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880B1 -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 Google Patents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880B1
KR102525880B1 KR1020230019843A KR20230019843A KR102525880B1 KR 102525880 B1 KR102525880 B1 KR 102525880B1 KR 1020230019843 A KR1020230019843 A KR 1020230019843A KR 20230019843 A KR20230019843 A KR 20230019843A KR 102525880 B1 KR102525880 B1 KR 10252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forming
water
water perm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승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코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코블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코블럭
Priority to KR1020230019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8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two or more rams per mould
    • B28B3/086The rams working in differen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82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parallel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 블록 상면에 내린 빗물을 투수 블록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집수홈으로 모으고, 복수의 집수홈에 모인 빗물을 투수공을 통해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와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신속히 지면으로 투수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인 투수공에 의해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지 않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A mold for manufacturing water permeable blocks}
본 발명은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투수공이 형성된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투수 블록 성형 장치에 설치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에는 아스팔트가 설치되어 안전하고 신속한 차량 이동을 안내하고,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는 보도블록을 설치하여 보행자의 이동을 안내하고 있다.
최근, 보도블록에 투수성을 부가한 투수 블록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 설치된 투수 블록은 보행자 이동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 시켜 내린 빗물이 보행자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투수 블록은 투수 능력을 나타내는 투수 계수에 따라 1등급, 2등급, 3등급 등으로 분류된다.
종래의 투수 블록은, 주재료(콘크리트)에 배수성이 좋은 혼합 재료(잔골재, 부순 잔골재 등)를 혼합 사용한 투수용 구멍이 없는 투수 블록과 주재료(콘크리트)만을 사용하되 투수용 구멍이 형성된 투수 블록, 두 종류가 있다.
주재료(콘크리트)에 배수성이 좋은 혼합 재료(잔골재, 부순 잔골재 등)를 혼합 사용한 투수용 구멍이 없는 투수 블록의 경우, 혼합 재료 특성상 휨 강도 약화로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와 배수성이 좋은 혼합 재료로는 투수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재료(콘크리트)만을 사용하되 투수용 구멍이 형성된 투수 블록의 경우, 혼합 재료(잔골재, 부순 잔골재 등)를 혼합 사용하되 투수용 구멍이 없는 투수 블록보다 혼합 재료(잔골재, 부순 잔골재 등) 미사용으로 인해 비용적 측면과 휨 강도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투수용 구멍을 통해 투수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주재료(콘크리트)만을 사용하되 투수용 구멍이 형성된 투수 블록의 경우, 투수성을 위해 투수용 구멍을 크게 하면 좋은데, 투수용 구멍이 클수록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투수 블록 주재료(콘트리트) 만을 사용하여 비용 상승이 없고 투수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면서(1등급 이상) 휨 강도가 기준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투수 구멍이 형성된 투수 블록을 제조할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투수공이 형성된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투수 블록 성형 장치에 설치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5580호 블록용 금형 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2699호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68604호 보도블럭 자동 제조장치
본 발명은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수공에 의해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와 가압 접촉하는 상부 몰드부(1000)와,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몰드부(1000) 하측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부(1000)와 가압 접촉하는 하부 몰드부(200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은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시킬 수 있고 투수성을 위한 투수공이 형성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수 블록 상면에 내린 빗물을 투수 블록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집수홈으로 모으고, 복수의 집수홈에 모인 빗물을 투수공을 통해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신속히 지면으로 투수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인 투수공에 의해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지 않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투수 블록 제조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2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 세부 구성도
도 3은 투수 블록 제조 시스템 작동 상태도 1
도 4는 투수 블록 제조 시스템 작동 상태도 2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된 투수 블록 전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된 투수 블록의 블록 중앙면과 블록 주변면의 구배 특성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된 투수 블록의 투수공 분산 배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된 투수 블록의 집수홈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이하 본 발명)는 투수 블록 상면에 내린 빗물을 투수 블록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집수홈으로 모으고, 복수의 집수홈에 모인 빗물을 투수공을 통해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와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신속히 지면으로 투수하기 위해 형성된 구멍인 투수공에 의해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기준치 이하로 저하되지 않는 투수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가 설치되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를 이용해 투수 블록을 성형하는 투수 블록 제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투수 블록 제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제어하고, 공급된 블록 이송판(30) 상에 투수 블록(1)을 성형하도록 컨베이어부(20) 무한궤도 상 일측에 설치되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와,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블록 이송판(30)들을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부(20)와;
컨베이어부(20) 상에 위치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블록 이송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는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제어하고, 공급된 블록 이송판(30) 상에 투수 블록(1)을 성형하도록 컨베이어부(20) 무한궤도 상 일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로 블록 이송판(30)이 이송 공급되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는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고, 블록 이송판(30) 상에 투수 블록(1)의 성형을 진행하고, 투수 블록(1)의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는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재개하여 투수 블록(1)이 적재된 블록 이송판(30)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부(2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블록 이송판(30)들을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부(2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동작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블록 이송판(30)들을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컨베이어부(2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하나의 블록 이송판(30)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로 공급되도록 하고, 하나의 블록 이송판(30)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로 공급되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컨베이어부(20)는 일시 정지하고, 일시 정지한 블록 이송판(30) 상에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의해 투수 블록(1)이 성형되고, 투수 블록(1)의 성형이 완료되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의 제어에 따라 컨베이어부(20)는 다시 동작하여 성형된 투수 블록(1)이 상면에 적재된 블록 이송판(30)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블록 이송판(30)은 컨베이어부(20) 상에 위치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송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1)이 적재되지 않은 빈 블록 이송판(30)들이 순차적으로 컨베이어부(20)에 의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로 공급 이송되고, 성형된 투수 블록(1)이 적재된 블록 이송판(30)들이 순차적으로 컨베이어부(20)에 의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서 배출 이송된다.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서 배출되어 이송되는 투수 블록(1)이 적재된 블록 이송판(30)들은 양생실로 운반되고, 양생이 완료된 투수 블록(1)이 이탈되어 투수 블록(1)이 적재되지 않은 빈 블록 이송판(30)들이 다시 컨베이어부(20) 상으로 운반된 후, 성형된 투수 블록(1)의 적재를 위해 순차적으로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로 공급 이송된다.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한, 상기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1000)가 설치되고,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을 따라 승/하강하는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가 설치되고,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을 따라 승/하강하는 하부 승/하강 프레임(12)과,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과,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로 투수 블록(1)의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재료 공급부(14)와,
블록 이송판(30)의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제어하고, 투수 블록의 성형을 위해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하부 승/하강 프레임(12)과 재료 공급부(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성형 제어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은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1000)가 설치된 상태로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을 따라 승/하강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에 관통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일정 높이의 초기 위치에 있다가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하강한 후, 투수 블록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초기 위치로 다시 상승한다.
