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464A -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 Google Patents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464A
KR20150096464A KR1020157018585A KR20157018585A KR20150096464A KR 20150096464 A KR20150096464 A KR 20150096464A KR 1020157018585 A KR1020157018585 A KR 1020157018585A KR 20157018585 A KR20157018585 A KR 20157018585A KR 20150096464 A KR20150096464 A KR 2015009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vity
units
permeab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이. 맥도날드
토마스 에스. 리코벤
Original Assignee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키스톤 리테이닝 월 시스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9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2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28B7/183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0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undercut recesses, e.g. dov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285Core pu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2Coverings, the surface of which consists partly of prefabricated units and partly of sections mad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5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7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이 상부 표면 및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두 쌍의 짝 측면, 상부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 및 빗물과 같은 액체를 함유하기 위해 통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채널을 포함한다. 유닛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회전 테셀레이션(tessellation) 요소를 형성한다. 통로는 유닛 사이의 틈 또는 측면 공동부 및/또는 유닛 내부의 코어 공동부 또는 다른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언더컷이 코어 공동부에 제공될 수 있다. 통과성 재료 플러그가 채널 또는 언더컷 내로 연장되는 공동부 안에 주조된다. 그리하여, 플러그는 리벳 처럼 공동부 안에 고정되어, 기계적 힘 또는 유압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투과성 표면의 실시예가 통과성 유닛과 불통과성 유닛의 조합을 포함하며, 불투과성 유닛에 대한 투과성 유닛의 비 및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표면 흡수율이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본 출원은 2012년 1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37,45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표면을 덮기 위한 투과성 및 통과성 포장용 벽돌(pavers), 안뜰 석조(patio stones) 및 다른 건축 유닛 블럭으로서, 빗물과 같은 액체가 표면의 블럭을 통해 및/또는 이 블럭 주위로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포장용 벽돌, 안뜰 석조 및 건축 유닛 블럭에 관한 것이다.
견고한 땅 표면을 제공하고 그러면서 물이 표면 덮개를 통과하여 땅 속으로 또는 아래의 물 저장, 함유 또는 배수 시스템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투과성 또는 통과성 표면 덮개를 만드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통과성 표면 덮개 및 구조체는 제작된 포장용 벽돌, 벽돌 또는 다른 유사한 유닛으로 통상적으로 구성된다. 제작된 유닛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작된 유닛으로 덮인 표면은 일반적으로, 반복적이고 쉽게 인식가능한 패턴으로 깔리게 된다. 주차장 등과 같은 몇몇 통과성 표면 덮개는, 차량 교통 및 제설기에서 주어지는 기계적 힘 및/또는 수압과 같은 유압력을 견딜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투과성 표면 덮개는 물 함유 용량, 구조적 온전성, 내구성 및 심미성의 면에서 다양한 정도의 성공을 이루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 표면,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두 쌍의 짝(mating) 측면; 액체를 함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및 상기 유닛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상기 채널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을 제공한다.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유닛의 바닥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로는 유닛의 측면에서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된다. 유닛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테셀레이션(tessellation) 요소를 형성하지만, 활주 및 활주와 회전의 조합을 포함한 다른 형태의 테셀레이션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은 상부 표면, 바닥 표면, 및 적어도 두 쌍의 측면을 포함한다. 유닛은 측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 공동부를 포함하며, 이 코어 공동부는 유닛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유닛의 바닥 표면까지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유닛의 바닥에 제공되거나, 대안적으로, 공동부의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언더컷이 형성된다. 통과성 재료 플러그가 공동부 안에 주조되어 공동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게 되며, 채널 또는 언더컷 안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하여, 플러그는 리벳 같이 공동부 안에 고정되어, 기계적 힘 또는 유압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의 실시예가 제공되며, 유닛 각각은 상부 표면 및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두 쌍의 측면을 갖는다. 표면 덮개의 인접한 유닛의 불규칙한 형상의 측면들은 서로 결합하여 맞물리게 된다. 유닛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측면 공동부를 포함한다. 표면 덮개의 인접하는 유닛의 측면 공동부들은 정렬되어 더 큰 공동부를 형성하게 된다. 통과성 재료 플러그는 표면 덮개의 공동부의 적어도 일 부분 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표면 덮개의 실시예에서, 유닛의 적어도 일 부분은, 유닛의 측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고 측면 공동부와 교차하는 바닥 채널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유닛의 바닥 채널들은 서로 정렬되어, 액체가 정렬된 채널들을 통해 표면 아래에서 물탱크, 빗물 배수관 또는 표면 아래의 다른 물 저장/전달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면 채널은 고정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스테이크(stake) 또는 로드가 측방향으로 유닛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슬롯을 통해 박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향상된 물 함유 용량, 구조적 온전성, 내구성 및 심미성의 목적들 중 하나 이상을 달성하는 개선된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양태와 특징을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상평면도이다.
도 2a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일 대안적인 채널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제 1 실시예의 부분적인 투과성 표면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제 1 실시예의 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 박스를 나타낸다.
도 4a는 제 1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의 일 대안예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나 있는 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 박스를 나타낸다.
도 5a는 제 2 실시예의 부분적인 투과성 표면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b에 나타나 있는 유닛을 제작하기 위한 몰드 박스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a의 선 6 - 6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8 - 8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4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4 실시예의 고정 슬롯의 분해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선 11 - 11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제 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 13 - 1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통과성 플러그가 없는 유닛을 보여주는 제 5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일 대안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유닛의 단면도로, 통과성 플러그가 제자리에 있다.
도 16은 제 5 실시예의 표면 덮개이다.
도 17a는 제 6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제 6 실시예의 표면 덮개이다.
도 18은 제 7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선 19 - 19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선 20 - 20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 7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상평면도이다.
