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269B1 - 보도블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보도블록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269B1
KR102451269B1 KR1020220022868A KR20220022868A KR102451269B1 KR 102451269 B1 KR102451269 B1 KR 102451269B1 KR 1020220022868 A KR1020220022868 A KR 1020220022868A KR 20220022868 A KR20220022868 A KR 20220022868A KR 102451269 B1 KR102451269 B1 KR 10245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center
plate
block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재근
Original Assignee
태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재근 filed Critical 태재근
Priority to KR102022002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on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록탈형부(700)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정위치될 때 클램프(70)로서 보도블록(90)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E10)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을 가능케 하여 보도블록(90)의 센터링 정확도 불량, 시간 과다 소요, 부하 가중 등을 없애 수명한계, 구조복잡 및 설계단가상승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즉 클램프(70)로서 보도블록(90)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E10)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으로 보도블록(90)의 탈형 및 토스 공정을 신속하게 실현케 하여 간소 간단한 작업을 통한 생산성을 보장케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보도블록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IDEWALK BLOCK}
본 발명은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금형전용판으로 하여금 하부금형에 안착되어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짓도록 하는 반면 이송전용판으로 하여금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하부금형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을 리시버로 받아내어 보도블록컨베이어를 따라 팔레트에 실리면서 건조실 및 양생실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설비의 생산성 및 보도블록의 양산성 나아가 보도블록 제작시의 불량률 저하와 같은 현저한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인도나 공원 또는 도로가 등에 설치되어 보행의 안전과 더불어 빗물이나 눈으로부터의 청결을 도모하면서 도시미관을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5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7760호)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5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양산된 투수블록(9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400)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업테이블(100)과, 금형(400) 내에 메인골재(910)를 공급하는 1차 공급부(210) 및 1차 공급탱크(230)와, 메인골재(910)를 1차 다짐하는 1차 다짐부(310)와, 몰탈죽(920)을 공급하는 2차 공급부(220) 및 2차 공급탱크(240)와, 몰탈죽(920)을 다짐하는 2차 다짐부(320)와, 금형(400) 내에서 성형된 투수블록을 이송시키는 클램핑부(500)와, 클램핑부(500)로부터 이송된 투수블록을 이송시키는 이송부(600)와, 완성된 투수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부(800)와, 이송부(600)에서 이송된 투수블록(900)을 승강시켜 보관부(800)에 적재하는 승강적재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5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클램핑부(500)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5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클램핑부(500)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500)는 투수블록(900)을 가압하는 클램퍼(510)와, 클램퍼(510)를 구동시키는 클램핑수단(520)과, 클램퍼(5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퍼 이동수단(540)과, 클램퍼(510)를 승하강시키는 클램퍼 승강수단(530)과, 투수블록(900)을 승강시키는 제3하부 승강수단(550)과, 제3하부 승강수단(550)을 구동시키는 제3하부 구동수단(560)을 포함한다.
클램퍼(510)는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암으로 형성되어 클램핑수단(520)의 작동에 따라서 상호 대향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3하부 승강수단(550)에 의하여 승강된 투수블록(900)을 가압 및 해제한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의 첫 번째 문제점은 메인골재(910) 및 몰탈죽(920)으로 된 투수블록(900)을 양측면에서 클램퍼(510)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투수블록(900)이 건조 및 양생되지 않고 오직 압착된 상태의 클램핑으로 인하여 투수블록(900)이 쉽게 부서져 이송불량 및 양산불량을 빈번하게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클랭핑수단(520)은 클램퍼(510)를 지지하는 지지판넬(523)을 포함하고, 지지판넬(523)은 상측에서 클램퍼 승강수단(530)이 연결되는 상판(523a)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된 절곡판(523b)을 구비한다.
클램핑수단(520)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제어 및/또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클램퍼(5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클램퍼 승강수단(530)은 지지판넬(523)의 상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승강축(533)과, 승강축(533)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승강판넬(532)과, 승강판넬(532)에서 하향 연장되어 지지판넬(523)에 연결되는 연결봉(531)을 포함한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의 두 번째 문제점은 승강수단(530)에 의하여 승강축(533)을 따라 지지판넬(523)을 비롯한 클램퍼(40) 및 클램핑수단(520) 전체가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기간이 오래될 경우 투수블록(900)을 중심에 두고 센터링하는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 상승 및 전체 하강의 구조로서 연속동작시의 승강시간이 단계적으로 더 소요되어 투수블록(900)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전체 상승 및 전체 하강의 구조로서 승강수단(530)에 미치는 부하가 상당하여 수명한계, 구조복잡 및 설계단가상승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낳고 있다[클램퍼(40)의 단계별 동작이 많을수록 복잡한 구성 및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승강판넬(532)은 볼스크류 방식으로 승강축(533)과 체결되어 승강된다. 이때, 지지판넬(523)은 연결봉(531)을 통하여 승강판넬(532)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클램퍼(510) 및 클램핑수단(520)은 승강판넬(532)과 연동하여 승하강된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의 세 번째 문제점은 승강판넬(532)이 승강축(533)을 따라 볼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된 상태로 승강되어 지지판넬(523)을 비롯한 클램퍼(40) 및 클램핑수단(520) 전체의 승강속도가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클램퍼(40) 및 클램핑수단(520)의 흔들림으로 투수블록(900)의 클램핑시 센터링이 어려운 한계를 안고 있다.
