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01B1 -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01B1
KR101939101B1 KR1020180094121A KR20180094121A KR101939101B1 KR 101939101 B1 KR101939101 B1 KR 101939101B1 KR 1020180094121 A KR1020180094121 A KR 1020180094121A KR 20180094121 A KR20180094121 A KR 20180094121A KR 101939101 B1 KR101939101 B1 KR 10193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mortar
mold
lower mold
morta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재근
Original Assignee
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재근 filed Critical 태재근
Priority to KR102018009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on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centrifugal or rotation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forcing cores into filled mould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2Devices for treating, e.g. sa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4Slags from the production of specific metals other than iron or of specific alloys, e.g. ferrochrome 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되고 외측둘레에 집수로홈을 갖는 회전공정테이블과 이 회전공정테이블의 공정부 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봉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가 보강판을 갖는 하부판에 설치되고, 지지봉들의 상부가 관통되게 하부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을 구비한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하부에 제1,2유압승강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건식몰탈,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과, 발열부재를 갖는 가압다짐수단과, 몰탈표면고름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하부금형에 이형재분사노즐, 에어브러쉬, 솔브러쉬와, 에어분사노즐부와 열봉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판으로 건식몰탈층을 형성하고 난 다음에 가압다짐수단으로 건식몰탈층에서 1차적으로 수분을 탈수하고, 탈수된 건식몰탈층의 상부에 컬러습식몰탈층을 형성한 다음에 몰탈표면고름수단으로 컬러습식몰탈층의 표면을 고르고, 컬러습식몰탈층의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건식몰탈층과 습식몰탈층을 구비한 하부금형을 고압으로 상승가압시켜 탈수화되어서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고 외측면 하부면에 다수개의 배수홈을 구비하여 배수효율이 우수한 컬러투수보도블럭으로 완성하도록한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및 컬러투수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A water permeability sidewalk-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drainage hole and a drainage groove and a plurality of colors}
.본 발명은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건식몰탈층과 컬러습식몰탈층을 구비한 하부금형을 고압으로 상승가압시켜 탈수화되어서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고 외측면 하부면에 다수개의 배수홈을 구비하여 배수효율이 우수한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제조하도록한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및 컬러투수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이란 지면에 평평한 형태로 모래를 깔고 그 위에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체인 몰탈로 성형과 양생과정을 거치며 제작되는 판형의 발판을 일정하게 깔아 보행자들의 보행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도블럭의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공정홀 내지 제6공정홀이 형성된 회전테이블로 구성된다. 이 회전테이블(미도시)은 모터(미도시)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테이블의 제1공정홀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금형(300)과, 상기 하부금형(300)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판(301)과, 상기 승강판(301)의 하부에 유압승강수단(302a)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301)의 상부에 받침대(바인더)(302)가 공급되고,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에 습식몰탈공급수단(302b)에서 습식몰탈이 공급투입되어 상기 하부금형(300)의 내부 및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면에 습식몰탈층(303)이 형성되고 난 다음에 상기 습식몰탈층(303)의 상부에 최종적으로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금형(300)의 상부와 마주하여 상부금형(50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금형(300)의 내부에서 상기 유압승강수단(302a)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승강판(301) 및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습식몰탈층(303)의 상부는 상기 상부금형(500)의 하부면과 맞닿아 상기 습식몰탈층(303)의 상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보도블럭(303a)으로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상기 보도블럭(303a)의 하부에는 받침대(바인더)(302)가 설치되어서 상기 하부금형(300)의 내부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유압승강수단(302a)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300)의 내부에서 상부로 상기 받침대(바인더)(302)를 구비한 상기 보도블럭(303a)이 배출되면, 그립이동수단(304)으로 상기 받침대(바인더)(302)를 하부에 구비한 상기 보도블럭(303a)을 양생실로 옮겨 별도 양생공정을 일정기간 거쳐 보도블럭을 최종적으로 완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도블럭(303a)을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에 구비하는 것은 상기 보도블럭(303a)이 습식몰탈로 형성되어 수분함량이 많아서, 상기 보도블럭(303a) 자체를 상기 그립이동수단(304)으로 그립하여 이동하려고 시도하면 상기 그립이동수단(304)의 그립하려는 순간 상기 그립이동수단(304)에 구비된 그립부(미도시)에의해 상기 보도블럭(303a)은 부서지게 되므로 상기 보도블럭(303a)자체로만 상기 그립이동수단(304)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보도블럭(303a)은 양생을 하기 위해서 양생공정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보도블럭(303a)의 하부면에 반드시 상기 받침대(바인더)(302)가 구비되어야 상기 그립이동수단(304)으로 이동시켜야하는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받침대(바인더)(302)를 하부에 구비한 상기 보도블럭(303a)은 그 자체에 습기를 많이 포함하여서, 이 습기를 건조시키는 별도 양생공정을 일정기간 거쳐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와 상기 보도블럭(303a)을 분리하며 상기 보도블럭(303a)의 하부에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와 함께 생산되므로 배수홀을 구비하여 배수효과가 우수한 투수보도블럭을 생산할수 없었다. 