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55B1 -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 Google Patents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55B1
KR101978155B1 KR1020180162279A KR20180162279A KR101978155B1 KR 101978155 B1 KR101978155 B1 KR 101978155B1 KR 1020180162279 A KR1020180162279 A KR 1020180162279A KR 20180162279 A KR20180162279 A KR 20180162279A KR 101978155 B1 KR101978155 B1 KR 10197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mold
mortar
flow base
pin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재근
Original Assignee
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재근 filed Critical 태재근
Priority to KR102018016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2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맞닿아 하부개방부(81a)를 긴밀하게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하고,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이물질에 의한 하강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즉 핀(84)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앰과 동시에 수직배수홀(97)의 완벽한 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SIDEWALK BLOCK AND LOWER MOLD FO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IDEWALK BLOCK}
본 발명은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베이스로 하여금 평상시 하부형틀의 하단에 맞닿아 하부개방부를 긴밀하게 커버링토록 하는 반면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이물질에 의한 하강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도블록 내에 수직배수홀을 안전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인도나 공원 또는 도로가 등에 설치되어 보행의 안전과 빗물이나 눈으로부터의 청결을 도모하면서 도시미관을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3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7760호)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400)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테이블(100)과, 금형(400)내에 메인골재(910)를 공급하는 1차 공급부(210) 및 1차 공급탱크(230)와, 메인골재(910)를 1차 다짐하는 1차 다짐부(310)와, 몰탈죽(920)을 공급하는 2차 공급부(220) 및 2차 공급탱크(240)와, 몰탈죽(920)을 다짐하는 2차 다짐부(320)와, 금형(400)내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이송시키는 클램핑부(500)와, 클램핑부(500)로부터 이송된 투수블록을 이송시키는 이송부(600)와, 완성된 투수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800)와, 이송부(600)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승강시켜 보관부(800)에 적재하는 승강적재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3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양산된 투수블록(9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양산된 투수블록(900)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배수홈(931)을 마련할 수는 있으나 투수블록(900) 내의 수직배수홀을 마련치 못하여 배수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투수블록(900)의 표면이 단일색으로 이루어져 도시미관을 수려하게 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도 13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2차 다짐부의 작동과정을 간략 도시한 측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 구동수단(325)의 구동에 의한 제2하부 승강수단(324)의 상승과 더불어 제2프레스(321) 사이에서 메인골재(910) 및 몰탈죽(920)을 단순히 압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직배수홀을 전혀 완성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도 14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10163호)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4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에 적용된 배수구멍 형성용 핀의 확대도이고, 도 14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를 활용한 보도블록 성형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는 이송판(30)이 밑판(20) 위쪽으로 이송되면 성형틀(10)이 하강되어 이송판(30)과 밀착된다. 이때 밑판(20)이 판실린더(21)에 의해 상승되면 이송판(30)과 포개지면서 핀(23)이 핀구멍(31)으로 돌출되어 성형틀(10) 내부로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기초층 몰탈 투입대(42)가 성형틀(10)로 위치되면 성형틀(10)의 내부로 기초층 몰탈(51)이 투입된다.
이후, 성형틀(10)에 진동이 가해져 기초층 몰탈(51)이 다져지며, 밑판(20)의 에어호스(26)로부터 공기주입실(22)로 고압공기가 공급되어 핀(23) 상단의 에어노즐(25)로 고압공기가 분사된다. 초기에 핀(23)의 상단부가 기초층 몰탈(51)에 묻힌 형태이므로 에어노즐(25)에서 고압공기가 분사되면 기초층 몰탈(51)의 상부가 움푹 파여지게 퍼져 핀(23)으로 형성되는 배수구멍(53)과 연이어진 배수 유도홈(54)이 보도블록(50)에 만들어진다.
이어서, 성형틀(10)의 상부로 미장층 몰탈 투입대(43)가 위치되어 상기 기초층 몰탈(51)의 상부로 미장층 몰탈(52)이 투입되고 진동으로 다져지면 성형틀(10) 상부의 누름판(40)이 하강되어 미장층 몰탈(52)의 상부를 눌러 미장층 몰탈(52)과 기초층 몰탈(51)을 결속시킨 뒤 상승된다.
다음으로, 밑판(20)이 하강되어 핀(23)이 성형틀(10)에서 분리된 뒤 누름판(40)이 다시 하강되어 미장층 몰탈(52)을 누른 상태로 성형틀(10)이 상승되어 몰탈에서 분리되면 이송판(30)에 보도블록(50)이 놓이게 되며, 그 뒤 누름판(40)이 최종적으로 상승되어 분리된다.
이송판(30)에는 완성된 보도블록(50)만 남게되므로 이송판(30)을 건조장으로 이송시키면 하나의 보도블록이 완성되며 위의 과정을 연속으로 반복하면 기초층 몰탈(51) 내부에 배수구멍(53)과 배수 유도홈(54)이 형성된 보도블록(50)을 만들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2의 보도블록 성형장치의 핵심기술은 기초층 몰탈(51) 속에 배수구멍(53) 및 배수 유도홈(54)을 형성함과 동시에 미장층 몰탈(52)로서 최종 다져진 보도블록(50)을 완성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도블록(50)은 배수구멍(53) 및 배수 유도홈(54) 위에 미장층 몰탈(52)이 다져져 빗물의 배수를 신속 원활하게 실현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즉, 빗물이 미장층 몰탈(52) 속으로 침투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유도 유도홈(54) 및 배수구멍(53)으로의 배수가 원활치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2의 보도블록 성형장치는 핀(23)과 누름판(40)이 직접 맞닿는 구조로 배수구멍(53) 및 배수 유도홈(54)을 형성하는 구조가 아니다.
