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484B1 -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484B1
KR101008484B1 KR1020100072535A KR20100072535A KR101008484B1 KR 101008484 B1 KR101008484 B1 KR 101008484B1 KR 1020100072535 A KR1020100072535 A KR 1020100072535A KR 20100072535 A KR20100072535 A KR 20100072535A KR 101008484 B1 KR101008484 B1 KR 10100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attern
colorant
decorative material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정
Original Assignee
조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정 filed Critical 조윤정
Priority to KR102010007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1/00Designs imitating artistic work
    • B44F11/02Imitation of pictures, e.g. oil pai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색석을 주재로 하여 제조가 매우 간단·용이하고 염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예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그 외에도 인테리어나 액세서리는 물론 교육자재나 잡화, 판촉용품과 기념품 등의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바닥재(10)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바닥재의 표면에 점착제(20)를 도포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점착제의 표면에 선재(20)를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와,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하여 얻는 각각의 분말을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혼합시켜서 다양한 색상의 착색제(40)를 조성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착색제를 각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 점착제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제5단계(S50) 및 상기 채색을 완료한 다음 건조하여 착색제에 혼합된 수분을 증발시켜 점착제에 단단히 접착되게 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Decoration material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색석을 주재로 하여 제조가 매우 간단·용이하고 염가로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보장식은, 바닥금속 위에 유리질의 유약(釉藥)을 바른 다음 이를 700∼820℃의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바닥금속에 고착한 전통 금속세공품으로 유약에 함유된 금속산화물(금-붉은색, 산화은-불투명황색계, 산화동-녹색계 등)이 열처리를 통해 여러 가지 색을 띠게 되면서 바닥금속의 색과 더불어 아름다운 색상으로 발색하여 각종 공예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그 장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
또한, 칠보는 광택과 반사율 및 굴절률 등이 우수하여 색채가 매우 아름답고 문양의 디자인이나 색상의 표현이 자유로우며, 어느 금속에도 잘 고착되고 열팽창률이나 냉각수축률도 바닥금속과 비슷하여 쉽게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산이나 알칼리, 가스 등에 잘 부식되지 않고 물과의 친화력도 없기 때문에 내한성, 내화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외력에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칠보제품은 고온의 열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바닥재로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금속을 사용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그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열처리를 위한 설비와 시간이 필요하여 때문에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종래에는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점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칠보제품은 작은 조각을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을 표현하였기 때문에 그림이나 문양 등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색석을 주재로 하면서도 제조가 매우 간단·용이하고 염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테리어나 액세서리는 물론 그 외의 다양한 용도로도 널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그림이나 문양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은 달성하기 위해, 금속이나 목재, 유리, 아크릴, 석재,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의 소재들 중 어느 하나로 원하는 형태의 바닥재를 제작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바닥재의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제2단계와, 금속이나 가죽, PVC, 자개, 비닐 또는 나일론 등의 소재로 만든 선재(線材)를 상기 점착제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하여 얻은 각각의 분말을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시켜서 다양한 색상의 착색제들을 조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각 착색제를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채색을 완료한 다음 상온에서 1~3시간 건조하여 착색제에 혼합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된 착색제가 점착제에 단단히 부착되게 하는 제6단계로 구성하거나 상기 건조과정을 거쳐 채색이 건조된 그림이나 문양의 표면에 에폭시수지나 CMC, 방수제, 방염제 및 보호제들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바닥재의 소재가 한정되지 않고 고온의 열처리과정이 필요 없어 제조가 매우 간단·용이함은 물론 그림이나 문양 등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장식재는 종래의 칠보제품과는 달리 고온의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를 바닥재로 사용하여 유색석을 주재로 하는 착색제를 채색함으로써 다양한 그림이나 문양의 칠보제품과 같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음은 물론 특히 그림이나 문양 등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어 공예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그 외에도 인테리어나 액세서리는 물론 교육자재나 잡화, 판촉용품과 기념품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열처리설비가 필요 없고 제조가 매우 간단·용이하므로 제조시간과 비용이 대폭 감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염가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누구나 비용의 부담이 없이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 공정도
도 1b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 공정도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장식재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장식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장식재로 만든 제품의 일 예인 액자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 공정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 공정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재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장식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장식재로 만든 제품의 일 예인 액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은, 원하는 형태의 바닥재(10)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바닥재의 표면에 점착제(20)를 도포하는 제2단계(S20)와, 선재(30)로 상기 점착제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와,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하여 얻는 각각의 분말을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혼합시켜서 다양한 색상의 착색제(40)를 조성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착색제를 각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 점착제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채색을 완료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하여 착색제에 혼합된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된 착색제가 점착제에 단단히 부착되게 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단계(S10)는 원하는 형태의 바닥재(10)를 제작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닥재는 금속이나 목재, 유리, 아크릴, 석재,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의 소재들 중 어느 하나로 제작한다.