특히, 수분이 많으면 생산당시 상기 보도블럭(303a)이 부스러지는 현상때문에 보도블럭을 생산하는데 많은 시간과 대량의 보도블럭을 생산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도블럭(303a)이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보도블럭(303a)을 건조하여 양생시 건조된 상기 보도블럭(303a)의 하부면이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면에 붙어서 떨어지 않거나, 건조양생되어 상기 보도블럭(303a)의 하부가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면에 고착된 경우에서, 상기 보블럭(303a)을 상기 받침대(바인더)(302)의 상부면에서 강제분리시 상기 보도블럭(303a)의 하부가 파손되어 상기 보도블럭(303a)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불량품을 양산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 흡수표면층(401)을 형성한 보도블럭(400)과, 상기 보도블럭(400)의 하부에서 흡수표면층의 하부까지만 다수개의 배수홀(40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보도브럭(400)의 상기 흡수표면층(401)에 물이 흡수되어 상기 배수홀(402)로 공급하게 되는 구성이지만 우수가 많은 장마철에 우수가 상기 흡수표면층(401)에 제대로 흡수되지않아 상기 배수홀(402)로 우수가 배수되지 못하고, 장기간 상기 보도블럭(400)을 사용시 다양한 상부의 압력으로 상기 흡수표면층(401)이 장기간 가압되어져 상기 흡수표면층(401)이 부셔져 상기 배수홀(402)의 내부를 폐쇄시켜 물 또는 우수를 배수하는 배수홀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전되고 외측둘레에 집수로홈을 갖는 회전공정테이블과 이 회전공정테이블의 공정부 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봉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가 보강판을 갖는 하부판에 설치되고, 지지봉들의 상부가 관통되게 하부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을 구비한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하부에 제1,2유압승강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건식몰탈,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과, 발열부재를 갖는 가압다짐수단과, 몰탈표면고름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하부금형에 이형재분사노즐, 에어브러쉬, 솔브러쉬와, 에어분사노즐부와 열봉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판으로 건식몰탈층을 형성하고 난 다음에 가압다짐수단으로 건식몰탈층에서 1차적으로 수분을 탈수하고, 탈수된 건식몰탈층의 상부에 컬러습식몰탈층을 형성한 다음에 몰탈표면고름수단으로 컬러습식몰탈층의 표면을 고르고, 컬러습식몰탈층의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건식몰탈층과 습식몰탈층을 구비한 하부금형을 고압으로 상승가압시켜 탈수화되어서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고 외측면 하부면에 다수개의 배수홈을 구비하여 배수효율이 우수한 컬러투수보도블럭으로 완성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면에 다수의 컬러로 상부면에 디자인미감을 불어넣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저비용을 투입하여 상,하부금형으로 고압완전탈수화되어 내구성을 갖는컬러투수보도블럭을 바인더가 없이 양생시간을 단축하여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대량생산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공정테이블의 외측둘레에 집수로홈부를 형성하여 제1내지 제6공정부를 통해 제조되는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성형시 가해지는 가압 및 탈수로 인해 발생되는 건식몰탈 및 컬러습식몰탈이 갖는 물과 건식몰탈과 컬러습식몰탈의 구성인 모래, 자갈을 집수로홈부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탈수되는 물과 모래, 자갈로 인해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불량양산을 방지하며, 집수로홈부에 유도되는 물과 모래, 자갈을 수집하여 재활용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다짐수단에 발열부재를 설치하여 건식몰탈층을 가압다짐하여 건식몰탈층의 상부면에 컬러습식몰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건식몰탈층의 상부를 발열부재로 건조하여 컬러습식몰탈이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금형의 외측에 이형재분사노즐과, 에어브러쉬와, 솔브러쉬를 설치하고, 상부금형의 하부에 발열봉들을 구비하여 이 발열봉들의 열로 인해 하부금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의 상부표면이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묻는것을 방지하고, 이형재가 도포된 상부금형으로 고압으로 가압된 후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면이 상부금형에서 용이하게 탈부착되게 하고, 상부금형으로 고압으로 가압된후 컬러투수보도블럭에서 발생되는 몰탈조각 또는 먼지등을 에어브러쉬와 솔브러쉬로 제거하여 품질이 좋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양산하도록 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금형의 외측에 에어분사노즐부를 설치하여 하부금형에 형성된 칼라투수보도블력의 상부면을 제2유압승강수단을 통해 상부금형의 하부로 고압가압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의 표면에서 탈수되는 물을 에어분사노즐부에서 고압의 에어로 불어 외부로 배출시켜서,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의 표면에서 탈수되는 물이 다시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의 표면에 안착되어 발생되는 얼룩으로 인해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불량제품양산을 방지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몰탈층과 컬라습식몰탈층을 상,하금형으로 고압압축하여 습기를 탈수화하여 양생시간을 단축시킨 컬러투수보도블럭을 단기간에 완성하여 종래의 회전공정테이블에서 바인더와 함께 보도블록으로 완성되어 보도블록과 바인더가 함께 양생실에서 장기간 양생되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극복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금형의 하부판에 지지봉의 하부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이 지지봉의 하부에 스프링으로 구비된 완충부재로 설치하여 몰탈투입등으로 인해 지지봉에 부하가 걸리거나, 몰탈의 구성인 골재 또는 이물질로 인해 지지봉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금형의 하부판의 상부에 금속재로 형성된 보강판과 내측면에 금속재로 형성된 보강벽을 구비하여 몰탈의 투입시 건식 및 습식몰탈 등의 하중으로 인한 상,하부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상부 배수홈들과 컬러투수보도블럭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로 관통형성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배수공이 서로 연통형성되고, 특히 배수가 잘되게 형성된 구조인 상협하광의 배수공들과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측면배수홈들 및 상부배수홈들과 함께 배수효과를 용이하게 하도록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해수홈의 하부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배수공의 상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장마철의 많은 