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771A -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771A
KR20220058771A KR1020200143530A KR20200143530A KR20220058771A KR 20220058771 A KR20220058771 A KR 20220058771A KR 1020200143530 A KR1020200143530 A KR 1020200143530A KR 20200143530 A KR20200143530 A KR 20200143530A KR 20220058771 A KR20220058771 A KR 20220058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mbustible
manufacturing
finish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Priority to KR102020014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8771A/ko
Publication of KR2022005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 및 불연성 기능을 갖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에 있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Equipment of non-combustible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inishing Panels using the Equipment}
본 발명은 건물 내외장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 및 불연성 기능을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장단열석재 (예; 석재류, 테라코타류, 알루미늄판넬류, 타일류, 벽돌류, 유리류 등)의 제조시에 안쪽면에 불연판을 부착하여 불연성능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건물 내외장재의 마감재는 석재류, 테라코타류, 알루미늄판넬류, 타일류, 벽돌류, 유리 류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과 같은 건물의 내외장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마감재로, 이러한 마감재는 사각판형으로 가공 제작된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과 같은 천연석재 또는 석재류, 테라코타류, 알루미늄판넬류, 타일류, 벽돌류, 유리류 등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감재인 천연석재 또는 석재류, 테라코타류, 알루미늄판넬류, 타일류, 벽돌류, 유리류 등은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건물의 외관을 고급스럽게 하고 있다.
그러나 마감재중에서 석재류는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을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사각 형태로 가공하는 것으로, 중량이 무거워 사용되는 고정 장치의 개수가 증가되고 구조적인 안전성에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마감재는 외관상 수려하지만 단열 및 불연 효과가 없어 건물 내의 온기나 냉기를 보호하지 못하고, 화재로 인한 큰 피해를 보고 있어 단열 및 불연 효과를 갖는 천연석재 마감패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341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679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4094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0-00225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 및 불연성을 갖는 건물 내외장재용 마감패널을 제조함으로써, 미관성, 내구성, 내연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 및 불연성 기능을 갖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에 있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형틀(120)은 상기 설치대(110)의 전방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1형틀판(123)과, 상기 설치대(110)의 후방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형틀판(123)과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2형틀판(124)과, 상기 설치대(110)의 우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형틀판(123)과 제2형틀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3형틀판(125)과, 상기 설치대(110)의 좌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형틀판(123)과 제2형틀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4형틀판(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형틀판(123)은 상기 받침대(111)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은 상기 받침대(111)와 각각 경첩(150)으로 결합되어 형틀(120)의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을 제작하는 제작 방법은,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S110)와,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와, 상기 마감패널(200)에 상기 마감판(210)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불연판재(240)를 준비하는 단계(S13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판(130)에 상기 프레임(220)이 부착된 마감판(210)을 구비하는 단계(S14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재(230)를 포설하는 단계(S150)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상기 불연판재(240)를 부착하는 단계(S16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로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은 후, 일정시간 동안 단열재(230)를 양성하는 단계(S17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열고 상기 하판(130)을 상부로 이송시켜 완성된 마감패널(200)의 품질을 검사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에서, 상기 마감판(210)은 사각판 형상의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가 결합되어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부재(211)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판(210)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형틀판(123)의 평면부(12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감판(210)의 상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1)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220,220-1)과 대칭을 이루되,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2)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상기 불연판재(240)를 밀착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형성된 진공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진공패드의 석션(suction)에 의해 상기 불연판재를 상기 덮개 플레이트의 안쪽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불연판재(240)의 측면에서 상기 제3형틀(125) 또는 제4형틀(126)의 상단부에 형성된 클램프이되, 상기 클램프에 의해 상기 불연판재(240)의 측면을 홀딩하여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불연판재(240)는 산화칼슘(CaO)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형분말제에 결정질 실리카(Crystalline Silica)와 천연유기섬유(Natural Organic Fiber) 및 기타 비유해 성분을 갖는 필러들을 믹싱하여 제조한다.
상기 고형분말제는 산화칼륨 100 중량부에 대해 이산화규소(SiO2) 30 내지 45 중량부이고, 알루미늄 산화물(AI2O3) 10 내지 15중량부, 산화철(Fe2O3) 2 내지 8중량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형분말제는 산호칼륨 100 중량부에 대해 산화마그네슘(MgO) 2 내지 5중량부, 산화나트륨(NaO) 1 내지 3중량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형분말제를 100중량부로 했을 때 결정질 실리카(Crystalline Silica)는 70 내지 100 중량부, 천연유기섬유(Natural Organic Fiber)는 10 내지 30중량부를 갖는다.
