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330B1 -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330B1
KR100644330B1 KR1020050101882A KR20050101882A KR100644330B1 KR 100644330 B1 KR100644330 B1 KR 100644330B1 KR 1020050101882 A KR1020050101882 A KR 1020050101882A KR 20050101882 A KR20050101882 A KR 20050101882A KR 100644330 B1 KR100644330 B1 KR 100644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litter
pattern
acryl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석
김화희
Original Assignee
박형석
김화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석, 김화희 filed Critical 박형석
Priority to KR102005010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1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dispersed, e.g. acetate,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피부를 제외한 의류 및 잡화에 글씨, 소정형상의 그림 및 문양을 새기기 위한, 글리터를 이용한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용 물감과 아크릴릭에멀젼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도안물감을 제조한 후, 상기 도안물감을 사용하여 소정형상의 글씨, 그림 또는 문양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복, 가방, 모자, 스타킹 등의 표면에 새긴 후, 그 글씨, 그림 또는 문양의 표면 위로 반짝이는 글리터를 도포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밋밋한 의복, 가방, 스타킹 등에 화려한 그림 또는 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패션 감각이 돋보이고,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제공하며, 화려함으로 인해 제품의 가치를 높여준다.
레인보우, 글리터, 아크릴릭에멀젼글루, 문양, 의류, 물감, 아크릴칼라

Description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METHOD FOR PRINTING DESIGN USING GLITTER}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표면에 문양을 형성한 사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킹 표면에 문양을 형성한 사진.
본 발명은 사람피부를 제외한 의류 및 잡화에 글씨, 소정형상의 그림 및 문양을 새기기 위한, 글리터를 이용한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용 물감과 아크릴릭에멀젼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도안물감을 제조한 후, 상기 도안물감을 사용하여 소정형상의 글씨, 그림 또는 문양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복, 가방, 모자, 스타킹 등의 표면에 새긴 후, 그 글씨, 그림 또는 문양의 표면 위로 반짝이는 글리터를 도포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밋밋한 의복, 가방, 스타킹 등에 화려한 그림 또는 문양을 새겨 넣음으로써, 패션 감각이 돋보이고,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제공하며, 화려함으로 인해 제품의 가치를 높여준다.
레인 보우라는 글리터와 아크릴릭에멀젼글루라는 인체에 해가 없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인체의 피부에 패션 문신을 새겨, 자신만의 패션감각을 보여주는 것이 최근의 유행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패션 문신은 짧은 옷을 입을 수 있는 여름기간에 집중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타 계절에는 노출 부위가 옷으로 가려져 그와 같은 패션 문신을 외부로 표출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패션 문신과 같은 것을 자신이 입고 있는 옷이나, 소지품에 새겨넣음으로써 패션을 추구하고자 하나, 그에 따른 마땅한 방법이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제품에 대한 색조 패턴, 즉 유색문양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른 색상의 판형직물들을 서로 바느질 이음 하여 제조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의류 위에 로고나 디자인 등을 바느질 또는 접착방식으로 부착하여 제품을 완성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현대인의 추구하는 다양한 미적 감각을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며, 자신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기가 매우 어렵고, 일률적인 문양에서 오는 지루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따라서, 화려하면서도 자신만의 그림 또는 문양을 의류 또는 잡화류 등에 새겨 넣음으로써 원하는 패션을 추구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하는 곳에 물감으로 도안하고, 도안된 표면 위로 글리터를 도포하여, 단순한 형태로 밋밋하고 멋이 없는 의류 또는 잡화류에 화려함을 부여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제공하고, 화려 한 문양으로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의류용 물감에 아크릴릭에멀젼글루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도안용 물감을 제조한 후, 상기 도안용 물감을 이용하여 의류 및 잡화류에 직접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의 그림 및 문양을 새긴 후, 그 그림 또는 문양이 새겨진 표면 위로 글리터를 도포하여 일정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주요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안료 72 ~ 85중량%, 물 10 ~ 15중량% 및 아크릴 미디엄 5 ~ 9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의류용 물감 55 ~ 78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릭에테르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acrylic ester copolymer) 68 ~ 72중량%, 물 25 ~ 30중량%, 실리카 3 ~ 7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릭에멀젼글루 22 ~ 45중량%;를 혼합하여 도안물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안물감을 그리고자 하는 대상 표면에 소정형상의 그림 또는 문양을 새긴 후 글리터를 0.1 ~ 0.5mm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글리터를 도포한 후 10 ~ 14시간 자연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그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의류용 물감 55 ~ 78중량%와 아크릴릭에멀젼글루 22 ~ 45중량%를 혼합하여 그림 또는 문양을 새기는데 사용되는 도안물감을 제조한다. 제조된 상기 도안물감을 의류 또는 잡화류에 원하는 그림 및 문양을 손으로 직접 새기거나 콘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그린 후, 도안이 새겨진 면 상부로 글리터를 0.1 ~ 0.5mm의 두께로 도포하여 상온에서 10 ~ 14시 동안 자연건조하게 되면 글리터의 반짝임으로 인해 화려하고 아름다운 그림 및 문양을 얻게 된다.
