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050B1 - 바닥용 배수판 - Google Patents

바닥용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050B1
KR101641050B1 KR1020150115422A KR20150115422A KR101641050B1 KR 101641050 B1 KR101641050 B1 KR 101641050B1 KR 1020150115422 A KR1020150115422 A KR 1020150115422A KR 20150115422 A KR20150115422 A KR 20150115422A KR 101641050 B1 KR101641050 B1 KR 10164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ncrete layer
portions
fl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구
Original Assignee
박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구 filed Critical 박인구
Priority to KR102015011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와 면적으로 굴착하여 형성한 건축물 지하의 최하부 바닥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지층에서 작용하는 지하수의 양압 등의 영향으로 바닥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가 지하층 실내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 마련한 집수정으로 배출되게 유도하기 위한 바닥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를 구비한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길이는 상기 교각부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을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의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 끝으로 연속하여 가로지르고, 폭 방향 단면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 부위를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굽은 부위는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굽은 정도가 가변하여 폭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한 일래스틱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닥용 배수판{Drainage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와 면적으로 굴착하여 형성한 건축물 지하의 최하부 바닥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지층에서 작용하는 지하수의 양압 등의 영향으로 바닥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가 지하층 실내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 마련한 집수정으로 배출되게 유도하기 위한 바닥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축조과정은, 설계에 맞춰 굴착하고, 굴착한 지층의 바닥면에 기초적인 버림 작업과 그 위로 철근을 배근하여 레미콘을 타설하는 등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기초 콘크리트층은 지층의 바닥면과 접하고 있어 지층과의 사이를 통해 유동하는 지하수의 양압을 받는다. 기초 콘크리트층은 그 형성 면적이 넓거나 지하수가 많이 나오는 장소인 경우 또는 기초 콘크리트층의 내압이 약해진 경우 등에 있어서 지하수의 양압력을 견디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지하수의 침투가 이루어지면, 지하층의 실내 공간은 다습해져 각종 미생물들이 생장하기 좋은 환경을 이룰 뿐 아니라, 바닥면에 물이 고이거나 젖을 경우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미끄러지는 등 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최하 바닥층은 기초 콘크리트층과 그 상부에 바닥 콘크리트층을 얹은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이들 기초 콘크리트층과 바닥 콘크리트층 사이에 마련한 공간을 통해 용출수(침투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층과 바닥 콘크리트층 사이의 공간은,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공간을 형성토록 한 대체로 합성수지 재질의 바닥용 배수판들을 깔고, 그 상부에 바닥용 배수판을 거푸집으로 하여 레미콘을 타설함으로써 일정 두께의 바닥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판 형상으로 베이스판(10)를 이루고, 베이스판(10)의 면적 중 이미 설정한 부위들의 상부면에서는 오목하고 동시에 해당 부위의 하부면에서는 하측으로 돌출한 형상의 교각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교각부(12)에는 베이스판(10) 상부를 포함하여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한 레미콘이 타설되어 채워지고, 이렇게 교각부(12)에 채워지는 레미콘은 교각부(12)와 함께 기초 콘크리트층(G) 상부에 밀착되게 얹혀짐으로써 바닥 콘크리트층(B)이 기초 콘크리트층(G)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교각을 이룬다.
여기서,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10)은,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해 타설되는 레미콘의 하중에 대응하여 교각부(12)를 포함한 교각이 기초 콘크리트층(G)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10)은, 바닥 콘크리트층(B)을 형성할 때에 레미콘 호스를 들고 이동하는 작업자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도 필요로 한다.