이때 상기 고형분말제와 사이 결정질 실리카 및 천연유기섬유를 물과 혼합하여 1만톤으로 가압한 후 양생과정을 통해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상기 불연판재는 상기 마감판과 대응되는 부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210)과 마주보는 불연판재(240)의 안쪽면에는 상기 단열재가 양생 완료되었을 때 탈락을 방지시키는 탈락방지 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탈락방지부재는 윗판과 아래판과 상기 윗판과 아래판을 연결하는 축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윗판과 아래판의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탈락방지부재의 상기 위판과 상기 아래판은 원형으로 직경이 D1 이며, 상기 축부재도 원형으로 직경이 D2라 할 때 D1은 D2에 비해 4배 내지 8배 이며, 상기 위판을 상기 불연판재의 안쪽면에 다수가 부착한 후에 상기 단열재로 양생함에 따라 상기 단열재에 상기 축부재와 상기 아래판이 결합되어 상기 불연판재와 상기 단열재가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210)과 상기 불연판재(240)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판(210)과 상기 불연판재(240)의 사이에 단열재(230)를 형성시켜 제조한 불연성 마감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재료의 수려함과 단열 및 불연 기능을 동시에 갖으며, 불연판재를 구비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가 개방된 형틀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마감패널 제조 장비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에 불연판재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홀딩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탈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의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부재로 이루어진 단열 마감패널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마감패널 제조 장비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가 개방된 형틀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불연성 마감패널 제조 장비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플레이트에 불연판재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홀딩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탈락방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마감패널의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부재로 이루어진 단열 마감패널들의 사시도이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100)는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형틀(120)은 상기 설치대(110)의 전방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1형틀판(123)과, 상기 설치대(110)의 후방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형틀판(123)과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2형틀판(124)과, 상기 설치대(110)의 우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형틀판(123)과 제2형틀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3형틀판(125)과, 상기 설치대(110)의 좌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형틀판(123)과 제2형틀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4형틀판(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설치대(110)는 사각형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받침대(111)로 이루어져 상기 받침대(111)의 내측 공간으로 상기 하판(1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형틀(120)은 상기 받침대(111)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동일한 두께와 높이를 갖는 형틀판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장치는 하판이송실린더(미도시)와, 상기 하판이송실린더의 실린더 로드(131)가 상기 설치대(110)의 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하판(13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판(130)이 상하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1형틀판(123)은 상기 받침대(111)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은 상기 받침대(111)와 각각 경첩(150)으로 결합되어 형틀(120)의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2형틀판(123,124)과 제3,4형틀판(125,126) 중 하나의 형틀판 내벽에는 형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틀(120)의 외측으로 내입된 내입부가 형성될 때, 상기 내입부가 형성된 형틀판과 마주하는 형틀판 내벽에는 상기 내입부와 대응되도록 형틀(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형틀판(123) 내벽에는 내입되거나 돌출되지 않은 평면부(12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형틀판(123)의 내벽에는 제1형틀판(1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형틀판(123)의 외측으로 내입된 제1내입부(123-1)와, 상기 제1내입부(123-1)의 상단에서 상기 제1형틀판(123)의 상단까지 제1내입부(123-1)보다 내입된 제2내입(123-2)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형틀판(123)의 내벽은 내입되지 않은 평면부(123-3)가 제1형틀판(123)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123-3)를 제외한 부분에서 제1형틀판(123)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내입부(123-1) 및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형틀판(124)의 내벽에는 상기 제1형틀판(123)의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2형틀판(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형틀판(124)의 상단까지 제2형틀판(124)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12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형틀판(125)의 내벽에는 상기 제1형틀판(123)의 제1내입부(123-1)와 제2내입부(123-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3형틀판(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형틀판(125)의 외측으로 내입된 제3내입부(125-1)와 제4내입부(12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형틀판(126)의 내벽에는 상기 제3형틀판(125)의 제4내입부(125-2)가 형성된 동일 높이에서 제4형틀판(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4형틀판(126)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126-1)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100)에 의해 제작된 마감패널(200)은 마감판(210)과,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 상부측에 각각 부착된 프레임(220)과,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으로 