우수가 확장부를 통해 배수공으로 안정적으로 배수되도록 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에 발수제 또는 동슬래그(copeer slag)를 첨가하여 방수 및 강도를 강화시켜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높여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재시공을 연장하도록 한 새로운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투수보도블럭제조장치는; 상부면에 제1공정부(11), 제2공정부(12), 제3공정부(13), 제4공정부(14), 제5공정부(15), 제6공정부(16)가 순차적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모터(m)로 구동되어 순차적으로 회전되며, 외측둘레에는 집수로홈부(17)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내지 6공정부(11~16)에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성형시 발생되는 몰탈액과 칼라몰탈액 및 몰탈의 성분인 모래, 시멘트, 자갈을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집수로홈(17)으로 유도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회전공정테이블(10)과;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부판(22a)과 하부판(22b)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 보강판(22c)을 구비한 상기 하부판(22b)과, 다수개의 지지봉(21)이 상기 보강판(22c) 및 상기 상,하부판(22a,22b)을 관통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22b)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1)들의 하부에 스프링(s)으로 구비된 완충부재(s1)가 설치되고,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한 하부금형(20)과; 상기 하부금형(2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유압승강수단(30)과;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이 상승되어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건식몰탈층(a)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에 의해 상기 상,하부판(22a,22b) 및 보강판(22c)이 상기 건식몰탈층(a)과 함께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서 하강되게 구성된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상기 건식몰탈층(a)을 1차적으로 가압 및 다짐을 하고 발열부재(51)를 구비한 가압다짐수단(50)과; 상기 건식몰탈층(a)의 표면에 컬러습식몰탈층(b)을 형성시키는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상부면을 고르는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표면에 다수컬러 습식몰탈을 부분적으로 공급하여 부분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컬러 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하부에 구비된 제2유압승강수단(30a)으로 상기 하부금형(20)내의 상기 상,하부판(22b,22a) 및 상기 보강판(22c)을 상승시켜 상기 상,하부판(22b,22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표면을 고압가압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한 하부일측에 설치되고 이동수단(101)과 연결된 수평판(102a)의 좌측에 설치된 이형재분사노즐(102)과 그 우측에 에어브러쉬(103)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102a)의 중앙에 솔브러쉬(104)가 기립설치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열봉(105)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하여 거리를 두고설치된 상부금형(90)과; 상기 상부금형(90)의 외측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부(100)와; 상기 상부금형(90)으로 상기 하부금형에서 다수개의 배수공(111)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배수홈(112)을 갖는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이 완성되면 완성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상기 하부금형(20)에서 탈형이동시키는 탈형이동수단(110)으로 구성된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0)은 내부에 상부판(22a)과 하부판이 (22b)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 보강판(22c)을 구비한 상기 하부판(22b)에는 다수개의 지지봉(21)이 상기 보강판(22c) 및 상기 상,하부판(22a,22b)을 관통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22b)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1)들과, 상기 하부판(22b)의 양측에 스프링(s)으로 구비된 완충부재(s1)가 설치되고,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삽입홈(106)이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106)의 내측에 상기 열봉(105)의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하고, 상기 삽입홈(106)의 하부를 폐쇄하는 폐쇄부(10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회전되고 외측둘레에 집수로홈을 갖는 회전공정테이블과 이 회전공정테이블의 공정부 내부에 다수개의 지지봉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재가 보강판을 갖는 하부판에 설치되고, 지지봉들의 상부가 관통되게 하부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판을 구비한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하부에 제1,2유압승강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건식몰탈,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과, 발열부재를 갖는 가압다짐수단과, 몰탈표면고름수단을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하부금형에 이형재분사노즐, 에어브러쉬, 솔브러쉬와, 에어분사노즐부와 열봉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판으로 건식몰탈층을 형성하고 난 다음에 가압다짐수단으로 건식몰탈층에서 1차적으로 수분을 탈수하고, 탈수된 건식몰탈층의 상부에 컬러습식몰탈층을 형성한 다음에 몰탈표면고름수단으로 컬러습식몰탈층의 표면을 고르고, 컬러습식몰탈층의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건식몰탈층과 습식몰탈층을 구비한 하부금형을 고압으로 상승가압시켜 탈수화되어서 다수개의 배수공을 구비하고 외측면 하부면에 다수개의 배수홈을 구비하여 배수효율이 우수한 컬러투수보도블럭으로 완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면에 다수의 컬러로 상부면에 디자인미감을 불어넣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저비용을 투입하여 상,하부금형으로 고압완전탈수화되어 내구성을 갖는컬러투수보도블럭을 바인더가 없이 양생시간을 단축하여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대량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공정테이블의 외측둘레에 집수로홈부를 형성하여 제1내지 제6공정부를 통해 제조되는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성형시 가해지는 가압 및 탈수로 인해 발생되는 건식몰탈 및 컬러습식몰탈이 갖는 물과 건식몰탈과 컬러습식몰탈의 구성인 모래, 자갈을 집수로홈부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탈수되는 물과 모래, 자갈로 인해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불량양산을 방지하며, 집수로홈부에 유도되는 물과 모래, 자갈을 수집하여 