즉, 핀(23)과 누름판(40)이 직접 맞닿을 경우 그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기초층 몰탈(51) 또는 미장층 몰탈(52) 상호간의 압착압력을 부여할 때 핀(23)이 쉽게 부러지기 때문에 핀(23)과 누름판(40)의 직접적인 맞닿는 구조를 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선행기술문헌 2에서는 핀(23)의 상단부가 기초층 몰탈(51)에 묻힌 상태에서 에어노즐(25)로부터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기초층 몰탈(51)의 상부에 배수 유도홈(54)을 형성시킨 후[압착압력에 의한 배수 유도홈(54)이 형성된 것이 아닌 에어노즐(25)에 의한 고압공기로 분사시켜 기초층 몰탈(51)의 일부를 불어날려 배수 유도홈(54)을 형성시키므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강도가 극히 약할 수밖에 없다] 핀(23)이 누름판(40)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미장층 몰탈(52)을 씌우고 누름판(40)으로 압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보도블록(50) 내부에 수직배수홀을 전혀 마련치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7760호 -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10163호 - 보도블록 성형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베이스로 하여금 평상시 하부형틀의 하단에 맞닿아 하부개방부를 긴밀하게 커버링토록 하는 반면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이물질에 의한 하강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도블록 내에 수직배수홀을 안전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홀에 끼워진 신장스프링을 도넛형단턱으로 가압하면서 협홀을 경유하여 나사홈에 이격볼트가 체결되어 평상시 이격볼트에 지지되는 신장스프링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해 유동베이스를 하부형틀의 하단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부개방부를 긴밀하게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도넛형단턱이 신장스프링을 수축시키면서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도블록 내에 수직배수홀을 안전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르타르압착부에서 하부금형 속에 채워진 건식모르타르 및 습식모르타르를 지속적으로 압착할 경우 하부판이 압착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을 보강판으로 보강하여 수명을 보장토록 할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모르타르 및 습식모르타르공급부의 압착시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에 직접 맞닿을 경우 하부금형의 변형을 초래하여 교체비용이 상승되므로 잘 변형되지 않는 라이너를 하부형틀의 내부에 하부형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수명을 보장토록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너들이 유동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고정홈에 끼워진 라이너들이 건식모르타르의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배수홀의 형성시 그 높낮이에 맞춰 유동베이스에 뚫려진 나사홀에 핀을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토록 나사결합시켜 다양한 크기의 보도블록을 더욱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핀이 라이너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동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핀 위에 이물질이 껴서 유동베이스에 하강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핀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를 이격시키면서 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금형에 하부금형의 핀을 향한 볼록돌기를 마련하는 한편 핀을 볼록돌기의 높이만큼 라이너의 높이보다 낮게 유동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록돌기가 핀에 맞닿을 때 그 사이에 이물질에 의해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를 이격시키면서 핀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상부금형의 볼록돌기에 의한 보도블록의 오목배수홈을 완벽하게 마련할 수 있는[핀의 부러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의 수직배수홀로서 우수시 빗물의 배수를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목배수홈을 따라 수직배수홀로의 빗물의 배수안내를 신속하게 실현하여 장마시 인도 또는 보도 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물 고임으로 인한 불편함과 겨울철 결빙으로 인한 위험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목배수홈을 더욱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은,
하부개방부를 지니면서 보도블록의 사이드면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형틀과,
상기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수단에 의해 이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쓰루홀을 지니면서 상기 하부개방부를 커버링하는 유동베이스와,
상기 유동베이스에 직립된 핀들과,
상기 하부형틀 속의 상기 유동베이스에 안착되며 상기 핀들이 통과되는 하부핀홀들을 지니면서 상기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은,
탑면, 저면 및 사이드면을 포함하는 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면에서부터 탑면에 이르기까지 직선상으로 관통된 수직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동베이스로 하여금 평상시 하부형틀의 하단에 맞닿아 하부개방부를 긴밀하게 커버링토록 하는 반면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이물질에 의한 하강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도블록 내에 수직배수홀을 안전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광홀에 끼워진 신장스프링을 도넛형단턱으로 가압하면서 협홀을 경유하여 나사홈에 이격볼트가 체결되어 평상시 이격볼트에 지지되는 신장스프링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해 유동베이스를 하부형틀의 하단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부개방부를 긴밀하게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이 가해질 경우 도넛형단턱이 신장스프링을 수축시키면서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짐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도블록 내에 수직배수홀을 안전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르타르압착부에서 하부금형 속에 채워진 건식모르타르 및 습식모르타르를 지속적으로 압착할 경우 하부판이 압착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을 보강판으로 보강하여 수명을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식모르타르 및 습식모르타르공급부의 압착시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에 직접 맞닿을 경우 하부금형의 변형을 초래하여 교체비용이 상승되므로 잘 변형되지 않는 라이너를 하부형틀의 내부에 하부형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수명을 보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라이너들이 유동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고정홈에 끼워진 라이너들이 건식모르타르의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직배수홀의 형성시 그 높낮이에 맞춰 유동베이스에 뚫려진 나사홀에 핀을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토록 나사결합시켜 다양한 크기의 보도블록을 더욱 유연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핀이 라이너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동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핀 위에 이물질이 껴서 유동베이스에 하강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핀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를 이격시키면서 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핀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의 면적이 넓을 경우 가장자리에서의 이웃 보도블록과의 합체로서 빗물을 배수하는 합형배수홀뿐만 아니라 보도블록 자체의 수직배수홀로서 우수시 빗물의 배수를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목배수홈을 따라 수직배수홀로의 빗물의 배수안내를 신속하게 실현하여 장마시 인도 또는 보도 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물 고임으로 인한 불편함과 겨울철 결빙으로 인한 위험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금형의 볼록돌기에 의한 보도블록의 오목배수홈을 더욱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금형에 하부금형의 핀을 향한 볼록돌기를 마련하는 한편 핀을 볼록돌기의 높이만큼 라이너의 높이보다 낮게 유동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록돌기가 핀에 맞닿을 때 그 사이에 이물질에 의해 유동베이스에 물리적으로 하강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에 의해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를 이격시키면서 핀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상부금형의 볼록돌기에 의한 보도블록의 오목배수홈을 완벽하게 마련할 수 있는[핀의 부러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중 하부형틀로부터 유동베이스가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건식다짐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습식평탄화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습식평탄화부에 정위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분체도료낙하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분체도료낙하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모르타르압착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모르타르압착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보도블록탈형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3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3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양산된 투수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2차 다짐부의 작동과정을 간략 도시한 측면도.