상기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은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가 설치된 상태로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을 따라 승/하강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에 관통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상부 승/하강 프레임(11)보다 낮은 초기 위치(컨베이어부(20) 바로 위)에 있다가 투수 블록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된 투수 블록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일정 높이 상승한 후, 성형된 투수 블록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 외부로 배출되면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초기 위치로 다시 하강한다.
상기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은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에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이 순차적으로 관통 결합되어 있고,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에 관통 결합 된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은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승/하강용 기둥(13)을 따라 승/하강한다.
상기 재료 공급부(14)는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로 투수 블록(1)의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구성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부(14)는 초기 위치에 있다가 성형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투수 블록(1)의 재료 공급을 위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 상측으로 수평 이동한 후,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로 투수 블록(1)의 재료를 공급한 후, 다시 초기 위치로 수평 이동한다.
상기 성형 제어부(15)는 블록 이송판(30)의 이송을 위해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제어하고, 투수 블록의 성형을 위해 상부 승/하강 프레임(11)과 하부 승/하강 프레임(12)과 재료 공급부(14)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 제어부(15)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에 의해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 하측으로의 블록 이송판(30) 공급이 감지되면, 동작하고 있는 컨베이어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컨베이어부(1000)의 동작 정지 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제어부(15)는 초기 위치에 있는 재료 공급부(14)가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 상측으로 수평 방향 전진하도록 한 후,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로 투수 블록(1)의 재료가 공급되도록 재료 공급부(14)를 제어한 후, 투수 블록(1)의 재료 공급이 완료되면 재료 공급부(14)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투수 블록(1)의 재료 공급이 완료되고 초기 위치로의 재료 공급부(14) 복귀가 완료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제어부(15)는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1000)가 설치된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이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하강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가 상호 가압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의 상호 가압 접촉에 의해,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과 복수의 투수공(200)과 복수의 집수홈(300)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투수 블록(1)으로 성형된다.
투수 블록(1)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제어부(15)는 성형이 완료된 투수 블록(1)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을 초기 위치로 상승시킨 후,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을 일정 높이 상승시킨다.
이후, 상기 성형 제어부(15)는 성형이 완료된 투수 블록(1)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서 배출되도록 정지한 컨베이어부(20)를 동작시킨 후, 일정 높이 상승한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을 초기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하에서는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와 가압 접촉하는 상부 몰드부(1000)와,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몰드부(1000) 하측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부(1000)와 가압 접촉하는 하부 몰드부(200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은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시킬 수 있고 투수성을 위한 투수공이 형성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부 몰드부(100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 구체적으로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형성된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의 하강 시,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와 가압 접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몰드부(1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 성형을 위해, 몰드 베이스판(1200) 상에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몰드(1100)와,
일측 면에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이 결합 설치되고,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결합 설치되는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은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 성형을 위한 구성으로, 다수의 상부 몰드(110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되는 중앙면 성형 몰드(1110)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해, 중앙면 성형 몰드(1110)에 결합 설치되되, 중앙면 성형 몰드(1210)의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 둘레에 설치되는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면 성형 몰드(1110)는 투수 블록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 성형을 위한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중앙면 성형 몰드(1110)는 투수 블록 성형 시, 하부 몰드부(2000)에 공급된 투수 블록 재료를 가압하여 투수 블록(1)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을 성형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면 성형 몰드(1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 성형을 위한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와,
중앙면 성형 몰드(1110)가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용 구멍(11121)과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이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홈(11122)이 형성된 체결판체(1112)와,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와 체결판체(1112)를 연결하는 연결 기둥(1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는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에 공급된 투수 블록 재료를 가압하여 투수 블록(1)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을 성형하는 금형체이다.
특히, 상기 중앙면 성형 몰드면체(1111)의 면적은 하부 몰드부(2000)의 블록 바디 성형 몰드체(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52~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면 성형 몰드면체(1111)의 면적을 하부 몰드부(2000)의 블록 바디 성형 몰드체(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52~55%로 하는 이유는 성형되는 투수 블록의 중앙면(110)이 투수 블록의 상면 전체 면적의 52~55%가 되도록 하여 투수 블록이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의 상면에는 상면 중심에서 상면 둘레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중앙면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의 상면에 중앙면 구배를 형성하는 이유는 투수 블록의 블록 중앙면(110)에 내린 빗물이 투수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집수홈(300)으로 원활히 흐를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판체(1112)는 중앙면 성형 몰드(1110)가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용 구멍(11121)과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이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홈(11122)이 형성된 구성이다.