재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다짐수단에 발열부재를 설치하여 건식몰탈층을 가압다짐하여 건식몰탈층의 상부면에 컬러습식몰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건식몰탈층의 상부를 발열부재로 건조하여 컬러습식몰탈이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금형의 외측에 이형재분사노즐과, 에어브러쉬와, 솔브러쉬를 설치하고, 상부금형의 하부에 열봉들을 구비하여 이 열봉들의 열로 인해 하부금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의 상부표면이 상부금형의 하부면에 묻는것을 방지하고, 이형재가 도포된 상부금형으로 고압으로 가압된 후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면이 상부금형에서 용이하게 탈부착되게 하고, 상부금형으로 고압으로 가압된후 컬러투수보도블럭에서 발생되는 몰탈조각 또는 먼지등을 에어브러쉬와 솔브러쉬로 제거하여 품질이 좋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양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금형의 외측에 에어분사노즐부를 설치하여 하부금형에 형성된 칼라투수보도블력의 상부면을 제2유압승강수단을 통해 상부금형의 하부로 고압가압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의 표면에서 탈수되는 물을 에어분사노즐부에서 고압의 에어로 불어 외부로 배출시켜서,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의 표면에서 탈수되는 물이 다시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의 표면에 안착되어 발생되는 얼룩으로 인해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불량제품양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몰탈층과 컬라습식몰탈층을 상,하금형으로 고압압축하여 습기를 탈수화하여 양생시간을 단축시킨 컬러투수보도블럭을 단기간에 완성하여 종래의 회전공정테이블에서 바인더와 함께 보도블록으로 완성되어 보도블록과 바인더가 함께 양생실에서 장기간 양생되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금형의 하부판에 지지봉의 하부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이 지지봉의 하부에 스프링으로 구비된 완충부재로 설치하여 몰탈투입등으로 인해 지지봉에 부하가 걸리거나, 몰탈의 구성인 골재 또는 이물질로 인해 지지봉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금형의 하부판의 상부에 금속재로 형성된 보강판과 내측면에 금속재로 형성된 보강벽을 구비하여 몰탈의 투입시 건식 및 습식몰탈 등의 하중으로 인한 상,하부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상,하부 배수홈들과 컬러투수보도블럭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로 관통형성되고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배수공이 서로 연통형성되고, 특히 배수가 잘되게 형성된 구조인 상협하광의 배수공들과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측면배수홈들 및 상,하부배수홈들과 함께 배수효과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상부배수홈의 하부와 상협하광으로 형성된 배수공의 상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장마철의 많은 우수가 확장부를 통해 배수공으로 안정적으로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에 발수제 또는 동슬래그(copeer slag)를 첨가하여 방수 및 강도를 강화시켜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높여 컬러투수보도블럭의 재시공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도블럭 제조공정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보도블럭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보도블럭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보도블럭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금형의 제1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금형의 제2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금형에 설치된 열봉, 이형재분사노즐, 에어브러쉬, 솔브러쉬를 나타낸 제1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금형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부를 나타낸 제2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봉이 설치된 상부금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광의 배수공을 갖는 투수보도블럭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보도블럭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보도블럭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금형의 제1실시예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금형의 제2실시예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금형에 설치된 열봉, 이형재분사노즐, 에어브러쉬, 솔브러쉬를 나타낸 제1실시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금형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부를 나타낸 제2실시예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봉이 설치된 상부금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탈형이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협하광의 배수공을 갖는 투수보도블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는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브럭제조장치는 회전테이블(10)과, 하부금형(20)과,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상부금형(90)과, 에어분사노즐부(100)와, 탈형이동수단(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테이블(10)은 상부면에 제1공정부(11), 제2공정부(12), 제3공정부(13), 제4공정부(14), 제5공정부(15), 제6공정부(16)가 순차적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공정테이블(1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그 하부에 모터(m)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공정테이블(10)이 상기 모터(m)로 순차적으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외측둘레에는 집수로홈부(17)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내지 6공정부(11~16)에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성형시 발생되는 몰탈액과 칼라몰탈액 및 몰탈의 성분인 모래, 시멘트, 자갈을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집수로홈(17)으로 유도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집수로홈부(17)는 제1 내지 제6공정부(11~16)를 통해 제조되는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성형시 가해지는 가압 및 탈수로 인해 발생되는 건식몰탈 및 컬러습식몰탈이 갖는 물과 건식몰탈과 컬러습식몰탈의 구성인 모래, 자갈을 집수로홈부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하여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으로 성형하기 위해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발생되는 물(탈수시 발생되는 물)과 모래, 자갈로 인해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불량양산을 방지하며, 상기 집수로홈부(17)에 유도되는 물과 모래, 자갈을 수집하여 재활용하여 자원의 재활용을 한다.
