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512A -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512A
KR20100006512A KR1020080066761A KR20080066761A KR20100006512A KR 20100006512 A KR20100006512 A KR 20100006512A KR 1020080066761 A KR1020080066761 A KR 1020080066761A KR 20080066761 A KR20080066761 A KR 20080066761A KR 20100006512 A KR20100006512 A KR 2010000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segment
base pane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구
하진석
Original Assignee
엠아이티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아이티기업(주) filed Critical 엠아이티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6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512A/ko
Publication of KR2010000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층 측벽에 맺히는 결로나 침투수를 사람들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표출되지 않게 유도 배출토록 하여, 지하층 실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꾸미도록 하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이에 따르면, 단위구간을 잇는 프레임은 온도 변화에 따른 신장/수축변화를 굴절하는 부위로 보상토록 함으로써 를 구비함에 따라 단위구간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고, 이것은 지하층 벽면으로부터 베이스 패널의 들뜸이나 벌어짐을 방지할 뿐 아니라 베이스 패널 간의 연결 부위의 체결돌기와 체결홀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하게 됨에 따라 단위구간에 대한 프레임 길이의 변화가 방지되며, 를 방지함에 따라 단위구간을 벗어나지 않에서 굴절하여 마련한 버퍼구간은 프레임의 신장/수축 변화에 따른 길이변위를 연접하여 굽은 각도의 변위로 변화시켜 보상함으로써 프레임이 설치되는 각 단위 구간의 간격은 온도의 변화에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계부위의 들뜸이나 상호 연결되는 부위의 파손이 방지되고, 벽체의 표면을 따라 연속 연결한 표면의 평활도가 장구히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Assembled drainage plate for wal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베이스 패널의 설치에 따른 신장/수축 관계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설치에 따른 어느 하나 베이스 패널의 신장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에 표시한 Ⅲ-Ⅲ 선을 기준하여 베이스 패널의 들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 내지 도 3c의 과정에 따른 손상 정도를 나타낸 도면대용 사시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버퍼부를 갖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의 구성 및 버퍼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5에 도시한 버퍼부의 변형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한 버퍼부의 다른 변형예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의 구성 및 버퍼부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다.
도 10은 베이스 패널의 상호 결속관계 구성 및 이들 구성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수판 조립체 12, 30: 베이스 패널
14a, 14b, 14c, 32: 프레임
32a: 세그먼트 프레임 32b: 버퍼부
36: 걸림턱 38: 걸림돌기
본 발명은 지하층 측벽에 맺히는 결로나 침투수를 사람들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표출되지 않게 유도 배출토록 하여, 지하층 실내의 미관을 미려하게 꾸미도록 모자이크 형식으로 디자인을 마감하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지하층의 외측 측벽은 지층에 묻혀 있고, 지하층의 실내공간은 엔진룸, 주차장 등 각종 생활공간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지하층 측벽은 지하층의 실내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지하층 실내에 있는 수분은 대 류에 의해 지하층의 벽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열에너지를 손실하여 그 표면에서 결로로 맺힌다. 더불어 지하층 측벽에는 결로 이외에도 자체의 미세 균열 등으로 인한 인접한 지층으로부터의 지하수가 침투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결로와 침투수는 벽면 도색을 손상시킴은 물론 곰팡이나 각종 미생물 생장을 야기한다. 이것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건축물에 대한 안전을 의심케 하며, 생활공간으로서의 미관 및 악취 등 환경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
현재의 기술로는 결로의 생성과 침투수의 완전 차단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안 중 하나는, 지하층 측벽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새로운 벽을 세움으로써 지하층 측벽을 지하층의 실내공간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이중 벽 공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이렇게 지하층 측벽을 지하층 실내공간으로부터 분리 구획하는 것은 지하층 실내공간의 대류를 차단하여, 온도의 편차를 단계적으로 완화시킴으로써 결로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위의 공법에 의해 가려진 공간은 지하층 측벽 표면에 맺히는 결로 또는 침투수를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도록 집수정으로 유도배출시키는 공간으로서 활용된다. 또한 지하층 실내공간과 접하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의 표면은 다양한 색상의 디자인패널들이 모자이크 형식으로 조립하여 디자인을 완성함으로써 별도의 도장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합성수지 재질의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는 그 재질적 특성상 열팽창계수가 높고, 시공이 이루어지는 지하층의 실내공간은 동절기와 하절기 또는 내부 시 설물의 가동 여부 등에 따라 온도편차가 발생한다. 즉,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는 지하층 실내공간의 온도변화에 따라 신장/수축 변화를 갖는다.
