연마단계(80)]
상기 양생단계(70)를 거친 후 상기 연마층(100)의 돌설부(101)를 표면연마 방법으로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마하고 자연양생 시켜 준다.
한편, 상기 연마층(100)은 상기 돌설부(101)만을 연마하기 때문에 상기 연마층(100)이 상기 백종석과 흑종석이 혼합된 부분으로서 상기 백종석과 상기 흑종석의 색깔의 조화가 되며 상기 연마층(100)은 무기안료를 투입하여 혼합물과 혼합되어 있다.
또다시 상기 연마층(100)에 혼합되는 다른 색깔의 안료를 코팅하여 주어서 연마되지 않는 상기 연마층(100)의 코팅된 색깔과 연마되는 상기 돌설부(101)의 제 2몰탈에 배합된 안료의 색이 나타나므로 상기 연마층(100)과 상기 돌설부(101)는 서로 다른 색깔의 안료를 사용하였으므로 색깔이 다른 두가지의 안료색깔과 흑종석과 백종석의 흑백미가 조화되어서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연마층(100)과 상기 돌설부(101)의 색상은 안료의 색상을 천차만별적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색을 나타낼수 있다.
즉 다시말해서 안료를 상기 연마층(100)과 상기 돌설부(101)에 각기 다른 다양한 색깔을 넣어서 색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층(100)을 전체적으로 연마한것이 아니라 상기 돌설부(101)만을 연마하였기 때문에 상기 돌설부(101)만 표면이 고르게 형성하고 연마되지 않은 상기 연마층(100)은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미끄럼방지를 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을 형성한다.
도 2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제 1혼합단계(10)와 제 1성형단계(20)를 거친 상기 표면층(90)의 표면에 다시 제 2혼합단계(30)와 제 2성형단계(40)를 거친 상기 돌설부(101)를 갖는 연마층(100)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상기 백종석과 상기 흑종석이 규사, 시멘트와 무기안료와 혼합되어 2차 몰탈로 된 상기 연마층의 상기 돌설부(101)를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마하여 연마된 상기 돌설부(101)와 연마되지 않은(표면의 10~70%) 상기 연마층(100)을 여러가지 평면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연마된 상기 돌설부(101)과 연마되지 않은(표면의 10~50%) 상기 연마층(100)의 조화로 외관적으로 디자인이 미려하며 연마되지 않은 상기 연마층(100)은 표면이 거칠어서 미끄럼방지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 블럭은 백종석과 흑종석을 혼합한 연마층을 표면층에 형성하고 상기 연마층의 소정부위에 돌설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돌설부위만을 연마하고 표면층과 연마층을 다시 코팅처리하여 연마된 돌설부와 연마되지 않는 연마층부가 서로 미적조화가 되어서 디자인적으로 수려함을 갖어서 보도블럭 제품을 고급화하여 주며 보도블럭 제품의 강도를 높여주며 보도블럭 제품의 수명 또한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마되지 않은(표면의 10~70%) 연마층부위가 거칠어서 우수 및 눈 등에 의해 발생되는 미끄럼방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2차몰탈에 투입된 무기안료로 색깔을 갖도록 형성된 돌설부를 갖는 연마층에 다시 다른 안료를 코팅하여 준 다음 돌설부만을 연마하므로 연마층은 코팅단계에 안료의 색깔이 나타나고 돌설부는 연마가 되므로 2차몰탈에 투입된 또 다른 안료의 색깔과 흑, 백종석의 색깔이 나타내므로 연마층과 돌설부의 색깔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부순골재와, 자갈, 모래, 시멘트의 혼합물과 물을 혼합하여 1차 몰탈을 만드는 제 1혼합단계(10)와;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1차 몰탈을 금형에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층(90)을 성형하는 제 1성형단계(20)와;
    백종석, 규사, 흑종석, 시멘트, 혼합물과 물과 무기안료를 혼합하여 2차 몰탈을 만드는 제 2 혼합단계(30)와;
    상기 제 1성형단계를 거친 표면층(90)의 표면에 2차 몰탈을 채우고 다짐하여 표면 소정부위에 돌설부(101)를 형성한 연마층(100)을 성형하는 제 2 성형단계(40)와;
    상기 제 1, 2성형단계(20, 40)를 거쳐 금형내에서 표면층(90)과 연마층(100)으로 형성한 성형체를 금형에서 분리한 분리단계(50)와;
    상기 분리단계(50)를 거친 후 상기 성형체에 안료가 희석된 코팅용 몰탈로 코팅시키는 코팅단계(60)와;
    상기 코팅단계(60)를 거친 성형체를 상온양생을 거쳐 1500℃ 로 건식 양생시키는 양생단계(70)와;
    상기 양생단계(70)를 거친 후 상기 연마층(100)의 돌설부(101)를 표면연마방법으로 연마재료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법으로 연마하는 연마단계(80)와;
    상기 연마단계(80)를 거친 후 자연양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돌설부위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몰탈은 혼합물과 물의 중량비율을 8:2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부순골재 39.6중량%와, 모래 41.1중량%와, 자갈 1.5중량%와, 시멘트 17.8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몰탈은 혼합물과 물과 무기안료의 중량비율은 7:2:1로 하고, 상기 혼합물은 백종석 36.3중량%와, 규사 27.6중량%와, 흑종석 6.3중량%와, 시멘트 29.8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백종석과 흑종석은 1~4mm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50128697A 2005-12-23 2005-12-23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KR10071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697A KR100713162B1 (ko) 2005-12-23 2005-12-23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697A KR100713162B1 (ko) 2005-12-23 2005-12-23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3162B1 true KR100713162B1 (ko) 2007-05-02