도 14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의 개략도.
도 14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에 적용된 배수구멍 형성용 핀의 확대도.
도 14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장치를 활용한 보도블록 성형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따라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습식평탄화부(400), 분체도료낙하부(500)[선분체도료낙하부(500a) 및 후분체도료낙하부(500b)], 모르타르압착부(600) 및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향하여 순차 정위치되는 하부금형(80)들을 각각 수용한 금형홀(T1)들을 방사상으로 지닌 턴테이블(T)을 포함한다.
즉,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T)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습식평탄화부(400), 분체도료낙하부[500; 선분체도료낙하부(500a) 및 후분체도료낙하부(500b)], 모르타르압착부(600) 및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향하여 순차 회전되면서 하부금형(80)들을 각각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에 정위치될 경우, 예를 들어 수분을 적게 함유한 입자가 작은 자갈, 모래 및 시멘트로 조성(조성물 및 조성비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된 건식모르타르(91)를 하부금형(80)에 채운 후 건식다짐부(200)로 이동시켜 다지고, 다시 하부금형(80)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정위치될 경우, 예를 들어 충분한 물을 함유한 석분, 모래 및 시멘트로 조성(조성물 및 조성비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됨과 동시에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의 습식모르타르(92)를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채우고, 이어서 하부금형(80)이 습식평탄화부(400)에 정위치될 경우 습식모르타르(92)를 평탄화시킨 후 분체도료낙하부[500; 선분체도료낙하부(500a) 및 후분체도료낙하부(500b)]를 통해 분체도료(94)를 낙하시켜 다양한 칼라톤을 지니도록 하고, 나아가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다시 습식모르타르(92)를 압착시켜 수분이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상호 견고하게 압착된 보도블록(90)을 마련한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통해 탈형시켜 건조 및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견고하게 강화된 보도블록(90)을 완성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 중 하부형틀(81)로부터 유동베이스(83)가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개방부(81a)를 지니면서 보도블록(90)의 사이드면(90c)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형틀(81)과,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수단(82)에 의해 이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쓰루홀(83a)을 지니면서 하부개방부(81a)를 커버링하는 유동베이스(83)와, 유동베이스(83)에 직립된 핀(84)들과, 하부형틀(81) 속의 유동베이스(83)에 안착되며 핀(84)들이 통과되는 하부핀홀(85a)들을 지니면서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판(8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부형틀(81)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보도블록(90)의 사이드면(90c) 형상을 결정짓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턴테이블(T)의 금형홀(T1)들에 끼워져 승강될 수 있고, 유동베이스(83)는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수단(82)에 의해 이격 가능하게 하부개방부(81a)를 커버링한다.
이때, 유동베이스(83)는 평상시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맞닿아 하부개방부(81a)를 긴밀하게 커버링하나,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후술하는 이물질에 의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도 3b(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내부쓰루홀(83a)은 후술되는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압착유압수단(61)의 압착뭉치(61e)가 통과하여 하부판(85) 및 보강판(86)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격수단(82)은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뚫려진 나사홈(82a)과, 유동베이스(83)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형틀(81)의 나사홈(82a)을 향하여 순차 뚫려진 광홀(82b) 및 협홀(82c)에 의해 마련된 도넛형단턱(82d)과, 이 도넛형단턱(82d)에 지지되도록 광홀(82b)에 끼워진 신장스프링(82e)과, 신장스프링(82e)을 도넛형단턱(82d)으로 가압하면서 협홀(82c)을 경유하여 하부형틀(81)의 나사홈(82a)에 체결되는 이격볼트(82f)를 포함한다.
광홀(82b)에 끼워진 신장스프링(82e)을 도넛형단턱(82d)으로 가압하면서 협홀(82c)을 경유하여 나사홈(82a)에 이격볼트(82f)가 체결됨으로써, 평상시 이격볼트(82f)에 지지되는 신장스프링(82e)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베이스(83)를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부개방부(81a)를 긴밀하게 커버링하나,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형단턱(82d)이 신장스프링(82e)을 수축시키면서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은 유동베이스(83) 및 하부판(85) 사이에 개재되며 핀(84)들이 통과되는 보강핀홀(86a)들을 지닌 보강판(86)을 더 포함하고, 나아가 하부형틀(8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하부형틀(8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너(87)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하부금형(80) 속에 채워진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를 지속적으로 압착할 경우 하부판(85)이 압착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을 보강판(86)으로 보강하여 수명을 보장토록 하고, 나아가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의 압착시 상부금형(62)이 하부금형(80)에 직접 맞닿을 경우 하부금형(80)의 변형을 초래하여 교체비용이 상승되므로 잘 변형되지 않는 라이너[87; 열처리된 합금으로 된 라이너(87)]를 하부형틀(81)의 내부에 하부형틀(8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수명을 보장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라이너(87)들은 유동베이스(8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83c)에 끼워지도록 한다.
