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366A -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366A
KR20150085366A KR1020140005161A KR20140005161A KR20150085366A KR 20150085366 A KR20150085366 A KR 20150085366A KR 1020140005161 A KR1020140005161 A KR 1020140005161A KR 20140005161 A KR20140005161 A KR 20140005161A KR 20150085366 A KR20150085366 A KR 2015008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ire
concrete structure
block
tire block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대현
Original Assignee
배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대현 filed Critical 배대현
Priority to KR102014000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5366A/ko
Publication of KR2015008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폐타이어 블록이 사방으로 연속으로 시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 너트가 고정 결합되며 지면에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육면체로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폐타이어 블록, 및 상부에 반구형 머리부가 형성되고 머리부 아래에 지지부가 형성되며 지지부 아래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가 일체로 구성된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고정부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너트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격부재의 머리부가 폐타이어 블록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을 결합시키되,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투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타이어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투수공을 거쳐 투과된 우수가 지면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천 시에도 보도블록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어 보도블록의 유실 방지와 더불어 보도의 통행이 용이하고, 이로 인한 보도블록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어 보도블록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폐타이어 블록의 적용으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Combiner of Waste Tire Block and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폐타이어 블록을 결합시키는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폐타이어 블록이 사방으로 연속으로 시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보행자가 통행하는 도로나 광장 등에 깔도록 만들어진 덩어리로, 주로 시멘트나 벽돌 따위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기능성과 더불어 디자인적인 요소가 중시되고 있다.
통상적인 보도블록의 시공은 평평하게 고르고 다진 지면에 일정량의 모래를 평탄하게 깔고 그 위에 블록을 배열한 다음 블록 위에 모래를 뿌린 후 블록 사이에 모래가 채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시공된 보도블록은 어느 한 부분에 집중적인 하중이 발생되거나 지반의 침하 또는 우수에 의한 지반 침식 등에 의하여 쉽게 망실되어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보도블록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보도블록은 투수성이 미흡할 경우에 우수에 잠기거나 우수의 흐름에 쉽게 유실되는 문제도 노출되었다.
또한, 견고한 보도블록의 설치를 위하여 지면 위에 프라이머나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도블록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한 환경적인 위해요소와 함께 내구연한 경과 후에 보도블록의 처리가 곤란한 문제도 있었다.
최근에 보도블록은 친환경적인 면에서 값비싼 대리석이나 석재 또는 방부목의 사용으로 시공비용이 상승하고 있다. 이의 대안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비닐이나 합성수지 또는 재생고무나 폐타이어고무 등을 이용하여 생산된 보도블록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되는 보도블록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 1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071호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도블록은 분쇄되어 형성된 다수의 폐우레탄칩이 서로 접착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평면 형상을 구비하는 패널 형태의 폐우레탄층; 및 폐우레탄층의 저면에 접착 구비되고, 분쇄되어 형성된 다수의 폐타이어칩이 서로 접착되어 형성되고, 폐우레탄층과 평면의 면적 및 모양이 동일한 패널 형태의 폐타이어층을 구비하고, 인터로킹 블록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4526호의 폐타이어의 고무 분말을 이용한 재생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단면 및 측면의 일부분이 마모된 폐보도블록의 상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표면부, 표면부의 각각의 주변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 제1연장부의 주변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제2연장부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폐보도블록의 하단면에 밀착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며, 열 압착에 의해서 폐보도블록에 밀착 결합되는 고무층을 포함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해 제작되거나 재생되는 보도블록 역시 우수에 쉽게 침수되거나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071호(2002.06.27. 공고, 명칭;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도블럭)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4526호(2001.07.09. 공개, 명칭; 폐타이어의 고무 분말을 이용한 재생 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폐타이어 블록과 재생골재의 적용으로 친환경적이며, 지면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폐타이어 블록을 사방으로 연속 배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 너트가 고정 결합되며 지면에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육면체로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폐타이어 블록, 및 상부에 반구형 머리부가 형성되고 머리부 아래에 지지부가 형성되며 지지부 아래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가 일체로 구성된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고정부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너트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격부재의 머리부가 폐타이어 블록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을 결합시키되,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투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폐타이어 블록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이격부재를 사용하여 사방으로 연속하여 시공하되, 폐타이어 블록들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가 유지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폐타이어 블록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은 4~9개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격부재의 지지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타이어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투수공을 거쳐 투과된 우수가 지면에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천 시에도 보도블록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어 보도블록의 유실 방지와 더불어 보도의 통행이 용이하고, 이로 인한 보도블록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어 보도블록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폐타이어 블록의 적용으로 자원을 재활용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폐타이어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이격부재로 결합된 폐타이어 블록을 배열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폐타이어 블록(10)은 대략 직육면체로 일정량의 폐타이어 고무칩이 혼합된 것이거나 또는 폐타이어 일부를 잘라 블록 형상으로 제조한 것이 적용된다. 폐타이어 블록(10)은 탄성을 갖는 것이 좋다. 폐타이어 블록(10) 표면에는 복수의 요철부(12)가 형성된다. 요철부(12)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폐타이어 블록(10) 저면에는 복수의 결합홈(13)이 형성된다. 결합홈(13)은 반구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4~9개 정도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폐타이어 블록(1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투수공(11)이 형성된다. 투수공(11)은 폐타이어 블록(10) 표면에 고이거나 흐르는 우수가 투과할 수 있는 구멍이다.