도 22는 일 대안적인 키홀형 고정 슬롯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은 일 대안적인 "T"-형 고정 슬롯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a는 통과성 플러그를 갖지 않는 제 8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4b는 통과성 플러그를 갖는 제 8 실시예의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몰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나 있는 몰딩 장치의 진자 장치의 상세 사시도이다.
이하, 현재 본 발명자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의 모드라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된 발명의 개념의 추가적인 실시예도 당업자에게 의심의 여지 없이 명백할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 4는 본 개시에 따른 포장 또는 표면 덮개 유닛(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유닛은 통과성, 부분적으로 통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통과성 재료, 예컨대, 콘크리트로 성형될 수 있다. 유닛의 외형은, 예컨대 2012년 6월 5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D661,409 및 2008년 7월 1일에 발행된 제7,393,155호에 나타나 있고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테셀레이션(tessellation)으로 되어 있고, 미국 특허들은 본원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유닛(10)은 4개의 측면(12, 14, 16, 18)을 갖는데, 이들 측면 모두는 평면도에서 볼 때 동일한 전체적인 형상 또는 외형을 갖는다. 측면(12, 14)은 서로의 회전 이미지로, 정점(vertex)(20)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되어 있다. 유사하게, 측면(16, 18)은 서로의 회전 이미지로, 정점(22)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되어 있다. 또한, 측면(14, 18)은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보일 수 있고, 반면 측면(12, 16)은 볼록하게 보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유닛(10)의 볼록한 측면은 다른 유닛(10)의 임의의 오목한 측면과 짝을 이루게 될 것이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불규칙한 형상의 서로 짝을 이루는 측면들은, 개선된 구조적 온전성을 위한 상호 맞물림 결합 및 매력적이고 자연적인 외양을 표면에 제공하게 된다.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닛(10)의 측면 및 상측 표면은, 가짜 조인트(false joints)(26)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석조, 자갈 또는 슬라브 요소(24)를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조각될 수 있다. 석조 또는 자갈 요소의 개수, 크기 및 외형은 설계 선택 사항이고 유닛 마다 다를 수 있다. 요소의 가장자리(28)는 유닛 측면(12 ∼ 18)으로부터 내측에 있을 수 있고, 요소 가장자리(28)에서 유닛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어진 유닛 내에서 다를 수 있고 또한 유닛 마다 다를 수 있다. 유사하게, 서로 다른 유닛에서, 가짜 조인트(26)의 개수, 외형, 폭 및 깊이는 다를 수 있다. 조각된 측면과 상부 표면의 조합, 자연적인 석조 또는 자갈 요소, 가짜 조인트 및 불규칙한 형상의 측면에 의해, 본 발명의 유닛(10)과 결합되는 표면 덮개는 더욱 자연적인 외양을 갖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유닛(unit)"은, 내부 및 외부 표면 덮개 및 하중 지탱 구조체 및 비(non) 하중 지탱 구조체를 포함하여, 도로, 차도, 보도, 주차장, 안뜰, 호안포장, 바닥 및 다른 표면 덮개 구조체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포장용 벽돌, 콘크리트 석공 유닛, 벽돌, 블럭, 석조 또는 타일을 말하는 것이다. "불규칙한 형상(irregularly shaped)" 및 "불규칙한 외형(irregular configuration)" 이라는 용어는, 측면이 자연 돌의 외양을 갖도록 측면이 들쭉날쭉하게 또는 거칠게 잘라져 있는 것처럼 보이고 또한 외관적인 대칭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 용어가 사용될 때, 단일의 직선 또는 단일의 매끄러운 만곡부를 포함하는 측면은 "불규칙(irregular)"하지 않지만, 불규칙한 형상의 측면은 일련의 직선 부분 또는 일련의 만곡된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서 측면의 전체적인 외양은 불규칙하게 된다. 불규칙한 측면을 갖는 유닛과 결합되는 표면 덮개는, 규칙적인 기하학적 패턴이 쉽게 명백히 보이지 않도록 자연적인 외양을 갖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닛의 모든 측면은 불규칙한 측면을 갖지만, 하나 이상의 측면은 선택적으로 곧은 부분 또는 규칙적인 기하학적 만곡부로 이루어지거나 그러한 부분 또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규칙적인 측면을 갖는다.
이제 도 3a를 참조하면, 표면 덮개(30)가 빗물, 눈이 녹은 물, 압력 세척 용액 등과 같은 액체를 모으고, 함유하며 그리고/또는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유닛(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닛(10)은 이 유닛의 측면의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32)를 포함하는데, 이 스페이서는 액체를 하나 이상의 하부 챔버 또는 공동부 채널(36)에 전달하기 위해 유닛들 사이에 틈(34)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물 또는 다른 액체는 하부 채널 안에 함유될 수 있다. 스페이서(32)는 어떤 길이, 높이 또는 형상으로도 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각 측면에 복수의 스페이서가 제공되며, 각 스페이서는 유닛의 보이는 상부 표면(11)으로부터 다소 후퇴되어 있으며, 그래서 스페이서는 마무리된 표면 덮개에서는 명확히 보이지 않게 된다.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하부 채널(36)이 제공될 수 있는데, 하지만 다수의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채널(channel)" 및 "하부 채널(under channel)"은, 액체를 잡고, 함유하거나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유닛의 상부 표면 아래의 채널, 공동부 또는 챔버를 말하는 것이다. 하부 채널(들)은 도 2a에 나타나 있는 아치형 채널(36)과 같은 어떤 원하는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도 2b는 평평한 측벽 및 반아치형 상부벽을 갖는 일 대안적인 채널을 보여준다. 오메가(Ω)형 및 불규칙한 형상을 포함하여(이에 한정되지 않음)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채널은 길이 방향으로 유닛의 일 측면에서 다른 측면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은 일 측면까지만, 또는 임의의 수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채널은 유닛 측면의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유닛들 사이의 틈(34)을 통해 액체를 전달하는 것에 추가하여, 통로(38)가 유닛(10) 내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1b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짜 조인트(26)의 일 부분은 유닛을 통과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배수 통로(38)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통로(38)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채널(36)에 연결되는데, 하지만 모든 통로가 채널에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통로는 열려 있을 수 있거나, 여기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통과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가짜 조인트(26)는 물을 틈 및 통로에 전달하여 배수를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지는 포장용 벽돌 유닛의 일반적인 치수는 13" × 11" × 5.625" 이고 채널(36)에서 140 입방 인치의 물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1 평방 피트의 표면 당 대략 0.1 입방 피트의 물이 함유될 수 있다. 대안적인 포장용 벽돌의 실시예는, 1 평방 피트의 표면적 당 대략 0.05 ∼ 0.15 입방 피트의 액체 저장 용량을 갖도록 될 수 있다.