결국,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방치에 대한 다수의 문제점 및 여러 단점을 일거에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더욱 진보 발전시킨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77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101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782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781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781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391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금형전용판으로 하여금 하부금형에 안착되어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짓도록 하는 반면 이송전용판으로 하여금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하부금형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을 리시버로 받아내어 보도블록컨베이어를 따라 팔레트에 실리면서 건조실 및 양생실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설비의 생산성 및 보도블록의 양산성 나아가 보도블록 제작시의 불량률 저하와 같은 현저한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블록트랜스퍼부의 보도블록컨베이어 사이에 리시빙승강실린더를 마련함과 동시에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보도블록이 탈형될 때 리시빙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전용판공급부로부터 이송전용판을 순차 공급받은 후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토스된 보도블록이 이송전용판에 놓여질 경우 리시빙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면서 이송전용판을 보도블록컨베이어로 순차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하부금형에 안착된 하부금형전용판과 다른 이송전용판으로 보도블록을 토스받아 보도블록컨베이어를 경유하여 건조실 및 양생실로 신속 간단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전용판공급부가 리시버를 향해, 즉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의 리시빙승강받침대를 향해 이송전용판을 순차적으로 공급토록 하여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탈형된 보도블록을 정확한 타이밍에 토스받을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모르타르공급부, 건식다짐부, 습식모르타르공급부, 모르타르압착부 및 보도블록탈형부를 경유하는 순차 과정에서 건식모르타르 및 습식모르타르의 압착에 의해 하부금형 내의 하부금형전용판이 오염될 경우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한 탈형시 보도블록이 하부금형전용판의 표면에 달라붙어 깨지는 현상을 클리닝부의 브러시로 브러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 탈형시 불량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지을 때 하부금형전용판의 돌출라인에 대응하는 오목라인이 형성되도록 하여 우천시 보도블록의 하면에서의 물의 안내로로서 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으로의 우수의 침투를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블록탈형부에서 센터모터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에 의한 하부금형이 정위치될 때 클램프로서 보도블록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을 가능케 하여 보도블록의 센터링 정확도 불량, 시간 과다 소요, 부하 가중 등을 없애 수명한계, 구조복잡 및 설계단가상승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로서 보도블록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으로 보도블록의 탈형 및 토스 공정을 신속하게 실현케 하여 간소 간단한 작업을 통한 생산성을 보장케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로 하여금 하부금형으로부터 리시버에 놓여진 이송전용판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수평선상으로 외내향 수평 직진되도록 하여 신속 간소한 공정에 의한 생산성 강화 및 불량률 감소 등을 철저하게 보장케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로 하여금 언더고정프레임의 좌우측에 고정된 좌우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수축 및 확장토록 하여 보도블록의 좌우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할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로 하여금 언더고정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세워진 센터승강실린더에 의해 센터승강프레임과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외내향 수평 직진시 하부금형으로부터 상승된 보도블록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블록탈형부에 정위치된 보도블록의 전후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토록 하여 최소화된 동작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도블록의 탈형 및 토스를 가능케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터승강실린더로 하여금 클램프가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을 상승시키는 반면 클램프가 보도블록을 파지 및 해제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의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시의 보도블록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의 파지 및 해제시의 정확도를 철저하게 보장케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방향양측폴과 더불어 좌우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의 수축 및 확장으로 보도블록의 좌우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후방향양측폴과 더불어 전후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의 수축 및 확장으로 보도블록의 전후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의 좌우측면 및 전후측면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 견고하게 동시 클램핑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방향동기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중심실린더의 수축 및 확장시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로 하여금 좌우방향양측폴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동기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중심실린더의 수축 및 확장시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로 하여금 전후방향양측폴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켜, 보도블록의 좌우측면 및 전후측면을 동기화된 타이밍과 동기호된 폭으로 파지 및 해제토록 하여 보도블록의 클램핑시 깨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는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가 좌우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때 언더중심바의 정역 원호회전에 따른 언더일단링크바 및 언더타단링크바로 하여금 서로 안쪽으로 또는 서로 바깥쪽으로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를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가 전후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때 센터중심바의 정역 원호회전에 따른 센터일단링크바 및 센터타단링크바로 하여금 서로 안쪽으로 또는 서로 바깥쪽으로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를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의 좌우측면 및 전후측면을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파지 또는 해제토록 하여 클램핑시의 보도블록의 파손을 철저히 없앨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에 결합된 양측링크소켓의 회전에 따른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보도블록의 파지시 최적화된 압력을 보장토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의 파지압력 나아가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의 파지압력을 최적화시켜 보도블록의 클램핑시의 파손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한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어퍼바디 및 언더바디 사이에서 센터모터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따라 건식모르타르공급부, 건식다짐부, 습식모르타르공급부, 모르타르압착부 및 보도블록탈형부를 향하여 순차 정위치되어 보도블록을 완성시키는 하부금형들을 각각 수용한 금형홀들을 방사상으로 지닌 턴테이블과;
상기 하부금형에 안착되어 상기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금형전용판과;
상기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상기 보도블록을 받아내는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로부터 상기 보도블록을 이송받아 팔레트로 탑재시키는 보도블록컨베이어를 지닌 보도블록트랜스퍼부와;
상기 리시버에 놓여져 상기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순차 탈형 토스된 상기 보도블록을 받쳐준 후 상기 보도블록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팔레트로 탑재되는 이송전용판과;
상기 리시버로 상기 이송전용판을 순차 공급하는 이송전용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금형전용판으로 하여금 하부금형에 안착되어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짓도록 하는 반면 이송전용판으로 하여금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하부금형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을 리시버로 받아내어 보도블록컨베이어를 따라 팔레트에 실리면서 건조실 및 양생실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설비의 생산성 및 보도블록의 양산성 나아가 보도블록 제작시의 불량률 저하와 같은 현저한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트랜스퍼부의 보도블록컨베이어 사이에 리시빙승강실린더를 마련함과 동시에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보도블록이 탈형될 때 리시빙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전용판공급부로부터 이송전용판을 순차 공급받은 후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토스된 보도블록이 이송전용판에 놓여질 경우 리시빙승강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면서 이송전용판을 보도블록컨베이어로 순차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하부금형에 안착된 하부금형전용판과 다른 이송전용판으로 보도블록을 토스받아 보도블록컨베이어를 경유하여 건조실 및 양생실로 신속 간단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전용판공급부가 리시버를 향해, 즉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의 리시빙승강받침대를 향해 이송전용판을 순차적으로 공급토록 하여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탈형된 보도블록을 정확한 타이밍에 토스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식모르타르공급부, 건식다짐부, 습식모르타르공급부, 모르타르압착부 및 보도블록탈형부를 경유하는 순차 과정에서 건식모르타르 및 습식모르타르의 압착에 의해 하부금형 내의 하부금형전용판이 오염될 경우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한 탈형시 보도블록이 하부금형전용판의 표면에 달라붙어 깨지는 현상을 클리닝부의 브러시로 브러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 탈형시 불량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의 저면 형상을 결정지을 때 하부금형전용판의 돌출라인에 대응하는 오목라인이 형성되도록 하여 우천시 보도블록의 하면에서의 물의 안내로로서 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으로의 우수의 침투를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탈형부에서 센터모터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에 의한 하부금형이 정위치될 때 클램프로서 보도블록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을 가능케 하여 보도블록의 센터링 정확도 불량, 시간 과다 소요, 부하 가중 등을 없애 수명한계, 구조복잡 및 설계단가상승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클램프로서 보도블록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으로 보도블록의 탈형 및 토스 공정을 신속하게 실현케 하여 간소 간단한 작업을 통한 생산성을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클램프로 하여금 하부금형으로부터 리시버에 놓여진 이송전용판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수평선상으로 외내향 수평 직진되도록 하여 신속 간소한 공정에 의한 생산성 강화 및 불량률 감소 등을 철저하게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로 하여금 언더고정프레임의 좌우측에 고정된 좌우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수축 및 확장토록 하여 보도블록의 좌우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로 하여금 언더고정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세워진 센터승강실린더에 의해 센터승강프레임과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외내향 수평 직진시 하부금형으로부터 상승된 보도블록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탈형부에 정위치된 보도블록의 전후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토록 하여 최소화된 동작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도블록의 탈형 및 토스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터승강실린더로 하여금 클램프가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을 상승시키는 반면 클램프가 보도블록을 파지 및 해제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의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시의 보도블록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의 파지 및 해제시의 정확도를 철저하게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우방향양측폴과 더불어 좌우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의 수축 및 확장으로 보도블록의 좌우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후방향양측폴과 더불어 전후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의 수축 및 확장으로 보도블록의 전후측면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의 좌우측면 및 전후측면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 견고하게 동시 클램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우방향동기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중심실린더의 수축 및 확장시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로 하여금 좌우방향양측폴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동기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중심실린더의 수축 및 확장시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로 하여금 전후방향양측폴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켜, 보도블록의 좌우측면 및 전후측면을 동기화된 타이밍과 동기호된 폭으로 파지 및 해제토록 하여 보도블록의 클램핑시 깨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가 좌우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때 언더중심바의 정역 원호회전에 따른 언더일단링크바 및 언더타단링크바로 하여금 서로 안쪽으로 또는 서로 바깥쪽으로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를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가 전후방향중심실린더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때 센터중심바의 정역 원호회전에 따른 센터일단링크바 및 센터타단링크바로 하여금 서로 안쪽으로 또는 서로 바깥쪽으로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를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의 좌우측면 및 전후측면을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파지 또는 해제토록 하여 클램핑시의 보도블록의 파손을 철저히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류에 결합된 양측링크소켓의 회전에 따른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보도블록의 파지시 최적화된 압력을 보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좌측클램퍼 및 우측클램퍼의 파지압력 나아가 전측클램퍼 및 후측클램퍼의 파지압력을 최적화시켜 보도블록의 클램핑시의 파손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 중 하부형틀로부터 유동베이스가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건식다짐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모르타르압착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모르타르압착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이 보도블록탈형부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보도블록탈형부에 의해 하부금형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을 받아내는 리시버로부터 보도블록을 이송받아 팔레트로 탑재시키는 보도블록컨베이어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요부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보도블록탈형부 및 이송전용판공급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클리닝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전용판의 단면도(가) 및 평면도(나)를 비롯한 보도블록의 단면도(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좌우방향동기수단 및 전후방향동기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저면에서 바라본 동작도.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좌우방향동기수단 및 전후방향동기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15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양산된 투수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c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클램핑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15d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클램핑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따라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모르타르압착부(600) 및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향하여 순차 정위치되면서 보도블록(90)을 완성시키는 하부금형(80)을 각각 수용한 금형홀(T1)을 방사상으로 지닌 턴테이블(T)을 포함한다.
