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707B1 -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707B1
KR101889707B1 KR1020170069528A KR20170069528A KR101889707B1 KR 101889707 B1 KR101889707 B1 KR 101889707B1 KR 1020170069528 A KR1020170069528 A KR 1020170069528A KR 20170069528 A KR20170069528 A KR 20170069528A KR 101889707 B1 KR101889707 B1 KR 10188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boundary
protruding
width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석
이정훈
Original Assignee
박충석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충석, 이정훈 filed Critical 박충석
Priority to KR102017006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제3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저류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개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계돌기부 및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개구의 상측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중 하나는 상기 제3측면의 저류공간부의 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측면은 경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는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2측면 및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측면의 홈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는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작다.

Description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A PAV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의 도로와 주차장 등이 불투수화되고 이로 인하여 적은 비에도 도시에 홍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빗물로 인하여 하천이 오염되고 있다.
이에 도시의 친환경적인 빗물 순환을 위하여 포장재의 불투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포장재 자체에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포장재에 형성된 공극은 모래나 먼지 등에 의해 시공 후 6개월 이내에 그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그 외에도 틈새블록이나 기능성 투수블록 등을 통해 포장재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제작이 어렵거나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986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재와 포장재 사이의 시공과정 또는 포장재와 포장재가 시공된 상태에서 오토바이나 차량 등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해 포장재가 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류 공간이 형성되며, 저류공간으로 빗물이나 모래가 구배에 따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빗물이 포장재 하단에 저류되어 서서히 땅속으로 침투되도록 하며, 도시의 미세 먼지도 감소시킬 수 있는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제3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저류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개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계돌기부 및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개구의 상측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중 하나는 상기 제3측면의 저류공간부의 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측면은 경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는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2측면 및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측면의 홈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는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재와 포장재 사이의 시공과정 또는 포장재와 포장재가 시공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포장재가 깨지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류 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의 저류가 가능하며 더불어 도시의 미세 먼지를 저류공간으로 침전시켜 도시의 먼지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류 공간 또는 땅속으로 빗물을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는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시공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배치된 것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배치된 것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시공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시공된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이 각 층, 영역, 구조물들의 "상/위"에 또는 "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와 "아래"는 "직접" 또는 "다른 층, 영역 또는 구조물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 영역 또는 구조물들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두께나 크기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상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100)는 대략 정육면체 형태의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저류공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제1측면(101), 제2측면(102), 제3측면(103), 제4측면(104), 상측면(105), 하측면(106)을 포함하는데, 상기 저류공간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측면(106)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101)과 제3측면(103)의 개구를 통해 개방된다. 상기 제1측면(101)과 제3측면(103)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기 제2측면(102)와 제4측면(104)는 서로 이웃하지 않는다.
상기 몸체부(110)의 상측면(105)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면(105)이 정사각형 형태로써 가로 200mm와 세로 200mm의 크기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 즉 상측면(105)과 하측면(106) 사이의 거리는 상기 포장재(100)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보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80mm, 차도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12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수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측면(101)에는 경계돌기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경계돌기부(111)는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제1측면(101) 방향의 개구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경계돌기부(111)는 인접한 포장재(100)와의 간격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저류공간부(120)에 충진재(규사모래), 낙엽, 담배꽁초 등 기타 쓰레기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기능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경계돌기부(111)는 상기 제1측면(101)에 수직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105)으로부터 하측면(106)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돌기부(111)는 폭이 20-2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101)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0.8-1.2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1mm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에는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개구가 노출되는데, 상기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의 간격은 50-60mm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최대 폭과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면(101)에는 홈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31)는 상기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측면(101)으로부터 0.3-0.7mm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실시예에서는 0.5mm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돌기부(111)는 상기 제1측면(101)으로부터는 0.8-1.2mm 돌출되고 상기 홈부(131)로부터는 1.1-1.9mm 돌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제1측면(101)으로부터 1mm 돌출되고 상기 홈부(131)로부터 1.5mm 돌출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홈부(131)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111)가 돌출된 거리는 상기 제1측면(101)으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111)가 돌출된 거리보다 크다.
