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989B1 -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989B1
KR102027989B1 KR1020170099519A KR20170099519A KR102027989B1 KR 102027989 B1 KR102027989 B1 KR 102027989B1 KR 1020170099519 A KR1020170099519 A KR 1020170099519A KR 20170099519 A KR20170099519 A KR 20170099519A KR 102027989 B1 KR102027989 B1 KR 102027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manufacturing
finishing pane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6157A (ko
Inventor
이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이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이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Priority to KR1020170099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9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기능을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에 있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Equipment of Insulated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inishing Panels using the Equipment}
본 발명은 건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기능을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과 같은 건물의 내외장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마감재로, 사각판형으로 가공 제작된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과 같은 천연석재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연석재는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건물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석재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을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사각 형태로 가공하는 것으로, 중량이 무거워 사용되는 고정 장치의 개수가 증가되고 구조적인 안전성에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연석재는 외관상 수려하지만 단열 효과가 없어 건물 내의 온기나 냉기를 보호하지 못하고, 외부의 온도를 전달시킴에 따라 수려한 외관은 물론, 비용을 절감시키며, 단열효과를 갖는 천연석재 마감패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재료의 수려함과 단열기능을 가질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기능을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에 있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설치대(110)는 사각형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받침대(111)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111)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하판(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형틀(120)은 상기 받침대(111)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동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형틀판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형틀판은 상기 받침판의 후방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2형틀판(124)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일측 끝면이 상기 제2형틀판(124)과 접하는 제3,4형틀판(125,126)과, 상기 받침판의 전방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양측 끝면이 각각 상기 제3,4 형틀판(125,126)과 접하는 제1형틀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형틀판(123)은 상기 받침대(111)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은 상기 받침대(111)와 각각 경첩(150)으로 결합되어 형틀(120)의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제1,2형틀판(123,124) 과 제3,4형틀판(125,126) 중 하나의 형틀판 내벽에 형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120)의 외측으로 내입된 내입부가 형성될 때, 상기 내입부가 형성된 형틀판과 마주하는 형틀판 내벽에는 상기 내입부와 대응되도록 형틀(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형틀판(123) 내벽에는 내입되거나 돌출되지 않은 평면부(12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형틀판(123)의 내벽에는 제1형틀판(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형틀판(123)의 외측으로 내입된 제1내입부(123-1)와, 상기 제1내입부(123-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형틀판(123)의 상단까지 제1내입부(123-1)보다 내입된 제2내입(123-2)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형틀판(124)의 내벽에는 상기 제1형틀판(123)의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2형틀판(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형틀판(124)의 상단까지 제2형틀판(124)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24-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형틀판(125)의 내벽에는 상기 제1형틀판(123)의 제1내입부(123-1)와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3형틀판(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형틀판(125)의 외측으로 내입된 제3내입부(125-1)와 제4내입부(125-2)를 형성하고, 상기 제4형틀판(126)의 내벽에는 상기 제3형틀판(125)의 제4내입부(125-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4형틀판(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형틀판(126)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26-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플레이트(140)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에는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60)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의 외벽 상부측으로 다수개 부착되고, 상단부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161a)을 갖는 패드(161)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뒷면과 양측면에는 상기 패드(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결합된 고정대(162)와, 상기 고정대(162)의 하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패드(161)의 경사면(161a)을 따라 구르는 볼(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을 제작하는 제작 방법은,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와,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판(130)에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이 보이도록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재(230)를 포설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230) 포설된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 필름(240)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로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은 후, 일정시간 동안 단열재(230)를 양성하는 단계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열고 상기 하판(130)을 상부로 이송시켜 완성된 마감패널(200)의 품질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에서, 상기 마감판(210)은 사각판 형상의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가 결합되어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부재(211)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판(210)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형틀판(123)의 평면부(12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감판(210)의 상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1)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220,220-1)과 대칭을 이루되,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2)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한편, 상기 마감판(210)이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로 결합되어 상기 하판(130)에 구비될 때, 상기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부재(211)와 상기 하판(130) 사이에 받침목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마감판(210)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재료의 수려함과 단열기능을 가질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덮개 플레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가 개방된 형틀의 개략도,
도 5는 도 1의 "A-A"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의 사시도,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부재로 이루어진 단열 마감패널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덮개 플레이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가 개방된 형틀의 개략도, 도 5는 도 1의 "A-A"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 제조 장비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의 사시도,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부재로 이루어진 단열 마감패널들의 사시도이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100)는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설치대(110)는 사각형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받침대(111)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111)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하판(1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장치는 하판이송실린더(미도시)와, 상기 하판이송실린더의 실린더 로드(131)가 상기 설치대(110)의 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13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판(130)이 상하 이송된다.