Family

ID=3826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697A KR100713162B1 (ko) 2005-12-23 2005-12-23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1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58B1 (ko) * 2009-02-23 2010-03-26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인조화강석 표면층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58141B1 (ko) 2010-01-18 2010-05-18 주식회사 현대종합설계건축사사무소 투수 및 보수가 용이한 순환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114954B1 (ko) 2009-05-25 2012-03-06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0116451A (zh) * 2019-04-03 2019-08-13 柴树林 一种混凝土表面处理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62A (ko) * 1998-09-07 1998-12-05 양학래 인터록킹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5773A (ko) * 1998-10-14 2000-05-06 황익현 자연석 표면층을 갖는 다공성 시멘트 블록 제조방법
KR20030072275A (ko) * 2003-07-31 2003-09-13 정영하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6438A (ko) * 2005-02-04 2005-03-15 궁전콘크리트(주) 오염방지제가 첨가된 재활용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62A (ko) * 1998-09-07 1998-12-05 양학래 인터록킹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5773A (ko) * 1998-10-14 2000-05-06 황익현 자연석 표면층을 갖는 다공성 시멘트 블록 제조방법
KR20030072275A (ko) * 2003-07-31 2003-09-13 정영하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6438A (ko) * 2005-02-04 2005-03-15 궁전콘크리트(주) 오염방지제가 첨가된 재활용 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058B1 (ko) * 2009-02-23 2010-03-26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인조화강석 표면층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14954B1 (ko) 2009-05-25 2012-03-06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인조대리석 표면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58141B1 (ko) 2010-01-18 2010-05-18 주식회사 현대종합설계건축사사무소 투수 및 보수가 용이한 순환블럭 및 그 제조방법
CN110116451A (zh) * 2019-04-03 2019-08-13 柴树林 一种混凝土表面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65B1 (ko) 보차도 경계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89183B1 (ko) 투수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투수 콘크리트 블록
CN100427710C (zh) 一种石英防滑砖的制备方法
KR100713162B1 (ko) 표면 돌설부를 형성한 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CN101913806A (zh) 一种水泥基人造石及其生产工艺
KR100950058B1 (ko) 인조화강석 표면층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33314B1 (ko) 투수성 보도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2929B1 (ko)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903936B1 (ko) 자연골재를 이용한 자연석 표면층 보도블럭 제조방법
JP6305717B2 (ja) 着色高強度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コンクリー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90014390A (ko)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231879B (zh) 一种可变色的无机人造石及其制备方法
KR100662857B1 (ko) 인조화강석 블록,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08678A (ko) 분쇄유리를 사용한 인조대리석 및 제조방법
KR100853396B1 (ko) 천연골재를 이용한 인터록킹 블록의 제조방법
CN112341080B (zh) 一种仿石材生态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0969449B1 (ko) 칼라코팅골재를 이용한 마블 문양의 블록 제조방법
KR970002024B1 (ko) 보도용 투수 유리 블럭 제조방법
CN1884179A (zh) 磨光彩色路面砖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KR100882087B1 (ko)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인조대리석
KR200179041Y1 (ko) 표면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
KR100439519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CN111635197A (zh) 一种仿古面艺术混凝土及其制备方法
IT201800003011A1 (it) Manufatto prefabbricato in calcestruzzo vibrocompr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