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869B1 - 바닥용 배수판 - Google Patents

바닥용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869B1
KR101795869B1 KR1020150166144A KR20150166144A KR101795869B1 KR 101795869 B1 KR101795869 B1 KR 101795869B1 KR 1020150166144 A KR1020150166144 A KR 1020150166144A KR 20150166144 A KR20150166144 A KR 20150166144A KR 101795869 B1 KR101795869 B1 KR 10179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bridge
shape
plat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306A (ko
Inventor
박인구
박홍주
Original Assignee
박인구
박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구, 박홍주 filed Critical 박인구
Priority to KR102015016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8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와 면적으로 굴착하여 형성한 건축물 지하의 최하부 바닥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지층에서 작용하는 지하수의 양압 등의 영향으로 바닥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가 지하층 실내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 마련한 집수정으로 배출되게 유도하기 위한 바닥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바닥용 배수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를 갖는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상기 교각부는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측벽 일부가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 내측에 접하거나 그 영역 내에까지 확장한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닥용 배수판{Drainage plate for bottom of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와 면적으로 굴착하여 형성한 건축물 지하의 최하부 바닥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지층에서 작용하는 지하수의 양압 등의 영향으로 바닥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가 지하층 실내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미 마련한 집수정으로 유도하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축조과정은, 설계에 맞춰 굴착하고, 굴착한 지층의 바닥면에 기초적인 버림 작업과 그 위로 철근을 배근하여 레미콘을 타설하는 등 기초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기초 콘크리트층은 지층의 바닥면과 접하고 있어 지층과의 사이를 통해 유동하는 지하수의 양압을 받는다.
기초 콘크리트층은 그 형성 면적이 넓거나 지하수가 많이 나오는 장소인 경우 또는 기초 콘크리트층의 내압이 약해진 경우 등에 있어서 지하수의 양압을 견디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 내부에는 작은 균열 부위 등을 통해 지하수의 침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지하층의 실내 공간은 다습해져서 각종 미생물들이 생장하기 좋은 환경을 이룰 뿐 아니라, 바닥면에 물이 고이거나 젖을 경우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미끄러지기 쉬운 사고의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최하 바닥층은 기초 콘크리트층과 그 상부에 바닥 콘크리트층을 얹은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이들 기초 콘크리트층과 바닥 콘크리트층 사이에 마련한 공간을 통해 용출수(침투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층과 바닥 콘크리트층 사이의 공간은,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공간을 형성토록 대체로 합성수지 재질의 바닥용 배수판들을 깔고, 그 상부에 바닥용 배수판을 거푸집으로 하여 레미콘을 타설함으로써 일정 두께의 바닥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판 형상으로 베이스판(10)를 이루고, 베이스판(10)의 면적 중 이미 설정한 부위들의 상부면에서는 오목하며, 동시에 해당 부위의 하부면에서는 하측으로 돌출한 형상의 교각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교각부(12)에는 베이스판(10) 상부를 포함하여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레미콘의 타설로 채워지고, 이렇게 교각부(12)에 채워지는 레미콘은 교각부(12)와 함께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밀착하여 얹혀진 상태로 굳음으로써 교각부(12) 상부의 바닥 콘크리트층이 기초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안정적인 지지를 받는 교각을 이룬다.
여기서,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10)은, 바닥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 사이에 상술한 교각들 사이의 간격에 의한 공간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한 공간은 기초 콘크리트층을 통해 침투한 침투수의 배수 공간을 이룬다.
이때,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10)은,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해 타설되는 레미콘의 하중에 대응하여 교각부(12)를 포함한 교각이 기초 콘크리트층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것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10)은, 바닥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에 작업자들이 밟고 다닐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작업자들 여럿이 대용량 레미콘이 쏟아지는 레미콘 호스를 끈으로 묶어 어깨에 메거나 들고 지지하며 이동할 때에 작업자들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강성도 필요로 한다.
