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229B1 -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 Google Patents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229B1
KR100222229B1 KR1019970024599A KR19970024599A KR100222229B1 KR 100222229 B1 KR100222229 B1 KR 100222229B1 KR 1019970024599 A KR1019970024599 A KR 1019970024599A KR 19970024599 A KR19970024599 A KR 19970024599A KR 100222229 B1 KR100222229 B1 KR 10022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owder
crafts
synthetic resin
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319A (ko
Inventor
황동문
Original Assignee
황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문 filed Critical 황동문
Priority to KR101997002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2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폐유리를 분쇄한 분말과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액상 또는 반죽상태의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유리공예품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색유리조각을 지지판부재에 나열시켜 접착하는 모자이크와 함께 나열된 유리조각 사이의 틈새에 석고로 핸드코드(접착 또는 용접하는 것)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모자이크에서 형성된 공예품은 그 재질이 유리로 구성되어 쉽게 깨지는 단점과 함께 제작이 어렵고 특히 곡면 형성이 될 수 없는 단점 등이 있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유리 분말과 합성수질를 혼합하여 유리공예품소재를 형성하되 상기 소재가 묽은액상(죽형태) 또는 반죽상태로(공작용 점토와 같이 쉽게 형상을 변형가능한 정도) 형성되어 그 유리소재로 전체의 형상을 만들 수 있고 또는 건축물과 물품 등 물건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서 유리의 질감을 나타내어 유리특성에 의한 상품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종이분말이 함께 혼합됨으로서 접촉 촉각이 부드럽고 좋은 특징의 소재를 얻고자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소재는 제작이 간단 용이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 생산될 수 있는 특징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리특유의 아름다움과 자연적인 색채 및 탈색이 없는 유리특징을 이용함과 함께 유리재질의 공예품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소재를 제공하고 특히 그 소재를 간단히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유리공예분야에서 유리소재로 형상화된 조각품을 쉽고 간단하게 대량 제작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건축자재에도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아름다운 건축물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본 발명은 폐유리를 분쇄한 분말과 지분 및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액상 또는 반죽상태의 유리공예품 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상의 소재는 공예품 등의 표면에 쉽게 도포하여 외관이 유리의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반죽상태에서는 공예품을 자유로이 창작하거나 또는 성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유리공예품은 예술적으로나 상품적으로 뛰어난 예술성과 그 아름다움에 의하여 동서양에서 많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공예품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색유리조각을 지지판부재에 문양에 나열시켜 접착하는 모자이크와 함께 나열된 유리조각 사이의 틈새에 석고로 핸드코드(접착 또는 용접하는 것)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모자이크에서 형성된 공예품은 그 재질이 유리로 구성되어지기 때문에 쉽게 깨지는 단점과 함께 제작이 어렵고 특히 곡면 형성이 될 수 없는 단점 등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통상의 유리공예에서는 상기한 바와같은 제작상의 문제로 인하여 고가로 형성되고 또한 창작품의 형상 모양 등에 제한을 받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대한민국 특허 제96226호(공고 1995.11.15)를 발명한 바 있다.