즉, 바닥재(10)는 장식재로 사용할 대상인 공예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그 장식품 외에도 인테리어나 액세서리는 물론 교육자재나 잡화, 판촉용품과 기념품 등의 종류에 따라 금속이나 목재, 유리, 아크릴, 석재,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 다양한 소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조대상의 제품종류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제작하면 된다.
그리고, 바닥재(10)의 표면에는 상기 바닥재를 제작하기 전 또는 점착제(20)를 도포하기 전에 선재(30)를 부착할 대상의 원하는 그림이나 문양 등의 도안을 미리 그려 놓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숙련된 기술자이거나 전문적인 기능보유자가 아니라도 그 표면에 원안에 따라 선재를 보다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제2단계(S20)는 바닥재(10)의 표면에 점착제(20)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점착제 대신에 액상이나 겔 상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바닥재(2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은 물론 접착제의 표면에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을 따라 선재(30)를 세밀하게 부착하는 것도 매우 어려우며, 또한 착색제(40)를 도포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선재를 부착하고 착색제의 도포를 완료하기 전에 일부분에서 접착제가 건조되어 선재 또는 착색제가 부착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바닥재의 소재가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 일 때에는 접착제가 내부로 흡수됨과 동시에 소재가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제3단계(S30)는 점착제(20)의 표면에 선재(30)를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금속이나 가죽, PVC, 자개, 비닐 또는 나일론 등의 다양한 소재로 된다.
또한, 선재(30)는 부착할 대상의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의 폭과 두께에 비례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며, 바닥제(10)의 표면에 도안이 그려져 있는 경우에는 그 도안을 보고 부착하면 된다.
제4단계(S40)는 착색제(40)를 조성하는 단계로서,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하여 얻는 서로 다른 색상의 분말을 채색할 그림이나 문양의 색상을 감안하여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시켜서 된다.
이러한 착색제(40)는 채색하기 직전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색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재료를 혼합시켜서 되는 복합적인 색이거나 단색이라도 많은 분량이 필요할 때에는 착색하기 전이라면 제조할 장식재의 대상에 따라 미리 조성하여도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제5단계(S50)는 착색제(40)를 각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 점착제(20)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단계로서, 상기 착색제는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시켜서 되는 것이므로 붓 또는 스포이드 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도포하면 된다.
이와 같은 착색제(40)는, 물과 혼합하여서 되는 것이지만 착색하는 과정에서 선재(30)를 부착하여 형성한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을 넘어가지 않을 정도로 도포하면 상기 선재에 의해 차단되어 인접하는 다른 색상의 착색제와 섞이지 않게 된다.
제6단계(S60)는 착색제(40)의 채색이 완료되면 상기 착색제에 혼합된 수분을 증발시켜 주는 건조단계로서, 상온에서 1~3시간 정도 건조하면 수분이 모두 증발됨과 동시에 상기 착색제는 점착제(20)에 단단히 접착되어 장기간이 지나도 채색된 상기 착석재가 임의로 벗겨지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되는 장식재로 액자 등을 제작할 때에는 표면에 유리 나 투명 합성수지판을 결합하거나 합성수지지나 비닐 등으로 감싸서 피막(70)을 형성함으로써 채색된 그림이나 문양이 장기간 보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의 제조방법 공정도로서, 상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채색을 완료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 완전히 건조된 그림이나 문양 등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피막(70)을 형성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7단계(S70)는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피막(70)을 형성함으로써 채색된 그림이나 문양 등이 보다 장기간 훼손되지 않고 그대로 보존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팅제로는 에폭시수지나 CMC, 방수제, 방염제 또는 보호제 등을 사용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장식재로 만든 제품의 일 예인 액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는,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는 바닥재(10)와, 상기 바닥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점착제(20)와, 상기 점착제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을 형성하는 선재(30)와,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시켜 되는 각각의 분말을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혼합시켜서 되며 각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 점착제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착색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닥재(10)는 장식재로 사용할 대상인 공예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그 장식품 외에도 인테리어나 액세서리는 물론 교육자재나 잡화, 판촉용품과 기념품 등의 종류에 따라 금속이나 목재, 유리, 아크릴, 석재,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의 다양한 소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조대상의 제품종류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제작하면 된다.
