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60B1 -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 Google Patents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60B1
KR101697760B1 KR1020160102962A KR20160102962A KR101697760B1 KR 101697760 B1 KR101697760 B1 KR 101697760B1 KR 1020160102962 A KR1020160102962 A KR 1020160102962A KR 20160102962 A KR20160102962 A KR 20160102962A KR 101697760 B1 KR101697760 B1 KR 10169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ermeable block
unit
lif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재근
Original Assignee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on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by fluid pressure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e.g. using vacuum,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4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plates, panels, or similar sheet- or disc-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습식 방식의 투수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메인골재 및 몰탈죽이 순차적으로 공급 및 다짐되어 투수블록이 성형되는 복수개의 금형을 회전시키는 작업테이블과, 작업테이블에 의하여 회전되는 금형내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메인골재와 몰탈죽을 1차 및 2차로서 다짐하는 1차 다짐부와 2차 다짐부와, 2차 다짐된 금형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클램핑하여 승강 및 이동시키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로부터 이송된 투수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승강 및 이동시키는 승강적재부 및 다 수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승강적재부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휨강도가 강화된 투수블록을 습식방식으로 제조함에 따라 수명이 연장된 투수블럭을 제조 및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TER PERMEABLE BLOCKS BY A WET PROCESS AND WATER PERMEABLE BLOCK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일반 보도블록과 같이 물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자갈등과 같은 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에폭시 수지를 혼재하여 블록화하여 표면의 물을 배수시킬 수 있는 투수블록이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투수블록은 자체적으로 미세 통공을 갖도록 제조되어 표면의 물을 지면으로 배수하도록 제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투수블록은 진동을 이용한 건식방식에 의한 제조장치로서 제조되며, 종래의 건식방식에 의한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는, 예를 들면, 1차 메인골재(5~8mm의 자갈과 모래 시멘트로 믹싱한 몰타를 금형에 투입한 뒤에 진동으로 1차 다짐 후 2차 표면 골재(1~2mm의 모래와 규사 시멘트)를 배합 후 금형에 투입하여 2차 다짐 공정으로 제품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투수블록은 진동에 의한 압착으로서 제조됨에 따라 휨강도가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는 금형내에서 고정된 하부금형이 구비된 것이 아닌 각 투수블록별로 사용되는 금속 바인더를 구비하였다.
종래의 제조공정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먼저, 빈 금형 내에 금속 바인더를 삽입하여 금형의 하측을 밀폐시킨다. 이후, 메인골재와 표면골재가 금속바인더의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주입된 이후에 진동에 의한 압착으로서 투수블록의 성형이 완료된다. 그러면, 투수블록은 금속 바인더의 하측을 가압하는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되고, 클램퍼 장치에 의하여 보관용 대차로 이송된다.
즉, 종래에는 금형 내에 하부금형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투입되는 골재의 지지와, 완성된 투수블록의 승강 및 이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분리된 금속 바인더가 사용되기에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996호(2012.12.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0323호(2012.06.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휨강도가 강화된 투수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수블록 제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방식의 투수 블럭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메인골재 및 몰탈죽이 순차적으로 공급 및 다짐되어 투수블록이 성형되는 복수개의 금형과, 복 수개의 금형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테이블과,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금형을 승강시킨 뒤에 메인골재를 공급하는 1차 공급부와, 금형에 투입된 메인골재를 프레싱하여 다짐하는 1차 다짐부와, 1차 다짐부에 의해 다짐되어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금형에 몰탈죽을 공급하는 2차 공급부와,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2차 공급부에 의해 몰탈죽이 공급된 금형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몰탈죽을 프레싱하여 2차 다짐하여 투수블록을 성형하는 2차 다짐부와,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2차 다짐된 금형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금형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클램핑하여 승강 및 이동시키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로부터 이송된 투수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승강 및 이동시키는 승강적재부 및 다 수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승강적재부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포함하고, 금형은 상면이 개방되고, 투수블록의 측면에 일치되는 양각 또는 음각된 구조로 이루어진 벽면을 구비하여 작업테이블의 내측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및 본체의 내면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도록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고, 1차 다짐부는 본체를 가압하여 승강시키는 본체 승강수단과, 본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된 금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메인골재를 평탄화시키는 제1프레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그러므로, 본 발명은 휨강도가 강화된 투수블록을 습식방식으로 제조하여 수명이 연장되는 투수블럭을 제조 및 공급할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관리비용이나 재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하부금형을 구비하여 습식 방식으로 투수블럭을 제조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금속 바인더를 다 수 구매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금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1차 공급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차 다짐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차 다짐부의 작동과정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서 2차 공급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차 다짐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2차 다짐부의 작동과정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부의 작동과정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승강적재부 및 보관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승강적재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럭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의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수단"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의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는 금형(400)과, 금형(400)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테이블(100)과, 금형(400)내에 메인골재(910)를 공급하는 1차 공급부(210) 및 1차 공급탱크(230), 메인골재(910)를 1차 다짐하는 1차 다짐부(310)와, 몰탈죽(920)을 공급하는 2차 공급부(220) 및 2차 공급탱크(240), 몰탈죽(920)을 다짐하는 2차 다짐부(320), 금형(400)내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이송시키는 클램핑부(500), 클램핑부(500)로부터 이송된 투수블록을 이송시키는 이송부(600)와, 완성된 투수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800)와, 이송부(600)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승하강 시켜 보관부(800)에 적재하는 승강적재부(700)를 포함한다.