상기 선 발명은 직물지 등의 유연성의 판부재에 유리분말과 합성수지를 물과 같이 혼합 반죽시켜 소정두께로 판부재에 도포시킨 후에 여기에 에폭시수지를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건조로에서 건조함으로서 유리분말과 에폭시에 융합 접착되는 유리소재의 판부재를 얻도록 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의 부재는 판부재가 직물지 또는 종이와 부직포등 연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 판부재에 열을 가하면 판부재를 자유로이 굴절할 수 있음으로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공예품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유리분말에 의한 유리의 질감을 가질 수 있음과 함께, 투명한 유리성질로 직물직의 무늬 또는 색채를 도출시켜 그 아름다움이나 유리에서 가지고 있지 않는 특징적 효과를 함께 나타내어 예술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으로 유리공예품의 제작에서 보다 향상된 소재를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소재들은 다같이 판상으로 구성되는 유리공예품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예술의 소재가 한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전자는 평판을 연결하여 곡면을 구성하는 단순성이 있고 후자는 판상을 이루어진 소재를 자유로이 굴절시켜 유연한 곡면에 의한 특성이 있으나 판상이 아닌 다른 형태 즉, 형상물에 대한 공예품을 만드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발명의 목적은 폐유리 분말과 종이분말 및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유리공예품소재를 형성하되, 상기 소재가 묽은액상(죽형태) 또는 반죽상태로(공작용 지점토와 같이 쉽게 형상을 변형가능한 정도) 형성되어 그 유리소재로 전체의 형상을 만들 수 있고 또는 건축물과 물품등 물건의 표면에 도포 함으로서 유리의 질감을 나타내어 유리특성에 의한 상품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종이분말이 함께 혼합됨으로서 접촉 촉각이 부드럽고 좋은 특징으로 소재를 얻고자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소재는 제작이 간단 용이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생산될 수 있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유리를 세척하여 색별로 정선한 색유리(색유리가 아니어도 무방함)를 미세하게 분쇄한 분말 약 40중량
Figure kpo00001
와 지분(종이를 분쇄한 가루) 약 40중량
Figure kpo00002
와, 그리고 합성수지 약 20중량
Figure kpo00003
를 혼합하여 소재를 얻는다.
이때에 소재는 합성수지를 묽은 액으로 혼합할 때에는 묽은 액상(죽상태)의 소재로 되어 형상물의 표면 또는 건축물의 표면에 도포 함으로서 유리소재를 이용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음과,
분말 또는 액상의 합성수지를 혼합할 때에는 겔(gel, 반죽상태)상태로서 점토(젤리형태)와 같이 점도가 낮아 마치 지점토와 같게 형성됨으로 이 소재를 이용하여 각종 공예품의 형상을 자유로이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가루와 함께 유리조각들이 첨가되면 성형물에 유리 특성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점으로 도출되어 성형물의 표면이 모자이크형상과 같은 아름다움이 도출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공예품은 유리소재와 함께 종이재질에 의한 촉감이 함께 있어서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는 특징 및 합성수지에 의하여 쉽게 파손이 되지 않고 열에 의해 쉽게 수정 절곡 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폐기된 여러 종류의 색유리들을 색상별로 분리하여 분쇄기에 의해 분쇄시키되, 이때의 입자크기는 용도에 따라 약 0.002
Figure kpo00004
크기에서부터 약 1.5
Figure kpo00005
크기의 입자로 분쇄시켜서 색상이 다른 각각의 유리분말을 만드는 제1공정과,
폐 종이 또는 색종이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시켜 지분을 얻는 제2공정과,
상기에서 얻은 유리분말 40중량
Figure kpo00006
와 종이분말 40중량
Figure kpo00007
에 합성수지 20중량
Figure kpo00008
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유리공예품 소재를 얻는 제3공정으로 이루워지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는 에폭시와 아크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고형화 시키는 시간 및 빠른 경화를 위하여 경화제가 소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의 선택은 공예품 소성물의 용도에 따라 즉, 딱딱한 질감 또는 유연한 질감을 나타내기 위하여 혼합되는 수지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되는 합성수지가 묽은 액상일 때에는 얻어진 소재가 묽은 반죽상태로 형성되어짐으로서 액상의 소재를 공예품 또는 건축물의 형체외주면에 도포시킴으로서 유리가루에 의한 유리특유의 특징이 도출되어 진다.
상기 합성수지가 분말 또는 액일 때에는 혼합물은 겔 상태의 점도가 낮은 젤리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젤리형태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상을 가지는 공예품을 만들게 됨으로서 종래에 유리소재로 구성할 수 없는 조형물과 같은 형체를 쉽게 만들 수 있고 그 소재에 함유된 유리분말에 의한 유리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젤리형태의 소재는 금형으로 사출 및 압출되는 각종 물품을 쉽게 마들 수 있어 유리특유의 질감을 가지는 생활도구 또는 장식품을 쉽고 대량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서 얻은 소재로 완성된 공예품은 자연건조함으로서 고형의 예술품을 얻게되는 것이다.