한편, 바닥용 배수판들은 기초 콘크리트층(G) 상부 면적에 대하여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판(10)의 변들이 상호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구조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도 2의 연결구조는, 일 예로서 바닥용 배수판을 사출 구조물로 형성한 경우의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각 판 형상의 베이스판(10)들은 각 변을 통해 다른 베이스판(10)과 이웃하고, 마주보는 양쪽 변 중 어느 한쪽 방향 변은, 베이스판(10)의 하면에서 베이스판(10)의 두께만큼 단차를 이루며 외측 방향 더 연장한 덧살부(14)룰 마련하고, 다른 한쪽 방향의 변은, 이웃하는 덧살부(14)에 얹혀져 포개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덧살부(14)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16)을 형성하거나 상측으로 돌출한 돌기(도시 안됨)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변의 베이스판(10) 하면에는 상술한 체결홀(16) 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체결돌기(18) 또는 홀(도시 안됨)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체결홀(16)과 체결돌기(18)가 상호 상하로 끼워지게 하는 것은, 작업자에 의한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과,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들의 상하 방향으로 틈새가 없도록 하기 위함 및 시공과정에서 작업자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체결홀(16)의 형상은,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의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을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결과적으로 보면 체결돌기(18)의 끼워짐에 따른 자연적인 정렬이 이루어져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들 상호 간의 벌어짐과 오므려짐은 방지된다.
즉, 사출 제작된 바닥용 배수판들의 상호 간의 연결은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한 레미콘 타설과정 또는 양생과정에서 양측 또는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밀리게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면적이 늘어나거나 축소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도 3의 연결구조는, 도 2의 연결 구조에 더하여 바닥용 배수판들 상호 연결 부위의 들뜸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들이 상호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위 상부에 테이프로 부착한 것을 표현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4a와 도 4b는, 위의 사출 제품과는 다른 예로서 진공성형(또는 압진공성형)으로 형성한 바닥용 배수판들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에 도시한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은, 사출 제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장방형의 베이스판(10')을 갖고, 이 베이스판(10')에 부분적으로 두께의 일부를 진공압 또는 가압력과 함께 진공압을 제공하는(압진공) 것으로 늘어나게 하여 교각부(12')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대표적인 예는, 토목 공사에 있어서, 옹벽 내의 배수를 위해 자갈을 사용하던 것을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일명 드레인보드(drainboard)를 들 수 있으며,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바닥용 배수판의 경우는 기초 콘크리트층(G)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함에 대응하여 옹벽과 달리 물이 고일 수 있는 관계와 바닥 콘크리트층(B)의 교각 형성을 위한 조건에 따라 교각부(12')가 토목용과 비교할 때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교각부(12')의 형성시에, 늘어난 부위는 베이스판(10')의 다른 부위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진공성형 또는 압진공성형에 따라 사출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강도 보강용으로 마련되는 리브(rib)를 형성할 수 없어 작업자가 밟고 다니는 하중에 의해서도 쉽게 찌그러지는 등 손상 내지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진공성형(압진공성형)으로 제작된 바닥용 배수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늘어난 부위의 취약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의 요철(BU:bumpy) 형상 부위를 더 형성하고 있고, 이들 요철(BU) 형상 부위는 사출 제품의 리브(rib) 역할을 한다.
이들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구조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베이스판(10')들의 변을 상호 근접시킨 후 그 상부에 접착테이프(T)를 붙이는 것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교각부(12')와 요철(BU) 형상 부위는, 베이스판(10')이 이루는 면적의 가장자리 테두리(BO:border) 부분을 제외한 테두리(BO)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고, 또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테두리(BO) 부위는 접착테이프(T)의 접착연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평탄면을 이루고 있다.
특히, 상술한 테두리(BO) 부분은, 그 제작을 위한 진공성형에 있어서, 테두리(BO) 내측 영역의 베이스판(10')에 대하여 진공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듯이 필요한 부위이기도 하다.
또한, 도 4b에 표현한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구조는, 이웃하는 베이스판(10')들의 가장자리에 배열된 교각부(12')들과 요철(BU) 형상 부위 일부가 이루는 일정 폭(W)으로 상호 겹치게 끼워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바닥용 배수판들을 연결하는 것은, 상호 겹치는 부위의 소재 낭비가 있고, 더욱이 각 바닥용 배수판들의 모서리 부위는 네 개가 중첩됨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층(G)의 상측으로 다른 부위에 비교하여 더 돌출한 상태를 이룬다. 이렇게 돌출한 부위는 양생되는 바닥 콘크리트층(B)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으로 취약한 부위를 갖게 한다.