즉,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따라 턴테이블(T)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모르타르압착부(600) 및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향하여 순차 회전되면서 하부금형(80)을 각각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에 정위치될 경우, 예를 들어 수분을 적게 함유한 입자가 작은 자갈, 모래 및 시멘트로 조성(조성물 및 조성비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된 건식모르타르(91)를 하부금형(80)에 채운 후 건식다짐부(200)로 이동시켜 다지고, 다시 하부금형(80)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정위치될 경우, 예를 들어 충분한 물을 함유한 석분, 모래 및 시멘트로 조성(조성물 및 조성비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함)됨과 동시에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의 습식모르타르(92)를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채우고, 이어서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습식모르타르(92)를 압착시켜 수분이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상호 견고하게 압착된 보도블록(90)을 마련한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통해 탈형시켜 미 도시의 건조실 및 양생실에서 건조 및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최종 견고하게 강화된 보도블록(90)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 중 하부형틀(81)로부터 유동베이스(83)가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개방부(81a)를 지니면서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 및 전후측면(90d)[도 4a 내지 도 4c 참조]의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형틀(81)과,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수단(82)에 의해 이격 가능함과 동시에 내부쓰루홀(83a)을 지니면서 하부개방부(81a)를 커버링하는 유동베이스(83)와, 유동베이스(83)에 직립된 핀(84)들과, 하부형틀(81) 속의 유동베이스(83)에 안착되며 핀(84)들이 통과되는 하부핀홀(85a)들을 지니면서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금형전용판(85)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부형틀(81)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 및 전후측면(90d)의 형상을 결정짓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턴테이블(T)의 금형홀(T1)들에 장착될 수 있고, 유동베이스(83)는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수단(82)에 의해 이격 가능하게 하부개방부(81a)를 커버링한다.
이때, 유동베이스(83)는 평상시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맞닿아 하부개방부(81a)를 긴밀하게 커버링하나,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후술하는 이물질에 의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도 3b(화살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내부쓰루홀(83a)은 후술되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압착유압수단(61)의 압착뭉치(61e)가 통과하여 하부금형전용판(85) 및 보강판(86)을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격수단(82)은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뚫려진 나사홈(82a)과, 유동베이스(83)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형틀(81)의 나사홈(82a)을 향하여 순차 뚫려진 광홀(82b) 및 협홀(82c)에 의해 마련된 도넛형단턱(82d)과, 이 도넛형단턱(82d)에 지지되도록 광홀(82b)에 끼워진 신장스프링(82e)과, 신장스프링(82e)을 도넛형단턱(82d)으로 가압하면서 협홀(82c)을 경유하여 하부형틀(81)의 나사홈(82a)에 체결되는 이격볼트(82f)를 포함한다.
광홀(82b)에 끼워진 신장스프링(82e)을 도넛형단턱(82d)으로 가압하면서 협홀(82c)을 경유하여 나사홈(82a)에 이격볼트(82f)가 체결됨으로써, 평상시 이격볼트(82f)에 지지되는 신장스프링(82e)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베이스(83)를 하부형틀(81)의 하단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부개방부(81a)를 긴밀하게 커버링하나,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형단턱(82d)이 신장스프링(82e)을 수축시키면서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은 유동베이스(83) 및 하부금형전용판(85) 사이에 개재되며 핀(84)들이 통과되는 보강핀홀(86a)들을 지닌 보강판(8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하부형틀(8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하부형틀(8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라이너(87)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하부금형(80) 속에 채워진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를 지속적으로 압착할 경우 하부금형전용판(85)이 압착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을 보강판(86)으로 보강하여 수명을 보장토록 하고, 나아가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의 압착시 상부금형(62)이 하부금형(80)에 직접 맞닿을 경우 하부금형(80)의 변형을 초래하여 교체비용이 상승되므로 잘 변형되지 않는 라이너(87)[열처리된 합금으로 된 라이너(87)]를 하부형틀(81)의 내부에 하부형틀(8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수명을 보장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라이너(87)들은 유동베이스(8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83c)에 끼워지도록 한다.
라이너(87)들이 유동베이스(8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정홈(83c)에 끼워짐으로써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할 경우 고정홈(83c)에 끼워진 라이너(87)들이 건식모르타르(91)의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유동베이스(83)가 하부형틀(81)의 하부개방부(81a)를 단순히 커버링하는 구조를 취할 경우 유동베이스(83)의 미세한 하강과 함께 건식모르타르(91)가 그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갈 뿐만 아니라 유동베이스(83)가 다시 상승 복귀하더라도 그 사이의 틈새에 끼어진 이물질에 의해 건식모르타르(91)의 지속적인 이탈을 막을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핀(84)은 유동베이스(83)에 뚫려진 나사홀(83d)에 나사결합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보도블록(90)은 시공환경에 따라 높낮이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수직배수홀(97)의 형성시 그 높낮이에 맞춰 유동베이스(83)에 뚫려진 나사홀(83d)에 핀(84)을 상하 높낮이 조절 가능토록 나사결합시켜 다양한 크기의 보도블록(90)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9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90)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마련된 보도블록(9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때, 미 설명부호 93은 액상안료(93)이고, 94는 분체도료(94)이며, One Tone Color의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의 습식모르타르(92)와 더불어 액상안료(93)에 의한 Two Tone Color의 표면에 분체도료(94)의 Three Tone Color의 화려함까지 연출하여 외관을 더욱 수려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에서 핀(84)은 라이너(87)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동베이스(83)에 고정된다.