작업테이블(100)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에서 입력된 구동명령에 따라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작업테이블(100)은 상면에서 복 수개의 금형(400)이 상호간에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된다. 즉, 작업테이블(100)은 회전되어 1차 공급부(210) 내지 클램핑부(500)의 위치까지 다 수개의 금형(400)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금형(400)은 투수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내측 벽면과 바닥면에서 각각 양각 또는 음각된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금형을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평면도, 도 2c는 하부금형의 저면도, 도 2d는 고임철판의 저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금형(400)은 작업테이블(100)에 내측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고정되는 본체(410)와, 본체(410)의 바닥면을 이루어 승하강되는 하부금형(420)과, 하부금형을 지지하는 고임철판(430)을 포함한다.
본체(4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벽면에서 양각되어 투수블록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배수홈(931, 931')(도 15 내지 도 16 참조)을 형성하도록 양각된 가이드홈(411)을 구비하여 투수블록의 외형과 일치되는 양각 또는 음각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가이드홈(411)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공급되는 메인골재(910, 도 3 참조)의 높이 경계점을 이루는 가이드돌기(411a)를 포함한다. 즉, 1차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메인 골재(910)는 가이드홈(411)의 상단에 돌출된 가이드돌기(411a)를 넘지 않도록 공급된다.
또한, 가이드홈(411)은 내측벽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홈(411)은 투수블록의 측면에서 내향된 측면배수홈(931, 931')을 성형하고, 하부금형(4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410)는 벽면 하측(412)에서 하부금형(4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 및/또는 연장되는 지지턱(412a) 또는 지지바(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는 한쪽 벽면에서 반대쪽 또는 경사진 방향에 위치된 벽면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턱(412a)은 벽면의 하측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부금형(420)의 테두리의 일부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금형(420)은, 도 2b를 참조하면, 상면에서 투수블록(900)의 하면의 형상과 일치되는 양각 또는 음각된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부금형(420)은, 도 13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배수홈(933)과 하면교차홈(934)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면에서 종과 횡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양각되는 복 수개의 양각배수홈(421)과, 양각배수홈(421)들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양각된 양각교차홈(423)과, 모서리 부분에서 상향되는 단면돌기(4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각교차홈(423)은 양각배수홈(421)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면돌기(42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투수블럭의 하면 모서리부분에서 C형의 단부를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C형의 단부는 인접된 타 투수블록과의 사이에서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금형(420)은 하면에서 상호 대칭 또는 비대칭된 위치에서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422)을 형성한다. 삽입공(422)은 후술되는 1차 다짐부(310)와 2차 다짐부(320) 및 클램핑부(500)가 하부금형(420)을 승강시킬 때 힘을 가하는 하부 승강수단(도 4 참조)이 체결된다.
고임철판(430)은 하부금형(420)의 후술되는 1차 공급부(210)와 1차 다짐부(310) 및 2차 다짐부(320)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되어 하부금형(420)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임철판(430)은 양측 가이드홈(411)의 하측에서 각각 돌출된 철판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고임철판(430)은 복수개의 관통공(431)과, 철판지지수단(433)에 일치되도록 단턱 또는 경사면을 이루는 철판지지턱(432)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통공(431)은, 예를 들면, 1차 공급부의 봉 형상의 하부승강수단( 212b, 도 3 참조)이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관통형성된다. 철판지지수단(433)은 가이드홈(411) 또는 작업테이블(100)에서 고정되는 볼트나 나사, 또는 별도의 고정물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공급부(2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1차 공급부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금형에 메인골재(910)를 투입하는 공급수단(211)과, 하부금형을 승강시키는 제1하부 승강수단(212)과, 제1하부 승강수단(212)을 구동시키는 제1하부 구동수단(213)을 포함한다.
제1하부 구동수단(213)은, 예를 들면,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해 금형(400)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됨을 감지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제1하부 승강수단을 설정된 높이로서 승강시킨다.
제1하부 승강수단(212)은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된 금형의 하부금형을 승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하부 승강수단(212)은, 도 3의 (a) 참조, 하면에서 형성된 삽입공(422)에 삽입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복 수개의 지지봉(212b)과, 지지봉(212b)을 지지하는 지지판(212a)로 구성된다. 이중 복 수개의 지지봉(212b)은 고임철판(431)의 관통공(431)을 통과하여 하부금형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공(422)에 각각 삽입되면서 하부금형(420)을 승강시킨다.
공급수단(211)은 제1하부 승강수단(212)에 의하여 하부금형(420)이 승강된 이후에, 1차 공급탱크(230)에서 공급되는 메인골재(910)를 금형(400)의 내측으로 메인골재(910)를 투입한다. 예를 들면, 공급수단(211)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1차 공급탱크(230)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또는 노즐을 개방하여 금형(400)으로 메인골재(910)를 주입한다.