따라서,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구조는, 도 4a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변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접착테이프(T)로 붙여 시공되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은, 그 제작에 있어서, 접착테이프(T)를 붙일 수 있도록 가장자리의 테두리(BO) 부위를 형성하고 있고, 요철(BU) 형상 부위와 교각부(12')를 포함한 베이스판(12')은 기초 콘크리트층(G)의 굴곡 대응성에 대응하는 유연성은 갖추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은, 이들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테두리(BO) 부위를 갖추고 있어,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한 레미콘 타설과정 또는 양생과정에서 양측 또는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밀리게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면적이 늘어나거나 축소 변화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 또는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과 이들의 연결구조는,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밀리지 않아 그 설치 면적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없다.
하지만, 기초 콘크리트층(G)의 표면은 평탄하지 않고, 넓은 면적에 대하여 돌출하거나 오목한 부위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설치한 바닥용 배수판들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그 설치 면적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없거나 제한적이다.
그리고,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한 레미콘의 타설과정 또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균하게 진행됨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층(G)의 표면 중 상대적으로 오목한 부위에 대하여 들떠있는 부위가 발생할 수 있고, 또 기초 콘크리트층(G)이 최대한 평탄한 경우에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일 구간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물리적인 힘이 몰릴 경우 그 힘이 집중되는 구간에서 교각부(12, 12')가 기초 콘크리트층(G)의 상면으로부터 부풀어 오르듯이 들떠 있게 된다.
즉, 종래 기술의 바닥용 배수판들의 배열에 따른 면적은 확대가 어려울 뿐 아니라 제한적이어서,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한 레미콘 타설과 관련하여 기초 콘크리트층(G)의 오목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배열된 바닥용 배수판들을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물리적 작용이 있을 경우에는, 바닥용 배수판이 갖는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만큼 면적이 늘어나지 않아, 기초 콘크리트층(G)의 오목한 부위 상부에 위치한 바닥용 배수판들은 타설되는 레미콘의 무게에 의해 눌리지 않고 들뜬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또, 바닥용 배수판들의 배열에 따른 면적은 축소가 어렵고 제한적이어서, 기초 콘크리트층(G)이 최대한 평탄하게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임의의 구간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서 밀리는 힘이 집중되면, 해당 구간의 바닥용 배수판들은 면적이 축소될 수 없음에 따라 기초 콘트리트층(G) 상부로 부풀어 오르는 들뜬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바닥 콘크리트층(B)에는 양생 이후에 전체 면적에 대하여 크랙(crack) 가능성을 특정 부위로 한정하기 위해 이미 설계에 따른 폭과 깊이 및 길이의 크랙 유도홈(C)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크랙 유도홈(C)의 형성 위치가 도 5c에서와 같이 형성될 경우에는, 그 크랙 유도홈(C) 부위는 많은 차량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크랙 유도홈(C)을 따라 크랙이 확대되고, 결국 크랙 유도홈(C)으로 구분된 면적 부위가 이웃하는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바닥 콘크리트층(B')은 결국 과장되게 표현한 도 5d와 도 5e로의 진행에서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층(G)의 돌출 부위를 중심으로 한 양측이 시소(seesaw)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바닥 콘크리트층(B')의 시소 운동은, 차량의 이동시마다 기초 콘크리트층(G)과의 순간적인 충돌로 덜컹거리는 불규칙하고 불쾌한 소음을 유발하고, 그 충돌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거나 큰 경우에는, 분리된 바닥 콘크리트층(B') 뿐 아니라 기초 콘크리트층(G) 및 주변 바닥 콘크리트층(B) 등의 균열(crack)을 야기한다.