양생된 단열판(230)과, 상기 단열판(230)의 배면에 부착된 불연판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형틀판 내벽에 형성된 내입부와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열판(230)은 단열판(230)의 상단부 끝면이 상기 마감판(210)의 상단부의 끝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상단 돌출부(231-1)와, 상기 제1상단 돌출부(231-1)의 배면으로 제1상단 돌출부(231-1) 보다 더 돌출된 제2상단 돌출부(2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형틀판(123) 내벽에 형성된 평면부(123-3)에 의해서 상기 단열판(230)의 끝면이 상기 마감판(210)의 끝면과 동일한 안착홈(2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좌측면의 끝면은 상기 마감판(210)의 좌측면의 끝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좌측 돌출부(233-1)와, 상기 제1좌측 돌출부(233-1)의 배면으로 제1좌측 돌출부(233-1) 보다 더 돌출된 제2좌측 돌출부(23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하단부의 끝면은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의 끝면과 동일위치에 형성된 제1하단부(232-1)와, 상기 제1하단부(232-1)의 배면으로 제1하단부(232-1)보다 안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제2하단 내입부(23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판(230)은 단열판(230)의 우측면의 끝면은 상기 마감판(210)의 우측부의 끝면과 동일위치에 형성된 제1우측부(234-1)와, 상기 제1우측부(234-1)의 배면으로 제1우측부(234-1)보다 안쪽으로 단차가 형성된 제2우측 내입부(234-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 볼트 결합된 개폐대(141)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대(141)는 상기 설치대(110)의 정면에 마련된 개폐실린더(142)의 실린더 로드(143)와 힌지(H)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실린더(142)와 연결되어 작동케 하는 작동부(미도시)에 의해작업자가 조작하여 개폐실린더(142)를 작동시키면 상기 개폐실린더(142)의 실린더 로드(143)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그 상부 끝단에 힌지(H) 결합된 상기 개폐대(141)를 들어 올려 상기 덮개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10)의 내부를 개봉되게 한다.
또한, 상기 덮개플레이트(140)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에는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60)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기 제 2,3,4 형틀판(124,125,126)의 외벽 상부측으로 다수개 부착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160)은 상단부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161a)을 갖는 패드(161)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뒷면과 양측면에는 상기 패드(16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결합된 고정대(162)와, 상기 고정대(162)의 하부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을 때, 상기 패드(161)의 경사면(161a)을 따라 구르는 볼(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덮개플레이트(140)가 상기 형틀(120) 상부를 덮은 후에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수단(17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170)은 상기 설치대(11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71)과, 상기 회전축(171)과 결합되며 상부측 측면이 개방되도록 내입된 홈이 형성된 걸림부재(17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170)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후면에 결합되며, 하부측에는 상기 걸림부재(172)의 홈에 삽입되는 걸림축(173)이 형성된 잠금대(17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금대(174)는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후면에 결합된 고정대(16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대(162)의 볼(163) 하부측에 상기 걸림축(17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플레이트(140)가 닫히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 걸림부재(172)를 회전시켜 걸림부재(172) 홈에 상기 걸림축(17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을 제작하는 제작 방법은,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S110)와,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와, 상기 마감패널(200)에 상기 마감판(210)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불연판재(240)를 준비하는 단계(S13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판(130)에 상기 프레임(220)이 부착된 마감판(210)을 구비하는 단계(S14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재(230)를 포설하는 단계(S150)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상기 불연판재(240)를 부착하는 단계(S16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로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은 후, 일정시간 동안 단열재(230)를 양성하는 단계(S17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열고 상기 하판(130)을 상부로 이송시켜 완성된 마감패널(200)의 품질을 검사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S110)에서, 상기 마감판(210)은 사각판 형상의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가 결합되어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부재(211)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판(210)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형틀판(123)의 평면부(12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감판(210)의 상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1)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상기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220,220-1)과 대칭을 이루되,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2)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 다.
또한,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상기 불연판재(240)를 밀착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형성된 진공패드(300)를 구비하여 상기 진공패드(300)의 석션(suction)(310)에 의해 상기 불연판재(240)를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불연판재(240)의 측면에서 상기 제3형틀(125) 또는 제4형틀(126)의 상단부에 형성된 클램프이되, 상기 클램프에 의해 상기 불연판재(240)의 측면을 홀딩하여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밀착시킨다.