한편, 상기 제1공정부(11)에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제2유압승강수단(30a)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 다시, 상기 제2공정부(12)에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공정부(13)에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 다시, 상기 제4공정부(14)에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5공정부(15)에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난다음에 다시, 상기 제6공정부(16)에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과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가압다짐수단(50)과,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종래의 받침대(바인더)의 상부에 성형된 보도블럭을 양생공정에서 양생시간을 단축하여 양생시간을 단축하여 양산한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안정적으로 신속하고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금형(20)은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상부판(22a)과 하부판(22b)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0)은 상부에 보강판(22c)을 구비한 상기 하부판(22b)과, 다수개의 지지봉(21)이 상기 보강판(22c) 및 상기 상,하부판(22a,22b)을 관통기립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21)은 상부에서 하부로 점점내올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21)의 상부는 강성이 강한 강성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봉(21)은 상부에서 하부로 점점내올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에 상협하광의 배수공(111)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판(22b)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1)들의 하부에 스프링(s)으로 구비된 완충부재(s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s1)는 상기 하부판(22b)에 형성된 설치공(s2)과 상기 보강판(22c)의 하부에 형성되 설치홈(s3)에 설치된 설치부(s4)와, 상기 설치부(s4)의 내부 저면에 상기 지지봉(21)을 고정부재(s5)로 고정하고, 상기 지지봉(21)의 하부외측둘레에 와 상기 고정부재(s5)의 상부에 상기 스프링(s)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봉(21)의 하부에 상기 완층부재(s1)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와 상기 상부판(22a)의 상부에 건식 또는 컬러습식몰탈투입 등으로 인해 상기 지지봉(21)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상기 완충부재(s1)의 상기 스프링(s)으로 흡수하여 건식 또는 습식몰탈의 구성인 골재 또는 이물질로 인해 상기 지지봉(21)이 부러지거나, 상기 지지봉(2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0)의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벽(22d)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양내측에 형성된 결합부(22e)에서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보강벽(22d)이 손상이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기 하부판(22b)의 상부에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보강판(22c)과 상기 하부금형(20)의 양내측면에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보강벽(22d)을 구비하는 것은,
건식 또는 습식몰탈의 투입시 건식 및 습식몰탈 등의 하중 또는 유압승강수단의 가압으로 인한 상기 하부금형(20)의 상기 ,하부판(22b)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22c)과 상기 하부판(22b) 및 상기 상부판(22a)은 후술되는 제1유압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20)은 내부에 상부판(22a)과 하부판(22b)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에 보강판(22c)을 구비한 상기 하부판(22b)에는 다수개의 지지봉(21)이 상기 보강판(22c) 및 상기 상,하부판(22a,22b)을 관통기립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판(22b)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1)들과, 상기 하부판(22b)의 양측에 스프링(s)으로 구비된 완충부재(s1)가 설치되고,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s1)는 상기 하부판(22b)에 양측에 형성된 설치공(s2)과, 상기 설치공(s1)의 하부에 고정부(s2-1)로 하부가 고정되어 기립된 유동볼트(s2-2)와, 상기 유동볼트(s2-2)의 상부는 상기 하부판(22b)과 맞닿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측벽(22f)에 관통결합되고, 상기 고정부(s2-1)의 상부와 상기 유동볼트(s2-2)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s)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 양 상기 측벽(22f)의 하부와 상기 하부판(22b)의 양측에 복수개의 상기 완충부재(s1)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와 상기 상부판(22a)의 상부에 건식 또는 컬러습식몰탈투입 등으로 인해 상기 지지봉(21)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상기 완충부재(s1)의 상기 스프링(s)으로 흡수하여 건식 또는 습식몰탈의 구성인 골재 또는 이물질로 인해 상기 지지봉(21)이 부러지거나, 상기 지지봉(21)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0)의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벽(22d)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양내측에 형성된 결합부(22e)에서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되어서, 상기 보강벽(22d)이 손상이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의 상기 하부판(22b)의 상부에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보강판(22c)과 상기 하부금형(20)의 양내측면에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보강벽(22d)을 구비하는 것은,
건식 또는 습식몰탈의 투입시 건식 및 습식몰탈 등의 하중 또는 유압승강수단의 가압으로 인한 상기 하부금형(20)의 상기 하부판(22b)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22c)과 상기 하부판(22b) 및 상기 상부판(22a)은 후술되는 제1유압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은 상기 하부금형(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은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상부판(22a), 상기 하부판(22b), 상기 보강판(22c)을 상기 지지봉(21)들에 의지하여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은 후술되는 건식몰탈공급수단(40)에서 건식몰탈을 공급받기 위해서, 상기 상부판(22a), 상기 하부판(22b), 상기 보강판(22c)을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서 상부로 상승시켜 상기 상부판(22a)의 상부면에 건식몰탈을 공급받아 건식몰탈층(a)이 형성되면,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은 다시 상기 상부판(22a), 상기 하부판(22b), 상기 보강판(22c)을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서 하부로 하강시켜서,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에 컬러습식몰탈을 공급받을 준비를 한다.
