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622A -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622A
KR20170111622A KR1020160037461A KR20160037461A KR20170111622A KR 20170111622 A KR20170111622 A KR 20170111622A KR 1020160037461 A KR1020160037461 A KR 1020160037461A KR 20160037461 A KR20160037461 A KR 20160037461A KR 20170111622 A KR20170111622 A KR 2017011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layer
base layer
groove
grooves
lay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주
이상묵
Original Assignee
(주)유니블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블록 filed Critical (주)유니블록
Priority to KR102016003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622A/ko
Publication of KR2017011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8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two or more rams per mould
    • B28B3/086The rams work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표층부의 상면에 표층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를 형성하여 투수율과 투수성능 지속성을 향상시킨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입도 3~8㎜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가압 성형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이 음각 형성된 기층부; 및 입도 1~3㎜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상기 기층부 상면에 적층한 후 가압 성형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표층홈이 음각 형성된 표층부;로 이루어진 투수블록으로서, 상기 표층부의 가압 성형 시, 상기 표층홈은 각각 상기 기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표층홈 하부가 상기 기층홈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WATER PERMEABL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수율과 투수성능 지속성이 우수한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층부의 가압 성형 과정에서 돌출된 양각부를 하부에 구비한 상부몰드를 이용하여 기층부의 상면에 음각의 기층홈을 형성한 후, 기층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표층부의 가압 성형 과정에서 동일한 상부몰드를 이용하여 표층부의 상면에 표층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표층홈의 하부에 의해 기층홈의 상부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를 형성한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보도용 블록의 경우 빗물이 노면에 스며들지 않고 우수구로 배출되므로 지하수의 부족 문제가 야기되고, 갑작스러운 폭우 시에는 빗물이 하천 등으로 급속히 유입되어 범람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투수성 보도블록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6949호(2001. 9. 26. 공고) “투수용 보도블록”, 등록실용신안 제20-0393671호(2005. 8. 25. 공고) “배수 물홈이 있는 보도블록” 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들은 모두 보도블록의 표면에서 저면까지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공을 통공하여 형성한 것으로 빗물이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보도블록의 표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신속히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표면에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보도블록은 미관이 좋지 않으며, 배수공에 못이나 나뭇가지 등 뾰족한 이물질이 박힐 경우에는 보행에 지장을 주거나 보행자의 안전을 해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공 저면 부분에 배수가 집중되므로 보도블록을 지지하는 지반이 약화되거나 유실되어 부분적인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자재인 골재의 결합에 의한 공극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투수가 될 수 있도록 한 투수성 보도블록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도블록은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황사, 분진, 미세먼지 등에 의해 표면의 공극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투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0915호(2012. 4. 30. 공개)에는 기초층의 상부에 다공성 미장층을 형성한 것으로 기초층의 바닥면으로부터 미장층의 경계까지 내부에 다수의 배수홀을 형성하여 투수성을 향상시킨 보도블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도블록 역시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 부분에 배수가 집중되므로 보도블록을 지지하는 지반이 유실되어 부분적인 침하 현상이 발생하므로 보도블록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6949호 (2001. 9. 26. 공고) 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671호 (2005. 8. 25. 공고)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0915호 (2012. 4. 