위의 작업은, 바닥용 배수판이 없는 기초 콘크리트층 형성과정에서도 레미콘 호스를 이동시키는 작업자에게 있어서 매우 힘이들 뿐 아니라 그에 따른 낙상사고 또한 빈번한 관계에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용 배수판의 경우 작업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경우 더욱 많은 낙상사고를 유할 수 있는 관계에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에 교각부(12)를 연결하는 베이스판(10)의 강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대체로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대적으로 교각부(12)는 상술한 하중에 대응하여 그 형상의 변형이 없는 정도의 사이즈로 설계되고, 동시에 베이스판(10)이 갖는 면적에 대하여 균일한 분포를 이룬다.
이에 대한 대체적인 형상은, 베이스판(10)이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을 이루고, 교각부(12)들은 베이스판(10)의 면적 내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바둑판의 가로와 세로의 각 줄이 만나는 점들과 같은 형식의 배열(바둑판 배열)을 이룬다.
이렇게 교각부(12)들을 바둑판 배열로 형성하는 것은, 금형 제작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금형 내에 냉각수 라인 등의 가공의 용이성이 고려된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베이스판(10)의 각 변은 지하 벽면 부위 등를 통해 레미콘이 베이스판(10) 하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밋밋한 지하 벽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곧은 형상을 이룬다.
한편, 바닥용 배수판들은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 면적에 대하여 서로 이웃하는 베이스판(10)의 변들이 상호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구조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먼저, 도 2의 연결구조는, 일 예로서 바닥용 배수판을 사출 구조물로 형성한 경우의 적용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각 판 형상의 베이스판(10)들은 각 변을 통해 다른 베이스판(10)과 이웃하고, 마주보는 양쪽 변 중 어느 한쪽 방향 변은, 베이스판(10)의 하면에서 베이스판(10)의 두께만큼 단차를 이루며 외측 방향 더 연장한 덧살부(14)룰 마련하고, 다른 한쪽 방향의 베이스판(10) 가장자리 부위는, 이웃하는 덧살부(14) 상부에 얹혀져 포개어지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덧살부(14) 부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홀(16)을 형성하거나 상측으로 돌출한 돌기(도시 안됨)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변의 베이스판(10) 하면에는 상술한 체결홀(16) 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체결돌기(18) 또는 관통홀(도시 안됨)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체결홀(16)과 체결돌기(18)가 상호 상하로 끼워지게 하는 것과 덧살부(14) 부위를 통해 포개어지게 한 것은, 작업자에 의한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과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들의 상하 방향으로 틈새가 없도록 하기 위함 및 시공과정에서 작업자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대응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사출 방식(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베이스판(10)의 각 방향 가장자리 부위는, 이웃하는 다른 바닥용 배수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얹히거나 덮이지만,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 즉, 작업자들이 밟고 다니는 하중에 대응하여 베이스판(10) 면적 내의 교각부(12)들 사이에 일체로 이루어진 부위와 비교할 때에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다.
특히, 베이스판(10)의 각 방향 가장자리 부위 중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교각부(12)들 사이 부위는,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교각부(12)의 형상이 원형의 컵 형상을 이룸에 따라 더욱 간격이 넓어 작업자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운 취약한 구조를 갖는다.
더욱이 체결홀(16)과 체결돌기(18)들에 의한 연결 부위가 정도 이상의 간격으로 띄엄띄엄 형성한 경우에는 더욱 취약해지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홀(16) 또는 체결돌기(18) 부위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베이스판(10) 상호 간의 교각부(12) 사이의 간격(d')은, 덧살부(14)를 포함하여 그 연결을 위한 공간 확보의 이유로 베이스판(10) 내의 교각부(12) 사이의 간격(d)보다 같거나 더 넓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상기 간격(d') 부위는 더욱 벌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거나 찌그러진다.