이때, 메인골재(910)는 석분과 모래, 시멘트가 물과 함께 투입된다. 각각의 메인골재(910)의 성분비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제1하부 구동수단(213)은, 도 3의 (b)를 참조하면, 금형(400) 내로 메인골재(910)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1하부 승강수단(212)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하부금형(420)은 고임철판(43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강된다. 고임철판(430)은 가이드홈(411) 또는 작업테이블(410)로부터 돌출된 철판지지턱(433)에 의해 하부금형(420)의 하측에서 지지된다.
여기서, 고임철판(4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1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투수블럭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서, 복 수개가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1차 다짐부(310)는 1차 공급부(210)에 의해 메인골재(910)가 투입된 금형(400)이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금형(400)의 본체(410)를 승강시킨 뒤 프레싱하여 메인골재(910)를 평탄화시키도록 1차 다짐한다.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1차 다짐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1차 다짐부의 작동과정을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1차 다짐부(310)는 작업테이블(100) 상측에서 하향되어 가압하는 제1프레스(311)와, 작업테이블(100)의 하측에서 승강되어 금형(400)의 본체(410)를 승강시키는 제1본체 승강수단(312)과, 제1본체 승강수단(312)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본체 구동수단(313)을 포함한다.
제1프레스(311)는 제1하부 승강수단(212)에 의하여 승강된 하부금형(420)의 상측에 주입된 메인골재(910)를 가압하여 평탄화시킨다. 이때, 제1프레스(311)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하여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시마다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금형(400)들의 상측에서 승하강된다.
제1본체 승강수단(312)은 제1본체 구동수단(313)(예를 들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승강축(312b)과, 본체(410)의 하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승강판(312a)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본체 구동수단(313)은 1차 공급부(210)에서 메인골재(910)가 투입된 금형(400)이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됨을 감지한 센서 및/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구동된다.
그러므로, 제1본체 구동수단(313)은 승강축을 신장시켜 승강판(322a)이 본체(410)의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동시킨다. 따라서, 승강판(322a)은 승강되면서 본체(410)의 하면을 가압하고, 본체(410)는 승강판(312a)의 가압된 힘에 의하여 작업테이블(100)의 상측으로 승강된다.
제1프레스(311)는 하강되어 금형(400)내에 투입된 메인골재(910)를 평탄화 및 경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프레스(311)는 고온 및 고압으로 가압하거나, 작업테이블(100)에서 히터와 같은 가열 장치가 더 구비되어 전체 온도(금형(400) 내부 온도)가 고온으로 유지됨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본체 승강수단(312)과 제1프레스(311)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상하강되어 금형(400)내에 공급된 메인골재(910)를 가압하여 평탄화시키고, 이후 도 5의 (c)와 같이 각각 금형(400)으로부터 이탈된다.
2차 공급부(220)는 1차 다짐부(310)에서 메인골재(910)가 다짐된 이후에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금형(400)의 내측으로 몰탈죽(920)으로 공급한다. 2차 공급부(220) 및 2차 공급탱크(240)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2차 공급부의 작동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2차 공급탱크(240)는 내측에서 몰탈죽(920)을 교반시키는 교반기(241)와, 상하측이 개방되어 하향 연장되는 토출관(242)을 포함한다.
교반기(241)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구비한다. 교반기(241)는 2차 공급탱크(240) 내측에서 회전되면서 몰탈죽(920)을 교반한다.
토출관(242)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로써 설명하자면, 2차 공급탱크(240)의 바닥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몰탈죽(920)을 토출시킨다. 즉, 토출관(242)의 상측은 2차 공급탱크(240)의 바닥면에서 개방되어 교반기(241)의 회전 및/또는 중력에 의하여 몰탈죽(920)이 인입되도록 개방되고, 하측은 후술되는 이송관(223)의 개방된 상측으로 몰탈죽(920)을 주입한다.
2차 공급부(220)는 몰탈죽(920)을 공급하는 2차 공급탱크(240)와, 2차 공급탱크(240)에서 토출된 죽을 금형(400)으로 투입하는 이송관(223)과, 이송관(22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관이동수단(221)과, 이송관(223)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판(222)과 하부 가이드판(225)과, 상부 가이드판(222)과 하부 가이드판(225)을 지지하는 고정봉(224)과, 이송관(223)의 몰탈죽(920)을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26)와, 이송관(223)에 일체로 형성되어 토출관(242)을 차단하는 차단판(227)을 포함한다.
이송관(223)은 관이동수단(221)(예를 들면, 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관(242)으로부터 공급된 몰탈죽(920)을 배출수단(226)의 위치로 이동되면서 금형(400)의 상측으로 토출시킨다. 이를 위하여 이송관(223)은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형성된다. 이송관(223)은 관이동수단(221)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관(242)의 하측에 위치되어 몰탈죽(920)을 공급받는다. 또한, 이송관(223)은 관이동수단(221)의 구동에 의하여 배출수단(226) 또는 금형(40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내측에 수용된 몰탈죽(920)을 토출시킨다.
차단판(227)은 이송관(223)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판넬이다. 예를 들면, 차단판(227)은 이송관(223)의 상측에서 상부 가이드판(222)과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차단판(227)은 이송관(223)이 금형(400)의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토출관(242)을 차폐시킨다. 또는 차단판(227)은 이송관(223)이 금형(400)의 위치에서 2차 공급탱크(240) 측으로 이동되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토출관(242)을 개방시킨다.