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도블록을 성형하는 상부몰드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된 양각부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기층부의 상면에 음각의 기층홈을 형성하고, 표층부의 가압 성형 시 기층부의 상면에 적층되는 표층부의 상면에도 동일한 상부몰드를 이용하여 기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음각의 표층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표층홈 하부에 의해 기층홈 상부를 폐쇄시켜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표층부로 흡수되는 우수가 표층부에 형성된 표층홈과 표층부와 기층부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를 통해 신속히 지반으로 분산 침투될 수 있도록 한 투수율과 투수지속성이 우수한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도 3~8㎜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가압 성형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이 음각 형성된 기층부; 및 입도 1~3㎜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상기 기층부 상면에 적층한 후 가압 성형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표층홈이 음각 형성된 표층부;로 이루어진 투수블록으로서, 상기 표층부의 가압 성형 시, 상기 표층홈은 각각 상기 기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표층홈 하부가 상기 기층홈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층부는 상기 기층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표층홈의 깊이 값은 상기 표층부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홈 및 표층홈은 하부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홈 및 표층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입도 3~8㎜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하부몰드에 장입하는 단계; (B) 하부에 복수개의 돌출된 양각부를 구비한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와 결합, 가압하여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이 형성된 기층부를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기층부의 상면에 입도 1~3㎜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투입하여 적층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와 다시 결합, 가압하여 상면에 복수개의 표층홈이 형성된 표층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의 가압 성형 시, 상기 표층홈은 각각 상기 기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표층홈 하부가 상기 기층홈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층부는 상기 기층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양각부의 길이 값은 상기 표층부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각부는, 돌출된 단부를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각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재활용순환골재 55~65 중량%, 쇄석골재 20~25 중량%, 고로슬래그미분말 8~12 중량%, 물 0.5~5 중량% 및 고화제 0.5~1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쇄석골재 83~87 중량%, 고로슬래그미분말 8~12 중량%, 물 0.5~5 중량% 및 고화제 0.5~1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종석과 쇄석골재 76~85중량%, 백색 포틀랜드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미분말 8~12중량%, 무기안료 0.1~3중량%, 물 0.5~6중량% 및 고화제 1~3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은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표층홈에 의해 표층부의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토사, 분진 등에 의한 공극의 막힘 현상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어 보도블록의 표층부로 흡수되는 우수가 표층부에 형성된 표층홈과 표층부와 기층부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를 통해 신속히 지반으로 분산 침투되므로 투수율과 투수성능 지속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 저면에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배수 집중이나 누적으로 인한 지반 침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층부가 표층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미관을 해치고 노출된 기층부의 공극이 토사, 분진 등에 의해 쉽게 막혀 투수율 및 투수성능 지속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은 표층부에 형성되는 표층홈의 깊이 값을 표층부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게 표층홈을 형성하므로 표층홈을 통해 기층부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투수성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블록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블록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부몰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부몰드의 단면도.
도 9는 상부몰드 양각부의 가압 전(a) 및 가압 시(b)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블록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수블록(100)은 기층부(10)와 그 상면에 적층되어 가압 결합된 표층부(20)의 복층 구조를 갖는다. 대략 육면체 형태를 이루는 투수블록(100)의 4 측면에는 각각 투수블록(100)과 투수블록(100) 사이를 상호 일정 간격 이격시켜 시공하기 위한 이격돌기(30)가 구비된다.
기층부(10)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하부몰드(미도시)에 장입한 후 상부몰드(50)를 상기 하부몰드와 결합하여 고압으로 가압 성형하여 형성한다(도 2 참조).
상기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일반적인 투수블록을 제작할 경우, 입도 3~8㎜인 쇄석골재 83~87 중량%, 고로슬래그미분말 8~12 중량%, 물 0.5~5 중량% 및 고화제 0.5~1 중량%로 이루어진다.
한편, 친환경 인증 투수블록을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입도 3~8㎜인 재활용순환골재 55~65 중량%, 입도 3~8㎜인 쇄석골재 20~25 중량%, 고로슬래그미분말 8~12 중량%, 물 0.5~5 중량% 및 고화제 0.5~1 중량%로 이루어진다.
기층부(10)의 가압 성형 시에 사용되는 상부몰드(50)는 하부에 돌출된 양각부(52)를 구비하는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부몰드(50)의 한 형태를 예시하여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양각부(5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양각부(52)는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양각부(52)는 일정 경사도를 가진 기둥, 예를 들어 돌출된 단부를 향하여 대략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층부(10) 및 표층부(20) 상면에 형성되는 기층홈(12) 및 표층홈(22)의 개수는 대략 5~50개 정도가 바람직하므로 상부몰드(50) 하부에는 5~50개의 양각부(52)가 구비된다.