이상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정선된 폐 색유리분말과 종이분말 및 합성수지를 40중량
Figure kpo00009
: 40중량
Figure kpo00010
: 20중량
Figure kpo00011
:로 혼합하되, 묽은 액 상태의 합성수지를 혼합하게 되면 묽은 수지액에 의하여 액상의 합성수지와 혼합된 유리공예품 소재는 묽은 죽 상태의 소재가 구성된다.
이때에 상기 폐 색유리 또는 종이의 색체에 의하여 색채가 결정되므로 소망하는 색채를 가진 유리분말 또는 종이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얻은 묽은 액상의 유리공예품 소재를 이용하여 미리 만들어진 형체 일예로 각종 조각품의 표면에 도포 내지 분사시켜 그 조각품표면에 도포 건조하게 되면, 조각품의 형체 표면에 도포된 유리를 함유한 소재에 의하여 조각품은 유리를 재료한 것과 같은 미감과 촉각 및 시각을 표출함으로서 유리를 이용한 공예품의 조각품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액 소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분사 또는 도포에서 될 때에는 벽면은 유리 층으로 형성되어 빛 반사 및 색유리에 의한 색체의 표현으로 건축물을 아름답게 구성할 수 있으면서 유리특유의 방음, 방수 및 방화효과와 같이 종이분말의 함유에 따른 촉감이 부드러운 자연미를 가질 수 있는 건축자재로서도 매우 효과적인 부재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정선된 폐 색유리분말과 종이분말 및 합성수지를 40중량
Figure kpo00012
: 40중량
Figure kpo00013
: 20중량
Figure kpo00014
:로 혼합하게 되면 여기서 얻어지는 소재는 겔(gel)형태의 점도가 낮은 젤리상태의 소재를 얻게되고 폐 색유리와 종이가루의 색에 의해 색채가 결정된다.
이러한 겔 형태의 소재를 이용하여 각종 조각품등 또는 금형에 의한 사출내지 압출하게 됨으로서 유리를 소재로 한 조각품 내지 성형물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반죽형태의 소재를 이용하여 조각물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형상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죽상태의 소재를 금형에 의한 사출 또는 압출시키면 금형의 형상을 그대로 형상화 할 수 있고 그 원료에 함유된 유리분말에 의하여 유리부재로 구성되는 공예 물품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각물은 유리의 특징과 같이 종이분말에 의한 촉감이 부드럽고 충격시에도 수지의 특성에 따라 쉽게 파손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제3 실시예]
정선된 폐 색유리를 약 5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1.5
Figure kpo00017
크기로 분쇄된 유리조각을 유리분말과 종이분말 및 합성수지의 혼합물에 함께 혼합시켜 유리조각들이 포함된 겔형태의 소재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얻은 소재를 금형에 의하여 압출 내지 사출하게 되면 금형의 형상이 형성됨과 같이 그 성형물의 표면에는 유리조각이 외주면에 판상으로 노출되면서 모자이크형상으로 도시되어 표면은 모자이크로 형성된 상태의 외관을 표현하게 됨으로 시각적으로 뛰어난 성형 물을 얻게된다.