상기 건식몰탈공급수단(40)은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이 상승되어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건식몰탈층(a)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에 의해 상기 상,하부판(22a,22b) 및 보강판(22c)이 상기 건식몰탈층(a)과 함께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서 하강되게 구성된다.
상기 건식몰탈공급수단(40)은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건식몰탈을 투입하여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건식몰탈층(a)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식몰탈은 모래, 석분, 시멘트, 물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다짐수단(50)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기 상부판(22a)에 형성된 상기 건식몰탈층(a)을 1차적으로 가압 및 다짐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다짐수단(50)에는 발열부재(5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압다짐수단(50)과, 상기 가압다짐수단(50)에 상기 발열부재(51)를 구비하는 것은,
상기 가압다짐수단(50)으로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면을 가압다짐하여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면에 작은 공간 및 틈을 갖지 않도록 단단하게 다져서,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면에 컬러습식몰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를 상기 발열부재(51)로 건조하여 컬러습식몰탈이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은상기 건식몰탈층(a)의 표면에 컬러습식몰탈층(b)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은 상기 건식몰탈층(a)의 표면에 컬러습식몰탈을 투입하여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면에 컬러습식몰탈층(b)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컬러습식몰탈은 다양한 컬러로 구성하여 이 컬러들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선택하여 상기 건식몰탈층(a)의 상부면에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러습식몰탈은 물, 규사분, 모래 도는 굵은규사, 색소, 시멘트, 발수재를 첨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다른 다양한 구성분을 투입하여 상기 컬러습식몰탈의 구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몰탈표면고름수단(70)은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상부면을 고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몰탈표면고름수단(70)은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고르도록 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몰탈표면고름수단(70)은 진동수단(미도시)이 더 구성하여 몰탈표면의 고름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80)은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표면에 다수컬러 습식몰탈을 부분적으로 공급하여 부분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컬러 습식몰탈공급수단(80)은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표면에 다수컬러 습식몰탈을 부분적으로 공급하여 부분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을 형성시키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컬러습식몰탈 대신 컬러종석(d)을 상기 컬러습식몰탈층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대신에 다양한 컬러의 컬러종석을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의 디자인미감을 부각시킬수 있다.
상기 상부금형(90)은 그 하부에 구비된 제2유압승강수단(30)으로 상기 하부금형(20)내의 상기 상,하부판(22b,22a) 및 상기 보강판(22c)을 상승시켜 상기 상,하부판(22b,22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표면을 고압가압하여 탈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90)은 상기 하부금형(20)과 마주하여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으로 상기 하부금형(20)내의 상기 상,하부판(22a,22b) 및 상기 보강판(22c)을 상승시켜 상기 상,하부판(22a,22b) 및 상기 보강판(2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표면을 고압가압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하여 거리를 두고설치된 상부금형(9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금형(90)으로 고압가압하여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으로 구성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은 내구성을 갖아서 기존의 보도블럭을 양산시 반드시 필요한 받침대(바인더)를 제거하여 상기 탈형이동수단(90)으로 고압탈수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금형(20)의 내의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으로 고압압착 탈수된 컬러투수보도블록(120)에는 상기 지지봉(21)들로 인해 배수공(111)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 상기 상,하부판(22a,22b)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표면을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면과 압착되록 상기 상,하부판(22a,22b)의 하부를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으로 고압으로 가압하여서,
상기 습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이 서로 압착되면서,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에서 물이 빠져 나와서(물이 탈수되어서), 물이 제거되어 탈수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은 그 자체에 내구성을 갖아서, 보도블럭의 형태를 유지하여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으로 바로 양산하도록 하여 기존의 받침대(바인더)의 상부에 성형된 보도블럭을 별도 양생공정에서 양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보도블럭을 완성하는 불편한점을 극복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산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은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배수공(111)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수공(111)은 상기 지지봉(21)들에 의해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상부에 우수 또는 물이 공급시 상기 배수공(111)들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하부면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외측둘레와 상,하부면에 상,하부배수홈(112a.112a-1)과, 측면배수홈(112b)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배수홈(112a.112a-1)과, 측면배수홈(112b)들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록(120)의 측면 및 상,하부면에 공급되는 대량의 우수 및 물을 지면으로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은 상기 배수공(111)들과 상기 상,하부배수홈(112a.112a-1) 및 상기 측면배수홈(112b)들을 구비하여 보도블럭으로 사용시 우천시에 발생되는 물을 상기 배수공(111)들과 상기 상,하부배수홈(112a.112a-1) 및 상기 측면배수홈(112b)들로 지면에서 발생되는 장마철의 대량의 우수 또는 대량의 물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지면으로 배출하여 장마철의 대량의 우수 또는 대량의 물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지면으로 배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한 하부일측에 설치되고 이동수단(101)과 연결된 수평판(102a)의 좌측에 설치된 이형재분사노즐(102)과 그 우측에 에어브러쉬(10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102a)의 중앙에 솔브러쉬(104)가 기립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에 다수개의 열봉(105)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하여 거리를 두고설치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삽입홈(10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홈(106)의 내측에 상기 열봉(105)의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06)의 하부를 폐쇄하는 폐쇄부(107)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90)의 외측에 상기 이형재분사노즐(102)과, 상기 에어브러쉬(103)와, 상기 솔브러쉬(104)를 구비하는 것은,