즉, 베이스판(10)의 가장자리 부위와 이에 포개어지는 덧살부(14)는, 지지를 받는 부위가 각각 접하는 교각부(12)에 있고, 교각부(12)의 상대측에 있는 가장자리 부위는 상대적으로 하중에 의해 휘어짐이 쉬운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바닥용 배수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부위는 베이스판(10) 내측 부위도다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한편, 도 5a 내지 도 6b은, 진공성형(또는 압진공성형)으로 형성한 바닥용 배수판들과 그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은, 사출 제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장방형의 베이스판(10')을 갖고, 이 베이스판(10')에 부분적으로 두께의 일부를 진공압(진공성형) 또는 가압력과 함께 진공압을 제공하는(압진공성형) 것으로 늘어나게 하여 교각부(12')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대표적인 예는, 토목 공사에 있어서, 옹벽 내의 배수를 위해 자갈을 사용하던 것을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일명 드레인보드(drainboard)를 들 수 있으며, 건축물에서 사용하는 바닥용 배수판의 경우는 기초 콘크리트층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함에 대응하여 옹벽과 달리 물이 고일 수 있는 관계와 바닥 콘크리트층의 교각 형성을 위한 조건에 따라 교각부(12')가 토목용과 비교할 때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교각부(12')의 형성시에, 늘어난 부위는 베이스판(10')의 다른 부위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고, 진공성형 또는 압진공성형에 따라 사출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강도 보강용으로 마련되는 리브(rib)를 형성할 수 없어 작업자가 밟고 다니는 하중에 의해서도 쉽게 찌그러지는 등 손상 내지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진공성형(압진공성형)으로 제작된 바닥용 배수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늘어난 부위의 취약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의 요철(BU:bumpy) 형상 부위를 더 형성하고 있고, 이들 요철(BU) 형상 부위는 사출 제품에서의 리브(rib) 역할을 한다.
이들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구조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베이스판(10')들의 변을 상호 근접시킨 후 그 상부에 접착테이프(T)를 붙이는 것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교각부(12')와 요철(BU) 형상 부위는, 베이스판(10')이 이루는 면적의 가장자리 테두리(BO:border) 부분을 제외한 테두리(BO)의 내측 영역에 형성되고, 또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테두리(BO) 부위는 접착테이프(T)의 접착연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평탄면을 이루고 있다.
특히, 상술한 테두리(BO) 부분은, 그 제작을 위한 진공성형에 있어서, 테두리(BO) 내측 영역의 베이스판(10')에 대하여 진공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듯이 필요한 부위이기도 하다.
또한, 도 5b에 표현한 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구조는, 이웃하는 베이스판(10')들의 가장자리에 배열된 교각부(12')들과 요철(BU) 형상 부위 일부가 이루는 일정 폭으로 상호 겹치게 끼워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도 5b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바닥용 배수판들을 연결하는 것은, 상호 겹치는 부위의 소재 낭비가 있고, 더욱이 각 바닥용 배수판들의 모서리 부위는 네 개가 중첩됨에 의해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측으로 다른 부위에 비교하여 더 돌출한 상태를 이룬다. 이렇게 돌출한 부위는 양생되는 바닥 콘크리트층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으로 취약한 부위를 갖게 한다.
따라서,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구조는, 도 4a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서로 이웃하는 변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접착테이프(T)로 붙여 시공하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은, 그 제작에 있어서, 접착테이프(T)를 붙일 수 있도록 가장자리의 테두리(BO) 부위를 형성하고 있고, 요철(BU) 형상 부위와 교각부(12')를 포함한 베이스판(12')은 기초 콘크리트층의 굴곡 대응성에 대응하는 유연성은 갖추고 있다.