도 3a는 다수의 유닛(10)으로 구성된 일 예시적인 부분 표면 덮개(30)의 평면도이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닛들 사이의 틈(34)은 배수를 용이하게 해준다. 이 틈은 통과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이 통과성 재료는 폴리머 수지와 같은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모래와 같이 결합제가 없는 것일 수 있다. 도 3b는 건식 주조 콘크리트로 표면 덮개 유닛(10)을 제작하기 위한 일 예시적인 몰드 박스(40)의 상평면도이다.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사이클 당 2개의 유닛에 채널(36)을 형성하기 위해 왕복식 코어 풀러(core puller; 42)가 사용된다.
도 4a는 일 대안적인 실시예의 표면 덮개(44)를 도시한다. 유닛(10a)의 일 부분에서, 채널(36)은 이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닛(10b)의 다른 부분에서 채널(36)은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조립되면, 채널(36)들은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렬된다. 채널들이 정렬됨으로써, 물이 단지 함유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 아래에서 전달될 수 있다. 정렬된 채널들에 의해 물 또는 다른 액체는 물탱크, 빗물 배수관 또는 표면 아래의 다른 물 저장/전달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b는 유닛(10a, 10b)을 쌍으로 제조하도록 되어 있는 몰드 박스(40)와 코어 풀러(42)를 도시한다.
도 5a, 5b 및 6은 본 발명의 제 2 포장용 벽돌 유닛(1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유닛(110)은 실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7,393,15의 도 17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불규칙한 회전 테셀레이션 유닛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유닛(110)은 제 1 정점(120), 제 2 정점(121) 및 제 3 정점(122)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3쌍의 불규칙한 측면을 갖는다. 각 측면 쌍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회전 이미지이며, 정점(120, 121, 122)을 중심으로 각각 90도, 180도 및 90도의 각으로 회전되어 있다. 각 쌍의 측면은 다른 쌍과 비교할 때 형태로서 다른 길이를 갖는다. 유닛(110)은 6개의 불규칙한 측면을 갖지만, 전체적으로, 3개의 주 측면 또는 긴 측면(112, 114, 116)을 갖는 삼각형으로 보일 수 있다(측면(112)은 실제로 정점(121)을 중심으로 180도로 회전된 2 측면임). 표면 덮개(130)에는, 유닛(110)들 사이의 구조적 연결부가 코너(113)에서 만들어진다. 코너에서 유닛들 사이의 간격, 특히 유닛들의 하측 또는 밑 부분들 사이의 간격은 최소이거나 접하여, 특히 표면이 도로 교통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 또는 다른 힘을 받을 때 표면 덮개에 구조적 온전성을 제공하게 된다. 코너들 사이의 중간에서, 액체의 함유 및 전달을 위한 측면 공동부 또는 오목부(115)가 주 측면에 제공된다. 측면 공동부는 단차형이거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즉 단차 없이 연장될 수 있다. 측면 공동부는 타원형과 같은 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형상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공동부(cavity)" 및 "측면 공동부(side cavity)"는, 다수의 유닛이 조립될 때 유닛들 사이의 일반적인 조인트 또는 틈의 용적 보다 실질적으로 큰 현저한 용적을 갖는 공동부가 유닛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유닛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또는 포켓을 의미하는 것이다. 평면도에서 볼 때 측면 공동부의 면적은 유닛의 총 면적의 3 ∼ 15%, 더 바람직하게는 유닛 면적의 5 ∼ 10% 이다. 어떤 실시예에서, 측면 공동부는, 이 측면 공동부의 면적이 총 유닛 표면적의 40% 만큼 확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갖는 통과성 폴리머 매트릭스로 충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통로(passageway)"는 물 또는 다른 액체를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공동부, 틈, 채널 또는 도관을 의미한다.
제 1 및 2 실시예의 유닛은 미국 특허 제7,393,1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불규칙한 회전 테셀레이션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회전 테셀레이션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활주 및 활주-회전 조합을 포함한 다른 테셀레이션 형태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닛(110)은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채널 또는 공동부(136)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하부 채널 대신에, 측면 채널에 인접하는 유닛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아래의 제 8 실시예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언더컷(undercut)이 제공될 수 있다. 측면 공동부(115)는 모래와 같은 통과성 재료(117)로 충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수지와 같은 결합제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 공동부(115)는 하부 공동부(136)와 교차하며, 그리하여, 액체, 예컨대 빗물이 공동부(115)를 통해 하부 채널(136)에 전달되어 물 함유 용량을 증가시킨다.