상기 이형재분사노즐(102)로 인해 이형재가 도포된 상기 상부금형(90)으로 상기 하부금형(20)을 고압으로 가압된 후 상기 하부금형(20)의 내의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금형(90)에서 용이하게 탈부착되게 하고, 상기 상부금형(90)으로 고압으로 가압된후 성형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02)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몰탈조각 또는 먼지등을 상기 에어브러쉬(103)와 상기 솔브러쉬(104)로 제거하여 품질이 좋은 컬러투수보도블럭을 양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에 상기 열봉들을 구비하여 이 열봉들의 열로 인해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상부표면이 신속하게 건조되어 건조된 상기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상부면이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면에 묻는것을 방지하여 상기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을 갖는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불량품양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분사노즐부(100)는 상기 상부금형(90)의 외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90)의 외측에 상기 에어분사노즐부(10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칼라투수보도블럭(120)의 상부면을 상기 제2유압승강수단(30a)을 통해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면에 고압가압시,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상기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c)의 표면에서 탈수되는 물을 상기 에어분사노즐부(100)에서 고압의 에어로 불어 외부로 배출시켜서,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c)의 표면에서 탈수되는 물이 다시 다수의 칼라습식몰탈층(c)의 표면에 안착되어 발생되는 얼룩으로 인해 상기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의 불량제품양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탈형이동수단(110)은 상기 상부금형(90)으로 상기 하부금형에서 다수개의 배수공(111)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배수홈(112)을 갖는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이 완성되면 완성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상기 하부금형(20)에서 탈형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회전테이블 11: 제1공정부
12: 제2공정부 13: 제3공정부
14: 제4공정부 15: 제5공정부
16: 제6공정부 17: 집수로홈
20: 하부금형 21: 지지봉
22a: 상부판 22b: 하부판
22c: 보강판 22d: 보강벽
30: 제1유압승강수단 30a: 제2유압승강수단
40: 건식몰탈공급수단 50: 가압다짐수단
51: 발열부재 60: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
70: 몰탈표면고름수단 80: 다수의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
90: 상부금형 100: 에어분사노즐부
101: 이동수단 102a: 수평판
103: 에어브러쉬 104: 솔브러쉬
105: 열봉 106: 삽입홈
107: 폐쇄부 110: 탈형이동수단
120: 칼러투수보도브럭 a: 건식몰탈층
b: 컬러습식몰탈층 c: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
s: 스프링 s1: 완충부재

Claims (5)

  1. 상부면에 제1공정부(11), 제2공정부(12), 제3공정부(13), 제4공정부(14), 제5공정부(15), 제6공정부(16)가 순차적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모터(m)로 구동되어 순차적으로 회전되며, 외측둘레에는 집수로홈부(17)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내지 6공정부(11~16)에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성형시 발생되는 몰탈액과 칼라몰탈액 및 몰탈의 성분인 모래, 시멘트, 자갈을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집수로홈(17)으로 유도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회전공정테이블(10)과;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부판(22a)과 하부판(22b)이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 보강판(22c)을 구비한 상기 하부판(22b)과, 다수개의 지지봉(21)이 상기 보강판(22c) 및 상기 상,하부판(22a,22b)을 관통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22b)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1)들의 하부에 스프링(s)으로 구비된 완충부재(s1)가 설치되고,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한 하부금형(20)과; 상기 하부금형(2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유압승강수단(30)과;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이 상승되어 상기 제1공정부(11)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 건식몰탈층(a)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유압승강수단(30)에 의해 상기 상,하부판(22a,22b) 및 보강판(22c)이 상기 건식몰탈층(a)과 함께 상기 하부금형(20)의 내부에서 하강되게 구성된 건식몰탈공급수단(40)과; 상기 건식몰탈층(a)을 1차적으로 가압 및 다짐을 하고 발열부재(51)를 구비한 가압다짐수단(50)과; 상기 건식몰탈층(a)의 표면에 컬러습식몰탈층(b)을 형성시키는 컬러습식몰탈공급수단(60)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상부면을 고르는 몰탈표면고름수단(70)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의 표면에 다수컬러 습식몰탈을 부분적으로 공급하여 부분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을 형성시키는 다수의 컬러 습식몰탈공급수단(80)과: 하부에 구비된 제2유압승강수단(30a)으로 상기 하부금형(20)내의 상기 상,하부판(22b,22a) 및 상기 보강판(22c)을 상승시켜 상기 상,하부판(22b,22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건식몰탈층(a)과, 상기 컬러습식몰탈층(b)과, 다수의 컬러습식몰탈층(c)의 표면을 고압가압하여 탈수시키고,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한 하부일측에 설치되고 이동수단(101)과 연결된 수평판(102a)의 좌측에 설치된 이형재분사노즐(102)과 그 우측에 에어브러쉬(103)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판(102a)의 중앙에 솔브러쉬(104)가 기립설치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열봉(105)을 구비하여서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와 마주하여 거리를 두고설치된 상부금형(90)과; 상기 상부금형(90)의 외측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부(100)와; 상기 상부금형(90)으로 상기 하부금형에서 다수개의 배수공(111)이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되고 