즉 상기 불연판재(240)를 상기 덮개플레이트(150)의 안쪽면에 밀착시킴으로서 단열재가 양생될 때 상기 불연판재(2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연판재(240)는 셀룰로스 섬유와 포틀랜드 시멘트, 규사를 물과 배합하여 1만톤으로 가압한 후 양생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또한, 상기 불연판재(240)는 셀룰로스 섬유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틀랜드시멘트는 30 내지 50중량부이고 상기 규사는 5 내지 10 중량부 이다.
즉, 프틀랜드시멘트 30 중량부 이하 인 경우는 결합성능이 떨어져 강도가 약하고, 50중량부이상일 경우 강도는 충분하나 고가이기 때문에 프틀랜드시멘트는 30 내지 50중량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규사는 다공성의 물질로 물을 통과시키는 투수력이 튀어나 5 중량부이하인 경우는 물을 통과시키는 투수력이 좋지 않고 10중량부 이상일 경우는 투수력을 좋으나,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규사는 5 내지 10 중량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판(210)과 마주보는 불연판재(240)의 안쪽면에는 상기 단열재가 양생 완료되었을 때 탈락을 방지시키는 탈락방지 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탈락방지부재는 윗판(410)과 아래판(420)과 상기 윗판(410)과 아래판(420)을 연결하는 축부재(430)로 형성되며, 상기 윗판(410)과 아래판(420)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탈락방지부재의 상기 위판(410)과 상기 아래판(420)은 원형으로 직경이 D1 이며, 상기 축부재(430)도 원형으로 직경이 D2라 할 때 D1은 D2에 비해 4배 내지 8배 이며, 상기 위판을 상기 불연판재의 안쪽면에 다수가 부착한 후에 상기 단열재로 양생함에 따라 상기 단열재에 상기 축부재와 상기 아래판이 결합되어 상기 불연판재(240)와 상기 단열재가 밀착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제조 장비 110 : 설치대
120 : 형틀 130 : 하판
140 : 덮개플레이트 150 : 경첩
160 : 고정수단 170 : 잠금수단
200 : 마감패널 210 : 마감판
220 : 프레임 230 : 단열판
240 : 불연판재 300 : 진공패드
310 : 석션(suction) 410 : 윗판
420 : 아래판 430 : 축부재

Claims (10)

  1. 건물 내외장 벽체에 종횡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단열 및 불연성 기능을 갖는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에 있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설치대(110); 와,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내부로 성형공간이 마련된 형틀(120); 과,
    상기 설치대(110) 하부측에 마련된 피스톤 장치에 의해 상기 형틀(120)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하판(130); 과,
    상기 설치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플레이트(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120)은,
    상기 설치대(110)의 전방측 테두리에 구비된 제1형틀판(123)과,
    상기 설치대(110)의 후방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제1형틀판(123)과 마주보도록 구비된 제2형틀판(124)과,
    상기 설치대(110)의 우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형틀판(123)과 제2형틀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3형틀판(125)과,
    상기 설치대(110)의 좌측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형틀판(123)과 제2형틀판(124) 사이에 구비된 제4형틀판(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형틀판(123)은 상기 받침대(111)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3,4 형틀판(124,125,126)은 상기 받침대(111)와 각각 경첩(150)으로 결합되어 형틀(120)의 외측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를 이용하여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을 제작하는 제작 방법은,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S110)와,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와,
    상기 마감패널(200)에 상기 마감판(210)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불연판재(240)를 준비하는 단계(S13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판(130)에 상기 프레임(220)이 부착된 마감판(210)을 구비하는 단계(S140)와,
    상기 하판(130)을 형틀(120)의 하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마감판(210)의 배면에 단열재(230)를 포설하는 단계(S150)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상기 불연판재(240)를 부착하는 단계(S16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로 상기 형틀(120)의 상부를 덮은 후, 일정시간 동안 단열재(230)를 양성하는 단계(S17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140)를 열고 상기 하판(130)을 상부로 이송시켜 완성된 마감패널(200)의 품질을 검사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형성단계(S110)에서, 상기 마감판(210)은 사각판 형상의 단일부재로 구비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둘 이상의 단위부재(211)가 결합되어 사각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단위부재(211)는 다양한 질감 및 색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판(210)에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200)의 마감판(210) 배면에 프레임(220)을 부착하는 단계(S120)에서, 상기 프레임(220)은 상기 제1 형틀판(123)의 평면부(123-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마감판(210)의 상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1)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상단부에 부착된 프레임(220,220-1)과 대칭을 이루되, 