상부 가이드판(222)과 하부 가이드판(225)은 이송관(223)을 사이에 두고 상하측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고정봉(22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부 가이드판(222)과 하부 가이드판(225)은 이송관(223)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판(222)은 2차 공급탱크(240)의 고정된 위치에서 토출관(242)과 연결되고, 배출수단(226)과 이송관(223)의 상측 사이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 관통구(2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가이드판(225)은 금형(400)의 상측으로 이송된 이송관(223)에서 토출된 몰탈죽(920)이 금형(400)으로 토출되도록 개방(절개 또는 관통)된 하부 관통구(22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수단(226)(예를 들면, 에어실린더)은 선단에서 승하강되는 가압판(226a)을 구비한다. 따라서, 배출수단(226)은 상부 관통구(222a)를 통하여 가압판(226a)을 하강시켜 이송관(223)의 내측에 수용된 몰탈죽(920)을 토출시킨다. 즉, 이송관(223)에 수용된 몰탈죽(920)은 중력에 의하여 금형(400)으로 하강되고, 배출수단(226)의 구동에 의하여 내측에 잔여 몰탈죽(920)을 완전히 토출시킨다.
또는, 배출수단(226)은 에어 실린더로서 가압판(226a) 대신 에어노즐을 더 구비하여 이송관(223)의 내측으로 에어를 토출시켜 잔여 몰탈죽(920)을 토출시킴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2차 공급부(220)의 작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이송관(223)은, 도 6a 참조, 토출관(242)으로 몰탈죽(920)을 공급받으며, 이때, 개방된 하측은 하부 가이드판(225)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후, 이송관(223)은, 도 6b 참조, 관이동수단(221)이 구동됨에 따라 상부 가이드판(222)과 하부 가이드판(225)을 따라서 금형(40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토출관(242)은 이송관(223)이 이동됨에 따라 이송관(223)과 일체로 형성된 차단판(227)에 의하여 차폐된다.
또한, 이송관(223)은, 도 6c 참조, 이동되어 개방된 상측이 상부 관통구(222a)에 일치되고, 하측이 하부 관통구(225a)에 연결되어 금형(40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몰탈죽(920)은 중력에 의해 하부 관통구(225a)를 통하여 금형(400)으로 공급된다. 아울러, 배출수단(226)은 가압판(226a) 또는 에어노즐을 작동시켜 이송관(223)의 내측에 수용 및/또는 잔여된 몰탈죽(920)을 가압시킨다.
2차 다짐부(320)는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2차 공급부(220)에 의해 몰탈죽(920)이 공급된 금형(400)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고온 및 고압을 프레싱하여 투수블록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2차 다짐부(320)의 구성은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2차 다짐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8a 내지 도 8c는 2차 다짐부의 작동과정을 간략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2차 다짐부(320)는 상측에서 하향되어 가압하는 제2프레스(321)와, 작업테이블(100)의 하측에서 승강되어 금형(400)의 본체(410)를 승강시키는 제2본체 승강수단(322)과, 제2본체 승강수단(322)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본체 구동수단(323)과, 하부금형(420)을 승강시키는 제2하부 승강수단(324)과, 제2하부 승강수단(324)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하부 구동수단(325)을 포함한다.
제2프레스(321)는 작업테이블(100)의 상측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금형(400)은, 도 8a를 참조하면, 제2공급부(220)를 통하여 몰탈죽(920)이 주입된 상태이며,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금형(400) 내에 주입된 몰탈죽(92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르게 평탄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2프레스(321)는 센서의 감지신호 또는 센서의 감지에 따른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하여 가동되어 메인골재(910)의 상측에서 적층된 몰탈죽(920)을 고온 및 고압으로 프레싱하여 투수블록을 완성한다. 이때, 제2프레스(321)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하여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시마다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금형(400)들의 상측에서 승하강된다.
또한, 제2프레스(321)는 몰탈죽(920)을 성형하면서 양각된 구조를 성형하기 위하여 하면에서 음각형성된 복 수개의 홈(321a)을 형성함도 가능하다.
제2본체 승강수단(322)은 2차 공급부(220)에 의해 몰탈죽이 공급된 금형(400)이 작업테이블(100)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제2본체 구동수단(323)이 가동되면서 승강되어 금형(400)의 본체(410)를 상방으로 승강시킨다. 이때, 제2본체 구동수단(323)은 센서의 감지신호 및/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제2본체 승강수단(322)은, 도 8b를 참조하면, 제2본체 구동수단(323)에 의하여 신장되는 승강축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322a)와, 지지판(322a)의 상측으로 연통되는 지지봉(322d)의 외면에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고정되는 탄성스프링(322b)과, 지지봉(322d)의 상단에 연결되어 본체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블럭(322c)을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스프링(322b) 및 지지봉(322d)은 금형(400)의 본체(410)를 가압하여 1차 승강시키는 역할과 함께, 제2프레스(321)의 가압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2하부 승강수단(324)은 제2본체 승강수단(322)의 구동 이후에 승강되어 승강된 본체(410)에서 하부금형(420)을 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시킨다. 이때, 제2하부 승강수단(324)은 센서의 감지 및/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한 제2하부 구동수단(325)의 구동으로 작동된다.