양각부(52)의 길이 값은 후술할 표층부(20)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아야 하는데(즉, 양각부 길이 값 ≤ 표층부 두께 값), 양각부(52)의 길이는 1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각부(52)는 콘크리트혼합물에 가압될 때 일정구간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몰드(50)의 내부에 유동공간, 즉 실린더(54)가 형성된 공압실린더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상부몰드(50)를 콘크리트혼합물에 가압하기 전(a)과 가압 시(b)의 양각부(52)의 움직임을 예시하여 보여주는데, 양각부(52)가 실린더(54) 공간만큼 제한적으로 상하 유동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한 상부몰드(50)를 이용하여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가압하면, 양각부(52)에 의해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12)이 음각 형성된 기층부(10)가 성형된다.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기층홈(12)은 하부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층홈(1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양각부(52)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압 성형된 기층부(10)의 상면에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투입하여 고르게 펴준다(도 3 참조).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입도 1~3㎜인 종석과 쇄석골재 76~85중량%, 백색 포틀랜드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미분말 8~12중량%, 무기안료 0.1~3중량%, 물 0.5~6중량% 및 고화제 1~3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그 점성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층홈(12)에 흘러들어가지 않고 기층부(10)의 상면에 고르게 분포된다.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기층부(10)의 상면에 투입하여 고르게 펴준 후에는 다시 상부몰드(50)를 하부몰드와 결합하여 고압으로 가압 성형함으로써 표층부(20)를 형성한다(도 4 참조). 표층부(20)의 성형과 동시에 기층부(10)와 그 상면에 적층된 표층부(20)가 가압 결합되어 복층 구조를 갖는 투수블록(100) 제품이 된다.
표층부(20)의 성형 시에도 기층부(10)의 성형 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상부몰드(50)를 사용하므로 표층부(20)의 상면에도 기층홈(12)과 동일한 형태 및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표층홈(22)이 음각되어 형성된다.
표층부(20)의 두께는 기층부(1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이때, 표층홈(22)의 깊이 값(D)은 표층부(20)의 두께 값(T)보다 크지 않게 형성하는데(즉, 표층홈 깊이 값(D) ≤ 표층부 두께 값(T)), 표층홈(22)의 깊이는 15㎜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표층홈(22)이 너무 깊게 형성되면(즉, 표층홈 깊이 값(D) 〉 표층부 두께 값(T)), 표층홈(22)의 하부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기층홈(12) 상부까지 천공되어 표층홈(22)과 기층홈(12)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가 되므로 기층부(10)와 표층부(20) 사이에 공동부(40)가 형성되지 않는다. 표층홈(22) 깊이가 15㎜를 초과하여 깊게 형성되면, 못이나 나뭇가지 등 뾰족한 이물질이 표층홈(22) 속에 끼여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보행에 지장을 주거나 보행자의 안전을 해칠 염려도 있다.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표층홈(22)은 하부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있으며, 표층홈(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양각부(52)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투수블록(100)의 표층부(20)에 형성되는 표층홈(22)의 다른 예들은 보여주는데, 표층홈(22)의 형태, 배열, 간격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거나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표층홈(22)은 각각 복수개의 기층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표층홈(22)의 깊이 값(D)이 표층부(20)의 두께 값(T)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므로, 상부몰드(50)의 가압 성형 시 양각부(52)에 의해 형성되는 표층홈(22) 하부가 각각의 기층홈(12)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기층부(10)와 표층부(20)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40)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기층부(10)와 표층부(20)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40)가 형성되어 있어 보도블록(100)의 표층부(20)로 흡수되는 우수가 표층부(20)에 형성된 표층홈(22)과 표층부(20)와 기층부(10)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40)를 통해 신속히 지반으로 분산 침투될 수 있어, KS-F 4419 보차도용 콘크리트 블록의 초기품질기준 투수계수(0.1㎜/sec)의 3배인 0.3㎜/sec 이상, 투수성능 지속성(서울시 자체개발 기술인증) 등급은 3등급(0.3~0.5㎜/sec) 이상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면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표층홈(22)에 의해 표층부(20)의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황사나 토사, 분진 등에 의한 공극의 막힘 현상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어 시간이 경과하여도 투수성이 저하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흡수된 우수가 