통상의 보도블록(90)은 배수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수직하프배수홀(95)을 형성시켜 이웃하는 보도블록(90)의 수직하프배수홀(95)과 함께 합체되면서 합형배수홀(96)을 완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도블록(90) 가장자리의 수직하프배수홀(95)은 예를 들어 라이너(87)의 양각에 의해 쉽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보도블록(90) 내의 수직배수홀(97)은 핀(84)과 상부금형(62)의 합치에 의해서만 완성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핀(84) 위에 미세한 이물질이 껴있기만 하여도 하부금형(80) 및 상부금형(62) 상호간의 마주하는 압력에 의해 핀(84)이 쉽게 부러져 수직배수홀(97)을 완성치 못하는 경우가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핀(84)이 라이너(87)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동베이스(83)에 고정된 상태에서 핀(84) 위에 이물질이 껴서 유동베이스(83)에 하강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핀(84)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탑면(90a)을 따라 수직배수홀(97)에 이어지는 탑배수로(99)를 더 포함하여 우수시 신속한 배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모르타르압착부(600)의 구성에서 후술되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62)에 하부금형(80)의 핀(84)을 향한 볼록돌기(62a)를 마련하고, 반면 핀(84)을 볼록돌기(62a)의 높이만큼 라이너(87)의 높이보다 낮게 유동베이스(83)에 직립된 상태에서 볼록돌기(62a)가 핀(84)에 맞닿을 때 그 사이의 이물질에 의해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금형(62)의 볼록돌기(62a)에 의한 보도블록(90)의 오목배수홈(98)을 더욱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80)을 적용하여 보도블록(90)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에 정위치될 경우 건식유압수단(11)의 상승[하부금형(80)에 건식모르타르(91)를 채울 만큼 건식유압수단(11)의 상승, 즉 하부금형전용판(85)을 라이너(87)의 대략 절반 높이만큼 상승 => 이때 건식유압수단(11)에 장착된 상승봉(12)이 유동베이스(83)의 내부쓰루홀(83a)을 통과하면서 하부금형전용판(85)을 상승(그리고 보강판(86)이 존재할 경우 상승봉(12)이 보강판(86)의 통과쓰루홀(86b)까지 통과하면서 하부금형전용판(85)을 상승)]과 함께 건식모르타르(91)공급기(13)를 통해 건식모르타르(91)를 정량 공급시킨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유압수단(11)을 하강시켜 정량 공급된 건식모르타르(91)와 함께 하부금형전용판(85)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턴테이블(T)이 건식다짐부(2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건식다짐부(2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건식다짐부(200)에 정위치될 경우 다짐유압수단(22)의 상승[건식다짐기(21)의 하강압력을 지지할 만큼 하부금형(80)과 더불어 유동베이스(83)를 지지하도록 상승]과 함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다짐기(21)의 하강을 통해 건식모르타르(91)를 다질 수 있도록 한 후[후술되는 습식모르타르(92)가 새어나갈 틈을 막아주도록 다짐한 후] 다짐유압수단(22)의 하강으로 턴테이블(T)이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에 정위치될 경우 습식모르타르(92)공급기(30)를 통해 하부금형(80)의 건식모르타르(91) 위에 습식모르타르(92)를 공급한다. 이때, 습식모르타르(92)는 색상을 지닌 반죽상태로서 One Tone Color를 표출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될 경우, 언더바디(B2)에 마련된 압착유압수단(61)이 하부금형(80)을 밀어 올려 어퍼바디(B1)에 마련된 상부금형(62)에 라이너(87)가 맞닿도록 하면서 유동베이스(83)의 내부쓰루홀(83a)을 통과하여 보강판(86) 및 하부금형전용판(85)을 일거에 밀어 올려 습식모르타르(92)의 표면이 상부금형(62)에 밀착되도록 압착시켜 습식모르타르(92)의 수분으로 하여금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가 서로 견고하게 압착된 보도블록(90)을 마련한 후 압착유압수단(61)의 하강으로 보도블록(90)을 완성한 하부금형(80)이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압착유압수단(61)은 압착유압실린더(61a)에 의해 승강되는 압착유압피스톤(61b)에 고정된 하부압착판(61c)과, 하부압착판(61c)에 직립되어 보강판(86) 및 하부금형전용판(85)을 승강시키는 압착뭉치(61e)와, 하부압착판(61c)의 코너에 각각 뚫려진 압착홀(61d)들과, 하부금형(80)을 탄성적으로 승강시키는 상부압착판(61f)과, 상부압착판(61f)의 코너에 각각 고정되면서 압착홀(61d)들을 하향 통과하여 압착끝턱(61h)을 지닌 압착봉(61g)들과, 하부압착판(61c) 및 상부압착판(61f) 사이의 압착봉(61g)들에 각각 끼워진 탄성스프링(61i)들을 포함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정위치될 경우 언더바디(B2)에 마련된 압착유압수단(61)의 압착유압실린더(61a)에 의해 압착유압피스톤(61b)이 상승하면서 하부압착판(61c)과 더불어 상부압착판(61f)을 함께 상승시켜 유동베이스(83)를 밀어 올려 하부금형(80)의 라이너(87)가 상부금형(62)에 맞닿도록 함과 동시에[이때 라이너(87)가 상부금형(62)에 맞닿을 경우 상부압착판(61f)은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유압피스톤(61b)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탄성스프링(61i)이 압착봉(61g)을 따라 수축되면서 하부압착판(61c)을 상승시켜 압착뭉치(61e)로 하여금 유동베이스(83)의 내부쓰루홀(83a)을 지나 보강판(86) 및 하부금형전용판(85)을 더 밀어 올려 습식모르타르(92)의 표면이 상부금형(62)에 밀착되도록 압착시켜 습식모르타르(92)의 수분이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가 서로 견고하게 압착된 보도블록(90)을 마련[이때, 핀(84)은 상부금형(62)에 맞닿은 상태가 되어 보도블록(90) 내부에 수직배수홀(97)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핀(84) 위에 돌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끼일 경우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하는 힘을 가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형단턱(82d)이 신장스프링(82e)을 수축시키면서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핀(84)이 부러지기 전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없앰과 동시에 수직배수홀(97)의 완벽한 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한 후, 압착유압실린더(61a)에 의한 압착유압피스톤(61b)의 하강으로 보도블록(90)이 마련된 하부금형(80)이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르타르압착부(600)에 의해 습식모르타르(92)의 수분이 건식모르타르(91) 속으로 침투되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되도록 하여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가 서로 견고하게 압착되면서 수직배수홀(97)을 지닌 보도블록(90)을 마련한 후, 압착유압수단(61)의 하강으로 하부금형(80)을 다음 보도블록탈형부(700)로 스텝바이스텝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62)에 하부금형(80)의 핀(84)을 향한 볼록돌기(62a)를 마련하는 한편 핀(84)을 볼록돌기(62a)의 높이만큼 라이너(87)의 높이보다 낮게 유동베이스(83)에 고정된 상태에서, 볼록돌기(62a)가 핀(84)에 맞닿을 때 그 사이에 이물질에 의해 유동베이스(83)에 물리적으로 하강되는 힘이 가해질 경우 이격수단(82)에 의해 하부형틀(81)의 하단으로부터 유동베이스(83)를 이격시키면서 핀(84)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상부금형(62)의 볼록돌기(62a)에 의한 보도블록(90)의 오목배수홈(98)을 완벽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핀(84)의 부러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하부금형(80)이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정위치된 경우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서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하부금형(80)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90)을 받아내는 리시버(E10)로부터 보도블록(90)을 이송받아 팔레트(P)로 탑재시키는 보도블록컨베이어(E20)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 요부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9a 내지 도 9e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80)에 안착되어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금형전용판(85)과;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하부금형(80)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90)을 받아내는 리시버(E10)와, 리시버(E10)로부터 보도블록(90)을 이송받아 팔레트(P)로 탑재시키는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지닌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와; 리시버(E10)에 놓여져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90)을 받쳐준 후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따라 이송되어 팔레트(P)로 탑재되는 이송전용판(Q)과; 리시버(E10)로 이송전용판(Q)을 순차 공급하는 이송전용판공급부(D);를 포함하는 것을 핵심구성으로 한다.