한편, 상기 형틀(120)은 상기 받침대(111)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동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형틀판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형틀판은 상기 받침판의 후방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2형틀판(124)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일측 끝면이 상기 제2형틀판(124)과 접하는 제3,4형틀판(125,126)과, 상기 받침판의 전방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양측 끝면이 각각 상기 제3,4 형틀판(125,126)과 접하는 제1형틀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형틀판(123)은 상기 받침대(111)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은 상기 받침대(111)와 각각 경첩(150)으로 결합되어 형틀(120)의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형틀판(123,124)과 제3,4형틀판(125,126) 중 하나의 형틀판 내벽에는 형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120)의 외측으로 내입된 내입부가 형성될 때, 상기 내입부가 형성된 형틀판과 마주하는 형틀판 내벽에는 상기 내입부와 대응되도록 형틀(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형틀판(123) 내벽에는 내입되거나 돌출되지 않은 평면부(12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형틀판(123)의 내벽에는 제1형틀판(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형틀판(123)의 외측으로 내입된 제1내입부(123-1)와, 상기 제1내입부(123-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형틀판(123)의 상단까지 제1내입부(123-1)보다 내입된 제2내입(123-2)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형틀판(123)의 내벽은 내입되지 않은 평면부(123-3)가 제1형틀판(12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3-3)를 제외한 부분에서 제1형틀판(123)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내입부(123-1) 및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형틀판(124)의 내벽에는 상기 제1형틀판(123)의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2형틀판(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형틀판(124)의 상단까지 제2형틀판(124)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2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형틀판(125)의 내벽에는 상기 제1형틀판(123)의 제1내입부(123-1)와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3형틀판(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형틀판(125)의 외측으로 내입된 제3내입부(125-1)와 제4내입부(12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형틀판(126)의 내벽에는 상기 제3형틀판(125)의 제4내입부(125-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4형틀판(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형틀판(126)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26-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100)에 의해 제작된 마감패널(200)은 마감판(210)과,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 상부측에 각각 부착된 프레임(220)과,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으로 양생된 단열판(230)과, 상기 단열판(230)의 배면에 부착된 단열 필름(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5 내지 도 7c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형틀판 내벽에 형성된 내입부와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상단부 끝면이 상기 마감판(210)의 상단부의 끝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상단 돌출부(231-1)와, 상기 제1상단 돌출부(231-1)의 배면으로 제1상단 돌출부(231-1) 보다 더 돌출된 제2상단 돌출부(2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형틀판(123) 내벽에 형성된 평면부(123-3)에 의해서 상기 단열판(230)의 끝면이 상기 마감판(210)의 끝면과 동일한 안착홈(2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좌측면의 끝면은 상기 마감판(210)의 좌측면의 끝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좌측 돌출부(233-1)와, 상기 제1좌측 돌출부(233-1)의 배면으로 제1좌측 돌출부(233-1) 보다 더 돌출된 제2좌측 돌출부(23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하단부의 끝면은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의 끝면과 동일위치에 형성된 제1하단부(232-1)와, 상기 제1하단부(232-1)의 배면으로 제1하단부(232-1)보다 안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제2하단 내입부(23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우측면의 끝면은 상기 마감판(210)의 우측부의 끝면과 동일위치에 형성된 제1우측부(234-1)와, 상기 제1우측부(234-1)의 배면으로 제1우측부(234-1)보다 안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제2우측 내입부(234-2)가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 볼트 결합된 개폐대(141)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대(141)는 상기 설치대(110)의 정면에 마련된 개폐실린더(142)의 실린더 로드(143)와 힌지(H)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실린더(142)와 연결되어 작동케 하는 작동부(미도시)에 의해작업자가 조작하여 개폐실린더(142)를 작동시키면 상기 개폐실린더(142)의 실린더 로드(143)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부 끝단에 힌지(H) 결합된 상기 개폐대(141)를 들어 올려 상기 덮개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10)의 내부를 개봉되게 한다.