라이너(87)들이 유동베이스(8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83c)에 끼워짐으로써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고정홈(83c)에 끼워진 라이너(87)들이 건식모르타르(91)의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유동베이스(83)가 하부형틀(81)의 하부개방부(81a)를 단순히 커버링하는 구조를 취할 경우 유동베이스(83)의 미세한 하강과 함께 건식모르타르(91)가 그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갈 뿐만 아니라 유동베이스(83)가 다시 상승 복귀하더라도 그 사이의 틈새에 끼어진 이물질에 의해 건식모르타르(91)의 지속적인 이탈을 막을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핀(84)은 유동베이스(83)에 뚫려진 나사홀(83d)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보도블록(90)은 시공환경에 따라 높낮이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수직배수홀(97)의 형성시 그 높낮이에 맞춰 유동베이스(83)에 뚫려진 나사홀(83d)에 핀(84)을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토록 나사결합시켜 다양한 크기의 보도블록(90)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9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90)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9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80)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핀(84)은 라이너(87)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동베이스(83)에 고정된다.
지금까지의 보도블록(90)은 배수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수직하프배수홀(95)을 형성시켜 이웃하는 보도블록(90)의 수직하프배수홀(95)과 함께 합체되면서 합형배수홀(96)을 완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보도블록(90) 가장자리의 수직하프배수홀(95)은 예를 들어 라이너(87)의 양각에 의해 쉽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보도블록(90) 내의 수직배수홀(97)은 핀(84)과 상부금형(62)의 합치에 의해서만 완성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핀(84) 위에 미세한 이물질이 껴있기만 하여도 하부금형(80) 및 상부금형(62) 상호간의 마주하는 압력에 의해 핀(84)이 쉽게 부러져 수직배수홀(97)을 완성치 못하는 경우가 상존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은 선행기술문헌 2와 같이 기초층 몰탈(51)까지만 배수구멍(53 : 엄격하게는 배수홈)이 뚫려지고 미장층 몰탈(52)까지는 관통시키지 못하는 핀(23)의 높이를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핀(84)이 라이너(87)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동베이스(83)에 고정된 상태에서 핀(84) 위에 이물질이 껴서 유동베이스(83)에 하강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핀(84)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9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면(90a), 저면(90b) 및 사이드면(90c)을 포함하고, 특히 저면(90b)에서부터 탑면(90a)에 이르기까지 직선상으로 관통된 수직배수홀(9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수직배수홀(97) 주변의 탑면(90a)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배수홈(9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도블록(90)의 면적이 넓을 경우 가장자리에서의 이웃 보도블록(90)과의 합체로서 빗물을 배수하는 합형배수홀(96)뿐만 아니라 보도블록(90) 자체의 수직배수홀(97)로서 우수시 빗물의 배수를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오목배수홈(98)을 따라 수직배수홀(97)로의 빗물의 배수안내를 신속하게 실현하여 장마시 인도 또는 보도 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물 고임으로 인한 불편함과 겨울철 결빙으로 인한 위험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탑면(90a)을 따라 수직배수홀(97)에 이어지는 탑배수로(99)를 더 포함하여 우수시 신속한 배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모르타르압착부(600)의 구성에서 상부금형(62)에 하부금형(80)의 핀(84)을 향한 볼록돌기(62a)를 마련하고, 반면 핀(84)을 볼록돌기(62a)의 높이만큼 라이너(87)의 높이보다 낮게 유동베이스(83)에 직립된 상태에서 볼록돌기(62a)가 핀(84)에 맞닿을 때 그 사이에 이물질에 의해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금형(62)의 볼록돌기(62a)에 의한 보도블록(90)의 오목배수홈(98)을 더욱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보도블록(9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에 정위치될 경우 건식유압수단(11)의 상승[하부금형(80)에 건식모르타르(91)를 채울 만큼 건식유압수단(11)의 상승, 즉 하부판(85)을 라이너(87)의 대략 절반 높이만큼 상승 => 이때 건식유압수단(11)에 장착된 상승봉(12)이 유동베이스(83)의 내부쓰루홀(83a)을 통과하면서 하부판(85)을 상승(그리고 보강판(86)이 존재할 경우 상승봉(12)이 보강판(86)의 통과쓰루홀(86b)까지 통과하면서 하부판(85)을 상승)]과 함께 건식모르타르공급기(13)를 통해 건식모르타르(91)를 정량 공급시킨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유압수단(11)을 하강시켜 정량 공급된 건식모르타르(91)와 함께 하부판(85)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턴테이블(T)이 건식다짐부(2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건식다짐부(2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건식다짐부(200)에 정위치될 경우 다짐유압수단(22)의 상승[건식다짐기(21)의 하강압력을 지지할 만큼 하부금형(80)과 더불어 유동베이스(83)를 지지하도록 상승]과 함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다짐기(21)의 하강을 통해 건식모르타르(91)를 다질 수 있도록 한 후[후술되는 습식모르타르(92)가 새어나갈 틈을 막아주도록 다짐한 후] 다짐유압수단(22)의 하강으로 턴테이블(T)이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정위치될 경우 습식모르타르공급기(30)를 통해 하부금형(80)의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습식모르타르(92)를 공급한다. 이때, 습식모르타르(92)는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로서 One Tone Color를 표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습식평탄화부(4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습식평탄화부(400)에 정위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습식평탄화부(400)에 정위치될 경우, 습식평탄화부(400)는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의해 채워진 습식모르타르(92) 속으로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침투하면서 진동시켜 평탄화시킨 후 상승하여, 건식다짐부(200)에 의해 다져진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습식모르타르(92) 내의 기포를 없앰과 동시에 진동에 의한 후술되는 액상안료(93)의 부분 퍼짐을 보장하여 Two Tone Color로서 기존의 밋밋함을 넘는 색감을 통한 화려함을 연출케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습식평탄화부(400)는 어퍼바디(B1)로부터 평행하게 펼쳐진 연장바(41)들과, 연장바(41)들에 장착되어 승강되는 수직실린더뭉치(42)와, 하부금형(80)이 건식다짐부(200)를 경유한 후 정위치될 경우 수직실린더뭉치(42)에 의해 하강 후 상승되는 어퍼브래킷(43a)과, 어퍼브래킷(43a)에 이격 고정되는 언더브래킷(43b)과, 언더브래킷(43b) 위에 장착되어 진동을 주는 진동모터(44)와, 언더브래킷(43b) 아래에 돌출되어 진동모터(44)의 진동을 습식모르타르(92) 속으로 전달하면서 평탄화시키는 임펠러(45)를 포함한다.