하부금형전용판(85)은 하부금형(80) 속에 채워진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를 모르타르압착부(600)에서 지속적으로 압착할 경우 압착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어 강도 및 내구력을 위한 합금(열처리된 합금)으로 제작하거나, 특히 다양한 형태의 보도블록(90)을 제작하기 위한 하부형틀(81)의 구조 및 형상에 맞춤형으로 정밀하게 제작하여야 한다.
이와는 다르게, 이송전용판(Q)은 턴테이블(T)의 스텝바이스텝에 의해 제작된 보도블록(90)을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통해 토스받아 보도블록트랜스퍼부(E)를 경유하여 건조실 및 양생실에 이르기까지 보도블록(90)과 함께 운반되므로 강도나 내구력 그리고 그 형상에 있어서의 정밀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다.
결국, 하부금형전용판(85)은 보도블록(90)이 설계될 경우 압착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제작되어 하부형틀(81) 속에 견고하게 위치되어야 바람직한 반면, 이송전용판(Q)은 구조 및 형상의 정밀성이나 재질 나아가 강도에 상관없이 보도블록(90)을 받쳐주어 이송될 수 있는 기능만 수행하면 만족되는 상반된 특징을 활용하고, 나아가 하부금형전용판(85)이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보도블록(90)과 함께 탈형된 후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에 직접 토스되어 건조실 및 양생실에 이르기까지 함께할 경우 보도블록(90)의 콘크리트성분이 하부금형전용판(85)에 밀착 달라붙어 양생된 보도블록(90)으로부터 하부금형전용판(85)을 뜯어낼 때 보도블록(90)이 훼손되는 현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부금형전용판(85)으로 하여금 하부금형(80)에 안착되어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짓도록 하는 반면 이송전용판(Q)으로 하여금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하부금형(80)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90)을 리시버(E10)로 받아내어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따라 팔레트(P)에 실리면서 건조실 및 양생실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비의 생산성 및 보도블록(90)의 양산성 나아가 보도블록(90) 제작시의 불량률 저하와 같은 현저한 작용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보도블록탈형부(700) 및 이송전용판공급부(D)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10a 내지 도 10e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E10)는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보도블록컨베이어(E20) 사이에서 승강되는 리시빙승강실린더(E11)와,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보도블록(90)이 탈형될 때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전용판공급부(D)로부터 이송전용판(Q)을 순차 공급받은 후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토스된 보도블록(90)이 이송전용판(Q)에 놓여질 경우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하강되면서 이송전용판(Q)을 보도블록컨베이어(E20)로 순차 올려놓는 리시빙승강받침대(E12)를 포함한다.
하부금형전용판(85)으로 하여금 하부금형(80)에 안착되어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짓도록 하는 반면 이송전용판(Q)으로 하여금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하부금형(80)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보도블록(90)을 리시버(E10)로 받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보도블록컨베이어(E20) 사이에 리시빙승강실린더(E11)를 마련함과 동시에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보도블록(90)이 탈형될 때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전용판공급부(D)로부터 이송전용판(Q)을 순차 공급받은 후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토스된 보도블록(90)이 이송전용판(Q)에 놓여질 경우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하강되면서 이송전용판(Q)을 보도블록컨베이어(E20)로 순차 올려놓을 있도록 하여 하부금형(80)에 안착된 하부금형전용판(85)과 다른 이송전용판(Q)으로 보도블록(90)을 토스받아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경유하여 건조실 및 양생실로 신속 간단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송전용판공급부(D)는 리시버(E10)를 향하여 스텝바이스텝 무한궤도 회전되면서 이송전용판(Q)을 순차 대기시키는 이송전용판컨베이어(D1)와, 이송전용판컨베이어(D1) 사이에 마련되어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보도블록(90)이 탈형될 때 순차 대기 중인 이송전용판(Q)을 전진시켜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상승된 리시빙승강받침대(E12)에 순차 공급한 후 이송전용판(Q)이 보도블록(90)과 함께 보도블록컨베이어(E20)에 의해 팔레트(P)로 이송될 때 후진되어 다음 차례의 이송전용판(Q)을 기다리는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D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전용판공급부(D)가 리시버(E10)를 향해, 즉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D2)의 리시빙승강받침대(E12)를 향해 이송전용판(Q)을 순차적으로 공급토록 하여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탈형된 보도블록(90)을 정확한 타이밍에 토스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클리닝부(C)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블록(90)이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하부금형(80)으로부터 탈형되어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리시버(E10)로 토스됨과 동시에 턴테이블(T)이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경우 하부금형전용판(85)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시키는 브러시(C1)를 지닌 클리닝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모르타르압착부(600) 및 보도블록탈형부(700)를 경유하는 순차 과정에서 건식모르타르(91) 및 습식모르타르(92)의 압착에 의해 하부금형(80) 내의 하부금형전용판(85)이 오염될 경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한 탈형시 보도블록(90)이 하부금형전용판(85)의 표면에 달라붙어 깨지는 현상을 클리닝부(C)의 브러시(C1)로 브러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90)의 탈형시 불량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하부금형전용판(85)의 단면도(가) 및 평면도(나)를 비롯한 보도블록(90)의 단면도(다)이다.
하부금형전용판(85)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라인(85b)을 더 포함하여,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지을 때 하부금형전용판(85)의 돌출라인(85b)에 대응하는 오목라인(90e)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우천시 보도블록(90)의 하면에서의 물의 안내로로서 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으로의 우수의 침투를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좌우방향동기수단(72) 및 전후방향동기수단(77)을 설명하기 위하여 저면에서 바라본 동작도이다.