체결판체(1112)에 형성된 복수(4개)의 결합홈(11122)에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이 결합 설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 둘레에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이 형성되고, 체결판체(11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용 구멍(11121)에 체결 부재(결합용 나사 등)를 끼워 체결판체(1112)를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시키면 중앙면 성형 몰드(1110)가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연결 기둥(1113)은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와 체결판체(1112)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연결 기둥(1113)에 의해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가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서 일정 높이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주변면 성형 몰드(1120)는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해, 중앙면 성형 몰드(1110)에 결합 설치되되,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 둘레 4변에 설치되도록 4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변면 성형 몰드(1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한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이 형성된 주변면 성형용 몰드 바디(1121)와,
주변면 성형 몰드(1120)가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체결판체(111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1122)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결합 단턱(1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변면 성형용 몰드 바디(1121)는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한 금형체로, 주변면 성형용 몰드 바디(1121)에 형성된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에 공급된 투수 블록 재료를 가압하여 투수 블록(1)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을 성형하는 성형면이다.
특히, 주변면 성형용 몰드 바디(1121)에 형성된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에는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주변면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주변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에 주변면 구배를 형성하는 이유는 투수 블록의 블록 주변면(120)에 내린 빗물이 투수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집수홈(300)으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결합 단턱(1122)은 주변면 성형 몰드(1120)가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체결판체(111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1122)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체결판체(1112)에 형성된 결합홈(11122)에 결합 단턱(1122)이 끼워진 후, 마감 처리(용접 처리 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가 중앙면 성형 몰드(1110) 둘레 주변에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의 설치면을 기준으로 상기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의 상면 높이는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상면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과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높이 차이로 인해, 성형된 투수 블록(1)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이 블록 주변면(120) 보다 높도록 단차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은 설치면에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이 결합 설치되고,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결합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의 설치면에 체결판체(1112)들이 결합되어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이 결합 설치되고,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이 결합 설치된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은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의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에 결합 설치되어, 상부 승/하강 프레임(11)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여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이 투수 블록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에 가압 접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부 몰드부(200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 구체적으로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형성된 하부 승/하강 프레임(12)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몰드부(1000) 하측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부(1000)와 가압 접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몰드부(2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결합 설치되고, 다수의 단위 격자가 형성된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성형을 위해 투수 블록(1)의 재료가 다수의 단위 격자마다 투입되는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집수홈(300) 성형을 위해,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의 단위 격자마다 설치되는 집수홈 성형 몰드(2200)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투수공(200) 성형을 위해, 집수홈 성형 몰드(2200)의 4각 모서리 하측마다 설치되는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는 다수의 단위 격자가 형성된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성형을 위해 투수 블록(1)의 재료가 다수의 단위 격자마다 투입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된 하부 승/하강 프레임(12)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부 몰드부(1000)의 다수의 상부 몰드(1100)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위 격자가 형성된 격자형 프레임으로, 투수 블록(1)의 재료가 다수의 단위 격자들 공간으로 투입된다.
다수의 단위 격자들 공간으로 투입된 투수 블록(1)의 재료는 상부 몰드부(1000)의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의 가압 시,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 하측에 위치한 블록 이송판(30)과 격자형 프레임인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의해 육면체 형태의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가 성형된다.
상기 집수홈 성형 몰드(2200)는 투수 블록 성형 시, 투수 블록의 집수홈(300) 성형을 위한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의 단위 격자마다 설치되어, 상부 몰드부(1000)의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의 가압 시, 투수 블록(1) 상면에 집수홈(300)이 성형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집수홈 성형 몰드(2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 블록의 제1 집수홈(310) 성형을 위해,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된 4각형 형태의 제1 프레임(2210)과,
투수 블록의 제2 집수홈(320) 성형을 위해, 제1 프레임(2210)의 4각 모서리마다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2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각형 형태의 제1 프레임(2210)은 투수 블록(1)의 상면에 제1 집수홈(310)(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에 형성되는 집수홈)이 성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4각형 형태의 제1 프레임(2110)의 4각형 면적은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52~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프레임(2110)의 4각형 면적을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52~55%로 하는 이유는 성형되는 투수 블록의 중앙면(110)이 투수 블록의 상면 전체 면적의 52~55%가 되도록 하여 투수 블록이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2210)의 4각 모서리마다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프레임(2220)은 투수 블록의 상면에 제2 집수홈(320)(투수공(200)이 인접한 블록 주변면(120) 모서리마다 형성되는 집수홈)이 성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는 투수 블록 성형 시, 투수 블록의 투수공(200) 성형을 위한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홈 성형 몰드(2200)의 4각 모서리 하측마다 설치되어, 상부 몰드부(1000)의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의 가압 시, 투수 블록에 투수공(200)이 성형되도록 기능한다.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의 상측 면은 집수홈 성형 몰드(2200)의 4각 모서리 하측 면에 결합하고,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의 하측 면은 블록 이송판(30) 상면에 접하게 되어, 상부 몰드부(1000)의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의 가압 시, 투수 블록에 투수공(200)이 성형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의 단면 면적은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의 단면 면적을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0.75%로 하는 이유는 투수 블록에 형성되는 투수공(200)들 각 면적이 투수 블록 상면 면적의 0.75%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투수 블록에 형성되는 투수공(200)들 각 면적을 투수 블록 상면 면적의 0.75%로 하는 구체적 이유는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홈 성형 몰드(2200)의 4각 모서리 하측마다 설치하는 이유는 투수 블록에 형성되는 투수공(200)들이 투수 블록의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분산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투수 블록에 형성되는 투수공(200)들을 투수 블록의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분산 배치하는 구체적 이유는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의 형태를 L자 기둥 형태로 하는 이유는 투수 블록에 형성되는 투수공(200) 형태를 L자 형태로 하기 위한 것으로, 투수공(200) 형태를 L자 형태로 하는 구체적 이유는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은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시킬 수 있고 투수성을 위한 투수공이 형성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투수 블록(1) 특징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인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 될 수 있도록 복수의 투수공(200)과 복수의 집수홈(300)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블록 바디(100)와;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 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100)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투수공(200)과;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이 모여 상기 복수의 투수공(200)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100)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집수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바디(100)는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 될 수 있도록 투수공(200)과 집수홈(300)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구성이다.