또한, 상기 덮개플레이트(140)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에는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60)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의 외벽 상부측으로 다수개 부착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단부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161a)을 갖는 패드(161)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뒷면과 양측면에는 상기 패드(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결합된 고정대(162)와, 상기 고정대(162)의 하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패드(161)의 경사면(161a)을 따라 구르는 볼(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덮개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20) 상부를 덮은 후에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수단(17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170)은 상기 설치대(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71)과, 상기 회전축(171)과 결합되며 상부측 측면이 개방되도록 내입된 홈이 형성된 걸림부재(17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170)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후면에 결합되며, 하부측에는 상기 걸림부재(172)의 홈에 삽입되는 걸림축(173)이 형성된 잠금대(1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대(174)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후면에 결합된 고정대(16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대(162)의 볼(163) 하부측에 상기 걸림축(17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플레이트(140)가 닫히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걸림부재(172)를 회전시켜 걸림부재(172) 홈에 상기 걸림축(17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을 제작하는 제작 방법은,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 단계(S110)와,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판(130)에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이 보이도록 구비하는 단계(S13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재(230)를 포설하는 단계(S140)와, 상기 단열재(230) 포설된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 필름(240)을 구비하는 단계(S15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로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은 후, 일정시간 동안 단열재(230)를 양성하는 단계(S16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열고 상기 하판(130)을 상부로 이송시켜 완성된 마감패널(200)의 품질을 검사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 단계(S110)에서, 상기 마감판(210)은 사각판 형상의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가 결합되어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부재(211)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판(210)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형틀판(123)의 평면부(12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감판(210)의 상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1)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220,220-1)과 대칭을 이루되,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2)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한편, 상기 마감판(210)이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로 결합되어 상기 하판(130)에 구비될 때, 상기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부재(211)와 상기 하판(130) 사이에 받침목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마감판(210)에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조 장비 110 : 설치대
120 : 형틀 130 : 하판
140 : 덮개플레이트 150 : 경첩
160 : 고정수단 170 : 잠금수단
200 : 마감패널 210 : 마감판
220 : 프레임 230 : 단열판
240 : 단열 필름

Claims (9)

  1. 건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기능을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에 있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 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 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 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 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대(110)는 사각형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받침대(111)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111)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하판(130)이 구비되되,
    상기 형틀(120)은, 상기 받침대(111)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동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다수의 형틀판이며,
    이때 상기 형틀판은,
    상기 받침판의 후방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2형틀판(124)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일측 끝면이 상기 제2형틀판(124)과 접하는 제3,4형틀판(125,126)과,
    상기 받침판의 전방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양측 끝면이 각각 상기 제3,4 형틀판(125,126)과 접하는 제1형틀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형틀판(123)은 상기 받침대(111)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은 상기 받침대(111)와 각각 경첩(150)으로 결합되어 형틀(120)의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형틀판(123,124) 과 제3,4형틀판(125,126) 중 하나의 형틀판 내벽에는 형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120)의 외측으로 내입된 내입부가 형성될 때,
    상기 내입부가 형성된 형틀판과 마주하는 형틀판 내벽에는 상기 내입부와 대응되도록 형틀(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형틀판(123) 내벽에는 내입되거나 돌출되지 않은 평면부(12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플레이트(140)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에는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60)이 각각 마련되되,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의 외벽 상부측으로 다수개 부착되고, 상단부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161a)을 갖는 패드(161)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뒷면과 양측면에는 상기 패드(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결합된 고정대(162)와,
