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826B1 -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 Google Patents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826B1
KR102097826B1 KR1020190047370A KR20190047370A KR102097826B1 KR 102097826 B1 KR102097826 B1 KR 102097826B1 KR 1020190047370 A KR1020190047370 A KR 1020190047370A KR 20190047370 A KR20190047370 A KR 20190047370A KR 102097826 B1 KR102097826 B1 KR 10209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ower mold
mold
upper mold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28B7/183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18Separating articles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이 개시된다, 블록 성형장치는, 상부에 복수개의 성형 돌기가 돌출되며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블록 페이스트가 삽입되며 하부 금형과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성형 돌기에 의해 투수공이 형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상부 금형과 상부 금형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블록을 상부 금형의 내부에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기와, 하부 금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부 금형의 하부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성형 완료된 블록이 안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BLOCK FORMING APPARATUS AND BLOCK MANUFACTURED BY TH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투수성이 향상되고 시공된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한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이나 건물 주변 등의 보행로에는, 보행인의 통행방향을 유도하면서도 도시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보도블록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도블록은 다양한 재질 및 색상을 갖고 있으면서도 개성있는 배열법에 따른 시공법이 이용된다.
특히, 보도블록은 빗물 등이 쉽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시 고여있는 빗물에 의해 신발이나 하의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먼지나 각종 부유물의 비산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한 거리를 조성하는데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보도 블록은 빗물 등의 배수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여 투수성이 보다 향상된 보도 블록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10-055619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수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블록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에 복수개의 성형 돌기가 돌출되며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블록 페이스트가 삽입되며 하부 금형과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성형 돌기에 의해 투수공이 형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상부 금형과 상부 금형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블록을 상부 금형의 내부에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기와, 하부 금형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부 금형의 하부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성형 완료된 블록이 안착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성형 돌기는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며 하부 금형의 상부로 단부가 돌출되어 블록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투수공을 성형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하부 금형의 측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바디와, 슬라이더 바디의 상부에 위치되며 블록이 표면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 금형의 내부에 삽입된 블록 페이스트가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가압 작동으로 성형된 블록으로서, 측면에는 인입홈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투수공이 관통된 블록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홈은, 블록 바디의 일측 표면의 내부로 형성되는 메인홈과, 메인홈의 측면에서 블록 바디의 가장자리 위치로 연장되는 분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작동에 따라 표면이 인입홈과 투수공이 형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수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블록 성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된 블록이 슬라이더의 안착 플레이트에 안착된 상태로 건조 공정으로 이송되어 최종 블록 제품으로 제조되는 바, 제조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록 성형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블록 성형장치의 슬라이더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블록을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블록 성형장치(100)는 측면에 인입홈(113)이 형성되고 투수공(115)이 형성되어 투수성이 향상된 블록(200)을 성형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블록 성형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블록 성형장치의 슬라이더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성형장치(100)는, 상부에 복수개의 성형 돌기(11)가 돌출되며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금형(10)과, 하부 금형(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블록 페이스트가 삽입되며 하부 금형(10)과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성형 돌기(11)에 의해 투수공이 형성된 블록을 성형하는 상부 금형(30)과,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성형된 블록을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기(40)와, 하부 금형(10)의 측면에서 하부 금형(10)과 상부 금형(30)의 사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성형 완료된 블록이 안착되는 슬라이더(50)를 포함한다.
하부 금형(10)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복수개의 성형 돌기(11)가 돌출될 수 있다.