여기서는 온도편차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의 신장/수축변화 및 그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에 앞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의 구성 및 시공관계를 예시하여 설명하겠다.
종래의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의 사각 단위체 형상이 대체적이며, 이들은 지하층 벽면을 따라 사방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패널(12)과 이 베이스 패널(12)의 전면에 대하여 모자이크 형상으로 덮어 디자인을 완성하는 디자인 패널(24a, 24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베이스 패널(12)은 복수 프레임(14a, 14b, 14c)들을 일정 단위 면적 내에서 가로/세로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등 여러 방향 및 소정 간격으로 상호 교차 배열한 골격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각각의 프레임(14a, 14b, 14c)들은 베이스 패널(12) 전면의 평활도를 유지 및 내구성을 갖도록 그 배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세워진 형상의 리브(rib)(16)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각 프레임(14a, 14b, 14c)들이 교차하는 소정 위치에는 컵 형상의 교각(22)을 배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 것도 있다. 더불어 베이스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이웃하는 베이스 패널(12)간의 연결을 위하여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체결홀(18)들과 체결돌기(20)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체결홀(18)들과 체결돌기(20)들의 결합에 의해 이웃하는 베이스 패널(12)들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정렬되며, 연속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체결홀(18)들과 체결돌기(20)들은 베이스 패널(12)들의 전면을 덮는 디자인 패널(24a, 24b)들이 베이스 패널(12) 단위에 대하여 디자인 형성의 이질감이 없도록 극히 제한된 공차를 갖는다. 이로부터 상호 연속되게 연결한 베이스 패널(12)들은 교각(22)의 말단 부위가 지하층 벽면 또는 그 부위에 마련된 레일 형상의 구조물 등에 지지를 받아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패널(12)의 전면이 지하층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평활한 배열을 이룬다.
한편, 상술한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10)의 구성으로부터 온도변화에 따른 합성수지 재질의 신장/수축 변화를 살펴보기로 한다.
만약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10)가 판체로 이루어진 경우 그 신장/수축 변화는 대체로 중심 또는 고정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의 경우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수축의 변화는 각 프레임(14a, 14b, 14c)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방향 프레임(14a, 14b, 14c)들은 배면에 형성된 리브(16)가 각 프레임(14a, 14b, 14c)의 좌굴 변형을 방지하므로 길이 방향의 신장/수축 변형량이 감소하지 않는다. 더욱이 테두리 부위의 프레임(14a)과 이들 테두리 부위 프레임(14a)을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4b)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 패널(12)의 지지 프레임(16b)들과 같은 위치 즉,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조립관계에서 배수판 조립체(10)들 간의 신장/수축 변화는 연접한 부위 즉, 이웃하여 체결홀(18)과 체결돌기(20)로 연결한 부위에서 집중되고, 이 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밀어내거나 잡아당기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배수판 조립체(10)의 신장/수축 변화로부터 파생한 힘은, 도 3a 내지 도 3c의 도시와 아래의 신장 수축률에 관련한 변화량 구하는 수학식 1 및 피타고라스 정의에 따른 수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고정된 베이스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가 벽면으로부터 들뜨는 방향(P)으로 굽어지게 하거나 이웃하는 베이스 패널(12) 사이가 벌어지게 한다. 이때 구조적으로 취약한 체결홀(18) 또는 체결돌기(20)들은 구부러지거나 끊어지는 일이 발생한다.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1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2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3
d = 열편차에 의한 변형량