즉, 상기 블록 바디(100)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 이동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보도에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 시켜 내린 빗물이 보행자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차량이 통행하는 이면 차도(주 차도가 아닌 차도로 보도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차도)에 설치되어 차량 이동을 안내하고, 이면 차도에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 시켜 내린 빗물이 차량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투수 블록(1)의 블록 바디(100)는 상술한 하부 몰드부(2000)의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의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바디(100)의 상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바디(100) 상면 중앙에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의 면적으로 형성된 사각 형태의 블록 중앙면(110)과,
상기 블록 중앙면(110)보다 낮은 단차로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형성되는 블록 주변면(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은 상기 집수홈(300) 중, 복수의 제1 집수홈(310)에 의해 분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중앙면(110)은 블록 바디(100) 상면 중앙에 일정 면적(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으로 형성된 사각 형태의 구성으로, 사람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에 대한 투수 블록의 주 접촉면으로 기능한다.
상기 블록 중앙면(110)은 상술한 상부 몰드(1100)의 중앙면 성형 몰드(1110)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 블록 중앙면(110)은 사람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에 대한 투수 블록의 주 접촉면이 될 수 있도록, 일정 면적(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으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블록 바디(100) 상면은 (198㎜×198㎜), 블록 중앙 면(110)은 (144㎜×144㎜)가 되도록 하여, 블록 중앙면(110)이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가 되도록 한다.
블록 중앙 면(110)을 일정 면적(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사람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에 대한 투수 블록의 주 접촉면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과 블록 중앙면(110) 외곽에 형성되는 후술할 투수공(200)의 형성 위치가 블록 바디(100)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52~55% 면적 외곽에 형성되어 투수 블록의 기준치 휨 강도 발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블록 주변면(120)은 블록 중앙면(110)보다 낮은 단차로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사람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에 대한 투수 블록의 보조 접촉면으로 기능한다.
블록 중앙면(110)보다 낮은 단차로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형성되는 상기 블록 주변면(120)은 상술한 상부 몰드(1100)의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 블록 주변면(120)은 사람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에 대한 투수 블록의 보조 접촉면이 될 수 있도록, 상술한 블록 중앙면(110) 보다 좁은 면적(예, 블록 중앙 면 가로 길이 : 하나의 블록 주변 면 가로 길이 = 144 : 20)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록 주변면(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홈(300) 중, 복수의 제1 집수홈(310)에 의해 블록 중앙면(110)과 분리 구획된다.
한편, 상기 블록 중앙면(110)에 내린 빗물 역시 집수홈(300)(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신속히 흐를 수 있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 중앙면(110)에는 블록 중앙면(110)에 내린 빗물이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흐를 수 있도록, 블록 중앙면(110) 중심에서 블록 중앙면(110) 둘레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중앙면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 중앙면(110)에는 중심에서 블록 중앙면(110) 둘레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중앙면 구배가 형성되는데, 중앙면 구배에 의해 블록 중앙면(110)에 내린 빗물이 블록 중앙면(110)에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 중앙면(110)에 형성된 중앙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일, 블록 중앙면(110)에 형성된 중앙면 구배의 구배 각도가 너무 크면(예, 1도 이상), 투수 블록의 블록 중앙면(110)을 밟고 지나가는 보행자는 불편함(예: 보행자가 힐을 신은 경우 가파른 중앙면 구배에 의한 미끄러짐, 올록 복록한 느낌)을 느낄 수 있어, 블록 중앙면(110)에 내린 빗물이 블록 중앙면(110)에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되 보행자가 불편함(예: 보행자가 힐을 신은 경우 가파른 중앙면 구배에 의한 미끄러짐, 올록 복록한 느낌)을 느끼지 않도록 중앙면 구배의 구배 각도를 0.5~1도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 주변면(120)에 내린 빗물 역시, 집수홈(300)(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신속히 흐를 수 있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 주변면(120)에는 블록 주변면(120)에 내린 빗물이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흐를 수 있도록, 블록 주변면(120) 외측에서 블록 주변면(120) 내측으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주변면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주변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 주변면(120)에는 블록 주변면(120) 외측에서 블록 주변면(120) 내측으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주변면 구배가 형성되는데, 주변면 구배에 의해 블록 주변면(120)에 내린 빗물이 블록 주변면(120)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 주변면(120)에 형성된 주변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 주변면(120)의 면적은 블록 중앙면(110) 면적에 비해 작기 때문에(예, 블록 중앙면 가로 길이 : 하나의 블록 주변 면 가로 길이 = 144 : 20), 보행자 발에 대한 주 접촉면이 되지 않아 주변면 구배 각도는 보행자에게 불편함(예: 올록 복록한 느낌)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블록 주변면(120)의 구배 각도를 너무 크게 하면(예, 1도 이상), 보행자가 힐을 신은 경우, 힐 부분이 블록 주변면(120)의 구배 각도로 인해 미끄러져 보행자가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블록 주변면(120)에 내린 빗물이 블록 중앙면(110)에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집수홈(310)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되 보행자가 불편함(예: 보행자가 힐을 신은 경우 가파른 중앙면 구배에 의한 미끄러짐)을 느끼지 않도록 주변면 구배의 구배 각도를 