아울러, 제2하부 승강수단(324)은, 도 8c를 참조하면, 제2프레스(321)가 하강되어 2차층인 몰탈죽(920)을 고온 및 고압을 프레싱함과 동시에 승강된다.
즉, 2차 다짐부(320)는 제2하부 승강수단(324)과 제2프레스(321)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하측에서 메인골재(910) 및 몰탈죽(920)이 적층된 자재를 고온 및 고압으로 성형하여 투수블록을 완성한다. 이때, 제2하부 승강수단(3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임철판(430)의 하면을 직접 가압하여 하부금형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제2하부 승강수단(324)은 고임철판(430)의 하면과 접촉면적이 넓은 상면을 갖는 프레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클램핑부(500)는 2차 다짐부(320)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금형(400)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이송부(600)로 전달한다. 보다 상세한 구성은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클램핑부의 작동과정을 단계별로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클램핑부(500)는 투수블록을 가압하는 클램퍼(510)와, 클램퍼(510)를 구동시키는 클램핑수단(520)과, 클램퍼(5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퍼 이동수단(540)과, 클램퍼(510)를 승하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수단(530)과, 투수블록을 승강시키는 제3하부 승강수단(550)과, 제3하부 승강수단(550)을 구동시키는 제3하부 구동수단(560)을 포함한다.
클램퍼(510)는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암으로 형성되어 클램핑수단(520)의 작동에 따라서 상호 대항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3하부 승강수단(550)에 의하여 승강된 투수블록을 가압 및 해제한다.
클랭핑수단(520)은 한 쌍의 암으로 이루어진 클램퍼(510)를 지지하는 이동축(522)과, 클램퍼(510)를 이루는 한쌍의 암을 각각 이동축(522)에 외면에서 이동시키는 암구동수단(521)와, 클램퍼 승강수단(530)에 연결되어 이동축(522)과 암구동수단(521) 및 클램퍼(510)를 지지하는 지지판넬(523)을 포함한다.
지지판넬(523)은 상측에서 클램퍼 승강수단(530)이 연결되는 상판(523a)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이동축(522)이 각각 결합되는 절곡판(523b)으로 이루어진다.
암구동수단(521)는 양 절곡판(523b) 사이(클램퍼(510) 사이)에서 고정되어 클램퍼(510)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클램퍼(5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으로서 이동축(522)의 외면을 따라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축(522)은 양측 절곡판(523b) 사이에서 고정되어 클램퍼(510)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즉, 클램핑수단(520)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 및/또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클램퍼(5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퍼 승강수단(530)은 지지판넬(523)의 상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승강축(533)과, 승강축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판넬(532)과, 승강판넬(532)에서 하향 연장되어 지지판넬(523)에 연결되는 연결봉(531)을 포함한다.
승강판넬은 볼스크류 방식으로 승강축과 체결되어 승, 하강된다. 이때, 지지판넬(523)은 연결봉(531)을 통하여 승강판넬(532)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클램퍼(510) 및 클램핑수단(520)은 승강판넬(532)과 연동하여 승하강된다.
클램퍼 이동수단(540)은 작업테이블(100)의 상측에서 이송부(600)의 상측으로 클램퍼(510)를 수평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클램퍼 이동수단(54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벨트식의 장치로서 승강판넬(532)이 연결되는 승강축(533)을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제3하부 승강수단(550)은 작업테이블(100)의 하측에서 2차 다짐부(320)에 의해 2차 다짐된 금형(400)이 설정된 위치로 회전되면 승강되는 복 수개의 승강봉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3하부 승강수단(550)은 제3하부 구동수단(560)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되어 하부금형(420)을 승강시킨다.
위와 같은 클램핑부(5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며, 이는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2차 다짐부(320)에 의해 다짐된 금형(400)은 하부금형(420)의 상면에서 메인골재(910)가 적층되고, 메인골재(910)의 상측에서 경화된 몰탈죽(920)이 적층된다. 따라서, 작업테이블(100)은 회전되면서 위와 같이 2차 다짐후 성형된 투수블록(900)을 클램퍼(510)의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성형된 투수블럭은 2차 다짐부에 의한 다짐으로 금형의 상측에서 양측 벽면 및 가이드홈에 끼움된 상태이고, 고임철판은 제2하부 승강수단이 하강됨에 따라 하강된다.
따라서, 클램핑부(500)로 이동된 금형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투수블럭(900)과 고임철판(43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3하부 승강수단(550)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 및/또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3하부 구동수단(560)의 구동에 의하여 고임철판(430)의 관통공(431)을 연통하도록 승강되어 하부금형(420)을 들어올린다. 따라서, 투수블록(900)은 승강되어 양측면이 노출되도록 승강된다. 여기서, 제3하부 승강수단(550)은 하부금형(420)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공(422)에 일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봉(550a)으로 형성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클램퍼(510)는 클램퍼 승강수단(530)의 구동에 의하여 하강된다. 이때, 클램퍼(510)는 클램핑수단(520)이 구동되어 양측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투수블록(900)을 사이에 두고 하향된다. 이후, 클램퍼(510)는 클램핑수단(520)에 의하여 중심측으로 양측 암이 이동되면서 투수블록(900)의 양측면을 각각 가압한다. 여기서 클램퍼(510)는 투수블록(90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끝단에서 탄성판(5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판(511)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판이나 실리콘과 같은 플라스틱 수지판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탄성판(511)은 투수블록(900)과의 마찰력을 통하여 클램퍼(5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클램퍼(510)의 압력을 탄성력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이후, 클램퍼(510)는 클램퍼 승강수단(530)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되면서 투수블록(900)을 작업테이블(100)의 상측으로 승강시킨다. 따라서, 하부금형(420)은 투수블록이 클램퍼(510)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서 분리된다. 즉, 본 발명의 하부금형(420)은 종래와 달리 탈착형이 아닌 금형(400)내에 고정된 것이다.