수직실린더뭉치(42)에 의해 임펠러(45)를 습식모르타르(92) 속으로 하강 침투 및 상승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어퍼브래킷(43a) 및 언더브래킷(43b) 사이에 진동모터(44)를 개재시켜 임펠러(45)에 의한 습식모르타르(92)의 평탄화시 튀어 오르는 반죽 덩어리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어퍼브래킷(43a) 및 언더브래킷(43b)은 진동스프링뭉치(46)에 의해 상호 이격 고정되어, 진동모터(44)의 진동시 진동스프링뭉치(46)에 의해 언더브래킷(43b)을 효과적으로 진동시켜 결국 임펠러(45)에 의한 진동을 온전히 습식모르타르(92) 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진동스프링뭉치(46)는 어퍼브래킷(43a)의 코너에 각각 고정되어 언더브래킷(43b)을 향한 지지홀(46c)을 지닌 지지턱(46b)이 마련된 진동지지대(46a)들과, 언더브래킷(43b)의 코너에 각각 고정되어 지지홀(46c)을 경유하여 어퍼브래킷(43a)을 향하는 축턱(46e)을 지닌 진동축(46d)들과, 지지턱(46b) 및 축턱(46e) 사이의 진동축(46d)들에 각각 끼워진 진동스프링(46f)들을 포함한다.
진동모터(44)의 하강진동시 언더브래킷(43b)의 하강진동과 더불어 축턱(46e)이 진동스프링(46f)을 압축시키면서 지지홀(46c)에 끼워진 진동축(46d)을 하강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진동모터(44)의 상승진동시 언더브래킷(43b)의 상승진동과 더불어 진동스프링(46f)의 탄성신장으로 축턱(46e)과 더불어 진동축(46d)을 상승진동케 하는 반복동작을 통해서 임펠러(45)의 진동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임펠러(45)는 언더브래킷(43b)의 하면에 고정되어 습식모르타르(92)를 향하여 직립된 수직봉(45a)들과, 수직봉(45a)들의 하단에 가로질러 고정된 수평봉(45b)들로 이루어진다.
습식모르타르(92)를 향한 수직봉(45a)들과 이들 수직봉(45a)들의 하단에 가로지른 수평봉(45b)들의 구조에 의해 하부금형(80)의 핀(84)들 사이로 임펠러(45)가 용이하게 침투되면서 진동을 주어 습식모르타르(92)의 평탄화를 신속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습식평탄화부(400)는 연장바(41)들 사이에 놓여진 레일(47a)들과, 수직실린더뭉치(42)의 양단에 장착되어 레일(47a)들을 따라 롤링되는 진동롤러(47b)들과, 연장바(41)들에 고정되어 수직실린더뭉치(42), 어퍼브래킷(43a) 및 언더브래킷(43b)을 함께 전후진 롤링시키는 수평실린더(48)를 더 포함한다.
진동모터(44)는 진동스프링뭉치(46)에 의해 임펠러(45)를 습식모르타르(92) 속으로 승강진동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연장바(41)들에 고정된 수평실린더(48)의 전후진으로 레일(47a)들을 따라 진동롤러(47b)들이 롤링되면서 수직실린더뭉치(42), 어퍼브래킷(43a) 및 언더브래킷(43b)을 함께 전후진시켜 임펠러(45)의 전후진동작까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습식모르타르(92)의 평탄화를 더욱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습식평탄화부(400)는 액상안료(93)를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낙하시키는 노즐(49)을 더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One Tone Color의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의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액상안료(93)가 낙하되면서 습식평탄화부(400)의 진동과 더불어 액상안료(93)의 부분 퍼짐을 보장하여 습식모르타르(92)의 전체적인 One Tone Color 위에 국부적으로 퍼진 Two Tone Color를 연출하여 보도블록(90)의 화려함을 보장케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분체도료낙하부(5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분체도료낙하부(5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도 9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분체도료낙하부(500)에 정위치될 경우,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추가 채워진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분체도료(94)를 낙하시켜, 전체적으로 One Tone Color의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의 습식모르타르(92)와 더불어 예를 들어 습식평탄화부(400)에서의 액상안료(93)에 의한 Two Tone Color의 표면에 추가의 분체도료(94)의 화려함을 연출하여 외관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수분이 없는 모르타르에 안료를 혼합한 구성으로 된 분체도료 또는 시멘트가루로 된 분체도료 또는 시멘트가루 및 무기질안료가루의 혼합으로 된 분체도료[94; 특히 시멘트가루로 된 분체도료나 시멘트가루 및 무기질안료가루의 호합으로 된 분체도료일 경우 습식모르타르(32)의 표면에 견고하게 달라붙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반면 상부금형(62)에 달라붙지 않아 작업성을 보장함]를 통한 추가의 점박이 Color Tone으로 수놓을 수 있도록 하여 도시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분체도료낙하부(500)는 턴테이블(T)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의해 정위치되는 하부금형(80)을 향한 낙하홀(50a)을 지닌 하우징(50)과, 하우징(50) 속에 마련되어 분체도료(94)를 내장한 호퍼(54)와,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54) 위에서 전진하여 낙하홀(50a)을 통해 하부금형(80)의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분체도료(94)를 낙하시킨 후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하는 낙하수단(55)과, 낙하수단(55)의 후진상태에서 호퍼(54) 속의 분체도료(94)를 탑재시키는 탑재수단(56)을 포함한다.