표면 덮개(130)는, 먼저 유닛(110)을 땅 또는 준비된 아래 표면 상에 깔아 구성된다. 그 아래 표면은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투과성이다. 이어서, 측면 공동부(115)가 통과성 재료(117), 예컨대 골재(aggregate)와 폴리머 수지 또는 다른 결합제(binder) 또는 시멘트질 재료의 혼합물로 충전된다. 도 6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과성 재료가 부어져 측면 공동부를 충전하고 하부 채널(136)(또는 언더컷) 안에 들어갈 수 있다(119). 수지 또는 다른 시멘트질 재료가 굳으면, 유닛(110) 아래에서 고정되는 통과성 매트릭스 또는 플러그(152)가 형성된다. 불규칙한 형상의 측면, 코너의 확고한 구조 연결부 및 하부 채널 안으로 고정되는 통과성 재료 플러그를 갖는 상호 맞물림 유닛들의 조합에 의해, 우수한 구조적 온전성을 갖는 투과성 표면 덮개가 제공된다. 또한, 불규칙한 형상으로 인해, 표면 덮개는 자연적인 비기하학적 외양을 갖게 된다.
도 5b는 측면 공동부(115)와 하부 채널(136)을 갖는 유닛(110)을 보여주는, 일 예시적인 몰드 박스(140) 레이아웃의 평면도이다. 하부 채널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어 풀러(142)로 형성된다. 하부 채널은 어떤 형상이라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수의 유닛(210)이 조립되어 표면 덮개(230)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및 2 실시예의 경우처럼, 유닛(210)은 표면 덮개에 상호 맞물림식 구조적 온전성을 제공하게 되는 불규칙한 형상의 측면(212, 214, 216, 218)을 갖는다. 표면 덮개는 유닛들 사이의 통로 또는 틈(234)을 포함한다. 이 틈(234)은,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닛의 측면에 스페이서를 제공하거나,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의 일 부분을 오목하게 만들거나, 또는 인접한 유닛들이 덜 완벽하게 결합하도록 측면 형태를 약간 변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유닛(230)은 측면 공동부 또는 측면 채널(215)을 더 포함한다. 틈(234)은 액체가 표면 아래에서 함유되고/함유되거나 전달되도록 유닛들 사이를 지나 공동부(215) 안으로 배수되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틈(234)과 공동부(215)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통과성 재료로 충전되거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하부 측면 공동부(215)는, 도 4a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표면 아래에서 전달될 수 있도록 표면 덮개에서 정렬될 수 있다.
도 9 ∼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수의 유닛(310)이 조립되어 표면 덮개(330)를 형성하고 있다. 유닛(310)은 고풍스럽거나 거칠거나 자연적인 바위형 측면(312, 314, 316, 318)을 갖는 규칙적인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면은 불규칙한 형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닛(310)은 하부 채널(336)을 갖는데, 이 하부 채널은 사용되는 경우 유닛의 길이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도 8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닛의 하측면에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닛은 하나 이상의 가짜 조인트(326)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석조 또는 자갈 요소(324)를 포함할 수 있다. 자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하게 성형되어 있다. 유사하게, 가짜 조인트(326)의 개수, 외형 및 폭은 자연적인 외양을 표면 덮개에 주기 위해 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측면 공동부(315)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 공동부(제공되어 있는 경우)와 교차한다. 평면도에서 볼 때 측면 공동부의 외형은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기하학적 형상도 가능하다. 측면 공동부(349)의 일 부분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부 채널(336)과 교차할 수 있다. 유닛의 코너 사이에는 통로 또는 공동부(350)가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측면 공동부(315)는 도 10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차형으로 되어 있고 고정 슬롯(346)을 포함한다. 공동부(315)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불규칙한 형태로 조각되어 있다. 고정 슬롯(346)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키홀(key-hole)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1 및 23의 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고정 슬롯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인접한 유닛들의 고정 슬롯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면 덮개에서 선택적으로 정렬된다. 안뜰과 같은 표면 덮개의 가장자리에서 로드, 핀 또는 스테이크(stake; 348)를 고정 슬롯을 통해 박아, 측방향에서 유닛을 땅 또는 기초 기반 재료층 상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비싼 가장자리 구속 장치가 없어도 된다. 스테이크는 필요에 따라 표면 덮개의 내부 영역에 박을 수도 있다. 스테이크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곧게 되어 있을 수 있거나, 역 "J" 또는 "U" 형으로 되어 인접한 유닛과 결합해 맞물릴 수 있다. 스테이크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측면 공동부(315, 349), 코너 공동부(350) 및 고정 슬롯(34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결합제를 포함하는 통과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슬롯의 형상으로 인해, 통과성 재료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굳은 통과성 플러그(352)는 스테이크(348)의 상부를 에워싸고 인접한 유닛들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여 표면 구조체를 함께 결속시키고 표면의 구조적 온전성을 향상시킨다. 역 "J" 또는 "U" 형 스테이크도 인접한 유닛들을 기계적으로 함께 결속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2 ∼ 16은 제 5 실시예의 유닛(410)을 도시한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유닛(410)은 제 1 실시예의 유닛(10)과 동일한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며, 불규칙한 형상의 조각된 측면; 가짜 조인트(426)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석조, 자갈 또는 슬라브 요소(424); 및 하나 이상의 하부 채널(436)을 포함한다. 하부 채널 대신에, 아래의 제 8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언더컷이 제공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닛(410)은 스페이서를 포함하지 않지만, 선택적으로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유닛(410)은 하부 채널(436)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450)를 포함한다. 이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배져(drafted) 있다. 공동부의 면적, 형태 및 위치는 유닛 마다 다를 수 있다. 평면도에서 볼 때 코어 공동부의 면적은 유닛의 총 면적의 약 3 ∼ 40%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유닛 면적의 5 ∼ 20% 일 수 있다.