이러한 조각물은 금형에 의하여 대량생산될 수 있어서 산업화 할 수 있는 특징과 같이 유리조각에 의한 모자이크로 새로운 특징을 가진 형상물을 얻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의 합성수지는 에폭시, 아크릴 등 수지의 특징을 살릴 수 있게 선정하여 혼합하게 되면 그 성형물의 특징에 맞는 질감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소재를 판재로 구성시켜 판으로 구성된 형체의 조각물 또는 건축용 판재와 같은 용도에 따라 그 형태를 바꿀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그 소재가 유리임으로 유리특유의 특성에 따른 방음, 방화, 방수의효과가 뛰어난 특징과 종이의 특성, 부드러움과 수지의 견고성과 유연성이 결합되고 폐 유리색을 이용하여 색채가 자연스럽고 탈색이 없는 유리공예품 소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특유의 아름다움과 자연적인 색채 및 탈색이 없는 유리특징을 이용하여 유리재질의 공예품을 쉽게 만들 수 있는 소재를 제공하고 특히 그 소재를 간단히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리공예분야에서 유리소재로 형상화된 조각품을 쉽고 간단하게 또한 대량 제작할 수 있는 소재의 제공 및 건축자재로도 함께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 보다 아름다운 건축물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폐 색유리와 색종이를 색상별로 분리하여 각각의 부재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한 유리분말 및 종이분말과 합성수지를 약 40:40:20중량
    Figure kpo00018
    비율로 혼합시켜 일체로 혼합된 상태의 유리공예품 소재를 얻게되는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2. 폐 색유리분말과 종이분말 및 합성수지를 혼합하되, 농도를 조절하여 액상 또는 겔형태로 이루워진 유리공예품소재.
KR1019970024599A 1997-06-13 1997-06-13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KR10022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599A KR100222229B1 (ko) 1997-06-13 1997-06-13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599A KR100222229B1 (ko) 1997-06-13 1997-06-13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319A KR19990001319A (ko) 1999-01-15
KR100222229B1 true KR100222229B1 (ko) 1999-10-01

Family

ID=1950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599A KR100222229B1 (ko) 1997-06-13 1997-06-13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2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79A (ko) * 2002-02-20 2002-03-29 김덕호 G.r.c.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1556B1 (ko) * 2014-09-05 2014-12-11 황동문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KR20240061165A (ko) 2022-10-31 2024-05-08 황동문 다각형의 유리 스톤을 이용한 미술품의 제조방법
KR20240061158A (ko) 2022-10-31 2024-05-08 황동문 유리와 종이를 이용한 미술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79A (ko) * 2002-02-20 2002-03-29 김덕호 G.r.c.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1556B1 (ko) * 2014-09-05 2014-12-11 황동문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KR20240061165A (ko) 2022-10-31 2024-05-08 황동문 다각형의 유리 스톤을 이용한 미술품의 제조방법
KR20240061158A (ko) 2022-10-31 2024-05-08 황동문 유리와 종이를 이용한 미술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319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504488A (ja) 人工石およびその製造法と用途
KR100222229B1 (ko)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KR20190124485A (ko) 종이 또는 한지 그리고 석분과 푸드접착제를 사용하여 전문 조형물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소재
IT1197484B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effetti di colore a sfumatura nella massa di lastre di materiale plastico
JPH02199049A (ja) 人造石及びその製造方法
GB2151906A (en) Semiprecious-stone-like hard paste
KR101008484B1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71556B1 (ko)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KR100815223B1 (ko) 다색상 칼라 콘크리트 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H0319834A (ja) 装飾材
KR20240061158A (ko) 유리와 종이를 이용한 미술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KR20000073530A (ko) 특수코팅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CN108585629A (zh) 工艺品的制作方法和工艺品
JPS61211003A (ja) 模様付成形材料の製造方法
CN101362854A (zh) 玉脂白工艺品及其制备工艺
JPS5914862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模様付成形材料
JPS6273906A (ja) コルク基材の製造方法
KR100221483B1 (ko) 몰드에 유리조각을 접착하는 모자이크 방법
JPS5812146B2 (ja) ゴウセイジユシセイヒン ノ ギジイシモヨウ ノ ケイセイホウホウ
CN1053394A (zh) 镁酸雕塑工艺品的生产方法及工艺
JPS60151251A (ja) ガラス質人造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6893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JPH02208100A (ja) 装飾材
JPS5944962B2 (ja) 大理石模様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方法
CN1060436A (zh) 仿玉夜光工艺品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