보도블록탈형부(700)는 도 1, 도 9a 내지 도 9e, 도 10a 내지 도 10e, 도 11 그리고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E10)를 중심에 두고 보도블록컨베이어(E20)의 양측에 세워진 서포터(S)와, 어퍼바디(B1) 및 서포터(S) 상단에 마련된 한 쌍의 수평레일(R)과,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정위치될 때 보도블록(90)을 파지하여 수평레일(R)을 따라 외향 수평 직진되면서 리시버(E10)로 토스한 후 수평레일(R)을 따라 내향 수평 직진되어 다음 차례의 보도블록(90)을 기다리는 클램프(70)를 포함한다.
보도블록탈형부(700)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턴테이블(T)에 의한 하부금형(80)이 정위치될 때 클램프(70)로서 보도블록(90)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E10)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을 가능케 하여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문제점인 전체 상승 및 전체 하강에 의한 보도블록(90)의 센터링 정확도 불량, 시간 과다 소요, 부하 가중 등을 없애 수명한계, 구조복잡 및 설계단가상승 등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클램프(70)로서 보도블록(90)을 파지하여 수평선상으로 외향 직진되어 리시버(E10)로 토스한 후 다시 수평선상으로 내향 직진되는 왕복운동으로 보도블록(90)의 탈형 및 토스 공정을 신속하게 실현케 하여 간소 간단한 작업을 통한 생산성을 보장케 한 것이다.
특히, 클램프(70)는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레일(R)을 따라 롤링되는 휠(71a)과, 수평레일(R)을 따라 휠(71a)을 외내향 수평 직진시키는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71b)를 구비하여, 클램프(70)로 하여금 하부금형(80)으로부터 리시버(E10)에 놓여진 이송전용판(Q)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수평선상으로 외내향 수평 직진되도록 함으로써 신속 간소한 공정에 의한 생산성 강화 및 불량률 감소 등을 철저하게 보장케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클램프(70)는 휠(71a)과 함께 외내향 수평 직진하는 어퍼고정프레임(71c)과. 어퍼고정프레임(71c)의 사각코너에 각각 하향 세워진 수직방향폴(71d)과, 수직방향폴(71d)의 하단에 고정된 언더고정프레임(71e)과,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좌우측에 고정된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하는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와,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상부 양측에 세워져 승강되는 센터승강실린더(74)와, 센터승강실린더(74)에 의해 수직방향폴(71d)을 따라 승강되는 센터승강프레임(75)과, 센터승강프레임(75)의 전후측에 고정된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에 의해 보도블록(90)의 전후측면(90d)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하는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70)는 하부금형(80)으로부터 리시버(E10)에 놓여진 이송전용판(Q)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수평선상으로 외내향 수평 직진되고, 구체적으로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71b)에 의해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한다.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는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좌우측에 고정된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수축 및 확장토록 하여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토록 한다.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는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상부 양측에 세워진 센터승강실린더(74)에 의해 센터승강프레임(75)과 함께 승강되도록 하여 외내향 수평 직진시 하부금형(80)으로부터 상승된 보도블록(90)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정위치된 보도블록(90)의 전후측면(90d)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토록 한다. 이와 같이 최소화된 동작으로 보다 신속하게 보도블록(90)의 탈형 및 토스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때, 센터승강실린더(74)는 클램프(70)가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75)을 상승시키는 반면 클램프(70)가 보도블록(90)을 파지 및 해제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75)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의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시의 보도블록(90)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보도블록(90)의 파지 및 해제시의 정확도를 철저하게 보장케 한다.
구체적으로, 클램프(70)는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의 수축 및 확장을 보장하는 좌우방향양측폴(71g)과, 센터승강프레임(75)의 전후 양측에 고정되어 전후방향중심시린더에 의해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의 수축 및 확장을 보장하는 전후방향양측폴(76g)과를 포함한다.
좌우방향양측폴(71g)과 더불어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의 수축 및 확장으로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후방향양측폴(76g)과 더불어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에 의해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의 수축 및 확장으로 보도블록(90)의 전후측면(90d)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 및 전후측면(90d)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 견고하게 동시 클램핑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된 좌우방향동기수단(72) 및 전후방향동기수단(77)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클램프(70)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의 수축 및 확장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로 하여금 좌우방향양측폴(71g)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좌우방향동기수단(72)과,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의 수축 및 확장시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로 하여금 전후방향양측폴(76g)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전후방향동기수단(77)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습식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의 첫 번째 문제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골재(910) 및 몰탈죽(920)으로 된 투수블록(900)을 양측면에서 클램핑할 경우 쉽게 부서지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 그리고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의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 상호간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좌우방향동기수단(72)에 의해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의 수축 및 확장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로 하여금 좌우방향양측폴(71g)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동기수단(77)에 의해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의 수축 및 확장시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로 하여금 전후방향양측폴(76g)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켜,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 및 전후측면(90d)을 동기화된 타이밍과 동기호된 폭으로 파지 및 해제토록 하여 보도블록(90)의 클램핑시의 깨지는 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좌우방향동기수단(72)은 언더고정프레임(71e)의 하부 중심에 축결합되면서 정역 원호회전되는 언더중심바(72a)와, 좌측클램퍼(73a)의 일단 및 언더중심바(72a)의 일단 사이에 링크된 언더일단링크바(72b)와, 우측클램퍼(73b)의 타단 및 언더중심바(72a)의 타단 사이에 링크된 언더타단링크바(72c)를 포함하여,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때 언더중심바(72a)의 정역 원호회전에 따른 언더일단링크바(72b) 및 언더타단링크바(72c)로 하여금 서로 안쪽으로 또는 서로 바깥쪽으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를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후방향동기수단(77)은 센터승강프레임(75)의 하부 중심에 축결합되면서 정역 원호회전되는 센터중심바(77a)와, 전측클램퍼(78a)의 일단 및 센터중심바(77a)의 일단 사이에 링크된 센터일단링크바(77b)와, 후측클램퍼(78b)의 타단 및 센터중심바(77a)의 타단 사이에 링크된 센터타단링크바(77c)를 포함하여,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가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때 센터중심바(77a)의 정역 원호회전에 따른 센터일단링크바(77b) 및 센터타단링크바(77c)로 하여금 서로 안쪽으로 또는 서로 바깥쪽으로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를 동시 확장 및 동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 및 전후측면(90d)을 동기화된 타이밍 및 동기화된 폭으로 파지 또는 해제토록 하여 클램핑시의 보도블록(90)의 파손을 철저히 없앨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언더중심바(72a)와 더불어 언더일단링크바(72b) 및 언더타단링크바(72c) 그리고 센터중심바(77a)와 더불어 센터일단링크바(77b) 및 센터타단링크바(77c)는 베어링(K1)을 내장한 양측링크소켓(K2)과, 양측링크소켓(K2) 사이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K3)를 포함하여, 스크류(K3)에 결합된 양측링크소켓(K2)의 회전에 따른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보도블록(90)의 파지시 최적화된 압력을 보장토록 한다. 즉,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의 파지압력 나아가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의 파지압력을 최적화시켜 보도블록(90)의 클램핑시의 파손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보도블록(90)의 탈형 및 토스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9a는 스텝바이스텝 회전되는 턴테이블(T)의 하부금형(80)이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및 모르타르압착부(600)를 경유하면서 보도블록(90)이 제작된 후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정위치된 상태이다. 이때, 탈형유압수단(79)은 하강되고, 보도블록(90)은 하부금형(80) 속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9b에서 탈형유압수단(79)이 상승되어 상호 확장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 사이에 보도블록(90)을 위치시키고, 이때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어 보도블록(90)의 클램핑 직전 상태로 대기한다.