즉, 바닥용 배수판의 교각부(12, 12') 밑면이 기초 콘크리트층(G) 표면의 굴곡면에 대하여 밀착되지 않고 약간이라도 들떠 있는 상태를 이룰 경우에는, 차량이 통행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바닥 콘크리트층(B')의 시소 운동으로 기초 콘크리트층(G) 표면과 충돌하여 덜컹거리는 불규칙적인 소음을 유발하는 것이고, 또 그 들떠 있는 정도가 큰 경우 시소 운동에 따른 충돌의 충격이 더욱 크게 됨에 따라 분리된 바닥 콘크리트층(B') 또는 해당 충격의 여파를 받는 기초 콘크리트층(G)의 균열(crack)을 유발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0305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480호(이하, '선행기술2'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1 또는 선행기술2의 기술적 요지는, 교각부의 하부를 관통 형성하고, 그 상부로부터 타설되는 레미콘의 일부가 교각부 아래의 기초 콘크리트층(G)와 맞닿게 한 상태에 있도록 못 등으로 박아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1 또는 선행기술2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층(G)의 표면은 평탄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교각부의 하부와 기초 콘크리트층(G)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경우에는, 레미콘이 기초 콘크리트층(G)으로 새어나오고, 그 새어나오는 정도가 레미콘 타설 이후 양생 과정에서 계속 이어지는 등 불균일할 수밖에 없어 바닥 콘크리트층(B)의 표면을 불균일하게 형성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초 콘크리트층(G)과 맞닿은 바닥 콘크리트층(B) 부위가 모래의 비중이 집중되는 등 다공질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 원인으로 크랙이 발생할 경우, 기초 콘크리트층(G) 상부를 따라 흐르는 용출수가 비표면적 확대 또는 모세관현상 등의 이유로 바닥 콘크리트층(B) 상부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위의 시공과정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층(G)에 대하여 바닥용 배수판을 못으로 박는 것은, 그 개수가 많아 작업시간의 지연이 있고, 무수히 많은 못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층(G)의 손상 내지 크랙이 발생할 위험도 내재하고 있다.
더불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은 접착테이프(T)의 접착력에 의존하고, 접착테이프(T)의 접착력은 바닥 콘크리트층(B) 형성을 위해 레미콘을 타설하는 열악한 작업환경에 대하여 안정적이지 못하여 벌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형성된 틈새를 통해 레미콘이 기초 콘크리트층(G)과 바닥용 배수판들 사이로 시간을 두고 계속 스며들어 레미콘 낭비와 해당 부위의 바닥 콘크리트층(B)을 취약한 구조로 형성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0305호(2005.11.23.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480호(2007.08.2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레미콘 타설의 작업환경 및 양생과정에서 기초 콘크리트층의 손상 없이 그 표면에 밀착 대응하도록 유연성과 강성을 확보토록 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설치 면적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바닥용 배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를 통해 흐르는 침투수에 대하여 바닥 콘크리트층을 안전하게 격리토록 하는 바닥용 배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대응하여 설치 면적을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연결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바닥용 배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를 구비한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길이는 상기 교각부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을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의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 끝으로 연속하여 가로지르고, 폭 방향 단면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 부위를 하나 이상 구비하며, 굽은 부위는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굽은 정도가 가변하여 폭이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한 일래스틱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 변 중 일측 변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덧살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틱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변 끝단에서 일측변을 거쳐 그 방향에 있는 상기 덧살부의 가장자리 끝단까지 연속하여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덧살부는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은 타측 하부면에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홀은 상기 베이스판의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체결홀의 열십자 형상의 안내를 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과 교각부는 플라스틱 판재를 진공성형(압진공성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의 각 방향 변에는 각 변과 나란한 상기 일래스틱부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의 각 변에 형성한 상기 일래스틱부는 이웃하는 상기 일래스틱부가 상하로 겹치게 끼워지는 것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판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일래스틱부를 형성함에 따라 교각부를 포함한 베이스판은 일래스틱부를 중심으로 굴곡 변형이 용이하여 기초 콘크리트층의 표면에 대한 굴곡 대응성이 더욱 향상되고, 일래스틱부의 형성에 의해 구분된 베이스판 부위는 교각부와 안정적인 결속 구조를 이루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레미콘 타설과정과 양생과정에서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일래스틱부의 폭이 확대 또는 축소로 베이스판이 이루는 