종래의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은, 이들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테두리(BO) 부위를 갖추고 있고, 이들 바닥용 배수판의 테두리(BO) 부위는, 이웃하는 것끼리 맞닿아 있는 관계에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의 교각부(12')들 사이의 간격은 베이스판(10') 내에 있는 교각부(12')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들 상호 간의 연결부위는, 그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교각부(12') 사이의 간격이 앞의 사출성형의 바닥용 배수판보다 더욱 취약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한 바닥용 배수판들 또는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의한 바닥용 배수판들을 설치함에 있어서, 각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작업자가 발을 딛는 과정에서 그 하중을 지탱하기 곤란하여 바닥용 배수판들의 배열을 흩트리거나 작업자의 낙상을 초래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0305호(2005.11.23.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480호(2007.08.2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 콘크리트층과 그 위의 바닥 콘크리트층 사이에 배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용도로 설치함에 있어서,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레미콘의 타설과정에서 복수 개가 서로 이웃하여 연결토록 한 부위에 대하여 그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용 배수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바닥용 배수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를 갖는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상기 교각부는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측벽 일부가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 내측에 접하거나 그 영역 내에까지 확장한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를 갖는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상기 교각부는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외측 방향에 있는 측부 형상이 평면상에서 넓고,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 방향에 있는 측부 형상은 평면상에서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 측부 형상보다 좁으며,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측벽 일부가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 내측에 접하거나 그 영역 내에까지 확장한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과 교각부 및 덧살부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확장부를 포함한 상기 각 교각부는 측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 교각부의 중심과 그 외측 방향으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덧살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이웃하는 두 변에서 상기 베이스판 두께의 단차를 이루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연장 돌출한 중심에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덧살부가 형성된 부위의 상대측 하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다른 베이스판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끝부분은 상기 체결홀과 체결돌기의 결합으로 상기 덧살부 영역 내의 상기 확장부 상부에 얹혀지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판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각 변에 인접하여 형성한 각 교각부들의 형상이 각 변에 근접 또는 침범하는 수준으로 확장한 확장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호 이웃하는 베이스판들 사이의 연결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고, 더욱이 확장부의 형상이 교각부의 다른 부위보다 베이스판의 각 변에 넓은 면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네 개의 교각부들 사이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방지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루며, 이를 통해 레미콘 타설 과정에서 바닥용 배수판들의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또 작업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과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 부위의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용 배수판의 평면 상태와 이를 통한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화살표 Ⅳ 부위에서 연결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표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성형에 의해 제작된 바닥용 배수판의 구조와 이들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5a와 도 5b의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표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취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내측의 표현은, 하나의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 면적 중 가장자리에서 그 면적의 중심 방향에 있는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외측의 표현은 상술한 내측의 표현과 반대로 배수판의 중심에서 가장자리 방향에 있는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며, 상부 또는 하부의 표현은 바닥용 배수판의 설치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 사각 또는 장방형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20, 20')과 이 베이스판(20, 20')이 이루는 면적 범위 내에 이미 설계에 따른 배열의 각 부위에 교각부(22, 22')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바닥용 배수판 중 도 7에 도시한 일 실시 예의 바닥용 배수판을 살펴보면, 베이스판(2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교각부(22)는 덧살부(24)에 대응하는 측부 일부가 그 내측에 있는 교각부(22)들 형상과 달리 덧살부(24) 방향으로 더 연장 돌출한 형상으로 레미콘의 수용 공간을 더욱 확대하는 확장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부(30)에 의한 확장 영역을 부연하자면, 도 8을 통해 참조되는 바와 같이, 그 연장 돌출한 끝단 부위가 부위가 덧살부(24)의 내측에 접하거나 베이스판(20)의 가장자리에서 덧살부(24)의 영역을 침범하는 위치까지 형성하여 해당 교각부(22)가 이루는 내부 체적을 더욱 확대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형성된 확장부(30)는 바닥용 배수판들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질 때에, 상호 마주보는 다른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20) 가장자리 부위와 맞닿거나 덧살부(24) 영역(A)에 침범한 부위만큼 덮이는 것이고, 이러한 확장부(30)를 포함한 교각부(2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게 설계한 것은 상호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들의 교각부(22)들 사이의 간격을 더욱 좁힌다.