0.5~1도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블록 주변면(120)은 블록 중앙면(110)보다 낮은 단차로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주변면(120)을 블록 중앙면(110)보다 낮은 단차(예: 1~2 mm)로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형성하는 이유는, 투수공(200)이 막혀,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하지 못하는 경우, 지면으로 투수하지 않은 빗물이 블록 중앙면(110)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투수공(200)이 막혀,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하지 못하는 경우, 지면으로 투수하지 않고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공(200)이 인접한 블록 주변면(120) 모서리마다 복수의 제2 집수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투수공(200)이 막혀,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하지 못하는 경우, 지면으로 투수하지 않고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은, 내리는 비 양이 많지 않은 경우는 복수의 제2 집수홈(320)을 통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흐르게 되고, 내리는 비 양이 많은 경우는 복수의 제2 집수홈(320)과 블록 주변면(120)을 통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흐르게 된다.
만일, 블록 주변면(120)과 블록 중앙면(110)이 동일 높이이면, 투수공(200)이 막혀,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하지 못하는 경우, 지면으로 투수하지 않고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이 블록 중앙면(110)으로 역류하여 보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 주변면(120)을 블록 중앙면(110)보다 낮은 단차로 블록 중앙면(110) 주변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투수공(200)은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 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바디(100)에 관통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상술한 하부 몰드부(2000)의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들에 의해 성형된다.
투수 블록은 투수 능력을 나타내는 투수 계수에 따라 1등급, 2등급, 3등급 등으로 분류되며, 종래의 투수 블록은 투수 능력 향상을 위해, 투수 블록의 주재료(콘크리트)에 배수성이 좋은 혼합 재료(잔골재, 부순 잔골재 등)를 혼합 사용하거나 투수 블록에 투수용 구멍을 내는 경우가 있다.
투수 블록의 주재료(콘크리트)에 배수성이 좋은 혼합 재료(잔골재, 부순 잔골재 등)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 비용 상승의 문제와 혼합 재료 특성상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와 배수성이 좋은 혼합 재료만으로는 투수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투수 블록에 투수용 구멍을 내는 경우, 투수 블록의 주재료에 배수성이 좋은 재료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보다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아니라, 투수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방법이지만, 투수 블록에 형성된 구멍으로 인해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져 투수 블록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으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어, 투수성 향상을 위해 보도블럭에 형성되는 투수용 구멍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투수성 향상을 위해 보도블럭에 투수용 구멍을 크게 형성하면 투수성은 향상되지만 휨 강도가 약해지고, 휨 강도를 고려해 투수용 구멍을 작게 형성하면 휨 강도는 유지되지만 투수성을 만족스럽게 향상시킬 수 없는 이중적 문제가 있다.
상기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내린 빗물을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할 수 있는 투수성과 휨 강도 저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블록 바디(100)에 관통 형성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내린 빗물이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 될 수 있도록,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되되,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 각 면적은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블록 바디(100)의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 발현에 악영향을 덜 끼치도록,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 외곽인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의 사각 형태의 블록 중앙면(110) 둘레 모서리 부분마다 L자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의 A와 같이, 내린 빗물의 투수를 위해 투수 블록(B)에 투수용 구멍(H)을 내는 경우, 내린 빗물이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되기 위해서는, 투수용 구멍(H)의 면적 비(도 9의 A에 도시된 H의 구멍 크기/투수 블록 B 면적 크기)는 0.0075 이상(H의 구멍 크기가 B 면적 크기의 0.75%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보도나 이면 차도에 설치되는 투수 블록은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보도용 투수 블록은 4.0 MPa 이상, 차도용 투수 블록은 5.0 MPa 이상이어야 한다.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를 위해, 투수용 구멍(B)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투수성은 좋아지지만,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져 투수 블록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와 보행자가 힐을 신은 경우, 힐 부분이 투수용 구멍(H)에 끼는 불편함이 생긴다.
즉,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를 위해, 투수용 구멍(H)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와 보행자 불편 문제가 발생하며,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와 보행자 불편 문제 해결을 위해, 투수용 구멍(H)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투수 블록의 투수 계수가 작아져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할 수 없게 되는 이중적 문제가 존재한다.
내린 빗물의 투수를 위해 투수 블록(B)에 투수용 구멍(H)을 내는 경우, 서로 상충하는 문제인 투수성 향상 문제와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 발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된 투수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내린 빗물이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 될 수 있도록,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되되,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 각 면적은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투수 블록에 투수 블록 상면 면적의 0.75%에 해당하는 면적을 갖는 투수공이 형성되면, 해당 투수 블록은 내린 빗물을 1등급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키게 된다.