    상기 고정대(162)의 하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패드(161)의 경사면(161a)을 따라 구르는 볼(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6. 제1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의 건물내외장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을 제작하는 제작 방법은,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 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판(130)에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이 보이도록 구비하는 단계; 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재(230)를 포설하는 단계; 와,
    상기 단열재(230) 포설된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 필름(240)을 구비하는 단계; 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로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은 후, 일정시간 동안 단열재(230)를 양성하는 단계; 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열고 상기 하판(130)을 상부로 이송시켜 완성된 마감패널(200)의 품질을 검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에서,
    상기 마감판(210)은 사각판 형상의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가 결합되어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부재(211)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판(210)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형틀판(123)의 평면부(12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감판(210)의 상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1)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220,220-1)과 대칭을 이루되,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2)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210)이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로 결합되어 상기 하판(130)에 구비될 때,
    상기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부재(211)와 상기 하판(130) 사이에 받침목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마감판(210)에는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70099519A 2017-08-07 2017-08-07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2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19A KR102027989B1 (ko) 2017-08-07 2017-08-07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19A KR102027989B1 (ko) 2017-08-07 2017-08-07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157A KR20190016157A (ko) 2019-02-18
KR102027989B1 true KR102027989B1 (ko) 2019-10-04

Family

ID=6556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519A KR102027989B1 (ko) 2017-08-07 2017-08-07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9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98B1 (ko) 2020-01-23 2020-10-23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단열 재료의 충전 공법을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4283B1 (ko) 2020-09-16 2021-04-27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을 갖는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2340483B1 (ko) 2020-09-17 2021-12-20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Bipv전용 준불연 단열패널을 활용한 건물일체형 태양발전 시스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282B1 (ko) * 2020-09-16 2021-04-27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760B1 (ko) *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1044B2 (ja) * 1995-08-03 1997-08-13 金山化成株式会社 発泡樹脂成型機および発泡樹脂成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760B1 (ko) *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98B1 (ko) 2020-01-23 2020-10-23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단열 재료의 충전 공법을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4283B1 (ko) 2020-09-16 2021-04-27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을 갖는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2340483B1 (ko) 2020-09-17 2021-12-20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Bipv전용 준불연 단열패널을 활용한 건물일체형 태양발전 시스템 시공방법
KR20220037331A (ko)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건물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157A (ko) 201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89B1 (ko)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1023964B1 (ko) 단열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마감구조
EA032659B1 (ru) Оконная рама с центральным подвесом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861016B1 (ko) 건축용 기능성 마감패널
US3605352A (en) Bathtub and shower surround
US20060277834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partition walls
KR20140022946A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1808504B1 (ko)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CN109071175A (zh) 电梯轿厢的厢顶装置
KR101353096B1 (ko)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20220037331A (ko)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마감패널을 이용하여 건물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
KR102244282B1 (ko)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20220058771A (ko)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N106320628B (zh) 一种塑木平挂板及其安装连接方法和安装连接件
KR102244283B1 (ko)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을 갖는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N208508346U (zh) 一种非金属外壳预装式变电站
CN111873149A (zh) 一种瓷砖壁板加工模具、瓷砖壁板及其加工方法
KR102124412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CN214462192U (zh) 一种光影踢脚收边型材
CN108571175A (zh) 一种地板砖铺设用运输装置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CN205340041U (zh) 一种便携插装式乒乓球台
CN203066746U (zh) 节能防水防火装饰门窗洞口口套
CN216992397U (zh) 可多向调节多功能叠合板模具
RU2026778C1 (ru) Формовочный пос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ъемных бло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