a = T0 일 때의 길이 (length at temperature T0)
b = T1 일 때의 길이 (length at temperature T1)
T1-T0 = 온도편차 (difference in temperature)
Ct = 열팽창계수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4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5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6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7
Figure 112008049600898-PAT00008
a = 변형 전 단위 배수판 조립체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거리(T0 일 때의 길이)
b = 변형 후 단위 배수판 조립체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거리(T1 일 때의 길이)
c = 단위 배수판 조립체 가장자리가 신장 변형에 의해 벽면 기준위치로부터 들뜨는 간격
d = 단위 배수판 조립체의 열편차에 의해 변형된 길이
위의 수학식 1의 열팽창계수(Ct)로는, 배수판 조립체(10)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의 열팽창계수 70~105㎝/㎠ ppm/T(참조: J.F. Shackelford and W. Alexander, The CR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Handbook,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2001)를 적용한다. 여기서 열팽창계수는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그 값이 더 높은 폴리에칠렌을 포함하여 다른 합성수지 재질의 신장/수축 변화 및 그에 따른 변형관계의 문제는 가늠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위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 배수판 조립체(10) 가장자리 부위의 들뜸 정도(c)는 단위 배수판 조립체(10) 각각의 고정된 위치에서 상호 연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b)와 온도편차(T1-T0)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위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는 단위 배수판 조립체(10)의 중 심을 고정못(peg)으로 고정한 경우에 해당하지만 각 단위 배수판 조립체(10)들은 실질적 상호 맞닿은 정도로 연접 연결되어 있어 2 배(2c)로 계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위 배수판 조립체(10)의 고정은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있는 경우와 고정 부위가 파손되어 고정해제된 경우는, 어느 일 측으로의 단위 배수판 조립체(10)의 신장/수축 변형량이 보다 증대됨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온도변화에 따른 단위 배수판 조립체(10)의 신장/수축 변형관계에 대하여 실질적 치수를 대입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위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 대입하기 위한 조건들을 살펴보면, 단위 베이스 패널(12)의 규격은 일반적으로 시공되어온 일 평방미터(1㎡: 1 회배)를 사등분한 크기 즉, 가로/세로의 길이를 각각 500㎜인 정사각형 판 형상의 것을 적용한다. 참고적으로 베이스 패널(12)의 가장자리 부위 중 일부에는 이웃하는 배수판 조립체(10)와 비늘 형상으로 겹쳐지게 일정 폭으로 연장한 부위가 있어 가중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그 적용을 무시하기로 한다.
또한 벽면에 대한 배수판 조립체(10)는 그 중심에 있는 교각(22)을 통해 고정못(peg)으로 고정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배수판 조립체(10)에 작용하는 온도편차(T1-T0)는, 시공시기의 온도(T0)를 -10℃인 동절기로 하고 시공 후 하절기를 포함하여 발열설비 등이 가동되는 공간에서의 온도(T1)를 온도를 40℃로 하여 약 50℃의 편차를 적용하기로 한다. 더불어 적용하는 열팽창계수는 체적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프레임(14a, 14b, 14c)은 단면적 대비 길이 비율이 높은 관계로 선팽창계수가 아닌 열팽창계수를 그대로 적용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단위 배수판 조립체(10)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거리 25㎝와 온도편차 50℃ 및 열팽창계수 70~105㎝/㎠을 대입하면 신장 길이는 0.0875~0.131㎝ 즉, 0.875~1.31㎜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신장률은 상호 맞닿아 이웃하는 배수판 조립체(10)에서도 동일하게 증가함에 따라 실질적인 이들 사이의 신장 길이는 위 값의 두 배인 1.75~2.62㎜ 범위에 있다. 따라서 이값을 수학식 2에 대입할 때 그 들뜸(c) 정도는 29.63~36.29㎜임을 알 수 있다. 이 정도의 들뜸 현상은 배수판 조립체(10)들이 상호 연접하여 연결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홀(18)과 체결돌기(20)를 손상 또는 파손시키는데 충분할 뿐 아니라 그 들뜸 정도와 더불어 마감한 벽면의 미관을 저해한다.