상기 저류공간부(120)는 하부의 폭이 상기 하측면(106)의 폭의 10-30%의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하부의 폭이 상기 하측면(106)의 폭의 10% 보다 작은 경우 저류공간이 너무 적은 문제가 있고 상기 하측면(106)의 폭의 30% 보다 큰 경우 상기 몸체부(110)의 강도가 지나치게 약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저류공간부(120)는 폭이 50mm로 형성되고 높이가 22mm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2측면(102)에는 돌기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12)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측면(102)에 수직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105)으로부터 하측면(106)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12)는 폭이 8-12mm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측면(102)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0.8-1.2mm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12)는 폭이 10mm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102)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1mm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3측면(103)에는 돌기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13)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측면(103)에 수직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면(105)으로부터 하측면(106)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13)는 폭이 8-12mm로 형성되며, 상기 제3측면(103)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0.8-1.2mm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13)는 폭이 10mm로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103)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1mm로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3측면(103)에 형성된 돌기부(113)는 상기 제1측면(101)에 형성된 경계돌기부(111)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포장재(100)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시공하는 경우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과 다른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3측면(103)가 접하는 경우 경계돌기부(111)와 돌기부(113)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측면(103)에는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개구의 상측 부분에 돌기부(11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부(113)는 이웃하는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 이격된다. 상기 돌기부(113)는 상기 저류공간부(120)로 유입되는 충진재, 낙엽, 담배꽁초 등 기타 쓰레기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상기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로 빗물과 미세먼지가 잘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측면(104)는 경계 돌기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경계 돌기부(114)는 상기 제2측면(102)에 형성된 돌기부(112)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측면(104)의 경계 돌기부(114)의 폭은 상기 제1측면(101)의 경계돌기부(111)와 폭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4측면(104)으로부터 상기 제4측면(104)의 경계 돌기부(114)가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1측면(101)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101)의 경계돌기부(111)가 돌출된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재(100)를 복수개 배치함에 있어서 지면의 경사 구배에 따라 빗물이나 모래가 어느 하나의 저류공간부(120)에 집중되어 쏠리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4측면(104)과 다른 포장재(100)의 제3측면(103)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4측면(104)과 다른 포장재(100)의 제3측면(103) 사이로 충진재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저류공간부(120)의 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측면(104)에 경계돌기부(114)를 형성하여 대향하는 포장재(100)의 저류공간부(120)에 충진재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계돌기부(111,114)는 돌기부(112,113)보다 폭이 크게 형성된다. 이는 경계돌기부(111,114)가 파손되는 경우 저류 기능이 상실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른 돌기부(112,113)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시공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포장재(100)는 복수개가 배치되며,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과 제3측면(103)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포장재(100)의 제2측면(102)와 제4측면(104)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장재(100)를 배치함에 있어서 포장재(100)의 제2측면(102)과 다른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이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면의 경사 구배가 클 경우 빗물이나 모래가 어느 하나의 저류공간부(120)에 집중되어 쏠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배치된 것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돌기부(112)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측면(106)에 저류공간부(120)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배치된 것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과 다른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3측면(103)은 서로 대향하는데,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에 형성된 경계돌기부(111)는 다른 포장재(100)의 제3측면(103)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과 다른 포장재(100)의 제3측면(103)에 형성된 돌기부(113)는 서로 접촉한다.