코어(450)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제를 포함하는 통과성 재료로 충전된다. 코어 재료의 투과성은 선택되는 골재, 결합제 및 다른 첨가제에 근거하여 조정될 수 있다. 통과성 재료는 유닛의 정상부로부터 하부 채널 또는 공동부까지 이르는 배수로 또는 배수 통로를 제공한다. 통과성 재료는 코어 안으로 부어져 하부 채널 안에 들어갈 수 있다. 수지 또는 다른 결합제가 굳으면, 통과성 플러그(452)가 형성된다. 구배진 코어, 및 하부 채널 안으로 연장되는 부분(454)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조합에 의해, 플러그는 리벳 처럼 유닛 내에 위치 고정되는데, 즉 이 플러그는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렴 및 발산되어 있다. 플러그의 형상으로 인해, 차량 교통 또는 수압과 같은 유압력으로 인한 이탈이 방지된다. 플러그는 제조 공정의 일 부분으로서 유닛에 주조(cast)될 수 있거나,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기본 유닛(410)이 표면 덮개에 조립된 후에 현장에서 부어질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두리(453)가 플러그(452)의 상부 가장자리 주위에 연장된다. 그러나, 이 테두리는 가짜 조인트(426)를 통과성 플러그(452)에 연결하여 배수를 촉진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분할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유닛(410)의 일 변형예인 유닛(410a)을 도시하는데, 이는 테두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유닛(410a)은 통과성 플러그(452)를 갖는데, 이 플러그의 상부 표면은 가짜 조인트(426)의 바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에 있다. 그리하여, 가짜 조인트는 빗물과 같은 액체를 통과성 플러그 안으로 보낼 수 있고 그래서 배수를 향상시킨다. 통과성 재료는 선택적으로 가짜 조인트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은 유닛(410), 또는 유닛(410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일 예시적인 표면 덮개(430)를 도시한다. 이 표면 덮개는 바람직하게는, 미리 성형된 충전되지 않은 유닛들을 적절히 준비된 베드 위에 깔아 형성된다. 유닛들이 깔린 후에, 통과성 재료 플러그가 현장에서 부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닛들 사이의 틈(나타나 있지 않음)은 동일한 굳는 통과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닛들 사이의 틈은 이어서 다른 통과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고, 이 통과성 재료는 결합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표면 덮개가 더욱 자연적인 외양을 갖도록 하기 위해, 코어 및 플러그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유닛 마다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덮개는, 유닛(410)과 동일한 전체적인 형상 및 구성을 갖되 코어 또는 통과성 플러그는 없는 유닛(41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에 측면 공동부가 제공될 수 있다.
통과성 유닛(410, 410a) 및 불통과성 유닛(410b)의 혼합 및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흡수율은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거나 무작위로 혼합될 수 있다. 도 16의 실시예는 4개의 불통과성 유닛 당 대략 하나의 통과성 유닛(410)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는데, 그 결과, 통과성 재료가 대략 4%를 차지하는 표면이 얻어진다. 특정 장소의 조건에 따라, 어떤 구역에서는 더 큰 배수가 필요할 수 있고 다른 구역에서는 배수가 더 적어도 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의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시스템에서, 불통과성 유닛에 대한 통과성 유닛의 비는 그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향상된 배수가 필요한 구역에 대해서는 더 큰 통과성 플러그를 갖는 유닛이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총 표면적에 대한 통과성 면적의 비는 약 3% ∼ 약 50%의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7a 및 17b는 제 6 실시예의 유닛(510)을 도시한다. 이 유닛(510)은 제 1 실시예의 유닛(10)과 동일한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며, 뷸규칙한 형상의 조각된 측면; 가짜 조인트(526)에 의해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석조, 자갈 또는 슬라브요소(524); 및 선택적인 하부 채널 또는 공동부(536)를 포함한다. 유닛(510)은 선택적으로 스페이서(도 17a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510)은 통상적인 실질적으로 불통과성인 부분(556) 및 통과성 부분(558)을 포함한다. 불통과성 부분(556)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통과성 부분(558)은 골재와 폴리머 수지와 같은 결합제의 혼합물로 되어 있다. 통과성 부분과 불통과성 부분은 예컨대 공몰딩(co-molding)으로 함께 제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과성 부분과 불통과성 부분은 개별적으로 몰딩될 수 있다. 예컨대, 통과성 부분이 먼저 몰딩되어 굳어지고, 그런 다음에 유닛(510)용 몰드 안에 삽입되며, 불통과성 재료가 이 몰드 안에 배치되어 몰딩된다. 통과성 부분은 실질적으로 불통과성인 유닛과 함께 몰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과성 부분은, 주 유닛들이 깔려 표면 덮개를 형성하기 전 또는 후에 조립되기 위해 주 유닛과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과성 부분은 현장에서 부어질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과성 부분(55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부(536)와 교차한다.
이제 도 17b를 참조하면, 표면 덮개(530)는 통과성 유닛(510)과 불통과성 유닛(510b)의 조합을 포함한다. 불통과성 유닛(510b)은 유닛(510)과 동일한 형태를 갖지만 통과성 부분(558)은 없다. 도 16의 실시예의 표면 덮개(430)의 경우 처럼, 국지적인 배수 요건에 따라 불통과성 유닛에 비해 더 적거나 많은 수의 통과성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7b의 실시예는 예컨대, 3개의 불통과성 유닛(510b) 당 대략 하나의 통과성 유닛(510)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를 보여주며, 그래서 대략 6%가 통과성인 표면이 얻어지게 된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처럼, 총 표면적에 대한 통과성 면적의 비는 약 3% ∼ 약 50%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8 ∼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유닛(610)을 보여준다. 이 유닛(610)의 외형은 기본적인 직사각형 포장용 벽돌인데, 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불규칙한 외형을 포함한 다른 유닛 외형도 가능하다. 유닛(610)은 코어 공동부(650) 및 이 코어 공동부와 교차하는 선택적인 바닥 채널(636)을 포함한다. 도 19 ∼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어 공동부는 바람직하게 구배져 있는데, 즉 정상부에서 바닥부로 테이퍼져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측면은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코어 공동부는, 코어 공동부(650)의 내벽에 위치되는 고정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슬롯(660)을 포함한다.