그리고, 클램퍼 이동수단(540)은 클램퍼(510)를 이송부(600)의 상면측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또한, 클램퍼(510)는 클램퍼 승강수단(530) 및 클램핑수단(520)의 순차 구동으로서 이송부(600)의 상면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부(600)는, 예를 들면, 회전벨트 또는 이송체인(610)으로서 클램퍼(510)에 의해 전달된 투수블록으로 승강적재부(700)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승강적재부(700)는 이송부(600)에 의해 이송되는 투수블록을 보관부(800)로 적재시킨다. 이는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승강적재부 및 보관부를 간략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승강적재부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적재부(700)는 이송체인(610) 사이에서 투수블록(900)을 들어 올리는 로드암(720)과, 로드암(720)을 승하강 시키는 암 승강수단(740)과, 지면에 직립되어 암 승강수단(740) 및 로드암(7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10)과, 지지프레임(7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적재부 이동수단(730)을 포함한다.
보관부(800)는 다 수개의 구획이 상호 이격되어 투수블록(900)이 적재되는 공간을 다층으로 구획하는 복 수개의 지지판(810)과, 직립되어 복 수개의 지지판(810)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820)과, 수평으로 연장되어 수직프레임(820)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830)을 포함한다.
로드암(72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암으로서 이송체인(610)의 측면,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체인(610)에 의해 투수블록(90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암 승강수단(740)에 의해 승강된다.
암 승강수단(740)은 지지프레임(710)별로 설치되어 모터 또는 기타 동력장치로서 로드암(72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여기서 암 승강수단(740)은 지지프레임(710)의 일면에서 설치된다.
지지프레임(71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각각의 일면에는 서로 다른 로드 암을 승하강시키는 암 승강수단(740)이 고정된다. 아울러, 지지프레임(710)은 적재부 이동수단(730)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적재부 이동수단(730)은 지지프레임(71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적재부 이동수단(730)은 보관부(800) 앞쪽으로 연장된 레일과, 레일에 설치되는 바퀴와, 해당 바퀴를 가동시키는 모터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적재부 이동수단(730)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세부설명을 생략하였다.
즉, 승강적재부(700)는 이송체인(6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투수블록(900)을 암 승강수단(740)에 의해 가동된 로드암(720)이 들어 올린다. 그리고 승강적재부(700)는 투수블록이 로드암(72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적재부 이동수단(730)에 의해 보관부(800)로 이동된다.
이때, 로드암(720)은 보관부(800)에서 지지판(810)으로 구획된 공간으로 인입된 후, 암 승강수단(740) 및 적재부 이동수단(730)의 구동에 의하여 투수블록(900)을 내려놓고 후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종래의 투수블록은 금형(400)내에 별도의 하부금형(420)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투수블록의 성형과정과 이동과정에서의 지지를 위하여 금속 바인더를 하부금형(420)으로 포함시켰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 투수블록별로 하나의 금속 바인더가 사용됨에 따라 많은 숫자의 금속 바인더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탈착형 금속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금형(400)내에 고정된 하부금형(420)을 구비함에 따라 위와 같은 금속바인더를 사용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투수블록(900)은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하부금형(420)이 이탈되고, 승강적재부(700)를 통하여 보관부(800)에 보관되는 투수블록(900)은 금속 바인더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 투수블록(900)에 해당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투수블록(900)의 자체 구조에서 투수기능을 갖도록 제조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투수블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의 사시도, 도 14는 측면도, 도 15는 저면도, 도 16은 투수블록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투수블록(900)은 전체 측면에서 내향되어 상하 연장된 복 수개의 측면배수홈(931)과, 하면에서 종과 횡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복수개의 하면배수홈(933)과, 하면배수홈(933)의 교차지점에서 상향된 하면교차홈(934)과, 상면에서 상향된 돌출단(932)과, 하부금형의 단부돌기에 의하여 음각형으로 형성되는 단부홈(935)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측면배수홈(931)은 투수블록(90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전후좌우측 벽면에서 복 수개가 내향되도록 형성된다. 측면배수홈(931)은 타 투수블록(900')의 측면배수홈(931')과 연계되어 투수블록(900)과 투수블록(900) 사이에서 배수공(940)을 형성한다. 또한, 측면배수홈(931)은 금형(400)에서 양각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홈(411)에 의하여 음각된 구조이다.
하면배수홈(933)은 투수블록(900)의 하면에서 종과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된다. 여기서, 하면배수홈(933)은 하부금형(420)의 양각배수홈(421)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면교차홈(934)은 투수블록(900)의 하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면배수홈(933)과 횡방향으로 연장된 하면배수홈(933)의 교차지점에서 보다 상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하부금형(420)에서 양각교차홈(423)에 의하여 음각 형성된다.