다만, 포장재(100)의 제1측면(101)의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에는 홈부(131)가 형성되므로,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에 배치된 돌기부(113)는 상기 홈부(131)와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의 제1측면(101)과 제3측면(103)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간격이 넓은 빗물 유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돌기부(111)와 경계돌기부(111) 사이 외측의 제1측면(101)과 제3측면(103)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은 줄눈 공간부(1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빗물 유입구(121)에 상기 돌기부(113)를 형성하는데, 이는 배수기능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보여질 수는 있으나, 빗물 유입구(121)가 큰 경우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기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히 빗물 유입구(121)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배수기능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빗물 유입구(121)는 상기 저류공간부(120)와 연결되어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줄눈 공간부(122)에는 포장재(100)의 시공 과정에서 충진재 등이 유입되도록 하여 포장재(100)와 포장재(100) 사이의 완충재 역할을 하여 포장재(1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포장재(100)와 포장재(100)를 배치하여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줄눈 공간부(122)에 모래 등 완충재를 충진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빗물 유입구(121)에 모래 등 완충재가 일부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류공간부(120)에 일부 모래 등 완충재가 유입되더라도 저류 기능 또는 빗물과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기능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가 시공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100)는 지면에 잡석층(510)을 배치한 후 그 상측에 모래층(520)를 배치한다. 상기 잡석층(510)과 모래층(520) 사이에는 투수시트(53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잡석층(510)은 대략 3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래층(520)의 상측에 본 발명의 포장재(100)가 설치되며, 상기 포장재(100)의 하측의 저류공간부(120)는 모래층(520)과 연결되어 신속히 빗물을 땅속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는 시간당 강수량이 4㎝/h인 경우, 포장재 한개에 면적의 강수량은 20㎝×20㎝×4㎝/h=1600㎤/h가 된다. 이때, 상기 빗물 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시간당 빗물 유입한계량은 0.15㎝×5㎝×3600㎝/h=2700㎤/h가 된다. 따라서, 시간당 4㎝(40mm)의 강수가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빗물 유입구(121)를 통해 모두 배출이 가능하다.
한편, 현재 대한민국에서 정한 1등급 포장재의 투수량은 3.6㎝/h 인데, 이를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에 적용하면 20㎝×20㎝×3.6㎝/h=1440㎤/h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류공간부(120)의 물 저장량이 5㎝×20㎝×2.2㎝=220㎤가 되고, 대략적인 하부 잡석층(510)의 물 저장량이 20㎝×20㎝×30㎝(잡석층의 두께)×0.38(저장계수=4560㎤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재는 물 저장량이 대략 4780㎤가 되어 40mm의 강수량이 3시간 집중되는 경우의 유량인 1600㎤/h×3=4800㎤/h 정도까지 빗물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100)는 볼록한 상면(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예시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상면(115)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3에서는 상면(115)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는 포장재(100)가 인도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더라도 차량이나 오토바이들이 지나가는 경우가 많고, 하중으로 인하여 포장재(100)가 파괴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면(115)을 볼록하게 형성하여 힘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보다 견고한 포장재(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포장재, 111,114; 경계돌기부, 112,113; 돌기부, 120; 저류공간부

Claims (6)

  1.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측면에 제1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중앙 하부에 제1개구 및 제3측면의 중앙 하부에 제2개구가 형성되는 저류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류공간부의 폭은 상기 하측면 폭의 10~30%의 범위 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제1개구의 양측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폭이 20-2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되어 상기 저류공간부에 충진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계돌기부 및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제1개구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0.3-0.7mm 함몰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은 폭이 8-12mm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은 폭이 8-12mm로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중 하나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빗물이 잘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측면의 저류공간부의 제2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측면은 폭이 20-2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되는 경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는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상기 제1측면의 홈부와 상기 제3측면의 제2개구의 상측에 배치된 돌기부는 상기 제1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의 폭은 충진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측면 및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측면의 홈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는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1,4측면의 경계돌기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3측면의 돌기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계돌기부와 