도 9d는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 그리고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가 축소되면서 보도블록(90)을 클램핑하는 모습이고, 탈형유압수단(79)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면서 보도블록(90)으로부터 하부금형전용판(85)을 이격시켜 보도블록(90)을 탈형시킨다.
도 10a 및 도 10b는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71b)가 외향 수평 직진되어 보도블록(90)을 클램핑한 클램프(70)를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리시버(E10)에 센터링시키는 모습이고, 이때 도 10b는 클램프(70) 및 보도블록트랜스퍼부(E)를 전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리시빙승강실린더(E11)가 상승하여 리시빙승강받침대(E12)에 놓여진 이송전용판(Q)으로서 보도블록(90)을 받쳐주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c 및 도 10d는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71b)가 내향 수평 직진되어 보도블록(90)을 리시버(E10)에 토스한 클램프(70)를 다시 턴테이블(T)의 하부금형(80)에 센터링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이때 도 10d는 클램프(70) 및 보도블록트랜스퍼부(E)를 전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리시빙승강실린더(E11)가 하강하여 보도블록(90)과 함께 이송전용판(Q)을 보도블록컨베이어(E20)에 내려놓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e의 (가)는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71b)가 외향 수평 직진되어 클램프(70)의 어퍼고정프레임(71c)이 휠(71a)에 의해 수평레일(R)을 레일링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0e의 (나)를 통해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리시버(E10) 및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확인할 수 있고, 도 10e의 (다)는 도 10e의 (가) 및 (나)의 실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이송전용판공급부(D)의 이송전용판컨베이어(D1)에 의해 이송전용판(Q)이 스텝바이스텝 전송되면서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D2)에 의해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리시빙승강받침대(E12)에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는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보도블록(90)이 탈형된 하부금형(80)이 스텝바이스텝 회전되는 턴테이블(T)에 의해 클리닝부(C)로 정위치되어 브러시(C1)에 의해 하부금형전용판(85)이 브러싱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3의 (가)는 전후방향동기수단(77)의 평면도로서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의 확장으로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가 동시 확장되는 모습이고, 도 13의 (나)는 좌우방향동기수단(72)의 평면도로서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의 확장으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동시 확장되는 모습이며, 도 13의 (다)는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 그리고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조립되어 동시 확장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3의 (라)는 전후방향동기수단(77)의 평면도로서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의 축소로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가 동시 축소되는 모습이고, 도 13의 (마)는 좌우방향동기수단(72)의 평면도로서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의 축소로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동시 축소되는 모습이며, 도 13의 (바)는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 그리고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조립되어 동시 축소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4의 (가)는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 그리고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동시 확장될 수 있도록 한 전후방향동기수단(77) 및 좌우방향동기수단(72)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14의 (나)는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 그리고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가 동시 축소될 수 있도록 한 전후방향동기수단(77) 및 좌우방향동기수단(72)의 동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도나 공원 또는 도로가 등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B1 : 어퍼바디 B2 : 언더바디
M : 센터모터 100 : 건식모르타르공급부
11 : 건식유압수단 12 : 상승봉
13 : 건식모르타르공급기 200 : 건식다짐부
21 : 건식다짐기 22 : 다짐유압수단
300 : 습식모르타르공급부 30 : 습식모르타르공급기
600 : 모르타르압착부 61 : 압착유압수단
61a : 압착유압실린더 61b : 압착유압피스톤
61c : 하부압착판 61d : 압착홀
61e : 압착뭉치 61f : 상부압착판
61g : 압착봉 61h : 압착끝턱
61i : 탄성스프링 62 : 상부금형
62a : 볼록돌기 700 : 보도블록탈형부
S : 서포터 R : 수평레일
70 : 클램프 71a : 휠
71b :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 71c : 어퍼고정프레임
71d : 수직방향폴 71e : 언더고정프레임
71f : 좌우방향중심실린더 71g : 좌우방향양측폴
72 : 좌우방향동기수단 72a : 언더중심바
72b : 언더일단링크바 72c : 언더타단링크바
73a : 좌측클램퍼 73b : 우측클램퍼
74 : 센터승강실린더 75 : 센터승강프레임
76f : 전후방향중심실린더 76g : 전후방향양측폴
77 : 전후방향동기수단 77a : 센터중심바
77b : 센터일단링크바 77c : 센터타단링크바
78a : 전측클램퍼 78b : 후측클램퍼
79 : 탈형유압수단 K1 : 베어링
K2 : 양측링크소켓 K3 : 스크류
C : 클리닝부 C1 : 브러시
E : 보도블록트랜스퍼부 E10 : 리시버
E11 : 리시빙승강실린더 E12 : 리시빙승강받침대
P : 팔레트 E20 : 보도블록컨베이어
Q : 이송전용판 D : 이송전용판공급부
D1 : 이송전용판컨베이어 D2 :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
80 : 하부금형 81 : 하부형틀
81a : 하부개방부 82 : 이격수단
82a : 나사홈 82b : 광홀
82c : 협홀 82d : 도넛형단턱
82e : 신장스프링 82f : 이격볼트
83 : 유동베이스 83a : 내부쓰루홀
83c : 고정홈 83d : 나사홀
84 : 핀 85 : 하부금형전용판
85a : 하부핀홀 85b : 돌출라인
86 : 보강판 86a : 보강핀홀
86b : 통과쓰루홀 87 : 라이너
T : 턴테이블 T1 : 금형홀
90 : 보도블록 90a : 탑면
90b : 저면 90c : 좌우측면
90d : 전후측면 90e : 오목라인
91 : 건식모르타르 92 : 습식모르타르
93 : 액상안료 94 : 분체도료
95 : 수직하프배수홀 96 : 합형배수홀
97 : 수직배수홀 98 : 오목배수홈
99 : 탑배수로

Claims (13)

  1. 삭제
  2. 어퍼바디(B1) 및 언더바디(B2) 사이에서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따라 건식모르타르공급부(100), 건식다짐부(200), 습식모르타르공급부(300), 모르타르압착부(600) 및 보도블록탈형부(700)를 향하여 순차 정위치되어 보도블록(90)을 완성시키는 하부금형(80)들을 각각 수용한 금형홀(T1)들을 방사상으로 지닌 턴테이블(T)과; 상기 하부금형(80)에 안착되어 상기 보도블록(90)의 저면(90b) 형상을 결정짓는 하부금형전용판(85)과;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80)으로부터 순차 탈형 토스된 상기 보도블록(90)을 받아내는 리시버(E10)와, 상기 리시버(E10)로부터 상기 보도블록(90)을 이송받아 팔레트(P)로 탑재시키는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지닌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와; 상기 리시버(E10)에 놓여져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순차 탈형 토스된 상기 보도블록(90)을 받쳐준 후 상기 보도블록컨베이어(E20)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팔레트(P)로 탑재되는 이송전용판(Q)과; 상기 리시버(E10)로 상기 이송전용판(Q)을 순차 공급하는 이송전용판공급부(D);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E10)는