즉, 하면배수홈(933)은 투수블록(900)이 설치된 지면에 흐르는 물의 배수로를 종과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한 것이다. 이때, 종방항에서 흐르는 물과 횡방향으로 흐르는 물이 하면교차홈(934)을 통하여 만나게 된다. 따라서, 양방향에서 만나는 물이 모여지기 때문에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하면교차홈(934)은 하면배수홈(933)에 비하여 보다 넓은 폭과 지면에서 홈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단(932)은 투수블록(900)의 상면으로 낙하된 물이 측면배수홈(931)으로 유입되도록 상향 돌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돌출단(932)은 만곡된 곡면(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져 물의 배수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단(932)은 상술한 제2프레스(321)의 하면에 형성된 음각형의 홈(321a)에 의해 양각 형성된다.
아울러, 돌출단(932)은 투수블록(900)의 상면에서 돌출됨에 따라 점자나 기타 기호 및 도형이 형성될 경우에 사용자의 시야에 쉽게 잡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돌출단(932)은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문자나 기호 및 도형의 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부홈(935)은 하부금형의 단부돌기(423)에 의하여 음각된 C형 단부를 이루어 인접된 두 개의 투수블록(900)의 하측에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900) 제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작업테이블 210 : 1차 공급부
211 : 공급수단 212 : 제1하부 승강수단
213 : 제1하부 구동수단 220 : 2차 공급부
221 : 관이동수단 222 : 상부 가이드판
223 : 이송관 224 : 고정봉
225 : 하부 가이드판 226 : 배출수단
227 : 차단판 230 : 1차 공급탱크
240 : 2차 공급탱크 241 : 교반기
242 : 토출관 310 : 1차 다짐부
311 : 제1프레스 312 : 제1본체 승강수단
313 : 제1본체 구동수단 320 : 2차 다짐부
321 : 제2프레스 322 : 제2본체 승강수단
323 : 제2본체 구동수단 324 : 제2하부 승강수단
325 : 제2하부 구동수단 400 : 금형
410 : 본체 411 : 가이드홈
420 : 하부금형 500 : 클램핑부
510 : 클램퍼 520 : 클램핑수단
530 : 클램퍼 승강수단 540 : 클램퍼 이동수단
550 : 제3하부 승강수단 560 : 제3하부 구동수단
600 : 이송부 610 : 이송체인
700 : 승강적재부 800 : 보관부
900, 900' : 투수블록 910 : 메인골재
920 : 몰탈죽 931, 931' : 측면배수홈
932 : 돌출단 933 : 하면배수홈
934 : 하면교차홈 940 : 배수공

Claims (11)

  1. 메인골재 및 몰탈죽이 순차적으로 공급 및 다짐되어 투수블록이 성형되는 복수개의 금형;
    상기 복 수개의 금형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으로 설정된 위치로 이송된 금형을 승강시키고, 승강된 상기 금형의 내측으로 메인골재를 공급하는 1차 공급부;
    상기 금형에 투입된 메인골재가 평탄화되도록 다짐하는 1차 다짐부;
    상기 1차 다짐부에 의해 다짐된 이후에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금형에 몰탈죽을 공급하는 2차 공급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2차 공급부에 의해 몰탈죽이 공급된 상기 금형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몰탈죽을 프레싱하여 2차 다짐하여 투수블록을 성형하는 2차 다짐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에 의하여 2차 다짐된 상기 금형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금형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클램핑하여 승강 및 이동시키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로부터 이송된 투수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승강 및 이동시키는 승강적재부; 및
    다 수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상기 승강적재부에서 이송된 투수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형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투수블록의 측면에 일치되는 양각 또는 음각된 구조로 이루어진 벽면을 구비하여 상기 작업테이블의 내측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면을 타고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다짐부는
    상기 본체를 가압하여 승강시키는 본체 승강수단; 및
    상기 본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된 상기 금형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메인골재를 평탄화시키는 제1프레스;를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다짐부는
    상기 2차 공급부에 의해 몰탈죽이 공급된 이후에 상기 작업테이블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송된 금형의 본체를 가압하여 승강시키는 본체 승강수단;
    상기 본체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된 본체의 하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하부금형을 승강시키는 하부 승강수단; 및
    상기 하부 승강수단에서 승강된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적층된 몰탈죽을 가압 및 성형시키는 제2프레스;를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하부금형을 가압하여 승강시키는 하부 승강수단;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암으로서 상기 하부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된 투수블록을 가압하여 상기 이송부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퍼;
    상기 한 쌍의 암을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투수블록을 가압 또는 해제시키는 클램핑수단;
    상기 클램퍼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퍼 이동수단; 및
    상기 클램퍼를 승하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적재부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투수블록을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한 쌍의 로드암;
    직립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암을 승하강 시키는 암 승강수단;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적재부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공급부는
    몰탈죽을 공급하는 2차 공급 탱크;
    상기 2차 공급탱크로부터 몰탈죽을 공급받아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판과, 상기 상부 가이드판에서 이격되어 상기 이송관을 지지 및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판; 및
    상기 이송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관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2차 공급탱크로부터 몰탈죽이 공급되면, 상기 상부 가이드판과 하부 가이드판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금형이 위치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판은 상기 금형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관이동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위치되면 몰탈죽이 배출되도록 개방된 하부 관통구를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공급부는
    상기 이송관과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 가이드판의 하면과 밀착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이송관이 상기 금형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2차 공급탱크의 토출구를 차단시키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공급탱크의 토출구는