하우징(50)의 호퍼(54) 속에서 탑재수단(56)에 의한 분체도료(94)의 탑재 후 낙하홀(50a)을 경유하여 낙하수단(55)에 의한 분체도료(94)의 낙하로서 분체도료(94)의 비산을 철저히 방지(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분체도료(94)의 소실을 차단하여 생산성까지 보장케 한다.
이때, 탑재수단(56)은 호퍼(54)의 하부에 장착된 탑재모터(56a)와, 낙하수단(55)의 후진상태에서 탑재모터(56a)에 연동되어 분체도료(94)를 불어 올려 낙하수단(55)에 탑재시킨 후 멈추는 회전팬(56b)을 포함한다.
탑재모터(56a)에 연동되는 회전팬(56b)을 통한 분체도료(94)의 분출로서 호퍼(54) 속으로 비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한 분체도료(94)의 낙하를 가능케 하여 회전팬(56b)에 의해 지속적으로 건조된 분체도료(94)를 유지케 하여 수분에 의해 떡이 되는 현상으로 말미암아 색감을 상실하거나 습식모르타르(92)의 표면으로의 떡이 되는 상태로 낙하되어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낙하수단(55)은 호퍼(54) 위의 하우징(50)에 장착된 횡방향프레임(55a)들과, 횡방향프레임(55a)들에 고정된 슬라이딩롤러(55b)들과, 슬라이딩롤러(55b)들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는 종방향파이프(55c)들과, 하우징(50)에 장착되어 종방향파이프(55c)들을 통합바(55d)로서 함께 전후진시키는 사이드실린더(55e)들과, 종방향파이프(55c)들 속에 각각 끼워져 후방회전수단(55f)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샤프트(55i)들과, 샤프트(55i)들에 장착되어 사이드실린더(55e)에 의한 종방향파이프(55c)들의 후진시 함께 후진됨과 동시에 후방회전수단(55f)에 의한 정회전 상태에서 회전팬(56b)의 회전에 따라 분체도료(94)를 탑재시킨 후 사이드실린더(55e)에 의한 종방향파이프(55c)들의 전진시 함께 전진됨과 동시에 후방회전수단(55f)에 의한 역회전 상태에서 하부금형(80)의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분체도료(94)를 낙하시키는 전방낙하모듈(55j)을 포함한다.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분체도료낙하부(500)에 도착하기 전일 경우, 사이드실린더(55e)들이 후진하면서 통합바(55d)에 일체화된 종방향파이프(55c)들이 샤프트(55i)들 및 전방낙하모듈(55j)을 다같이 후진시킴과 동시에 후방회전수단(55f)의 정회전으로 전방낙하모듈(55j)이 분체도료(94)를 탑재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탑재수단(56)이 동작되어, 즉 탑재모터(56a)에 연동되는 회전팬(56b)에 의한 분체도료(94)의 상승으로 전방낙하모듈(55j)에 탑재시킨 후,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분체도료낙하부(500)에 정위치될 경우, 사이드실린더(55e)들이 전진하면서 통합바(55d)에 일체화된 종방향파이프(55c)들이 샤프트(55i)들 및 전방낙하모듈(55j)을 일거에 전진시킴과 동시에 후방회전수단(55f)의 역회전으로 전방낙하모듈(55j)이 분체도료(94)를 낙하홀(50a)을 경유하여 습식모르타르(92)의 표면에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서의 One Tone Color, 그리고 습식평탄화부(400)에서의 액상안료(93)에 의한 Two Tone Color, 나아가 분체도료낙하부(500)에 의한 추가의 Color Tone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후방회전수단(55f)은 통합바(55d)에 장착되어 전후진운동되는 후방실린더(55g)와, 후방실린더(55g)의 전후진운동을 샤프트(55i)들의 정역회전으로 변환시키는 변환기어(55h)를 포함한다.
전방낙하모듈(55j)은 정회전시 분체도료(94)의 탑재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전방낙하모듈(55j)의 역회전시 분체도료(94)의 낙하를 가능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통합바(55d)에 장착된 후방실린더(55g)의 전후진운동을 변환기어(55h)로 샤프트(55i)들의 정역회전으로 변환토록 하여 간단하면서도 정밀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전방낙하모듈(55j)은 샤프트(55i)들의 정역회전을 전달하는 전방기어박스(55k)와, 전방기어박스(55k)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는 전방낙하봉(55m)들과, 전방낙하봉(55m)들에 장착되어 회전팬(56b)의 회전에 따른 분체도료(94)를 탑재시킨 후 하부금형(80)의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낙하시키는 트레이(55n)들을 포함한다.