더욱이 폐타이어 블록(1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몸체에 상부와 하부 및 측면, 즉 외부면에 폐타이어로 감싼 것이어도 좋다.
콘크리트 구조물(30)은 기초 구조물로 지면(100) 위에 일정 두께 및 면적, 즉 폐타이어 블록(10)이 시공되는 면적만큼 타설되는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30)은 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철근(31)이 삽입되는 것이 좋다. 콘크리트 구조물(30)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홈(32)에는 너트(33)가 고정 결합된다. 삽입홈(32)은 대략 육각기둥 형상의 홈으로 너트(33)가 삽입되어 회전되지 않는 것도 좋을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30)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삽입홈(32)이 미리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너트(33)가 내장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좋지만, 필요에 따라 삽입홈(32)을 별도로 드릴과 같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격부재(20)는 콘크리트 구조물(30)과 폐타이어 블록(10) 사이를 결합함과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물(30)과 폐타이어 블록(1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공간, 즉 수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격부재(20)는 상부에 반구형 머리부(21)가 형성된다. 또한, 머리부(21)는 다각형상이어도 좋다. 이격부재(20)의 머리부(21) 아래에는 지지부(22)가 형성된다. 지지부(22)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그리고 이격부재(20)의 지지부(22) 아래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23)가 형성된다. 고정부(23)는 지지부(22)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일체화된 것이다.
따라서 이격부재(20)는 고정부(23)가 콘크리트 구조물(30)에 형성된 삽입홈(32)에 삽입되어 너트(33)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격부재(20)의 머리부(21)가 폐타이어 블록(10)의 결합홈(13)에 억지끼움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30)과 폐타이어 블록(10)을 결합시킨다. 따라서 이격부재(20)의 고정부(23)가 콘크리트 구조물(30)에 형성된 삽입홈(32)에 삽입되어 너트(33)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격부재(20)의 머리부(21)가 폐타이어 블록(10)의 결합홈(13)에 결합되어 폐타이어 블록(10)이 콘크리트 구조물(30)로부터 복수의 이격부재(20)로 각각 고정 설치된다. 더욱이 이격부재(20)의 지지부(22) 길이만큼 폐타이어 블록(10)과 콘크리트 구조물(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폐타이어 블록(10)에 형성된 투수공(11)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흘러가는 수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서, 보도블록을 시공할 지면(100)을 고르게 다진 후에 일정 두께 및 넓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나 철근(31)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시켜야 하고, 여기서 거푸집 설치는 콘크리트 타설 후 사방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홈(32)의 형성과 더불어 너트(33)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콘크리트에는 재생 또는 순환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3b에서, 일정 수량의 폐타이어 블록(10)과 이격부재(20)를 준비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30)의 양생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30)에 형성된 삽입홈(32)에 이격부재(20)의 고정부(23)를 삽입하여 삽입홈(32)에 삽입된 너트(33)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3c에서, 폐타이어 블록(10)을 이격부재(20)의 머리부(21)에 억지끼움으로 눌러 결합시킨다. 이때, 폐타이어 블록(10)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13)은 4개 내지 9개 정도가 적합하고, 폐타이어 블록(10)의 결합홈(13)에 맞추어 이격부재(20)가 콘크리트 구조물(3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폐타이어 블록(10)과 콘크리트 구조물(30) 사이에 수로(40)가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시공이 완료되면 폐타이어 블록(10) 표면에 우천 시나 우수가 흐르는 동안 폐타이어 블록(10)에 형성된 투수공(11)을 통해 우수가 통과하여 폐타이어 블록(10)과 콘크리트 구조물(30) 사이에 형성된 수로(4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것이다. 이때, 수로(40)의 일부 또는 일정 간격으로 수로에서 배출된 우수를 우수관이나 하수관으로 연결되어 배출되도록 별도의 배관이나 배출설비를 설치하여도 좋을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폐타이어 블록(10)을 콘크리트 구조물(30) 위에 이격부재(20)를 사용하여 사방으로 연속하여 시공하되, 폐타이어 블록(10)들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G)가 유지되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폐타이어 블록(10)이 시공된 경우에는 투수공(11)과 더불어 더 많은 우수가 폐타이어 블록(10)을 통과하여 폐타이어 블록(10)과 콘크리트 구조물(30) 사이의 수로(4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는 간단하고 빠른 시공과 더불어 우수에 의한 보도블록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어 보도블록의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는 조경용이나 옹벽용으로 시공하는 경우에 미관과 더불어 배수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폐타이어 블록 11: 투수공 12: 요철부 13: 결합홈