더욱이, 확장부(30)가 덧살부(24)의 영역을 침범하여 형성될 경우에 있어서, 덧살부(24)는 교각부(22)와 접하는 부위만이 아니라 확장부(30)가 침범한 둘레 길이와 그 형상만큼 확장부(30)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상호 마주보는 확장부(30)는 상호 이웃하는 바닥용 배수판들 사이의 연결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해 레미콘을 타설시에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 부위에서 작업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확장부(30)는, 도 7에서 표현하지 않았으나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교각부(22)의 측부를 단순히 확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부로부터의 하중에 대응하여 지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의 둘레 형상이 교각부(22)의 내측과 외측으로 교번하여 굽은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교각부(22)를 포함한 확장부(30)의 측면을 굴곡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교각부(22) 형상이 그 제작상 깔때기 형상(아래 방향으로 위치할수록 내부 크기가 좁아지는 하향 원뿔 형상 또는 하향 콘 형상)을 이루어 교각부(22) 상부 주연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측벽 형상을 통해 그 둘레 방향으로 분산시켜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교각부(22) 밑면에서 집중되게 한 것을 감안할 때에, 확장부(30)를 포함한 교각부(22)의 측벽이 평판 형상부위를 갖는 경우 하중의 분산이 어려워 쉽게 찌그러져 지지력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확장부(30)가 덧살부(24)의 영역 구간(A)까지 확대할 경우에는, 베이스판(20)과 덧살부(24) 및 교각부(22)가 서로 굴곡진 형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덧살부(24)의 수평 상태의 유지와 지지력을 더욱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덧살부(24)에 얹혀지는 상대측의 베이스판(20) 가장자리 부위는 일체로 이루어진 교각부(22)로부터 지지를 받음과 동시에 이웃하는 확장부(30)의 상부에 얹혀짐으로써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바닥용 배수판의 베이스판(20) 가장자리 부위는 이웃하는 다른 바닥용 배수판의 확장부(30) 상부에 얹혀짐과 동시에 그 상태가 유지되게 체결홀(26)과 체결돌기(28)로 연결됨으로써 확장부(30)를 통한 안정적인 지지를 받는다.
이에 대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자면, 종래 기술에서 사출성형에 따른 베이스판(10, 10')의 가장자리 부위와 덧살부(14) 가장자리의 최외곽 부위는 교각부(12, 12')와 인접한 부위를 기준으로 모멘트가 작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판(20, 20')의 가장자리 최외곽 부위가 확장부(30, 30')의 상부 중 일부에 걸쳐짐으로써 지지를 받는 관계에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다른 실시 예의 바닥용 배수판은, 도 7에 도시한 일 실시 예의 바닥용 베수판의 변형 예로서, 베이스판(2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교각부(22')는, 평면상에서 볼 때, 베이스판(20')의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가 도 7에 도시한 일 실시 예보다 넓은 형상의 확장부(30')를 갖는다.
또한, 외각 교각부(22') 중 베이스판(20')의 가장자리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판(20')의 내측 방향에 있는 측벽 부위 형상은 상대적으로 좁은 형상(삼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한 확장부(30')는 바닥용 배수판들 상호 간의 연결시에 그 연결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한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진공성형(압진공성형)에 따른 바닥용 배수판의 경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확장부(30')는, 사출성형에 의한 제품일 경우 그 제작을 위한 금형에서 냉각수 라인에 간섭되지 않는 최대의 범위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있는 교각부(22')의 형상은, 베이스판(20')의 직교하는 두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는 양측 부위가 넓게 형성되고, 베이스판(20')의 중심 방향 부위는 좁은 형상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판(20')과 교각부(22') 및 덧살부(24') 또는 테두리부를 포함한 바닥용 배수판은, 베이스판(20')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각 교각부(22')의 외측 방향 측부 중 평면상에서 볼 때에 적어도 그 중심 부위는 내측으로 오목하거나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교각부(22')의 밑면에 집중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함에 있다.