하부 금형(10)은 후술하는 슬라이더(50)와 함께 상부 금형(3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슬라이더(50)의 상부에 안착된 안착 플레이트(53)가 상부 금형(30)의 하부 위치로 선택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슬라이더(5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성형 돌기(11)는 하부 금형(10)의 상부의 내부로 인입 형성된 성형홈(12)의 저면에 복수개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성형 돌기(11)는 하부 금형(10)의 성형홈(12)의 내부에 복수개가 복수개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돌기(11)의 돌출된 단부는 하부 금형(10)의 표면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성형 돌기(11)가 하부 금형(10)에 설치되는 것은 블록(200, 이하 도 5 및 도 6 참조) 성형 과정에서 상부 금형(30)이 하부 금형(10) 방향으로 하강되어 형입되는 과정에서, 성형 돌기(11)의 단부가 상부 금형(30)에 삽입된 블록 페이스트에 가압되어, 성형된 블록에 투수공(115, 이하 도 5 및 도 6 참조)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블록(200)에는 성형 돌기(11)에 의해 복수개의 투수공(115)이 형성되는 바, 투수성이 향상되어, 블록(200)의 성형된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 금형(30)은 하부 금형(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 금형(10)과 형입되어,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삽입된 블록 페이스트를 투수공(115)이 형성된 블록으로 성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10)의 형입 작동에 의해 성형되는 블록(200)의 표면에는 인입홈(113, 이하 도 5 및 도 6 참조)과 투수공(115)이 각각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보도 블록 등에 적용되는 블록(200)은 표면에 인입홈(113)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투수공(115)이 함께 성형되는 바, 투수성이 향상되어 블록(200)의 시공 상태에서 배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시공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10)에는 인입홈(113)의 형성을 위한 가압 돌부와 투수공의 형성을 위한 성형 돌기(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은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하부 금형(10)의 상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의 내부에는 블록 성형을 위한 블록 페이스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금형(10)에 형입된 상태로 가압되는 바, 블록 페이스트가 블록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금형(30)에는 성형된 블록이 상부 금형(30)과 함께 상승되도록 진공을 인가하는 진공기(40)가 설치될 수 있다.
진공기(40)는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금형(30)에 진공은 인가하도록 상부 금형(30)의 측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공 라인(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금형(30)에는 진공의 인가를 위한 진공기(40)가 연결되는 바,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10)의 사이에서 가압 성형된 블록(200)은 상부 금형(30)의 상승 작동시 함께 상승될 수 있다.
한편, 하부 금형(10)의 측면에는 슬라이더(50)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50)는 하부 금형(10)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 금형(30)이 하부 금형(10)의 상부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부 금형(30)의 하부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50)가 설치되는 것은, 상부 금형(30)에서 성형 완료된 블록(200)이 슬라이더(5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는 바,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성형 완료된 블록(200)을 금형으로부터 위치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라이더(50)는, 하부 금형(10)의 측면에 설치되어 하부 금형(10)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바디(51)와, 슬라이더 바디(51)의 상부에 위치되며 블록(200)이 표면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바디(51)는 하부 금형(10)의 측면에 설치되며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55)을 따라 하부 금형(10)과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 바디(51)는 가압 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에 따라 하부 금형(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 금형(30)의 하부 위치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 바디(51)는 블록 페이스트가 블록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하부 금형(10)의 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 바디(51)는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10)이 맞물려 블록 성형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금형(30)의 하부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바, 상부 금형(30)에서 진공 미인가 상태의 블록이 낙하되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 바디(51)의 상부에는 블록(200)의 안착을 위한 안착 플레이트(53)가 설치될 수 있다.
안착 플레이트(53)는 표면에 편평면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부 금형(30)으로부터 슬라이더 바디(51)의 상부로 낙하되는 블록(20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 완료된 블록(200)은 안착 플레이트(53)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바디(51)의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 이동되어 건조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 바디(51)에는 소정의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가 설치되어 안착 플레이트(53)를 상부 금형(30)의 저면에 근접되게 상승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블록(200)은 슬라이더(50)의 슬라이딩에 따라 소정의 건조 공정으로 이동되어 최종 제품으로 완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의 블록 성형장치(100)는,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10)의 작동에 따라 표면이 인입홈(113)과 투수공(115)이 형성된 블록(200)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여, 투수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블록(200) 성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블록을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은,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삽입된 블록 페이스트가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10)의 가압 작동으로 성형된 블록으로서, 측면에 인입홈(113)이 형성된 블록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홈(113)은 블록 바디(110)의 일측 표면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메인홈(113a)과, 메인홈(113a)의 측면에서 블록 바디(110)의 가장자리 위치로 연장되는 분기홈(113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바디(110)는 보도 블록 형태로 시공된 상태에서, 메인홈(113a)과 인입홈(113)을 통해 투수성의 향상이 향상된 상태로 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블록 바디(110)에는 복수개의 투수공(115)이 복수개의 열과 행을 이루어 형성되는 바, 빗물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투수되는 것이 가능하여 투수성이 향상된 보도 블록의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하부 금형 11...성형 돌기
12...성형홈 30...상부 금형
40...진공기 41...진공 라인
50...슬라이더 51...슬라이더 바디
53...안착 플레이트 55...레일
200..블록 110..블록 바디
113..인입홈 113a..메인홈
113b..분기홈