상기 마감판(210)의 하단부 끝면과 프레임(220,220-2)의 상단부 끝면이 일치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상기 불연판재(240)를 밀착하기 위한 홀딩수단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형성된 진공패드(300)를 구비하여 상기 진공패드(300)의 석션(suction)(310)에 의해 상기 불연판재(240)를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불연판재(240)의 측면에서 상기 제3형틀(125) 또는 제4형틀(126)의 상단부에 형성된 클램프이되, 상기 클램프에 의해 상기 불연판재(240)의 측면을 홀딩하여 상기 덮개 플레이트(140)의 안쪽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판재(240)는 산화칼슘(CaO)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형분말제에 결정질 실리카(Crystalline Silica)와 천연유기섬유(Natural Organic Fiber) 및 기타 비유해 성분을 갖는 필러들을 믹싱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말제는 산화칼륨 100 중량부에 대해 이산화규소(SiO2) 30 내지 45 중량부이고, 알루미늄 산화물(AI2O3) 10 내지 15중량부, 산화철(Fe2O3) 2 내지 8중량부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200143530A 2020-10-30 2020-10-30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20220058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30A KR20220058771A (ko) 2020-10-30 2020-10-30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530A KR20220058771A (ko) 2020-10-30 2020-10-30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771A true KR20220058771A (ko) 2022-05-10

Family

ID=8159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530A KR20220058771A (ko) 2020-10-30 2020-10-30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8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222B1 (ko) * 2023-08-28 2024-01-19 스톤엔지니어링(주) 불연복합 단열패널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43B1 (ko) 2014-04-07 2014-09-17 박동원 건축 내외장용 불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995B1 (ko) 2016-06-17 2017-08-16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초경량 구조와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마감패널
KR102034184B1 (ko) 2016-06-17 2019-10-21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건물 외장벽체 마감용 마감패널의 시공방법
KR20200022559A (ko)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한별 친환경 칼라골재를 이용한 일체형 불연성 건축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43B1 (ko) 2014-04-07 2014-09-17 박동원 건축 내외장용 불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995B1 (ko) 2016-06-17 2017-08-16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초경량 구조와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마감패널
KR102034184B1 (ko) 2016-06-17 2019-10-21 주식회사 신세계에스앤씨 건물 외장벽체 마감용 마감패널의 시공방법
KR20200022559A (ko)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한별 친환경 칼라골재를 이용한 일체형 불연성 건축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222B1 (ko) * 2023-08-28 2024-01-19 스톤엔지니어링(주) 불연복합 단열패널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0902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monolithic architectural cementitious structures having decorative aggregate-containing cementitious surfaces
CN111732425B (zh) 发泡陶瓷保温装饰板的制备方法及发泡陶瓷保温装饰板
IL147860A0 (en) Compound tile having a natural stone visible face, and fabrication process
CN101954764A (zh) 具有小孔径的坚固的高密度泡沫体玻璃瓷砖
KR20220058771A (ko) 불연판재를 적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27989B1 (ko) 건물 내외장재용 단열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N107254935A (zh) 一种装配式外墙板及其制备方法
CN206903053U (zh) 一种装配式外墙板
CN106083129B (zh) 轻质仿石材保温饰面板的制备方法及其产品
CN201679111U (zh) 外墙外保温现浇泡沫混凝土结构
KR102244282B1 (ko)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N112643855A (zh) 一种现浇uhpc复合的保温装饰复合板及其制作方法
KR20040040227A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및 제조방법
CN105040934A (zh) 一种a级防火金属装饰保温板及其生产工艺
CN102561629B (zh) 一种建筑防火保温装饰板的生产方法及生产模具
KR102244283B1 (ko) 건물 내외장재용 불연성 마감패널의 제조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기계적 결합을 갖는 마감패널의 제조 방법
CN206127131U (zh) 一种钢化玻璃基陶瓷板
GB2447858A (en) A building block
CN219544217U (zh) 一种人造复合板材结构及其生产装置
KR200234869Y1 (ko) 벽돌 외장용 패널
CN109592887A (zh) 一种微晶石板热弯工艺和异型热弯炉
CN215254181U (zh) 一种高强度具备抗打击能力的瓷砖
CN114232926B (zh) 一种保温复合石材墙面材料的干挂式墙面设计结构
CN217379579U (zh) 一种基于外保温外墙主题雕刻抹灰的墙体结构
CN215978182U (zh)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阴角墙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