상기 의류용 물감으로는 아크릴칼라 물감을 사용하되, 아크릴칼라 물감은 안료 72 ~ 85중량%, 물 10 ~ 15중량% 및 아크릴 미디엄 5 ~ 9중량%의 조성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크릴 미디엄(바인더)은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젼 유탁액 50 ~ 70중량%와 물 20 ~ 40중량%와 혼합한 후 암모니아수 10 ~ 20중량%를 첨가한 후 15 ~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릭에멀젼글루(Acrylic Emulsion Glue)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릭에테르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acrylic ester copolymer) 68 ~ 72중량%, 물 25 ~ 30중량%, 실리카 3 ~ 7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도안물감을 제조함에 있어서, 의류용 물감은 55 ~ 78중량%을 아크릴릭에멀젼글루와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의류용 물감을 55중량%이하로 혼합할 시에는 상대적으로 아크릴릭에멀젼글루의 혼합량이 증가하여, 도안 물감의 점성이 증가하여 의류 및 잡화류에 그림 및 문양을 용이하게 새길 수 없고, 78중량%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때는 도안 물감의 접착력이 떨어져 의류 및 잡화류에 새겨진 그림 및 문양이 오래가지 못해 탈락되어 그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짐으로, 55 ~ 78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아크릴릭에멀젼글루는 22 ~ 45중량%를 의류용 물감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아크릴릭에멀젼글루를 22중량%이하로 사용할 시에는 도안 물감의 접착성이 떨어져 의류 및 잡화류에 새겨진 그림 및 문양이 오래가지 않아 탈락되는 단점이 발생하고, 45중량% 이상으로 사용할 때는 물감의 색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짐으로 22 ~ 4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터는 0.1 ~ 0.5mm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0.1 mm이하의 두께로 도포시에는 화려함이나 반짝임 등을 기대하기 어렵고, 0.5mm이상의 두께로 도포시에는 그 접착력이 약하여 의류 및 잡화류 등에서 이탈되기 쉬워 0.1 ~ 0.5mm의 두께로 도포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글리터는 6각 x 0.2mm 입자의 형상으로 빛 반사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입자의 형상이 이보다 더 작으면 오히려 반사율이 떨어지고, 크면 반사율은 크지만 문양이 새겨진 표면의 이물감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글리터는 일반 물감과는 달리 색상을 서로 섞어 중간색을 낼 수가 없음으로, 다양한 색상을 통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형성방법으로 넥타이에 문양을 형성하였고,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형성방법으로 스타킹에 문양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아크릴 미디엄
실시 예 1: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젼 유탁액 70중량%와 물 20중량%를 혼합한 후 암모니아수 10중량%를 첨가한 후 15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다.
실시 예 2: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젼 유탁액 60중량%와 물 25중량%와 혼합한 후 암모니아수 15중량%를 첨가한 후 20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다.
의류용 물감
실시 예 3:
의류용 물감 1은 안료 85중량%, 물 10중량% 및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 미디엄(medium) 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실시 예 4:
의류용 물감 2는 안료 80중량%, 물 12중량% 및 실시 예 2에서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 미디엄(medium) 8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아크릴릭에멀젼글루
실시 예 5:
아크릴릭에멀젼글루 1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릭에테르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acrylic ester copolymer) 72중량%, 물 25중량%, 기타 합성첨가제 3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실시 예 6:
아크릴릭에멀젼글루 2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릭에테르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acrylic ester copolymer) 68중량%, 물 28중량%, 실리카 4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도안물감
실시 예 7:
실시 예 1에서와 같이 조성된 의류용 물감 78중량%와 실시 예 3에서와 같이 조성된 아크릴릭에멀젼글루 22중량%의 조성비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실시 예 8:
실시 예 2에서와 같이 조성된 의류용 물감 70중량%와 실시 예 4에서와 같이 조성된 30중량%의 조성비로 구성한다.
문양 새기는 방법
실시 예 9:
실시 예 5에서와 같이 조성된 도안 물감을 비닐 콘에 충진시킨 후 의류에 수작업으로 그림을 그린 후 바로 글리터를 0.2mm의 균일한 두께로 그림 위에 뿌려준다. 글리터를 뿌린 후에는 통풍이 되는 곳에서 10시간 동안 자연건조시켜줌으로써, 의류에 새겨진 반짝이는 그림이 완성된다.