더불어, 상술한 사출성형 제품에서의 덧살부(24')는, 베이스판(20')의 이웃하는 두 변 중 교각부(22')의 외측 방향 측부 중심 부위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는 부위로부터 베이스판(20')의 두께만큼 그 하측으로 단차를 이루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연장 돌출한 덧살부(24')의 중심 부위에는 체결홀(26')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8의 확대 표현하면서 빗금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덧살부(24') 영역(A)을 이미 설계한 범위(a)로 침범하는 교각부(22')의 확장부(30')는, 덧살부(24')가 이루는 단차 형상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단차를 이루는 베이스판(20')과 덧살부(24') 및 확장부(30')가 상호 간의 굽은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그 형상 변형이 방지되는(내구성을 갖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덧살부(24')의 상대측에 있는 베이스판(20')의 하면에는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판(20')에 형성된 체결홀(26')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체결돌기(28')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베이스판(20') 상호 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8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다른 덧살부(H)는 확장부(30')의 측벽 형상이 오목한 부위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고, 이것은 다른 덧살부(H)의 형상에 의하면 바닥용 배수판들을 상호 이웃시켜 연결토록 함에 있어서, 확장부(30')를 포함하여 상호 이웃하는 교각부(22') 사이의 간격을 더 줄일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 부호인 'rib'는 사출성형 제품의 바닥용 배수판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리브(rib)이고, 'bump'는 베이스판(20, 20') 상부 표면에 대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한 논슬립돌기 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베이스판(20, 20')의 가장자리 부위에 근접하는 교각부(22, 22')는 외측 방향으로 내부 체적을 확장한 확장부(30, 30')를 형성하고 있고, 이들 확장부(30, 30')는 바닥용 배수판들의 연결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바닥 콘크리트층 형성을 위한 레미콘 작업시에 작업자의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그 지지로부터 바닥용 배수판들의 배열이 흩트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레미콘 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 10', 20, 20': 베이스판 12, 12', 22, 22': 교각부
14, 24, 24': 덧살부 16, 26, 26': 체결홀
18, 28, 28': 체결돌기 BU: 요철
rib: 리브 T: 접착 테이프
bump: 논슬립돌기

Claims (3)

  1. 바닥용 배수판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를 갖는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상기 교각부는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측벽 일부가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 내측에 접하거나 그 영역 내에 까지 확장한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과 교각부 및 덧살부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확장부를 포함한 상기 각 교각부는 측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 교각부의 중심과 그 외측 방향으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덧살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이웃하는 두 변에서 상기 베이스판 두께의 단차를 이루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연장 돌출한 중심에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덧살부가 형성된 부위의 상대측 하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다른 베이스판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끝부분은 상기 체결홀과 체결돌기의 결합으로 상기 덧살부 영역 내의 상기 확장부 상부에 얹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2. 사각의 판 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중 이미 정해진 배열의 각 부위 상면에서 오목하고, 하면에서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교각부; 및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를 갖는 바닥용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한 상기 교각부는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외측 방향에 있는 측부 형상이 평면상에서 넓고, 상기 베이스판의 내측 방향에 있는 측부 형상은 평면상에서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 측부 형상보다 좁으며,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측벽 일부가 상기 덧살부 또는 테두리부 내측에 접하거나 그 영역 내에까지 확장한 형상의 확장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과 교각부 및 덧살부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상기 확장부를 포함한 상기 각 교각부는 측벽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 교각부의 중심과 그 외측 방향으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덧살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이웃하는 두 변에서 상기 베이스판 두께의 단차를 이루며 외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고, 연장 돌출한 중심에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덧살부가 형성된 부위의 상대측 하면에는 이웃하는 상기 다른 베이스판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체결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돌기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끝부분은 상기 체결홀과 체결돌기의 결합으로 상기 덧살부 영역 내의 상기 확장부 상부에 얹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배수판.
  3. 삭제
KR1020150166144A 2015-11-26 2015-11-26 바닥용 배수판 KR10179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144A KR101795869B1 (ko) 2015-11-26 2015-11-26 바닥용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144A KR101795869B1 (ko) 2015-11-26 2015-11-26 바닥용 배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06A KR20170061306A (ko) 2017-06-05
KR101795869B1 true KR101795869B1 (ko) 2017-11-08

Family

ID=5922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144A KR101795869B1 (ko) 2015-11-26 2015-11-26 바닥용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8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054A (ja) * 2004-06-28 2006-02-16 Sekisui Plastics Co Ltd 湧水処理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湧水処理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054A (ja) * 2004-06-28 2006-02-16 Sekisui Plastics Co Ltd 湧水処理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湧水処理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06A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0505A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TWI716542B (zh) 蓄積單元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1795869B1 (ko) 바닥용 배수판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1965801B1 (ko)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JP4795810B2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方法
KR101544985B1 (ko) 소켓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KR101883035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1808833B1 (ko) 전단보강재를 사용한 층고절감형 지하층의 기초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JP6474572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JP2010159586A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23072118A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成型方法
KR101123955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709120B1 (ko) 금속제흙막이판및 이를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101247790B1 (ko) 지하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의 연결구조
JP5271719B2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用部材
CN217053658U (zh) 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