실제로 시공된 현장에서는 위에서 임의로 정한 온도편차가 더 큰 경우도 있고, 이를 포함하여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10)의 신장/수축 변형 즉, 벽면에 대한 들뜸이나 벌어짐 정도가 위에서 산출한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판 조립체(10)의 고정 위치가 중심에서 편심되었거나 고정이 해제된 경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4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10)의 시공 이후 온도의 변화에 따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대용 사시 사진이고, 이 경우 상술한 체결홀(18)과 체결돌기(20)는 결국 파손되거나 체결홀(18)에 대하여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배수판 조립체(10)들이 상호 어긋나게 겹쳐지는 현상 또는 이웃하는 배수판 조립체(10)들 사이의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판 조립체(10) 사이의 들뜸 현상 또는 오버랩 현상 및 벌어지는 현상은 지하층 벽면에 대한 디자인 마감 을 무색하게 할 뿐 아니라 그 설치의 의미를 손상시킨다. 더불어 배수판 조립체(10)의 신장 및 수축 작용이 반복될 경우 배수판 조립체(10)는 내성에 의해 변형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것은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하자보수를 더욱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공간의 온도편차에 의한 신장/수축 변화로부터 상호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이음매 부위가 벽면으로부터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로의 형성을 억제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복수 프레임들이 일정 면적에 대하여 테두리 부위와 그 내측의 복수 방향과 간격의 배열을 이루고, 컵 형상의 복수 교각과 함께 상호 연결되어 소정 그물 모양의 골격구조를 이룬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면에 모자이크 형식으로 덮도록 조립되는 디자인 패널들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 단위로 벽면에 대하여 연속 연결하여 덮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 중 소정 길이 이상의 것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프레임들과 이들 세그먼트 프레임들 사이에서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굽은 형상을 이루며 상호 연결한 버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퍼부는 온도 변화에 의한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들의 신장/수축 변화량을 굽은 정도의 변형으로 보상하여 상기 프레임의 길이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10은 도 5의 버퍼부의 각 변형 실시예 및 그에 따른 작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과 도 12는 베이스 패널 상호간의 결속관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사시도 및 이들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종래와 동일 내지는 유사하나 주요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프레임(32)들이 일정 면적의 경계를 이루는 테두리 부위와 이 테두리 부위 내에서 컵 형상의 교각(34)과 더불어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을 포함한 각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연결되어 소정 그물 모양의 골격구조를 이룬 베이스 패널(30)을 구비한다. 이들 각 프레임(32)들 중 일정 면적의 범위 내에서 일 측 가장자리에서 상대 측 가장자리 사이를 직선으로 잇는 것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프레임(32a)들과 이들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을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버퍼부(32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베이스 패널(30)은, 도면에서 대체로 사각의 단위체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 육각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을 조합하는 것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32)들의 구조에 대하여 도 1의 종래 기술 구성과 비교한다면, 베이스 패널(12)의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 위치한 프레임(14a)과 이들 테두리 부위의 프레임(14a)과 나란하며 이들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가로/세로 방향 각 프레임(14b)들은 베이스 패널(12) 면적의 폭 방향 길이와 같다. 즉, 이들 프레임(14a, 14b)의 신장/수축 변화는 대체로 사각체인 베이스 패널(12) 단위면적을 확대/축소시키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퍼부(32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30)의 일 측에서 상대 측으로 이어지는 프레임(32)들을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이 일정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분리 구분한다.