코어 공동부(650)는 제 5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과성 플러그(나타나 있지 않음)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제를 포함하는 통과성 재료로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채널(636)이 제공되면, 코어 공동부 안으로 부어진 통과성 재료는 이 하부 채널(636) 안에 들어가 플러그를 코어안에 고정시키게 된다. 통과성 재료는 또한 슬롯(660) 안으로도 들어가 플러그와 유닛 사이의 향상된 구조적 연결을 제공하게 된다. 선택적인 하부 채널이 제공되지 않으면, 고정 슬롯은 토크와 교통 하중과 같은 기계적 힘 및 유압력으로 인한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19 ∼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브테일(dovetail) 슬롯(660)을 포함하여(이에 한정되지 않음) 다른 형상의 슬롯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키홀 슬롯(660a) 및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T-형 슬롯(660b)을 포함하여(이에 한정되지 않음) 대안적인 슬롯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닛들 사이의 구조적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 슬롯은 선택적으로 유닛의 외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24는 제 8 실시예의 유닛(710)을 도시한다. 이 유닛(710)은 제 7 실시예와 유사한 직사각형 외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제 1 ∼ 6 실시예와 관련하여 나타나 있고 전술한 외형을 포함하여(이에 한정되지 않음) 다른 외형도 사용될 수 있다. 유닛(710)은 유닛을 수직으로 통과해 연장되는 코어 공동부(750)를 포함한다.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구배져 있다. 공동부는 평면도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코어 공동부는 통과성 플러그(752)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제를 포함하는 통과성 재료로 충전되도록 되어 있다. 유닛(710)은, 제 7 실시예와 관련하여 나타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하부 채널 또는 공동부(도 24a 및 24b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공동부(750)는 하나 이상의 언더컷(762)을 더 포함한다. 이 언더컷(762)은 코어의 측면의 오목부, 공동부 또는 함몰부이다. 언더컷은 예컨대 도 2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닛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거나, 코어의 중간에 위치될 수 있다. 언더컷과 공동부의 구배의 조합으로,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렴 및 발산하는 내부 공동부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동부가 골재와 결합제가 혼합된 통과성 재료로 충전되고 결합제가 굳으면,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통과성 플러그는 이 공동부 안에 고정된다. 이 플러그는 기계적 힘 및/또는 유압력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한다. 언더컷은 나타나 있는 반원통형을 포함하여(이에 한정되지 않음) 어떤 원하는 형상 또는 크기로도 될 수 있다.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언더컷은 또한 외부 측벽(나타나 있지 않음)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만들어질 수 있다.
유닛(710)과 같은 콘크리트 유닛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건식 주조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는 언더컷, 특히 내부 공동부의 언더컷을 경제적으로 성형할 수 없다. 대부분의 몰딩 작업에서는, 코어가 쉽게 빠질 수 있도록 공동부는 바람직하게 구배져 있는데, 즉 일 방향으로만 점진적으로 테이펴져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닛(710)과 같은(이에 한정되지 않음) 건식 주조된 콘크리트 유닛에 언더컷을 경제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몰딩 장치와 방법이 제공된다. 도 25는 팰릿(764) 위에 위치되어 있는 몰드 박스(740)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박스(740)는 분할벽(766), 공동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768), 다짐용 슈우(tamping shoes)(770), 플런저(772), 및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한 진자(pendulum) 장치(774)를 포함한다. 진자 장치(774)는 성형 단부(778)를 갖는 진자 부재(776) 및 스탑(782)을 포함하며, 이 성형 단부는 축(780)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진자의 단부 및 대응적으로 성형된 언더컷은 원통형으로 나타나 있지만, 직사각형 바아 형상 및 삼각형을 포함하여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몰딩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처음에, 몰드 박스(740)가 팰릿(764) 상에 위치되며, 이는 진자 부재(776)가 도 25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로 상방 외측으로 회전하게 한다. 코어(768)는 진자 부재의 성형 단부(778) 위쪽에서 몰드 박스 안에 위치된다. 적절한 양의 콘크리트가 몰드 안에 배치되고 슈우(770)로 다져져 유닛(71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몰드 박스에 대해 팰릿(764)을 수직으로 분리시켜 몰드를 개방한다. 기계적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슈우(770)는 중력의 도움을 받아 유닛(710)을 몰드 밖으로 누르고 이 유닛은 팰릿 상에 남게 된다. 몰드 박스에 대한 유닛의 상대 운동으로 생기는 힘 및 중력에 의해, 진자 부재(776)는 도 25 및 26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위치로 하방 내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진자 부재의 후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계적 보조물, 예컨대 스프링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진자가 후퇴될 때, 유닛이 몰드 박스에서 제거된다. 그런 다음, 새로 주조된 유닛(710)은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 경화될 수 있다. 언더컷은 대안적인 장치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5 및 26에 나타나 있고 설명된 몰드 박스가 일 예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더 넓은 양태에서 본 발명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 실시예에 대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특히, 일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결합의 비제한적인 예들이 여기서 위에서 제공되어 있다. 다른 결합도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서 고려되고 있다.