Claims (4)

  1. 측면에는 인입홈(113)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투수공(115)이 관통된 블록 바디(110)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홈(113)은, 상기 블록 바디(110)의 일측 표면의 내부로 형성되는 메인홈(113a)과, 상기 메인홈(113a)의 측면에서 블록 바디(110)의 가장자리 위치로 연장되는 분기홈(113b)을 포함하는 블록(200)을 성형하는 블록 성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에 복수개의 성형 돌기(11)가 돌출되며 바닥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금형(10);
    상기 하부 금형(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블록 페이스트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 금형(10)과의 사이에서 가압되어 상기 성형 돌기(11)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투수공(115)이 형성되고, 가압 돌부에 의해 상기 메인홈(113a)과 상기 분기홈(113b)으로 이루어진 상기 인입홈(113)이 형성된 상기 블록(200)을 성형하는 상부 금형(30);
    상기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기 블록(200)을 상기 상부 금형(30)의 내부에 흡착되도록 하는 진공기(40); 및
    상기 하부 금형(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금형(30)의 하부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성형 완료된 블록(200)이 안착되는 슬라이더(50);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돌기(11)는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며 상기 하부 금형(10)의 상부로 단부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블록 성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50)는,
    상기 하부 금형(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바디(51); 및
    상기 슬라이더 바디(5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블록이 표면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53);
    를 포함하는 블록 성형 장치.

  4. 삭제
KR1020190047370A 2019-04-23 2019-04-23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KR102097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70A KR102097826B1 (ko) 2019-04-23 2019-04-23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370A KR102097826B1 (ko) 2019-04-23 2019-04-23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26B1 true KR102097826B1 (ko) 2020-04-06

Family

ID=7028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370A KR102097826B1 (ko) 2019-04-23 2019-04-23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8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024B1 (ko) * 2020-04-14 2020-09-10 주식회사 정우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CN111730724A (zh) * 2020-05-14 2020-10-02 福建省阳山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制作节能多孔砖的模具及该模具成型多孔砖的方法
CN113910424A (zh) * 2021-09-28 2022-01-11 江苏月生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预制箱梁外模用行走台车
KR102525880B1 (ko) *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93B1 (ko) 2005-06-24 2006-03-03 태화물산 주식회사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KR20120067908A (ko)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20094816A (ko) * 2011-02-17 2012-08-27 김민경 이중 투수블럭
KR101198687B1 (ko) * 2011-11-15 2012-11-12 한동권 투수블럭 제조방법
KR20160113923A (ko) * 2015-03-23 2016-10-04 (주) 건우콘크리트 배수블록 제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193B1 (ko) 2005-06-24 2006-03-03 태화물산 주식회사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KR20120067908A (ko)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20094816A (ko) * 2011-02-17 2012-08-27 김민경 이중 투수블럭
KR101198687B1 (ko) * 2011-11-15 2012-11-12 한동권 투수블럭 제조방법
KR20160113923A (ko) * 2015-03-23 2016-10-04 (주) 건우콘크리트 배수블록 제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024B1 (ko) * 2020-04-14 2020-09-10 주식회사 정우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CN111730724A (zh) * 2020-05-14 2020-10-02 福建省阳山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制作节能多孔砖的模具及该模具成型多孔砖的方法
CN111730724B (zh) * 2020-05-14 2021-12-24 福建省阳山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制作节能多孔砖的模具及该模具成型多孔砖的方法
CN113910424A (zh) * 2021-09-28 2022-01-11 江苏月生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预制箱梁外模用行走台车
KR102525880B1 (ko) *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826B1 (ko)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RU2007108305A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041732B1 (ko) 배수홀을 갖춘 보,차도블록,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238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US1162172A (en) Process for making building-blocks.
CN205688557U (zh) 一种下水道盖板组件
EP1568455A2 (de) Pflasterplatte aus Beto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flasterplatten aus Beton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KR102141325B1 (ko) 주차장 바닥 보수용 조립식 배수타일 및 그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보수공법
PL1595673T3 (pl) Sposób wytwarzania bieżnika dla opony
KR102080077B1 (ko)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JP2880659B2 (ja) 窯業系建築板の製造方法
KR20220111800A (ko) 나무무늬 거푸집 제조 방법
ATE401180T1 (de) Form zum herstellen von keramischen fliesen
KR100556193B1 (ko)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CN106003371B (zh) 一种生态蓄水砖的加工工艺
KR101197601B1 (ko) 프레스형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973796B1 (ko) 블록 성형 장치
KR100673995B1 (ko) 맨홀용 인버트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생산되는맨홀용 조립식 인버트와 이 인버트를 사용하는 맨홀
KR200355461Y1 (ko) 타이어용 가류금형
KR20170079395A (ko) 시공상태 유지력이 우수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3073A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