면적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어 기초 콘크리트층 표면에 대응하여 밀착 대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과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 부위의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 이후 그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4a와 도 4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성형에 의해 제작된 바닥용 배수판의 구조와 이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 내지 도 4b의 바닥용 배수판 설치 이후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과정과 그 이후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용 배수판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 제품의 구성 및 그 구성에 따른 연결관계와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Ⅶ 부분에서 일래스틱부와 그에 따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닥용 배수판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성형 제품의 구성 및 그 구성에 따른 연결관계와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Ⅸ 부분에서 일래스틱부와 그에 따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래스틱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은, 도 6 내지 도 9의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정 사각 또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20, 20')과 이 베이스판(20, 20')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에 교각부(22, 22')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교각부(22, 22')들의 배열에 따른 교각부(22, 22')들 사이의 베이스판(20, 20')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및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이미 설계에 따른 폭을 이루며 서로 마주보는 베이스판(20, 20')의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의 끝으로 이어지는 일래스틱부(elastic part)(30a, 30b, 30c)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일래스틱부(30a, 30b, 30c)는, 비록 도 6 내지 도 9에서, 그 길이가 서로 마주보는 베이스판(20, 20')의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의 끝에 이르는 최단 거리로 잇는 직선 형상의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판(20, 20') 상에서 교각부(22, 22')들의 배열이 서로 엇갈려 배치한 것에 대응하여 이들 교각부(22, 22')들 사이의 베이스판(20, 20') 부위를 따라 굽은 형상 또는 굽은 형상이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일래스틱부(30a, 30b, 30c)는 그 형성 방향이 베이스판(20, 2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대하여 45° 각도 또는 -45°를 포함한 다양한 각도를 이루는 사선 방향 또는 각 사선 방향이 상호 교차하는 형상의 배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 중 도 6과 도 7에 도시한 사출 성형 제품인 경우에서, 일래스틱부(30a, 30b)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되는 영역 부위는, 베이스판(20)과 교각부(22)를 리브(rib)로 연결하여 이들 사이의 형상 변형 방지 및 작업 환경에 대한 강성을 확보토록 하고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 중 도 8과 도 9의 진공성형 제품의 경우에서, 일래스틱부(30c)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구분되는 영역 부위는, 베이스판(20)과 교각부(22) 및 그 주연 부위에 리브(rib)를 대신하는 다양한 형상의 요철 형상 부위를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형상 변형 방지 및 작업 환경에 대한 강성을 확보토록 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리브(rib)와 요철 형상 부위는 일래스틱부(30a, 30b, 30c)에 대하여 간섭이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래스틱부(30a, 30b, 30c)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6과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사출 성형으로 형성한 바닥용 배수판의 일래스틱부(30a, 30b)는, 그 길이가 교각부(22)들 사이의 베이스판(20)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및 가로와 세로 방향에 있는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 끝으로 연속하여 가로지르고, 폭 방향 단면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 부위를 하나 이상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도 6과 도 7 및 도 10에서 굽은 부위는,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굽은 정도가 가변하여 폭이 벌어지거나 좁혀짐으로써 바닥용 배수판의 전체 면적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또한, 사출 성형으로 제작한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20)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 변 중 일측 변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덧살부(24)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일래스틱부(30a)는, 상술한 덧살부(24)에서도 덧살부(24)와 마찬가지로 단차를 이루며 연장 및 확대된 형상의 일래스틱부(30b)와 연결된다.
즉, 일래스틱부(30a, 30b)는 베이스판(20)의 타측 변 끝단에서 일측변을 거쳐 그 방향에 있는 덧살부(24)의 가장자리 끝단까지 연속하여 연장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덧살부(24)는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홀(26)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결홀(26)은 평면상에서 볼 때에 바닥용 배수판의 가로 세로 방향으로의 열십자(+) 형상을 이룬다.