그러나 투수 블록 상면 면적의 0.75%에 해당하는 면적을 갖는 투수공이 형성되어 1등급의 자체 투수 계수를 갖는 투수 블록이 현장(보도나 이면 차도)에 설치되는 경우, 1등급 의 자체 투수 계수를 갖는 투수 블록을 통한 실제 투수성은 1등급이 되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투수 블록은 현장 설치 시, 현장에 깔린 모레 상부에 설치되는데, 모레는 투수 계수가 1등급 미만이어서, 1등급의 자체 투수 계수를 갖는 투수 블록이 모레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1등급 미만의 모레의 투수 계수로 인해 1등급의 자체 투수 계수를 갖는 투수 블록을 통한 실제 투수성은 1등급이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의해 성형된 투수 블록이 현장에 설치된 경우, 내린 빗물을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투수공(200)들을 블록 바디(100)에 형성하되, 복수의 투수공(200)들을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하는 것이고,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의 투수 계수가 1등급이 되도록, 복수의 투수공(200)들 각 면적을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로 하는 것이다.
하나의 투수공(200) 면적을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로 하는 이유는, 투수 블록의 투수성과 휨 강도를 고려한 수치로, 하나의 투수공(200) 면적을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보다 작게 하면 기준치 휨 강도 발현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투수성 측면에서는 불리하게 되고, 0.75%보다 크게 하면 투수성 측면에서는 유리해지지만, 기준치 휨 강도 발현 측면에서는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블록 바디(10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구멍 면적이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1%를 초과하면, 해당 하나의 구멍은 블록 바디(100)의 휨 강도를 현격히 저하시킨다.
따라서, 투수 계수를 1등급을 유지시키면서 기준치 휨 강도 발현에 영향을 덜 미치도록 하나의 투수공(200) 면적을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로 하는 것이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적이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0.75%인 복수의 투수공(200)(H1, H2, H3, H4) 들을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하면, 블록 바디(100)에 형성된 투수공들의 면적 총합은 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3%가 되어, 1등급 투수 계수의 4배에 해당하는 투수성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투수 블록은 내린 빗물을 1등급 투수 계수 이상(4배)의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매우 신속히 투수시키게 된다.
한편, 내린 빗물을 1등급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지면으로 신속히 투수시키기 위해,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블록 바디(100)가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갖도록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보도나 이면 차도에 설치되는 투수 블록은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갖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보도용 투수 블록의 기준치 휨 강도는 4.0 MPa 이상, 차도용 투수 블록의 기준치 휨 강도는 5.0 MPa 이상이어야 한다.
투수 블록에 빈 공간인 투수공이 형성되면, 투수공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져 내구성이 약해지는데, 투수성 향상을 위해 블록 바디(100)에 형성되는 빈 구멍들인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블록 바디(100)가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갖도록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블록 바디(100)의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 발현에 악영향을 덜 끼치도록,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 외곽인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의 사각 형태의 블록 중앙면(110) 둘레 모서리 부분마다 L자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빈 공간인 투수공이 투수 블록에 형성되는 경우, 투수공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해당 투수공이 투수 블록의 휨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즉, 투수공 형성 위치에 따라 투수공은 투수 블록이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발현하는데 악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미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 발현 측면에서, 투수공이 투수 블록 중앙에 형성되는 경우보다 투수 블록 외곽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블록 바디(100)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바디(100)의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 발현에 악영향을 덜 끼치도록,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 외곽인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의 사각 형태의 블록 중앙면(110) 둘레 모서리 부분마다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중앙 면(110)은 일정 면적(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으로 형성되는데, 투수공이 일정 면적(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을 갖는 블록 중앙 면(110) 상에 형성되는 경우와 블록 중앙 면(110) 외곽에 형성되는 경우를 비교할 때, 투수공이 블록 중앙 면(110) 외곽에 형성되는 경우가 블록 바디(100)의 기준치 휨 강도 발현에 훨씬 유리하다.
따라서, 투수공이 블록 바디(100)의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 발현에 악영향을 덜 끼치도록, 일정 면적(블록 바디(100) 상면 면적의 52~55%)으로 형성된 블록 중앙면(110) 외곽인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의 사각 형태의 블록 중앙면(110) 둘레 모서리 부분마다 투수공(200)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투수공의 형태에 따라 해당 투수공이 투수 블록의 휨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동일 크기의 L자형 투수공과 원형 투수공을 각각 블록 바디(100)에 형성하는 경우, 구조학적으로 L자형 투수공이 원형 투수공 보다 투수 블록의 휨 강도 저하에 영향을 덜 미치게 된다.