그리고, 바닥재(10)의 표면에는 상기 바닥재를 제작하기 전 또는 점착제(20)를 도포하기 전에 선재(30)를 부착할 대상의 원하는 그림이나 문양 등의 도안을 미리 그려 놓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숙련된 기술자이거나 전문적인 기능보유자가 아니라도 그 표면에 원안에 따라 선재를 보다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점착제(20)의 대신에 액상이나 겔 상의 접착제를 도포하여도 되지만, 액상이나 겔 상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재(2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은 물론 접착제의 표면에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을 따라 선재(30)를 세밀하게 부착하는 것도 매우 어려우며, 또, 착색제(40)를 도포하는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선재를 부착하고 착색제의 도포를 완료하기 전에 일부분에서 접착제가 건조되어 선재 또는 착색제가 부착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바닥재의 소재가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 일 때에는 접착제가 내부로 흡수됨과 동시에 소재가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선재(30)는 금속이나 가죽, PVC, 자개, 비닐 또는 나일론 등의 다양한 소재로 되며, 부착할 대상의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의 폭이나 두께에 비례하게 형성하면 된다.
착색제(40)는,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하여 얻는 각각의 분말을 채색할 그림이나 문양의 색상을 감안하여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5:5의 비율로 혼합시켜서 적합한 색상을 갖게 조성하여 된다.
이러한 착색제(40)는 물과 혼합시켜서 되는 것이므로 붓 또는 스포이드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점착제(20)의 표면에 도포하여 채색하면 되는 것이며, 채색을 완료한 다음에는 수분이 완전히 증발하게 건조시켜 줌으로써 상기 착색제가 점착제에 단단히 부착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는 채색한 후 건조한 그림이나 문양 등의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막(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표면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피막(70)을 형성하는 것은 채색된 그림이나 문양 등이 보다 장기간 훼손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팅제로는 에폭시수지나 CMC, 방수제, 방염제 또는 보호제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피막(70)은 투명한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색제(40)를 채색하여 된 그림이나 문양 등의 색상이 다른 색으로 보이지 않게 되는 범위 내에서는 미색의 코팅제를 사용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피막(70)을 형성하는 대신에 표면에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판을 결합하거나, 표면을 합성수지지나 비닐 등으로 피복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은 그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 바닥재 20 : 점착제
30 : 선재 40 : 착색제
70 : 피막 S10 : 제1단계
S20 : 제2단계 S30 : 제3단계
S40 : 제4단계 S50 : 제5단계
S60 : 제6단계 S70 : 제7단계

Claims (9)

  1. 원하는 형태의 바닥재(10)를 제작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바닥재(10)의 표면에 점착제(20)를 도포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점착제(S20)의 표면에 선재(20)를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을 형성하는 제3단계(S30)와;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하여 얻는 각각의 분말을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혼합시켜서 다양한 색상의 착색제(40)를 조성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착색제(40)를 각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 점착제(20)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제5단계(S50): 및
    상기 채색을 완료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하여 착색제(40)에 혼합된 수분을 증발시켜 점착제(20)에 단단히 접착되게 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40)에 혼합된 수분이 증발되게 건조한 다음 표면에 코팅제를 코팅하여 피막(70)을 형성하는 제7단계(S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금속이나 목재, 유리, 아크릴, 석재,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의 소재 중 어느 하나로 되며, 그 표면에는 상기 선재(30)를 부착할 대상의 그림이나 문양 등의 도안을 미리 그려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30)는, 금속이나 가죽, PVC, 자개, 비닐 또는 나일론 등의 소재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70)을 형성하는 코팅제는, 에폭시수지나 CMC, 방수제, 방염제 또는 보호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의 제조방법.