이것은 이웃하는 다른 바닥용 배수판의 타측변 주연의 하부면에서 일체로 돌출한 체결돌기(28)가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함에 있어서, 체결돌기(28)를 통한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유격 범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술한 체결돌기(2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열십자 형상의 체결홀(26)의 안내를 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홀(26)은, 도 6의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으로 끼워지는 체결돌기(28)가 쉽게 빠지지 않는 정도의 간격을 이루며, 또 체결홀(26)의 형성 방향이 열십자 형상인 관계로 바닥용 배수판들이 서로 벌어지는 어느 일 방향 또는 서로 근접하려는 어느 방향에 대하여 체결돌기(28)를 안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결홀(26)과 체결돌기(28)의 결합구조 및 이에 따른 덧살부(24)와 베이스판(20)의 오버랩 구조는,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 부위를 통한 면적의 확대 또는 축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일래스틱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진공성형(or 압진공성형)으로 형성한 바닥용 배수판의 일래스틱부(30c)는, 그 길이가 교각부(22')들 사이의 베이스판(20')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및 가로와 세로 방향에 있는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 끝으로 연속하여 가로지르고, 폭 방향 단면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은 형상 부위를 하나 이상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도 8 내지 도 10에서 일래스틱부(30c)를 이루는 굽은 형상 부위는,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굽은 정도가 가변하여 폭이 벌어지거나 좁혀짐으로써 바닥용 배수판의 전체 면적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러한 일래스틱부(30c)는,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진공성형으로 제작한 바닥용 배수판 중 교각부(22') 사이의 베이스판(20')은 물론이고, 바닥용 배수판의 각 변의 주연 즉, 가로 세로의 가장자리 둘레 부위에도 각 변과 나란하도록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공성형(or 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 제작에 있어서, 일래스틱부(30c)는 평판인 원판시트에 대하여 진공성형(or 압진공성형)으로 제작을 위한 내부 면적의 진공압 형성 조건을 저해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교각부(22')를 포함한 일랙스틱부(30c)의 형성 부위를 가장자리 부위를 제외한 내측 영영에 형성하고, 진공성형(or 압진공성형) 이후, 도 8의 점선으로 표시한 절취선(PE)을 따라 절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의 진공성형(or 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가장자리 부위의 절단은, 도 8에 도시한 절취선(PE')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용 배수판들 상호 간에 벌어짐에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부위 주연을 접착테이프(T)로 붙여 연결토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절취선(PE)을 통해 절단한 바닥용 배수판들을 서로 대응하는 일래스틱부(30c) 부위만이 서로 겹치도록 연결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의 일랙스틱부(30a, 30b, 30c)는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상부면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더하여 도 8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일래스틱부(30a, 30b, 30c)들이 상호 교차하는 부위 내부에는 그 굽은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면의 면적 또한 확장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일래스틱부(32)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일래스틱부(30a, 30b, 30c)는, 베이스판(20, 20') 상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개수로 형성하고, 다른 한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에 대하여 바닥용 배수판 들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통해 그 면적이 확장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10, 10', 20, 20': 베이스판 12, 12', 22, 22': 교각부
14, 24: 덧살부 16, 26: 체결홀
18, 28: 체결돌기 30a, 30ab, 30c: 일래스틱부
32: 보조 일래스틱부 B, B': 바닥 콘크리트층
G: 기초 콘크리트층 BU: 요철
rib: 리브 T: 접착 테이프
BO: 테두리 C: 크랙유도홈
PE: 절취선

Claims (5)

  1.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를 구비한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길이는 상기 교각부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을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의 일측 변 끝에서 타측 변 끝으로 연속하여 가로지르고, 폭 방향 단면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일회 이상 볼록하도록 굽은 형상 부위를 갖는 일래스틱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틱부의 폭 방향으로 굽은 형상 부위는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 또는 압축시키려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그 굽은 정도가 가변하여 상기 일래스틱부의 폭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이 이루는 면적이 확대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 변 중 일측 변에서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덧살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래스틱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 변 끝단에서 일측변을 거쳐 