10 표면 덮개 유닛 12, 14, 16, 18 측면
30 표면 덮개 32 스페이서
34 틈 36 채널
38 통로

Claims (30)

  1.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으로서,
    상부 표면, 및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두 쌍의 짝(mating) 측면,
    액체를 함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및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상기 채널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측면들 중의 하나로부터 반대쪽 측면까지 연장되는 하부 채널을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평평한 하부벽과 반아치형 상부벽으로 형성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측면의 복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측면에서 상기 스페이서 사이의 틈을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에서 상기 채널과 교차하는 코어 공동부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성 재료로 충전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과성 재료는 골재(aggregate)와 결합제(binder)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쌍의 측면은 제 1 공통 정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제 1 각도로 서로 회전 이격되어 있으며,
    제 2 쌍의 측면은 제 2 공통 정점으로부터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제 2 각도로 서로 회전 이격되어 있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면 모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및 2 각도는 동일한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은 가짜 조인트(false joints)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석조 형상 요소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가짜 조인트로부터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을 통과해 상기 채널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2.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으로서,
    상부 표면, 바닥 표면 및 적어도 두 쌍의 측면을 갖는 몰딩된 몸체,
    상기 몸체에서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바닥 표면까지 연장되고 내부 측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 공동부,
    상기 코어 공동부의 내부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몰딩된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undercut), 및
    상기 코어 공동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통과성 재료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성 재료 플러그의 하부는 상기 언더컷 내로 연장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은 상기 몸체의 바닥 표면에 인접한 코어 공동부의 상호 반대 내부 측벽 상의 적어도 2개의 언더컷을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은 바닥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공동부는 상기 바닥 채널과 교차하며, 상기 통과성 재료 플러그는 상기 바닥 채널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표면은 가짜 조인트에 의해 분리되는 석조 형상 요소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짜 조인트는 상기 통과성 재료 플러그와 연통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7.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으로서,
    상부 표면, 바닥 표면,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두 쌍의 측면, 및 바닥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일 부분은 실질적으로 불통과성인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다른 부분은 통과성 재료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며, 이 통과성 재료 매트릭스는 상기 상부 표면으로부터 바닥 채널까지 연장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의 상부 표면은 가짜 조인트에 의해 분리되는 석조 형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짜 조인트는 상기 통과성 재료 매트릭스와 연통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19. 투과성 표면 덮개로서,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닛 각각은 상부 표면 및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적어도 두 쌍의 측면을 가지며, 상기 표면 덮개의 인접한 유닛의 불규칙한 형상의 상기 측면들은 서로 결합하여 맞물리게 되며,
    상기 유닛의 적어도 일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를 가져, 상기 표면 덮개는 복수의 공동부를 포함하며,
    통과성 재료 플러그가 상기 표면 덮개의 공동부의 적어도 일 부분 내에 고정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유닛 측면에서 복수의 공동부를 가지며, 인접하는 유닛의 측면 공동부들은 상기 표면 덮개에서 서로 정렬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측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바닥 채널을 포함하고, 복수의 공동부가 복수의 상기 채널과 각각 교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의 유닛의 상기 바닥 채널들은 서로 정렬되어, 액체가 정렬된 채널들을 통해 표면 아래에서 전달될 수 있는 투과성 표면 덮개.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표면 덮개는 복수의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제 1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2 유닛은 실질적으로 불통과성인 투과성 표면 덮개.
  24. 투과성 표면 덮개로서,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닛 각각은 상부 표면 및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 복수의 측면을 가지며, 각 측면은 단부를 가지며, 각 유닛의 적어도 두 측면은 단부들 중간에서 측면 공동부를 가지며,
    상기 표면 덮개의 인접한 유닛의 불규칙한 형상의 상기 측면들은 이들 측면의 각 단부에서 서로 결합하여 맞물리게 되며, 인접하는 유닛의 측면 공동부들은 상기 표면 덮개에서 서로 정렬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표면 덮개는 상기 측면 공동부 안에 주조되는(cast) 투과성 플러그를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공동부는 고정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슬롯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테이크(stake)를 더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7.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적어도 일 부분은 바닥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 채널은 상기 측면 공동부와 액체 연통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8. 청구항 24에 있어서,
    적어도 복수의 상기 측면 공동부 안에 주조되고 바닥 채널까지 연장되는 투과성 재료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투과성 표면 덮개.
  29. 청구항 24에 있어서,
    인접하는 유닛의 상부 표면들은 틈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측면 공동부는 상기 상부 표면의 아래에서 측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틈은 측면 공동부와 비교하여 치수에 있어 비교적 좁고 또한 측면 공동부와 연통하며, 액체가 표면 아래에 함유되기 위해 상기 틈을 통해 측면 공동부 안으로 전달될 수 있는 투과성 표면 덮개.
  30.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표면 덮개는 복수의 제 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닛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 1 유닛과 짝을 이루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닛에는 측면 공동부가 없는 투과성 표면 덮개.