외측둘레에 배수홈(112)을 갖는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이 완성되면 완성된 컬러투수보도블럭(120)을 상기 하부금형(20)에서 탈형이동시키는 탈형이동수단(110)으로 구성된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0)은 내부에 상부판(22a)과 하부판이 (22b)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 보강판(22c)을 구비한 상기 하부판(22b)에는 다수개의 지지봉(21)이 상기 보강판(22c) 및 상기 상,하부판(22a,22b)을 관통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판(22b)에 삽입된 상기 지지봉(21)들과, 상기 하부판(22b)의 양측에 스프링(s)으로 구비된 완충부재(s1)가 설치되고, 양내측에 보강벽(22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9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삽입홈(106)이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106)의 내측에 상기 열봉(105)의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하고, 상기 삽입홈(106)의 하부를 폐쇄하는 폐쇄부(10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4121A 2018-08-13 2018-08-13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193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21A KR101939101B1 (ko) 2018-08-13 2018-08-13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21A KR101939101B1 (ko) 2018-08-13 2018-08-13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101B1 true KR101939101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121A KR101939101B1 (ko) 2018-08-13 2018-08-13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044A (zh) * 2019-03-22 2019-05-28 福建信息职业技术学院 圆柱体混凝土砌块成型机及成型方法
KR20210022325A (ko) * 2019-08-20 2021-03-03 원 옥 백 투수블록 배수구멍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CN112495643A (zh) * 2020-10-30 2021-03-16 李�杰 一种建筑节能用节约能耗的板材均匀涂料装置
CN112707631A (zh) * 2020-12-30 2021-04-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一种THz玻璃绝缘子的烧制工装及烧制方法
CN113878703A (zh) * 2021-10-11 2022-01-04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盖梁生产线系统
CN114571582A (zh) * 2022-03-15 2022-06-03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组合式施工装置及施工方法
KR102451260B1 (ko)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10-06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04Y1 (ko) * 1993-11-10 1997-01-10 주식회사 덕산기공 2중 블록의 성형을 위한 이형재분사 및 이물질제거장치
KR20110078675A (ko) * 2009-12-31 2011-07-07 태재근 디자인보도블록 및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KR20110103078A (ko) * 2010-03-12 2011-09-20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697760B1 (ko) *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04Y1 (ko) * 1993-11-10 1997-01-10 주식회사 덕산기공 2중 블록의 성형을 위한 이형재분사 및 이물질제거장치
KR20110078675A (ko) * 2009-12-31 2011-07-07 태재근 디자인보도블록 및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KR20110103078A (ko) * 2010-03-12 2011-09-20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697760B1 (ko) *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8044A (zh) * 2019-03-22 2019-05-28 福建信息职业技术学院 圆柱体混凝土砌块成型机及成型方法
CN109808044B (zh) * 2019-03-22 2024-01-23 福建信息职业技术学院 圆柱体混凝土砌块成型机及成型方法
KR20210022325A (ko) * 2019-08-20 2021-03-03 원 옥 백 투수블록 배수구멍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102348302B1 (ko) 2019-08-20 2022-01-10 백원옥 투수블록 배수구멍 성형장치
CN112495643A (zh) * 2020-10-30 2021-03-16 李�杰 一种建筑节能用节约能耗的板材均匀涂料装置
CN112707631A (zh) * 2020-12-30 2021-04-27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一种THz玻璃绝缘子的烧制工装及烧制方法
CN112707631B (zh) * 2020-12-30 2023-10-3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一种THz玻璃绝缘子的烧制组件及烧制方法
CN113878703B (zh) * 2021-10-11 2022-12-09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盖梁生产线系统
CN113878703A (zh) * 2021-10-11 2022-01-04 北京好运达智创科技有限公司 盖梁生产线系统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10-06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451260B1 (ko)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N114571582A (zh) * 2022-03-15 2022-06-03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组合式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4571582B (zh) * 2022-03-15 2024-01-19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一种道路桥梁组合式施工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101B1 (ko)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1110163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20120067908A (ko)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978238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CN111791341A (zh) 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装置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299662B1 (ko) 인조석 제조방법
KR102451260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N102518222A (zh) 复合保温板生产工艺及涂装设备
HU212403B (en) Water permeability til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tile
KR101332202B1 (ko)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CN108867275A (zh) 一种水泥铺设及养护装置
KR100198022B1 (ko) 세립자 고압 투수블록 제조방법
KR100615557B1 (ko) 복합 우레탄 탄성 투수 인.보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269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20110112008A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2591500B1 (ko)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101238327B1 (ko) 고강도 테라조 판의 제조장치
CN111945503B (zh) 一种混凝土仿石材砖及其制备方法
KR101110160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20030072275A (ko)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78465B1 (ko) 고강도 테라조 판 제조방법
KR20120103266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