즉, 투수 블록에 빈 공간인 투수공이 형성되면, 투수공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보다 투수 블록의 휨 강도가 약해져 내구성이 약해지는데, 투수성 향상을 위해, 투수 블록에 빈 공간인 투수공을 형성하는 경우, 동일 면적이라면 원형 투수공 보다는 L자형 투수공을 형성하는 것이 투수 블록의 휨 강도 약화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동일 면적의 L자형 투수공의 둘레면 길이는 동일 면적의 원형 투수공의 둘레면 길이 보다 길다. 따라서 투수공 둘레 면이 클수록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전단 응력이 상대적으로 큰 둘레 면에 잘 분산되어 L자형 투수공이 원형 투수공에 비해 구조학적인 측면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강한 구조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 외곽인 블록 바디(100)의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의 사각 형태의 블록 중앙면(110) 둘레 모서리 부분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투수공(200)들을 L자 형태로 관통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집수홈(300)은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들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100)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구성으로, 집수홈(300)들에 의해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은 자연스럽게 투수공(200)들로 흐름이 안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집수홈(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들로 흐를 수 있도록,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집수홈(310)과,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들로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투수공(200)이 막힌 경우,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투수공(200)이 인접한 블록 주변면(120) 모서리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집수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집수홈(310)은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들로 흐를 수 있도록,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집수홈(310) 각각은,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록 중앙면(110)과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복수의 제1 집수홈(310)에 모이게 되고, 복수의 제1 집수홈(310)에 모인 빗물은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집수홈(310)을 통해 투수공(200)들로 자연스럽게 흘러 투수공(200)들을 통해 지면으로 투수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집수홈(310)들은 상술한 집수홈 성형 몰드(2200) 중,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된 4각형 형태의 제1 프레임(2210)에 의해 성형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집수홈(320)은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투수공(200)이 막힌 경우,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투수공(200)이 인접한 블록 주변면(120) 모서리마다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복수의 제2 집수홈(320)들은 상술한 집수홈 성형 몰드(2200) 중, 제1 프레임(2210)의 4각 모서리마다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2220)에 의해 성형된다.
투수공(200)이 인접한 블록 주변면(120) 모서리마다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제2 집수홈(320)들은 투수공(200)이 막히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 블록 주변면(120)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모여 투수공(200)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물질들에 의해 투수공(200)이 막힌 경우,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물질에 의해 투수공(200)이 막히게 되면, 내린 빗물은 투수공(200)을 통해 지면으로 투수되지 못하고, 투수공(200)에 갖혀 투수공(200)에서 넘치게 되는데,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은 복수의 제2 집수홈(320)을 통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흘러 지면으로 최종 투수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자가 밟고 지나가는 블록 중앙면(110)은 블록 주변면(120) 보다 높게 단차져 있어, 블록 중앙면(110)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투수공(200)에서 넘친 빗물은 복수의 제2 집수홈(320)을 통해 이웃한 투수 블록과의 접촉 갭 사이로 흘러 블록 중앙면(110)으로는 역류하지 않게 되어, 보행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투수 블록 성형 장치
20 : 컨베이어부
30 : 블록 이송판
1 : 투수 블록
100 : 블록 바디
200 : 투수공
300 : 집수홈

Claims (13)

  1.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에 있어서,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하부 몰드부(2000)와 가압 접촉하는 상부 몰드부(1000)와,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몰드부(1000) 하측에 설치되고, 투수 블록(1)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부(1000)와 가압 접촉하는 하부 몰드부(2000)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 몰드부(2000)는,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결합 설치되고, 다수의 단위 격자가 형성된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성형을 위해 투수 블록(1)의 재료가 다수의 단위 격자마다 투입되는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집수홈(300) 성형을 위해,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의 단위 격자마다 설치되는 집수홈 성형 몰드(2200)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투수공(200) 성형을 위해, 집수홈 성형 몰드(2200)의 4각 모서리 하측마다 설치되는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은 1등급 이상의 투수 계수에 해당하는 투수성으로 빗물을 지면으로 투수시킬 수 있고 투수성을 위한 투수공이 형성되어도 기준치 이상의 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투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부(1000)는,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 상에 결합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몰드(1100)와,
    설치면에 다수의 상부 몰드(1100)들이 결합 설치되고, 투수 블록 성형 장치(10)에 결합 설치되는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상부 몰드(1100) 각각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 성형을 위해,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되는 중앙면 성형 몰드(1110)와,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해, 중앙면 성형 몰드(1110)에 결합 설치되되,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 둘레에 설치되는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를 포함하고,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 설치면을 기준으로 상기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의 상면 높이는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상면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 성형 몰드(1110)는,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중앙면(110) 성형을 위한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와,
    중앙면 성형 몰드(1110)가 상부 몰드 설치 프레임(120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용 구멍(11121)과 4개의 주변면 성형 몰드(1120)들이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홈(11122)이 형성된 체결판체(1112)와,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와 체결판체(1112)를 연결하는 연결 기둥(1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의 면적은,
    하부 몰드부(2000)의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5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의 상면에는,
    중앙면 성형용 몰드면체(1111)의 상면 중심에서 상면 둘레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중앙면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변면 성형 몰드(1120)는,
    투수 블록(1) 성형 시, 투수 블록의 블록 바디(100) 상면의 블록 주변면(120) 성형을 위한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이 형성된 주변면 성형용 몰드 바디(1121)와,
    주변면 성형 몰드(1120)가 중앙면 성형 몰드(1110)의 체결판체(1112)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11122)에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결합 단턱(1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변면 성형용 몰드 바디(1121)에 형성된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에는,