그 방향에 있는 상기 덧살의 가장자리 끝단까지 연속하여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덧살부는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은 타측 하부면에 상기 체결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베이스판의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체결홀의 열십자 형상의 안내를 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과 교각부는 플라스틱 판재를 진공성형 또는 압진공성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의 각 방향 변에는 각 변과 나란한 상기 일래스틱부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의 각 변에 형성한 상기 일래스틱부는 이웃하는 상기 일래스틱부가 상하로 겹치게 끼워지는 것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KR1020150115422A 2015-08-17 2015-08-17 바닥용 배수판 KR10164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22A KR101641050B1 (ko) 2015-08-17 2015-08-17 바닥용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22A KR101641050B1 (ko) 2015-08-17 2015-08-17 바닥용 배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050B1 true KR101641050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422A KR101641050B1 (ko) 2015-08-17 2015-08-17 바닥용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0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70A (ko) 2017-12-07 2019-06-17 유인섭 조립이 용이한 바닥 배수판
CN110004910A (zh) * 2019-04-08 2019-07-12 湖北卓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加强型复合排水板
CN115059022A (zh) * 2022-05-18 2022-09-16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止防渗土工膜鼓胀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305A (ko) 2004-05-18 2005-11-23 엄기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KR200436480Y1 (ko) 2006-10-19 2007-08-27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KR20100006512A (ko) * 2008-07-09 2010-01-19 엠아이티기업(주)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101123955B1 (ko) * 2009-04-10 2012-03-23 홍종인 배수판 조립체
KR101258971B1 (ko) * 2011-08-10 2013-04-29 (주)유진폴리텍 눌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305A (ko) 2004-05-18 2005-11-23 엄기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KR200436480Y1 (ko) 2006-10-19 2007-08-27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KR20100006512A (ko) * 2008-07-09 2010-01-19 엠아이티기업(주)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101123955B1 (ko) * 2009-04-10 2012-03-23 홍종인 배수판 조립체
KR101258971B1 (ko) * 2011-08-10 2013-04-29 (주)유진폴리텍 눌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70A (ko) 2017-12-07 2019-06-17 유인섭 조립이 용이한 바닥 배수판
CN110004910A (zh) * 2019-04-08 2019-07-12 湖北卓宝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加强型复合排水板
CN115059022A (zh) * 2022-05-18 2022-09-16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止防渗土工膜鼓胀的方法
CN115059022B (zh) * 2022-05-18 2023-09-26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止防渗土工膜鼓胀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6658A1 (en) Building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a Building Structure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CN112252462A (zh) 混凝土顶板层防水构造的施工方法
CN110747909A (zh) 一种明挖隧道变形缝防水构造
US7121048B1 (en) Method of removing a volume of formable material
US8894324B2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883035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1327378B1 (ko)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CN206205166U (zh) 一种可同步交叉施工的地下室外墙防水保护结构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WO2009053185A2 (en) A self-supporting paving for outdoor use
KR100777800B1 (ko) 토목공사의 지하수 배수용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KR101785627B1 (ko) Pc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80005134U (ko) 옹벽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KR100709120B1 (ko) 금속제흙막이판및 이를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1795869B1 (ko) 바닥용 배수판
KR200358981Y1 (ko)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및 이에 사용되는 경사블록
KR200422102Y1 (ko) 토목공사의 지하수 배수용 배수판
US11162229B1 (en) Paver system
KR101657279B1 (ko) 앵커고정식 산마루측구 배수로 및 이를 이용한 산마루측구 배수로 시공방법
KR100554686B1 (ko) 건물 바닥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30601B1 (ko) 무늬 콘크리트패널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 및 그 무늬 콘크리트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