그리고 버퍼부(32b)는 각 세그먼트 프레임(32a)이 온도 변화에 의해 신장/수축 변화함에 대응하여 양측 세그먼트 프레임(32a) 사이의 간격이 가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굴곡 변형이 자유롭게 형상화한 부위를 말한다. 즉, 버퍼부(32b)는 양측 세그먼트 프레임(32a)의 신장/수축에 따른 길이 변화량을 이들 사이를 연결한 부위의 면적과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프레임(32)의 전체 길이와 그에 따른 베이스 패널(30)의 면적이 일정범위 내에 있도록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성의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는, 베이스 패널(30)의 테두리 부위를 포함하여 가로, 세로 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 대하여 최단 거리로 연결한 단일의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버퍼부(32b)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버퍼부(32b) 중 베이스 패널(30)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32)에 형성한 버퍼부(32b')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 프레임(32a) 단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굽은 형상을 이루고, 타단은 다른 세그먼트 프레임(32a)의 단부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부터 굽은 형상을 이루며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버퍼부(32b) 중 베이스 패널(30)의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프레임(32) 상에 형성한 버퍼부(32b")는, 일단이 세그먼트 프레임(32a)의 단부에서 상, 하, 좌, 우 방향 중 두 개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갈라진 형상을 이루고, 타단 부위는 이웃하는 다른 세그먼트 프레임(32a)의 단부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다시 일정 각도를 이루며 모이는 형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버퍼부(32b)의 형상으로부터 그 작용관계는,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변화하는 과정 또는 그와 유사하게 온도가 상승함에 의해 프레임(32) 즉, 세그먼트 프레임(32a)의 각각 신장 변화할 때 베이스 패널(30)은 상호 연결되어 각각 벽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작용하는 힘은 베이스 패널(30)의 내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버퍼부(32b)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부(32b)를 사이에 둔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은 상호 근접하고, 버퍼부(32b)는 굽은 정도가 심화되면서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의 길이 변화를 보상하게 된다.
또한 버퍼부(32b)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절기에서 동절기로 변화하듯이 온도가 낮아지면 프레임(32)이 수축하고, 버퍼부(32b)를 사이에 둔 양측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은 베이스 패널(30)의 가장자리 부위를 기준으로 상호 간의 간격을 벌리는 작용이 진행한다. 이에 따라 버퍼부(32b)는 그 영역이 점차 확대하는 방향으로 굽은 정도가 완화되면서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의 길이 변화를 보상하게 된다. 이러한 버퍼부(32b)의 구성과 그 작용관계는 도 7 내지 도 10에도시한 구성으로도 충분히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버퍼부(32b)가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의 신장/수축 변화하는 힘을 보상하도록 굽어지기 위해서는 각 세그먼트 프레임(32a)들의 지지기반은 베이스 패널(30)의 테두리 부위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베이스 패널(30)의 테두리 부위 중 상호 이웃하는 다른 베이스 패널(30)과의 연결에 있어서, 상호간의 연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하여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웃하는 베이스 패널(30)들 사이의 테두리 부위 프레임(32)에 각 프레임들의 신장/수축 변화에 의한 상호 밀치는 힘과 당기는 힘에 대응하여 상호 수평방향으로 그 힘이 집중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 상호 간의 결속력을 보조하기 위한 걸림턱(36)과 이에 마주보는 상대 측의 베이스 패널(30)의 테두리 부위에 걸림돌기(38)를 형성하여 상호 맞물려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베이스 패널을 이루는 각 프레임은 세그먼트 프레임과 굴곡 변형이 용이한 버퍼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실내공간의 온도편차에 의한 각 프레임의 신장/수축 변화가 발생할 경우에도 그에 따른 힘을 버퍼부가 흡수하여 그 변화량을 보상함과 동시에 역시 연결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사이의 이음매 부위가 벽면으로부터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결로의 형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복수 프레임들이 일정 면적에 대하여 테두리 부위와 그 내측의 복수 방향과 간격의 배열을 이루고, 컵 형상의 복수 교각과 함께 상호 연결되어 소정 그물 모양의 골격구조를 이룬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면에 모자이크 형식으로 덮도록 조립되는 디자인 패널들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 단위로 벽면에 대하여 연속 연결하여 덮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 중 소정 길이 이상의 것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프레임들과 이들 세그먼트 프레임들 사이에서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굽은 형상을 이루며 상호 연결한 버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퍼부는 온도 변화에 의한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들의 신장/수축 변화량을 굽은 정도의 변형으로 보상하여 상기 프레임의 길이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가 100~500㎜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연결된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그 단부에서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갈래로 굽은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4. 