샤프트(55i)들의 정역회전을 전방기어박스(55k)를 통해 전방낙하봉(55m)들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전방낙하봉(55m)들에 장착된 트레이(55n)들이 함께 정역회전되면서 분체도료(94)의 탑재 및 낙하를 가능케 하여 간단 구조에 의한 수명 보장과 더불어 분체도료(94)의 정밀한 낙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분체도료낙하부(500)는 사이드실린더(55e)들에 의해 전방낙하모듈(55j)이 후진될 경우 호퍼(54)를 폐쇄시키는 반면 사이드실린더(55e)에 의해 전방낙하모듈(55j)이 전진될 경우 호퍼(54)를 오픈시키는 도어(57)와, 하우징(50)에 장착되어 도어(57)를 온오프시키는 여닫이실린더(58)를 포함하여, 분체도료(94)의 낙하시 호퍼(54)를 개방시키고 분체도료(94)의 탑재시 호퍼(54)를 폐쇄시켜 분체도료(94)의 소실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분체도료낙하부(500)는 색상을 달리하는 분체도료(94)를 하부금형(80)의 습식모르타르(92) 표면에 순차 낙하시키는 선분체도료낙하부(500a) 및 후분체도료낙하부(500b)로 나누어, 습식모르타르(92)에 의한 전체적인 One Tone Color, 액상안료(93)에 의한 Two Tone Color, 선분체도료낙하부(500a)에 의한 분체도료(94)의 Three Tone Color 및 후분체도료낙하부(500b)에 의한 분체도료(94)의 Four Tone Color를 연출하여, 더욱 다양한 색감을 지닌 보도블록(90)을 완성케 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될 경우, 언더바디(B2)에 마련된 압착유압수단(61)이 하부금형(80)을 밀어 올려 어퍼바디(B1)에 마련된 상부금형(62)에 라이너(87)가 맞닿도록 하면서 유동베이스(83)의 내부쓰루홀(83a)을 통과하여 보강판(86) 및 하부판(85)을 일거에 밀어 올려 습식모르타르(92)의 표면이 상부금형(62)에 밀착되도록 압착시켜 습식모르타르(92)의 수분으로 하여금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가 서로 견고하게 압착된 보도블록(90)을 마련한 다음 압착유압수단(61)의 하강으로 보도블록(90)을 완성한 하부금형(80)이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압착유압수단(61)은 압착유압실린더(61a)에 의해 승강되는 압착유압피스톤(61b)에 고정된 하부압착판(61c)과, 하부압착판(61c)에 직립되어 보강판(86) 및 하부판(85)을 승강시키는 압착뭉치(61e)와, 하부압착판(61c)의 코너에 각각 뚫려진 압착홀(61d)들과, 하부금형(80)을 탄성적으로 승강시키는 상부압착판(61f)과, 상부압착판(61f)의 코너에 각각 고정되면서 압착홀(61d)들을 하향 통과하여 압착끝턱(61h)을 지닌 압착봉(61g)들과, 하부압착판(61c) 및 상부압착판(61f) 사이의 압착봉(61g)들에 각각 끼워진 탄성스프링(61i)들을 포함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될 경우 언더바디(B2)에 마련된 압착유압수단(61)의 압착유압실린더(61a)에 의해 압착유압피스톤(61b)이 상승하면서 하부압착판(61c)과 더불어 상부압착판(61f)을 함께 상승시켜 유동베이스(83)를 밀어 올려 하부금형(80)의 라이너(87)가 상부금형(62)에 맞닿도록 함과 동시에[이때 라이너(87)가 상부금형(62)에 맞닿을 경우 상부압착판(61f)은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유압피스톤(61b)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탄성스프링(61i)이 압착봉(61g)을 따라 수축되면서 하부압착판(61c)을 상승시켜 압착뭉치(61e)로 하여금 유동베이스(83)의 내부쓰루홀(83a)을 지나 보강판(86) 및 하부판(85)을 더 밀어 올려 습식모르타르(92)의 표면이 상부금형(62)에 밀착되도록 압착시켜 습식모르타르(92)의 수분이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가 서로 견고하게 압착된 보도블록(90)을 마련[이때, 핀(84)은 상부금형(62)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 보도블록(90) 내부에 수직배수홀(97)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핀(84) 위에 돌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끼일 경우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형단턱(82d)이 신장스프링(82e)을 수축시키면서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핀(84)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앰과 동시에 수직배수홀(97)의 완벽한 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한 후, 압착유압실린더(61a)에 의한 압착유압피스톤(61b)의 하강으로 보도블록(90)이 마련된 하부금형(80)이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의해 습식모르타르(92)의 수분이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가 서로 견고하게 압착되면서 수직배수홀(97)을 지닌 보도블록(90)을 마련한 후, 압착유압수단(61)의 하강으로 하부금형(80)을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62)에 하부금형(80)의 핀(84)을 향한 볼록돌기(62a)를 마련하는 한편 핀(84)을 볼록돌기(62a)의 높이만큼 라이너(87)의 높이보다 낮게 유동베이스(83)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록돌기(62a)가 핀(84)에 맞닿을 때 그 사이에 이물질에 의해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상부금형(62)의 볼록돌기(62a)에 의한 보도블록(90)의 오목배수홈(98)을 완벽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정위치될 경우 탈형유압수단(70)의 상승과 함께 보도블록(90)이 상승되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71)로 보도블록(90)을 파지 및 탈형시켜 이후 건조 및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견고하게 강화된 보도블록(90)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도나 공원 또는 도로가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B1 : 어퍼바디 B2 : 언더바디
M : 센터모터 100 : 건식모르타르공급부
11 : 건식유압수단 12 : 상승봉
13 : 건식모르타르공급기 200 : 건식다짐부
21 : 건식다짐기 22 : 다짐유압수단
300 : 습식모르타르공급부 30 : 습식모르타르공급기
400 : 습식평탄화부 41 : 연장바
42 : 수직실린더뭉치 43a : 어퍼브래킷
43b : 언더브래킷 44 : 진동모터
45 : 임펠러 45a : 수직봉
45b : 수평봉 46 : 진동스프링뭉치
46a : 진동지지대 46b : 지지턱
46c : 지지홀 46d : 진동축
46e : 축턱 46f : 진동스프링
47a : 레일 47b : 진동롤러
48 : 수평실린더 49 : 노즐
500 : 분체도료낙하부 500a : 선분체도료낙하부
500b : 후분체도료낙하부 50 : 하우징
50a : 낙하홀 54 : 호퍼
55 : 낙하수단 55a : 횡방향프레임
55b : 슬라이딩롤러 55c : 종방향파이프
55d : 통합바 55e : 사이드실린더
55f : 후방회전수단 55g : 후방실린더
55h : 변환기어 55i : 샤프트
55j : 전방낙하모듈 55k : 전방기어박스
55m : 전방낙하봉 55n : 트레이
56 : 탑재수단 56a : 탑재모터
56b : 회전팬 57 : 도어
58 : 여닫이실린더 600 : 모르타르압착부
61 : 압착유압수단 61a : 압착유압실린더
61b : 압착유압피스톤 61c : 하부압착판
61d : 압착홀 61e : 압착뭉치
61f : 상부압착판 61g : 압착봉
61h : 압착끝턱 61i : 탄성스프링
62 : 상부금형 62a : 볼록돌기
700 : 보도블록탈형부 70 : 탈형유압수단
71 : 클램프 80 : 하부금형
81 : 하부형틀 81a : 하부개방부
82 : 이격수단 82a : 나사홈
82b : 광홀 82c : 협홀
82d : 도넛형단턱 82e : 신장스프링
82f : 이격볼트 83 : 유동베이스
83a : 내부쓰루홀 83c : 고정홈
83d : 나사홀 84 : 핀
85 : 하부판 85a : 하부핀홀
86 : 보강판 86a : 보강핀홀