KR1020157018585A 2012-12-14 2013-12-13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KR20150096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7452P 2012-12-14 2012-12-14
US61/737,452 2012-12-14
PCT/US2013/074976 WO2014093803A1 (en) 2012-12-14 2013-12-13 Permeable surface covering units and permeable surface cov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464A true KR20150096464A (ko) 2015-08-24

Family

ID=5093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585A KR20150096464A (ko) 2012-12-14 2013-12-13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140169878A1 (ko)
EP (1) EP2931974A1 (ko)
KR (1) KR20150096464A (ko)
AU (1) AU2013359036B2 (ko)
CA (3) CA3018156A1 (ko)
WO (1) WO20140938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0797A (zh) * 2019-11-22 2020-03-24 湖南建工五建建筑工业化有限公司 一种pc预制构件预留pc线管接线孔制作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9998C (en) 2004-10-25 2007-05-15 Oldcastle Building Products Canada, Inc. An artificial flagstone for providing a surface with a natural random look
EP2861801B1 (en) 2012-06-18 2016-04-27 Oldcastle Building Products Canada Inc. Dual-unit paving system
US9315950B2 (en) * 2012-10-19 2016-04-19 Oldcastle Architectural, Inc. Paving stones
CN104294738A (zh) * 2014-11-08 2015-01-21 昆山通海建材科技有限公司 排水路面砖
US9903088B2 (en) 2015-02-18 2018-02-27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Blocks and block connectors, block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blocks
US9951527B2 (en) 2015-07-22 2018-04-24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Patio blocks and block systems with side surface positioning and retaining structures
USD864420S1 (en) * 2016-07-31 2019-10-22 F. Von Langsdorff Licensing Limited Paving stone
USD950106S1 (en) * 2016-07-31 2022-04-26 F. Von Langsdorff Licensing Limited Paving stone
CN106245483B (zh) * 2016-10-17 2018-06-29 苏州大学 一种排水地砖框架结构
CN107856171B (zh) * 2017-12-04 2024-01-16 福建工程学院 一种生态带孔透水砖的生产模具
USD893759S1 (en) 2018-02-08 2020-08-18 Mdc Contracting, Llc Landscape slab
USD861918S1 (en) * 2018-03-01 2019-10-01 Holcim Coastal B.V. Cast stone
US10837145B2 (en) * 2018-03-06 2020-11-17 Steven T. LANNI Paving block units and paving block system for fluid storage and drainage allowing vertical and horizontal flow of fluid
US11162229B1 (en) 2018-11-07 2021-11-02 Berry Outdoor, LLC Paver system
US11332892B2 (en) 2019-08-14 2022-05-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atio blocks and method of providing a UV coating
US11499272B2 (en) 2019-08-14 2022-11-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atio blocks with edge blocks
USD1021149S1 (en) * 2021-07-14 2024-04-02 Pavestone, LLC Pav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762A (en) * 1896-12-08 Drainer-floor and tile therefor
GB2113736A (en) * 1981-07-14 1983-08-10 John Huw Threadgold Paving slabs used to create a random 'crazy paving' effect
USD342528S (en) * 1991-08-14 1993-12-21 Hupp Jack T Plastic mold
JP2708733B2 (ja) * 1995-11-29 1998-02-04 株式会社カンケン 擬石覆工ブロック
US5884445A (en) * 1997-12-02 1999-03-23 Oldcastle, Inc. Paving block array
USD404147S (en) * 1997-12-02 1999-01-12 Oldcastle,Inc. Paving block
ATE245742T1 (de) * 1999-06-03 2003-08-15 Vidal Maurell Joan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konstruktionsmaterial
USD439677S1 (en) * 2000-08-25 2001-03-27 Matt Stone, Inc. Paver stone
DE20016731U1 (de) * 2000-09-27 2002-02-14 Karl Weber Betonwerk Gmbh & Co Bodenbelagelement aus Kunststeinmaterial und Bodenbelagelementsatz
CA2389952C (en) * 2001-06-08 2011-05-24 Beton Bolduc (1982) Inc. Interlocking paving stone
AU2005201779A1 (en) * 2004-05-28 2005-12-15 John Arthur Cummins Fluid permeable composite material and process for same
JP4460652B2 (ja) * 2005-01-28 2010-05-12 開発コンクリート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7092436A (ja) * 2005-09-29 2007-04-12 Kuroshio:Kk 環境改善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7344334B2 (en) * 2006-05-16 2008-03-18 Vast Enterprises Llc Paver system
USD584424S1 (en) * 2007-01-29 2009-01-06 Advanced Pavement Technology Inc. End/side region for an interlocking paver
US20090129864A1 (en) * 2007-11-15 2009-05-21 Ryan James Flynn Cementitious paver
US8459896B2 (en) * 2008-01-15 2013-06-11 Ecs Solutions, Llc Permeable paving system
US8251607B2 (en) * 2008-01-15 2012-08-28 Ecs Solutions, Llc System and apparatus of fluid storage using paver blocks
WO2009140760A1 (en) * 2008-05-21 2009-11-26 Les Materiaux De Construction Oldcastle Canada, Inc . Artificial stone
CA130858S (en) * 2008-12-01 2010-10-13 F Von Langsdorff Licensing Ltd Paving stone
USD609369S1 (en) * 2009-06-04 2010-02-02 Ecs Solutions, Llc Paver block
US8002494B2 (en) * 2009-06-22 2011-08-23 Techo-Bloc Inc. Paving stone and method
USD688809S1 (en) * 2012-02-22 2013-08-27 Aquaarch Exfiltration System, LLC Paving stone
US8820022B1 (en) * 2013-03-15 2014-09-02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Llc Building unit with cobble t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0797A (zh) * 2019-11-22 2020-03-24 湖南建工五建建筑工业化有限公司 一种pc预制构件预留pc线管接线孔制作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59036A1 (en) 2015-06-04
US20140169878A1 (en) 2014-06-19
US20180371705A1 (en) 2018-12-27
AU2013359036B2 (en) 2016-06-02
EP2931974A1 (en) 2015-10-21
US20170167086A1 (en) 2017-06-15
CA2892004A1 (en) 2014-06-19
CA3018156A1 (en) 2014-06-19
CA2964716A1 (en) 2014-06-19
WO2014093803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464A (ko) 투과성 표면 덮개 유닛 및 투과성 표면 덮개
US9957687B2 (en) Wall block and wall block system
US7425106B2 (en) Concrete pavers positioned in a herringbone pattern
US10655340B2 (en) Patio blocks and block systems with side surface positioning and retaining structures
US20230219253A1 (en) Block, block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 block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CN101046080B (zh) 渗水型纯平地坪铺砖施工方法及预制构件
WO2002042561A2 (en) PERMEABLE PAVE
KR20160090609A (ko) 측면 연결형 콘크리트블록
KR100769918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JP2001348805A (ja) 舗装用平板ブロック、及びこれを布設した舗装構造
JPH03144018A (ja) コーナー用化粧ブロック
CN111519487A (zh) 一种先预制面层的复合型透水砖板及其制备方法
EP1074363A2 (en) A selflocking paving elemen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4291277A (ja) 孔付き複合ポーラス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20060233610A1 (en) Interlocking paver stone system
JPH0213082B2 (ko)
JP2004339727A (ja) 中埋めブロック擁壁及びこれを使用した盛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