복수 프레임들이 일정 면적에 대하여 테두리 부위와 그 내측의 복수 방향과 간격의 배열을 이루고, 컵 형상의 복수 교각과 함께 상호 연결되어 소정 그물 모양의 골격구조를 이룬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전면에 모자이크 형식으로 덮도록 조립되는 디자인 패널들로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 패널 단위로 벽면에 대하여 연속 연결하여 덮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 중 소정 길이 이상의 것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세그먼트 프레임들과 이들 세그먼트 프레임들 사이를 상호 연결한 버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퍼부는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들의 신장/수축 변화하는 힘에 의해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 사이를 연결한 부위가 굽어지거나 끊어지는 부위를 갖도록 상기 프레임 상의 홈 또는 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세그먼트 프레임보다 얇 은 굵기로 연장 연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호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패널들 사이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프레임의 신장 변화에 의해 상호 간의 밀치는 힘과 상기 프레임의 수축 변화에 의해 상호 간의 당기는 힘에 대응하여 상호 간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어느 일측 베이스 패널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마주보는 상대 측의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호 맞물려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의 신장/수축 변화량을 상기 버퍼부 내측에 대하여 한정되어 작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1020080066761A 2008-07-09 2008-07-09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KR20100006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61A KR20100006512A (ko) 2008-07-09 2008-07-09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61A KR20100006512A (ko) 2008-07-09 2008-07-09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512A true KR20100006512A (ko) 2010-01-19

Family

ID=4181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761A KR20100006512A (ko) 2008-07-09 2008-07-09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5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40B1 (ko) * 2011-06-21 2013-07-03 (주)영진배수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KR101641050B1 (ko) * 2015-08-17 2016-07-20 박인구 바닥용 배수판
CN105845030A (zh) * 2016-04-11 2016-08-10 杭州邦辉自动化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马赛克盖板的可拼接龙骨架
CN112523371A (zh) * 2020-12-05 2021-03-19 任杰 一种感光式建筑幕墙止水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40B1 (ko) * 2011-06-21 2013-07-03 (주)영진배수판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KR101641050B1 (ko) * 2015-08-17 2016-07-20 박인구 바닥용 배수판
CN105845030A (zh) * 2016-04-11 2016-08-10 杭州邦辉自动化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马赛克盖板的可拼接龙骨架
CN105845030B (zh) * 2016-04-11 2022-05-06 杭州邦辉自动化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马赛克盖板的可拼接龙骨架
CN112523371A (zh) * 2020-12-05 2021-03-19 任杰 一种感光式建筑幕墙止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1792A1 (en) Multi-layered building wall
WO2009032908A1 (en) Deck flashing trim system
US10501933B2 (en) Weather resistant temporary wall system and method
US8833027B2 (en) Building panel
EP0333168A1 (de) Duschtasse und Verfahren zu deren Aufbau auf einen festen Untergrund
DE202016104722U1 (de) Modulhaus
KR20100006512A (ko)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JP2015155647A (ja) 介装構造体及び建物外部構築物、並びに建物外部構築物の施工方法
JP2008502833A (ja) 面構造を構築するための建造システム
DE19801123B4 (de) Fundamentaufbau sowie Sockelelement für die Verwendung darin
WO2014033005A1 (de) Fugenprofil
DE1123817B (de) Durch Ausformung von Vertiefungen versteifte Folie und deren Anwendung
KR102533647B1 (ko) 지붕 시공용 이중 아치패널 조립체
CH711896A2 (de) Fundament für Traglufthalle.
ITMO20080305A1 (it) Struttura edilizia provvista di pareti verticali comprendenti un polimero termoplastico.
DE102008022157A1 (de) Plattenkörper für Bauzwecke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WO2000020698A1 (de) Gebäudekonstruktion, insbesondere für ein niedrigenergie-gebäude
EP1918471A1 (de) Dämmblockelement zur Unterbrechung von Wärmebrücken im Fussbereich des Mauerwerks
ITTO20000377A1 (it) Sistema di tracimazione a bordo sfioratore, particolarmente per una piscina prefabbricata da interramento, e procedimento e corredo per la s
SE1551043A1 (en) A sandwich panel
EP1538281B1 (de) Verfahren und Fertigteilelement zur Herstellung eines Schwimmbeckens mit einer Überlaufrinne
JP2806756B2 (ja) ガスケット挿着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ガスケット
KR20160131669A (ko) 그레이팅
DE202006015909U1 (de) System zur Herstellung eines Belags für begeh- und/oder befahrbare Dachflächen, Erdreichabdeckungen o.dg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