86b : 통과쓰루홀 87 : 라이너
T : 턴테이블 T1 : 금형홀
90 : 보도블록 90a : 탑면
90b : 저면 90c : 사이드면
91 : 건식모르타르 92 : 습식모르타르
93 : 액상안료 94 : 분체도료
95 : 수직하프배수홀 96 : 합형배수홀
97 : 수직배수홀 98 : 오목배수홈
99 : 탑배수로

Claims (10)

  1. 삭제
  2. 하부개방부를 지니면서 보도블록의 사이드면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형틀과, 상기 하부형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수단에 의해 이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쓰루홀을 지니면서 상기 하부개방부를 커버링하는 유동베이스와, 상기 유동베이스에 직립된 핀들과, 상기 하부형틀 속의 상기 유동베이스에 안착되며 상기 핀들이 통과되는 하부핀홀들을 지니면서 상기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하부형틀의 하단에 뚫려진 나사홈과,
    상기 유동베이스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나사홈을 향하여 순차 뚫려진 광홀 및 협홀에 의해 마련된 도넛형단턱과,
    상기 도넛형단턱에 지지되도록 상기 광홀에 끼워진 신장스프링과,
    상기 신장스프링을 상기 도넛형단턱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협홀을 경유하여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는 이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베이스 및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핀들이 통과되는 보강핀홀들을 지닌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유동베이스에 뚫려진 나사홀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형틀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상기 하부형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형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들은 상기 유동베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라이너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유동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62279A 2018-12-14 2018-12-14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79A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8-12-14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79A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8-12-14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155B1 true KR101978155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279A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8-12-14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5366A (zh) * 2020-01-07 2020-04-24 苏州嘉盛万城建筑工业有限公司 一种pc流水线模台防冲出产线末端的安全防护装置
WO2022055177A1 (ko) * 2020-09-08 2022-03-17 백원옥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10-06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451260B1 (ko)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850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진산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KR20110091299A (ko) * 2010-02-05 2011-08-11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10163B1 (ko) 2010-03-12 2012-01-31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20120067908A (ko)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850A (ko) * 2009-06-10 2010-12-20 주식회사 진산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KR20110091299A (ko) * 2010-02-05 2011-08-11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10163B1 (ko) 2010-03-12 2012-01-31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20120067908A (ko)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5366A (zh) * 2020-01-07 2020-04-24 苏州嘉盛万城建筑工业有限公司 一种pc流水线模台防冲出产线末端的安全防护装置
CN111055366B (zh) * 2020-01-07 2021-08-10 苏州嘉盛万城建筑工业有限公司 一种pc流水线模台防冲出产线末端的安全防护装置
WO2022055177A1 (ko) * 2020-09-08 2022-03-17 백원옥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10-06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451260B1 (ko)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238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US7819607B2 (en) Paving block and molding process therefor
EP0479512B1 (en)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shaped article
KR101939101B1 (ko)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US6616874B1 (en) Method for forming a reflective concrete block
KR101299662B1 (ko) 인조석 제조방법
US5248466A (en) Method for making cast stone
KR101308503B1 (ko) 인조석 제조장치
KR101826607B1 (ko) 3단블록 성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단블록
KR101302069B1 (ko) 벽돌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벽돌 제조설비
CN105437355B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方法及其干湿成型装置
US7204470B2 (en) Textured masonry block mold & method
CN205364147U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装置
EP0889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CN102216043A (zh) 块体模具及方法
CN2685049Y (zh) 一种振压成型机二次布料装置
US20090255211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concrete block
JP6316661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JPH03292104A (ja) 縁石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縁石ブロック製造用の型枠
KR102080075B1 (ko) 도로용 경계석 및 이의 성형장치
KR102267290B1 (ko)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CN210190092U (zh) 一种草地砖无吊槽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