돌기부는 서로 상이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 간격은 상기 제4측면의 경계돌기부 간격과 동일하고 제2측면의 돌기부의 간격은 제3측면의 돌기부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상측면은 중앙이 볼록하고 주변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1,2,3,4측면과 만나는 부분까지 경사가 형성되어 상측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포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측면에 제1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중앙 하부에 제1개구 및 제3측면의 중앙 하부에 제2개구가 형성되는 저류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류공간부의 폭은 상기 하측면 폭의 10~30%의 범위 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제1개구의 양측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폭이 20-2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되어 상기 저류공간부에 충진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계돌기부 및 상기 제1측면의 저류공간부의 제1개구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0.3-0.7mm 함몰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측면은 폭이 8-12mm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은 폭이 8-12mm로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중 하나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빗물이 잘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측면의 저류공간부의 제2개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측면은 폭이 20-25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0.8-1.2mm 돌출되는 경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는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되고,상기 제1측면의 홈부와 상기 제3측면의 제2개구의 상측에 배치된 돌기부는 상기 제1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제4측면에 형성된 경계돌기부의 폭은 충진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측면 및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1측면의 홈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는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3측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제3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경계돌기부가 돌출된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1,4측면의 경계돌기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3측면의 돌기부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계돌기부와 돌기부는 서로 상이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의 경계돌기부 간격은 상기 제4측면의 경계돌기부 간격과 동일하고 제2측면의 돌기부의 간격은 제3측면의 돌기부의 간격과 동일하며,
    상기 상측면은 중앙이 볼록하고 주변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1,2,3,4측면과 만나는 부분까지 경사가 형성되어 상측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포장재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포장재 중 제1 포장재가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장재의 제2측면에 제1측면이 대향하도록 제2 포장재가 배치되어 상기 제1 포장재의 저류공간부와 상기 제2 포장재의 저류공간부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빗물이나 모래가 어느 하나의 저류공간부로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재 시공방법.
KR1020170069528A 2017-06-05 2017-06-05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KR10188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28A KR101889707B1 (ko) 2017-06-05 2017-06-05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528A KR101889707B1 (ko) 2017-06-05 2017-06-05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707B1 true KR101889707B1 (ko) 2018-08-20

Family

ID=6344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528A KR101889707B1 (ko) 2017-06-05 2017-06-05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024B1 (ko) * 2020-04-14 2020-09-10 주식회사 정우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73B1 (ko) * 2010-01-20 2010-07-16 (주)콘스타 블록
KR101509444B1 (ko) * 2013-11-11 2015-04-09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73B1 (ko) * 2010-01-20 2010-07-16 (주)콘스타 블록
KR101509444B1 (ko) * 2013-11-11 2015-04-09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024B1 (ko) * 2020-04-14 2020-09-10 주식회사 정우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64B1 (ko) 도로용 다기능 합성수지블록
CN109098064B (zh) 避免路面雨水沉积的海绵城市道路结构
KR100921475B1 (ko) 투수성과 보수성을 가지는 포장용 블록
KR101889707B1 (ko) 도시의 빗물순환과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포장재 및 시공방법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CN207659814U (zh) 一种公路路面防滑结构
KR100682021B1 (ko) 투수용 보도블록
CN203008114U (zh) 一种带孔洞的水沟混凝土盖板
CN106758636B (zh) 一种便于透水铺装路面维护的透水铺装带及透水铺装路面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100654667B1 (ko) 투수성 도로 포장체에서 저수저감 공간을 형성하는 환경친화적 다공 패널
CN202000239U (zh) 一种路缘石以及包括该路缘石的道路
KR20170111622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510517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KR101947257B1 (ko) Lid 구조물
JP2013079544A (ja) 噴砂防止構造
CN212611777U (zh) 一种高稳定性的公路路面结构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CN205153091U (zh) 外封闭式孔隙梯度透水性排水沟盖板
KR20210030196A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CN206635592U (zh) 一种便于透水铺装路面维护的透水铺装带及透水铺装路面
KR100446216B1 (ko) 도로 포장용 블록
KR100936575B1 (ko) 친환경 투수 블록 제작 방법
CN104562890A (zh) 硅砂透水路肩
JP2007120014A (ja) L型導水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