    상기 2차 공급탱크의 내측과 연통되어 하향 연장되는 토출관으로 형성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판은
    상기 하부 가이드판의 하부 관통구와 일치된 위치에서 개방된 상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2차 공급부는 상기 상부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이송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몰탈죽을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에어실린더에서 발생된 공기를 이송관의 내측으로 토출시키는 에어노즐;을 포함하는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11. 제1항의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럭은
    측면에 내향되어 상측에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복 수개의 측면배수홈;
    하면에서 상향된 홈으로서 복 수개가 횡과 종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복 수개의 하면배수홈; 및
    상기 하면배수홈들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하면배수홈 보다 더 큰 높이로 상향되는 복 수개의 하면교차홈;을 포함하는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20160102962A 2016-08-12 2016-08-12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1697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62A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6-08-12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962A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6-08-12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760B1 true KR101697760B1 (ko) 2017-01-19

Family

ID=5799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962A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6-08-12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6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62B1 (ko) * 2018-06-27 2018-11-29 이성우 보강층을 갖는 다층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상기 성형장치로 제작된 다층 투수블록
KR101939101B1 (ko) * 2018-08-13 2019-01-17 태재근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20190016157A (ko) * 2017-08-07 2019-02-18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1978156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238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CN115139392A (zh) * 2022-07-05 2022-10-04 江西科技学院 一种转盘式的透水发光混凝土砖的制备装置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10-06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451260B1 (ko)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N117067400A (zh) * 2023-08-31 2023-11-17 嘉兴市博奥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生产设备及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840B1 (ko) * 2005-05-25 2006-03-23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투수성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78675A (ko) * 2009-12-31 2011-07-07 태재근 디자인보도블록 및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KR20120060323A (ko) 2010-12-02 2012-06-12 정계숙 투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KR20120135996A (ko) 2011-06-08 2012-12-18 권운철 배수관을 구비한 보도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840B1 (ko) * 2005-05-25 2006-03-23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투수성 보도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78675A (ko) * 2009-12-31 2011-07-07 태재근 디자인보도블록 및 디자인보도블럭 연속제조장치.
KR20120060323A (ko) 2010-12-02 2012-06-12 정계숙 투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KR20120135996A (ko) 2011-06-08 2012-12-18 권운철 배수관을 구비한 보도블럭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89B1 (ko) * 2017-08-07 2019-10-04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20190016157A (ko) * 2017-08-07 2019-02-18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1923862B1 (ko) * 2018-06-27 2018-11-29 이성우 보강층을 갖는 다층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상기 성형장치로 제작된 다층 투수블록
KR101939101B1 (ko) * 2018-08-13 2019-01-17 태재근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1978156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238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10-06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451260B1 (ko) 2022-02-22 2022-10-06 태이랑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CN115139392A (zh) * 2022-07-05 2022-10-04 江西科技学院 一种转盘式的透水发光混凝土砖的制备装置
CN115139392B (zh) * 2022-07-05 2023-12-08 江西科技学院 一种转盘式的透水发光混凝土砖的制备装置
CN117067400A (zh) * 2023-08-31 2023-11-17 嘉兴市博奥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生产设备及生产工艺
CN117067400B (zh) * 2023-08-31 2024-04-05 嘉兴市博奥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生产设备及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1600981B1 (ko) 동시 주형 조형 방법 및 플라스크리스 주형 조형 장치
KR20020022710A (ko) 주형 조형기 및 패턴 캐리어
WO2020168684A1 (zh) 一种大规格压砖模具及压砖方法
CN103231432B (zh) 全自动抗震砌体成型机及其实现方法
CN206445930U (zh) 一种免烧结透水砖成型机
CN205364147U (zh) 一种人造石的干湿成型装置
KR101923862B1 (ko) 보강층을 갖는 다층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상기 성형장치로 제작된 다층 투수블록
CN204094072U (zh) 静压造型机
CN207771626U (zh) 一种砂轮制作设备
KR101879951B1 (ko) 인도블록 성형장치
CN206154480U (zh) 一种翻转式混凝土构件成型机
US4421466A (en) Apparatus for molding concrete articles and the like
CN110692751B (zh) 一种能重叠压制多片砖茶的压制机
KR101077082B1 (ko) 파렛트의 적재 운반 및 적치된 파렛트의 개별 공급장치
KR101633749B1 (ko) 인조석 성형장치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CN203210490U (zh) 全自动新型抗震砌体成型机
CN201224149Y (zh) 柱连轻体夹芯墙板生产机组
CN218905813U (zh) 一种钢筋混凝土管的高频振动成型装置
CN213729218U (zh) 一种砂模成型用半自动造型装置
CN110202099A (zh) 一种垂直分型冷芯和覆膜砂热芯盒自动生产专用机床
CN205572686U (zh) 人工防汛备防石振动挤压快速成型设备
EP3488945A1 (en) Mold forming method
KR102249048B1 (ko) 플레이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