보도블록(100)의 저면 전체를 통해 고르게 분산 배수되므로 배수 집중이나 누적으로 인한 지반 유실이나 침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기층부(10)가 표층부(20)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미관을 해치고 노출된 기층부(10)의 공극이 토사나 분진 등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혀 투수율 및 투수성능 지속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100)은 표층부(20)에 형성되는 표층홈(22)의 깊이 값이 표층부(20)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아 표층홈(22)을 형성하더라도 기층부(10)가 표층홈(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투수성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블록(100)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A) 입도 3~8㎜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하부몰드(미도시)에 장입하는 단계;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일반적인 투수블록을 제작할 경우에는 입도 3~8㎜인 쇄석골재 83~87 중량%, 고로슬래그미분말 8~12 중량%, 물 0.5~5 중량% 및 고화제 0.5~1 중량%로 이루어지며, 친환경 인증 투수블록을 제작할 경우에는 입도 3~8㎜인 재활용순환골재 55~65 중량%, 입도 3~8㎜인 쇄석골재 20~25 중량%, 고로슬래그미분말 8~12 중량%, 물 0.5~5 중량% 및 고화제 0.5~1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B) 하부에 복수개의 돌출된 양각부(52)를 구비한 상부몰드(50)를 상기 하부몰드(미도시)와 결합, 가압하여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12)이 형성된 기층부(10)를 성형하는 단계;
도 2와 같이, 양각부(52)를 구비한 상부몰드(50)를 이용하여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가압하면, 양각부(52)에 의해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12)이 음각 형성된 기층부(10)가 성형된다.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기층홈(12)은 하부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층홈(1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양각부(52)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C) 상기 기층부(10)의 상면에 입도 1~3㎜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투입하여 적층하는 단계;
상기 (B)단계에서 가압 성형된 기층부(10)의 상면에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투입하여 고르게 펴준다.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입도 1~3㎜인 종석과 쇄석골재 76~85중량%, 백색 포틀랜드시멘트 또는 고로슬래그미분말 8~12중량%, 무기안료 0.1~3중량%, 물 0.5~6중량% 및 고화제 1~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의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은 그 점성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층홈(12)에 흘러들어가지 않고 기층부(10)의 상면에 고르게 분포하여 유지된다.
(D) 상기 상부몰드(50)를 하부몰드와 다시 결합, 가압하여 상면에 복수개의 표층홈(22)이 형성된 표층부(20)를 성형하는 단계;
기층부(10)의 상면에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투입하여 적층한 후에는 다시 상부몰드(50)를 하부몰드와 결합하여 가압 성형함으로써 표층부(20)를 형성하는데, 표층부(20)의 성형과 동시에 기층부(10)와 그 상면에 적층된 표층부(20)가 가압 결합되어 복층 구조를 갖는 투수블록(100) 제품이 된다.
기층부(10)의 가압 성형 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상부몰드(50)를 사용하므로 표층부(20)의 상면에도 기층홈(12)과 동일한 형태 및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표층홈(22)이 음각되어 형성된다.
이때, 표층부(20)의 두께는 기층부(1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또한 표층홈(22)의 깊이 값을 표층부(20)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게 형성(즉, 표층홈 깊이 값 ≤ 표층부 두께 값)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표층홈(22)의 깊이는 15㎜ 이하이다.
만일, 표층홈(22)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즉, 표층홈 깊이 값 〉 표층부 두께 값), 표층홈(22)의 하부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천공되어 표층홈(22)과 기층홈(12)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가 되어 기층부(10)와 표층부(20) 사이에 공동부(40)가 형성되지 않는다.
특히, 표층부(22) 하부가 천공되어 표층홈(22)과 기층홈(12)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경우, 기층부(10)가 표층부(20)를 통해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노출된 기층부(10)의 공극이 토사나 분진 등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혀 투수율 및 투수성능 지속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표층홈(22) 역시 하부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표층홈(22)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양각부(52)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의 가압 성형 시, 상기 표층홈(22)은 각각 상기 기층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표층홈(22) 하부가 기층홈(12)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기층부(10)와 표층부(20)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40)가 형성된다.