    주변면 성형용 몰드면(1121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일정 각도의 주변면 구배가 형성되고,
    상기 주변면 구배의 구배 각도는 0.5~1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 성형 몰드(2200)는,
    투수 블록의 제1 집수홈(310) 성형을 위해,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된 4각형 형태의 제1 프레임(2210)과,
    투수 블록의 제2 집수홈(320) 성형을 위해, 제1 프레임(2210)의 4각 모서리마다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프레임(2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4각형 형태의 제1 프레임(2210)의 4각형 면적은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52~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자 기둥형 투수공 성형 몰드(2300)의 단면 면적은 블록 바디 성형 몰드(2100)에 형성된 단위 격자 면적의 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부(1000)와 하부 몰드부(2000)에 의해 성형되는 투수 블록(1)은,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 될 수 있도록 복수의 투수공(200)과 복수의 집수홈(300)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의 블록 바디(100)와;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이 지면으로 투수 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100)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투수공(200)과;
    블록 바디(100) 상면으로 내린 빗물이 모여 상기 복수의 투수공(200)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100)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집수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KR1020230019843A 2023-02-15 2023-02-15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KR10252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843A KR102525880B1 (ko) 2023-02-15 2023-02-15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843A KR102525880B1 (ko) 2023-02-15 2023-02-15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880B1 true KR102525880B1 (ko) 2023-04-26

Family

ID=8609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843A KR102525880B1 (ko) 2023-02-15 2023-02-15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880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08A (ko) * 2010-04-06 2011-10-12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085580B1 (ko) 2009-10-09 2011-11-25 (주)중원정공 블록용 금형 장치
KR101102699B1 (ko) 2009-12-31 2012-01-05 태재근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KR101124608B1 (ko) * 2011-09-05 2012-03-20 박건호 통수성 블록
KR20120060323A (ko) * 2010-12-02 2012-06-12 정계숙 투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KR101198687B1 (ko) * 2011-11-15 2012-11-12 한동권 투수블럭 제조방법
KR101648824B1 (ko) * 2015-11-16 2016-08-17 (주)청원산업 차열성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6877A (ko) * 2015-05-21 2016-11-30 (주) 건우콘크리트 투수 보도블록
JP2016199916A (ja) * 2015-04-10 2016-12-01 株式会社アムラックス 舗装構造、舗装方法、道路用透水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83251A (ko) * 2016-01-08 2017-07-18 이기영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1622A (ko) * 2016-03-29 2017-10-12 (주)유니블록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9832A (ko) * 2016-04-20 2017-10-30 이기영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97826B1 (ko) * 2019-04-23 2020-04-06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KR102154024B1 (ko) * 2020-04-14 2020-09-10 주식회사 정우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102372063B1 (ko) * 2021-11-17 2022-03-11 주식회사 한국고서이엔지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20220033022A (ko) * 2020-09-08 2022-03-15 원 옥 백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20220168604A (ko) 2021-06-16 2022-12-26 김재홍 보도블럭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580B1 (ko) 2009-10-09 2011-11-25 (주)중원정공 블록용 금형 장치
KR101102699B1 (ko) 2009-12-31 2012-01-05 태재근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KR20110112008A (ko) * 2010-04-06 2011-10-12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20120060323A (ko) * 2010-12-02 2012-06-12 정계숙 투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KR101124608B1 (ko) * 2011-09-05 2012-03-20 박건호 통수성 블록
KR101198687B1 (ko) * 2011-11-15 2012-11-12 한동권 투수블럭 제조방법
JP2016199916A (ja) * 2015-04-10 2016-12-01 株式会社アムラックス 舗装構造、舗装方法、道路用透水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6877A (ko) * 2015-05-21 2016-11-30 (주) 건우콘크리트 투수 보도블록
KR101648824B1 (ko) * 2015-11-16 2016-08-17 (주)청원산업 차열성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3251A (ko) * 2016-01-08 2017-07-18 이기영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1622A (ko) * 2016-03-29 2017-10-12 (주)유니블록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9832A (ko) * 2016-04-20 2017-10-30 이기영 골방식에 의한 다면형 투수저장용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097826B1 (ko) * 2019-04-23 2020-04-06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KR102154024B1 (ko) * 2020-04-14 2020-09-10 주식회사 정우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20220033022A (ko) * 2020-09-08 2022-03-15 원 옥 백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20220168604A (ko) 2021-06-16 2022-12-26 김재홍 보도블럭 자동 제조장치
KR102372063B1 (ko) * 2021-11-17 2022-03-11 주식회사 한국고서이엔지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880B1 (ko)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US7950276B1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vehicle test road by joining pre-fabricated pavement modules
CN110195394B (zh) 一种市政道路硬底化方法
CN111335110A (zh) 一种塑胶跑道及其制备方法
CN107151958B (zh) 一种易维护永久性农村公路水泥路面
KR101033657B1 (ko) 지반의 침하 억제 및 포장면의 변형 방지를 위한 도로포장재
KR101270157B1 (ko) 투보수홀 보도블록 제조 방법
KR100644386B1 (ko) 하단부 돌출형 고무블록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US9163363B2 (en) Load-bearing pav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170111622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468B1 (ko) 보강매트와 유공관이 결합된 무 배수로 투수 기층구조 의 시공방법.
CN214245208U (zh) 一种带有排水通道的透水人行道铺装结构
EP3619360A1 (de) Bausatz mit betonelemente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teilen des bausatzes
KR100966473B1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KR102235676B1 (ko)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CN212199934U (zh) 一种塑胶跑道
KR102673646B1 (ko) 미끌림 방지용 점자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84364B1 (ko) 투수성 탄성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0949125B1 (ko) 놀이터의 안전 바닥재 시공방법
KR102016836B1 (ko) 조립형 도로 측구 및 조립형 도로 측구의 시공방법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KR102657441B1 (ko) 투수성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투수성 보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JP3851473B2 (ja) 舗装構造
CN214362662U (zh) 一种用于消防车道及消防救援的绿化场地
JPH09119103A (ja) 透水性舗装平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圧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