20: 이격부재 21: 머리부 22: 지지부 23: 고정부
30: 콘크리트 구조물 31: 철근 32: 삽입홈 33: 너트
40: 수로 100: 지면 G: 틈새

Claims (4)

  1.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 너트가 고정 결합되며 지면에 일정 두께 및 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육면체로 표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폐타이어 블록, 및
    상부에 반구형 머리부가 형성되고 머리부 아래에 지지부가 형성되며 지지부 아래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가 일체로 구성된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의 고정부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너트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격부재의 머리부가 폐타이어 블록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을 결합시키되,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타이어 블록 사이에 투수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 블록은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이격부재를 사용하여 사방으로 연속하여 시공하되, 폐타이어 블록들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가 유지되도록 시공하는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 블록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은 4~9개인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의 지지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KR1020140005161A 2014-01-15 2014-01-15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KR20150085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61A KR20150085366A (ko) 2014-01-15 2014-01-15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161A KR20150085366A (ko) 2014-01-15 2014-01-15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366A true KR20150085366A (ko) 2015-07-23

Family

ID=5387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161A KR20150085366A (ko) 2014-01-15 2014-01-15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53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006A (zh) * 2021-01-27 2021-06-11 北京嘉顺市政公用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拼装模块
KR102337368B1 (ko) * 2021-08-23 2021-12-09 플레이세이퍼(주) 탄성 매트 고정용 스템을 이용한 실내외 콘크리트면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006A (zh) * 2021-01-27 2021-06-11 北京嘉顺市政公用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拼装模块
CN112942006B (zh) * 2021-01-27 2021-11-09 北京嘉顺市政公用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拼装模块
KR102337368B1 (ko) * 2021-08-23 2021-12-09 플레이세이퍼(주) 탄성 매트 고정용 스템을 이용한 실내외 콘크리트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25B1 (ko) 친환경 혼합자재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럭 및 이를 구비한 배수처리시스템
JP3168841U (ja) 道路橋の排水装置
EP2268866B1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122681B1 (ko)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085366A (ko) 폐타이어 블록과 콘크리트 구조물 결합체
KR100928530B1 (ko) 콘크리트 법면보호공의 현장시공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법면보호공법
CN106758636B (zh) 一种便于透水铺装路面维护的透水铺装带及透水铺装路面
KR100834516B1 (ko) 연성을 갖는 보도블록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EP2243621B1 (en) A slab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20080114297A (ko) 소하천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70111622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30419B1 (ko) 보도블럭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CN105714648A (zh) 一种透水砖
KR100960655B1 (ko) 노면 강화와 투수 및 배수기능을 갖는 도로
KR100598771B1 (ko) 도로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KR20120135996A (ko) 배수관을 구비한 보도블럭
CN108570904B (zh) 一种人行道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4011124A (ja) 路面の排水構造及び排水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KR200406122Y1 (ko) 도로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
CN211815264U (zh) 一种装配式透水砖
KR100924022B1 (ko) 건축단지용 결속식 보도블록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