기층부(10)와 표층부(2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동부(40)는, 보도블록(100)의 표층부(20)로 흡수되는 우수가 표층부(20)에 형성된 표층홈(22)과 공동부(40)를 통해 신속히 지반으로 분산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투수블록(100)의 투수율과 투수성능 지속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제조된 투수블록(100) 제품은 양생, 건조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기층부 12: 기층홈
20: 표층부 22: 표층홈
30: 이격돌기
40: 공동부
50: 상부몰드 52: 양각부
54: 실린더
100: 보도블록

Claims (5)

  1. 입도 3~8㎜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가압 성형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이 음각 형성된 기층부; 및
    입도 1~3㎜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상기 기층부 상면에 적층한 후 가압 성형한 것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표층홈이 음각 형성된 표층부;로 이루어진 투수블록으로서,
    상기 표층부의 가압 성형 시, 상기 표층홈은 각각 상기 기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표층홈 하부가 상기 기층홈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는 상기 기층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표층홈의 깊이 값은 상기 표층부의 두께 값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층홈 및 표층홈은 하부로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층홈 및 표층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
  5. (A) 입도 3~8㎜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기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하부몰드에 장입하는 단계;
    (B) 하부에 복수개의 돌출된 양각부를 구비한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와 결합, 가압하여 상면에 복수개의 기층홈이 형성된 기층부를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기층부의 상면에 입도 1~3㎜인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표층부용 콘크리트혼합물을 투입하여 적층하는 단계; 및
    (D) 상기 상부몰드를 상기 하부몰드와 다시 결합, 가압하여 상면에 복수개의 표층홈이 형성된 표층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의 가압 성형 시, 상기 표층홈은 각각 상기 기층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표층홈 하부가 상기 기층홈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기층부와 표층부 사이에 복수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60037461A 2016-03-29 2016-03-29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1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461A KR20170111622A (ko) 2016-03-29 2016-03-29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461A KR20170111622A (ko) 2016-03-29 2016-03-29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22A true KR20170111622A (ko) 2017-10-12

Family

ID=6014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461A KR20170111622A (ko) 2016-03-29 2016-03-29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6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32B1 (ko) * 2018-11-23 2019-11-07 김경희 배수홀을 갖춘 보,차도블록,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48626B1 (ko) 2021-01-08 2021-05-06 흥덕산업 주식회사 아크릴수지 및 스콜레사이트 유무기 하이브리드 표층부와 배수엣지갭을 가지는 배수블록
KR102525880B1 (ko) *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32B1 (ko) * 2018-11-23 2019-11-07 김경희 배수홀을 갖춘 보,차도블록,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48626B1 (ko) 2021-01-08 2021-05-06 흥덕산업 주식회사 아크릴수지 및 스콜레사이트 유무기 하이브리드 표층부와 배수엣지갭을 가지는 배수블록
KR102525880B1 (ko) *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464A (ko)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KR20170111622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2261029B (zh) 一种路缘石及其制备方法以及包括该路缘石的道路
CN211079798U (zh) 一种路面透水砖
KR102140338B1 (ko) 합성투수블럭
CN203008114U (zh) 一种带孔洞的水沟混凝土盖板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1510517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KR20160046516A (ko) 투수성 보도블럭
KR102133540B1 (ko) 포장용 압입식 현장타설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JP2012046971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板
CN211547155U (zh) 一种道路用透水平缘石
JP2012046981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板
KR101944925B1 (ko) 배수성을 갖는 보도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
CN207362626U (zh) 一种装配式透水人行道基层砌块
CN206034229U (zh) 一种附带储水功能透水砖
KR20120103266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707B1 (ko)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KR100961257B1 (ko) 친환경 스톤블록의 제조방법
KR20150085366A (ko)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KR101849168B1 (ko) 그레이팅 표층을 갖는 콘크리트 배수블록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AU2020101094A4 (en) Paving Device
KR101564653B1 (ko) 범람방지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