실시 예 10:
실시 예 6에서와 같이 조성된 도안 물감을 비닐 콘에 충진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가방에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일정한 문양을 새긴 후 글리터를 0.3mm의 균일한 두께로 그림 위에 뿌려준다. 글리터를 뿌린 후에는 통풍이 되는 곳에서 14시간 동안 자연건조시켜줌으로써, 화려한 가방을 구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양 형성방법은 의류 또는 잡화류 등의 밋밋한 면에 글씨, 다양한 형상의 그림 또는 문양을 새겨넣음으로써, 반짝거리는 화려함으로 문양을 돋보임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제공하고, 제품의 가치를 한층 더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그 문양이 의류나 잡화류의 표면에 접착성이 강하여 쉽게 탈락되지 않음으로써, 의류 및 잡화류를 안정적으로 착용 및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안료 72 ~ 85중량%, 물 10 ~ 15중량% 및 아크릴 미디엄 5 ~ 9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의류용 물감 55 ~ 78중량%;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릭에테르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acrylic ester copolymer) 68 ~ 72중량%, 물 25 ~ 30중량%, 실리카 3 ~ 7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아크릴릭에멀젼글루 22 ~ 45중량%;를 혼합하여 도안물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도안물감을 그리고자 하는 대상 표면에 소정형상의 그림 또는 문양을 새긴 후 글리터를 0.1 ~ 0.5mm의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
    글리터를 도포한 후 10 ~ 14시간 자연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 미디엄은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젼 유탁액 50 ~ 70중량%와 물 20 ~ 40중량%와 혼합한 후 암모니아수 10 ~ 20중량%를 첨가한 후 15 ~ 24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KR1020050101882A 2005-10-27 2005-10-27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KR100644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882A KR100644330B1 (ko) 2005-10-27 2005-10-27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882A KR100644330B1 (ko) 2005-10-27 2005-10-27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330B1 true KR100644330B1 (ko) 2006-11-10

Family

ID=3765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882A KR100644330B1 (ko) 2005-10-27 2005-10-27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41A (ko) * 2006-03-28 2007-10-05 박형석 글루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ES2349527A1 (es) * 2009-03-31 2011-01-04 Tecser Print. S.L.L. Procedimiento para la impresion con efecto brillante.
KR101266138B1 (ko) 2010-12-23 2013-05-24 이숙용 일시적인 스킨아트를 위한 웨딩타투 시술방법
KR101328588B1 (ko) 2011-11-17 2013-11-12 장남용 직물 디자인 형성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12A (ko) * 1998-08-01 1999-01-25 박영곤 입체 장식무늬를 갖는 직물지 및 이러한 입체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KR20000017827A (ko) * 1999-12-20 2000-04-06 박준배 피혁 표면의 다색무늬 형성 방법
KR20040009485A (ko) * 2002-07-24 2004-01-31 김태일 현수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12A (ko) * 1998-08-01 1999-01-25 박영곤 입체 장식무늬를 갖는 직물지 및 이러한 입체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KR20000017827A (ko) * 1999-12-20 2000-04-06 박준배 피혁 표면의 다색무늬 형성 방법
KR20040009485A (ko) * 2002-07-24 2004-01-31 김태일 현수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641A (ko) * 2006-03-28 2007-10-05 박형석 글루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ES2349527A1 (es) * 2009-03-31 2011-01-04 Tecser Print. S.L.L. Procedimiento para la impresion con efecto brillante.
KR101266138B1 (ko) 2010-12-23 2013-05-24 이숙용 일시적인 스킨아트를 위한 웨딩타투 시술방법
KR101328588B1 (ko) 2011-11-17 2013-11-12 장남용 직물 디자인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0100A (en) Phosphorescent coloring method
KR100644330B1 (ko) 글리터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CN106042563A (zh) 一种可逆变色的皮革及其制作方法
EP1254985B1 (en) Water-discoloring printed matter and water-discoloring toy employing the same
KR101293437B1 (ko) 부조물의 제작방법, 이로부터 제작된 부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
CN104816514A (zh) 仿水貂绒粘贴画及其制作方法
KR101008484B1 (ko)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JPWO2019004113A1 (ja) 光沢性を有する変色体
CN2362949Y (zh) 自粘装饰墙布(墙纸)
JP2004346257A (ja) 金属光沢調熱変色性液状組成物
KR20070097641A (ko) 글루를 이용한 문양 형성 방법
CN101181855A (zh) 在线绳上制作凸浮图文的方法及其产品
KR200407236Y1 (ko) 요요아트시트
CN201162315Y (zh) 艺术装饰电视墙
CN100512913C (zh) 基于皮影靠子的挂屏制作工艺
JP3061628U (ja) 超軽量粘土芳香性造形物
KR100832081B1 (ko) 장식효과를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상기 원단을 이용한의류용 부자재 및 장식구
CN101172794A (zh) 湿敏可变色石膏制品
CN102767115A (zh) 装饰造形物的制造方法及组成物和组成物套件
JP2003306877A (ja) 変色性合成皮革
CN206443355U (zh) 一种可涂色的包
KR20000018008A (ko) 물방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KR100252596B1 (ko) 반짝이입체스티커제조방법
CN104890425A (zh) 不锈钢制品表面彩色图形的制作方法
US20110094913A1 (en) Holiday Stocking Kits For Art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