  6. 원하는 형태로 제작되는 바닥재(10)와;
    상기 바닥재(10)의 표면에 도포하는 점착제(20)와,
    상기 점착제(20)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으로 부착하여 그림이나 문양 등의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을 형성하는 선재(30): 및
    천연자연색을 갖는 법랑이나 유리 및 각종 보석이나 원석 등의 유색석이 재료이며, 상기 재료를 각기 분쇄시켜 되는 각각의 분말을 각 재료별로 또는 복수의 재료를 필요한 분량 선택취합하여 물과 혼합시켜서 되며, 각 윤곽선이나 구획선 등의 안쪽 점착제(20)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하는 모양의 그림이나 문양 등을 채색하는 착색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40)의 채색 후 건조한 다음, 그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피막(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10)는, 금속이나 목재, 유리, 아크릴, 석재, 원단, 종이, 가죽 또는 비닐 등의 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선재(30)는, 금속이나 가죽, PVC, 자개, 비닐 또는 나일론 등의 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70)은, 에폭시수지나 CMC, 방수제, 방염제 또는 보호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재.
KR1020100072535A 2010-07-27 2010-07-27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0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35A KR101008484B1 (ko) 2010-07-27 2010-07-27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35A KR101008484B1 (ko) 2010-07-27 2010-07-27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484B1 true KR101008484B1 (ko) 2011-01-14

Family

ID=4361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35A KR101008484B1 (ko) 2010-07-27 2010-07-27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4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317B1 (ko) 2012-12-03 2014-07-14 김민성 구리-금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구리-금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 공예품
KR101471556B1 (ko) * 2014-09-05 2014-12-11 황동문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CN104476974A (zh) * 2014-11-21 2015-04-01 吕珊蔚 一种利用天然河石制成工艺画的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257A (ko) * 1986-12-27 1988-08-26 황정오 의사 스테인드 그라스 장식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92574A (ko) * 2005-02-18 2006-08-23 이성우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070105440A (ko) * 2006-04-26 2007-10-31 김태석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2466A (ko) * 2008-06-30 2010-01-07 온재민 이미지가 포함된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257A (ko) * 1986-12-27 1988-08-26 황정오 의사 스테인드 그라스 장식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92574A (ko) * 2005-02-18 2006-08-23 이성우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070105440A (ko) * 2006-04-26 2007-10-31 김태석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2466A (ko) * 2008-06-30 2010-01-07 온재민 이미지가 포함된 장식용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317B1 (ko) 2012-12-03 2014-07-14 김민성 구리-금합금 변색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구리-금합금 변색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오동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동 공예품
KR101471556B1 (ko) * 2014-09-05 2014-12-11 황동문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CN104476974A (zh) * 2014-11-21 2015-04-01 吕珊蔚 一种利用天然河石制成工艺画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897B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ornamental surface on a substrate
CN101497502A (zh) 一种用于玻璃间隔和玻璃、镜面表面装饰的花纸及其制作工艺
KR100605090B1 (ko)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008484B1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CN202898303U (zh) 一种反光装饰膜
CN106431504A (zh) 一种变色孔雀羽毛纹装饰瓷砖及制备方法
KR20190039369A (ko) 천연재를 이용한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4330B1 (ko)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US5931999A (en) Liquid art medium for creating three dimensional art
CN100497004C (zh) 一种灯具漆艺制品的加工方法
KR100264613B1 (ko) 판상 장식품의 개금 개채 방법
US6531009B1 (en) Method and kit for making marble patterned glass articles
CN103223814B (zh) 纸粘土工艺国画及其制作方法
KR101171644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745182B1 (ko) 마지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KR101488727B1 (ko)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RU2745624C1 (ru) Способ окраски, использующий состав глазурного окрас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бж-эффектом
JP3913548B2 (ja) 装飾物及び装飾物の製造方法
KR100857583B1 (ko) 대리석의 표면에 크랙 문양이 형성되는 가구용 상판 제조방법
JPS63274473A (ja) 発泡アルミニウムボ−ドの表面塗装加工処理法
KR101471556B1 (ko) 유리공예품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소재
CN202016353U (zh) 一种室内装饰件
KR920002731B1 (ko) 가구용 장식무늬부의 성형방법
KR20130133543A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