    상기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보도블록컨베이어(E20) 사이에서 승강되는 리시빙승강실린더(E11)와,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상기 보도블록(90)이 탈형될 때 상기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이송전용판공급부(D)로부터 상기 이송전용판(Q)을 순차 공급받은 후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토스된 상기 보도블록(90)이 상기 이송전용판(Q)에 놓여질 경우 상기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이송전용판(Q)을 상기 보도블록컨베이어(E20)로 순차 올려놓는 리시빙승강받침대(E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전용판공급부(D)는
    상기 리시버(E10)를 향하여 스텝바이스텝 무한궤도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전용판(Q)을 순차 대기시키는 이송전용판컨베이어(D1)와,
    상기 이송전용판컨베이어(D1)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상기 보도블록(90)이 탈형될 때 순차 대기 중인 상기 이송전용판(Q)을 전진시켜 상기 리시빙승강실린더(E11)에 의해 상승된 상기 리시빙승강받침대(E12)에 순차 공급한 후 상기 이송전용판(Q)이 상기 보도블록(90)과 함께 상기 보도블록컨베이어(E20)에 의해 상기 팔레트(P)로 이송될 때 후진되어 다음 차례의 상기 이송전용판(Q)을 기다리는 이송전용판공급실린더(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록(90)이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80)으로부터 탈형되어 상기 보도블록트랜스퍼부(E)의 리시버(E10)로 토스됨과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T)이 스텝바이스텝 회전될 경우 상기 하부금형전용판(85)의 표면을 브러싱시키는 브러시(C1)를 지닌 클리닝부(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전용판(85)은 상부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라인(85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록탈형부(700)는
    상기 리시버(E10)를 중심에 두고 상기 보도블록컨베이어(E20)의 양측에 세워진 서포터(S)와,
    상기 어퍼바디(B1) 및 서포터(S) 상단에 마련된 한 쌍의 수평레일(R)과,
    상기 센터모터(M)의 스텝바이스텝 회전에 연동되는 상기 턴테이블(T)에 의한 상기 하부금형(80)이 정위치될 때 상기 보도블록(90)을 파지하여 상기 수평레일(R)을 따라 외향 수평 직진되면서 상기 리시버(E10)로 토스한 후 상기 수평레일(R)을 따라 내향 수평 직진되어 다음 차례의 상기 보도블록(90)을 기다리는 클램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0)는 상기 수평레일(R)을 따라 롤링되는 휠(71a)과, 상기 수평레일(R)을 따라 상기 휠(71a)을 외내향 수평 직진시키는 외내향수평직진실린더(71b)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금형(80)으로부터 상기 리시버(E10)에 놓여진 상기 이송전용판(Q)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수평선상으로 외내향 수평 직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0)는
    상기 휠(71a)과 함께 외내향 수평 직진하는 어퍼고정프레임(71c)과.
    상기 어퍼고정프레임(71c)의 사각코너에 각각 하향 세워진 수직방향폴(71d)과,
    상기 수직방향폴(71d)의 하단에 고정된 언더고정프레임(71e)과,
    상기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좌우측에 고정된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상기 보도블록(90)의 좌우측면(90c)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하는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와,
    상기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상부 양측에 세워져 승강되는 센터승강실린더(74)와,
    상기 센터승강실린더(74)에 의해 상기 수직방향폴(71d)을 따라 승강되는 센터승강프레임(75)과,
    상기 센터승강프레임(75)의 전후측에 고정된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에 의해 상기 보도블록(90)의 전후측면(90d)을 동시 파지 및 동시 해제하는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승강실린더(74)는 상기 클램프(70)가 외내향 수평 직진 왕복 운동할 경우 센터승강프레임(75)을 상승시키는 반면 상기 클램프(70)가 상기 보도블록(90)을 파지 및 해제할 경우 상기 센터승강프레임(75)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0)는
    상기 언더고정프레임(71e)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에 의해 상기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의 수축 및 확장을 보장하는 좌우방향양측폴(71g)과,
    상기 센터승강프레임(75)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에 의해 상기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의 수축 및 확장을 보장하는 전후방향양측폴(76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70)는
    상기 좌우방향중심실린더(71f)의 수축 및 확장시 상기 좌측클램퍼(73a) 및 우측클램퍼(73b)로 하여금 상기 좌우방향양측폴(71g)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좌우방향동기수단(72)과,
    상기 전후방향중심실린더(76f)의 수축 및 확장시 상기 전측클램퍼(78a) 및 후측클램퍼(78b)로 하여금 상기 전후방향양측폴(76g)을 따라 동일한 폭만큼 수축 및 동일한 폭만큼 확장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전후방향동기수단(7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동기수단(72)은 상기 언더고정프레임(71e)의 하부 중심에 축결합되면서 정역 원호회전되는 언더중심바(72a)와, 상기 좌측클램퍼(73a)의 일단 및 언더중심바(72a)의 일단 사이에 링크된 언더일단링크바(72b)와, 상기 우측클램퍼(73b)의 타단 및 언더중심바(72a)의 타단 사이에 링크된 언더타단링크바(72c)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향동기수단(77)은 상기 센터승강프레임(75)의 하부 중심에 축결합되면서 정역 원호회전되는 센터중심바(77a)와, 상기 전측클램퍼(78a)의 일단 및 센터중심바(77a)의 일단 사이에 링크된 센터일단링크바(77b)와, 상기 후측클램퍼(78b)의 타단 및 센터중심바(77a)의 타단 사이에 링크된 센터타단링크바(77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중심바(72a)와 더불어 상기 언더일단링크바(72b) 및 언더타단링크바(72c) 그리고 상기 센터중심바(77a)와 더불어 센터일단링크바(77b) 및 센터타단링크바(77c)는 베어링(K1)을 내장한 양측링크소켓(K2)과, 상기 양측링크소켓(K2) 사이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K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0220022868A 2022-02-22 2022-02-22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45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68A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02-22 보도블록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68A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02-22 보도블록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269B1 true KR102451269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68A KR102451269B1 (ko) 2022-02-22 2022-02-22 보도블록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7423A (zh) * 2023-04-24 2023-06-23 连云港成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装配式建筑构件生产用快速脱模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85Y1 (ko) * 2002-02-18 2002-05-27 이병국 황토벽돌 제조장치
KR101110163B1 (ko) 2010-03-12 2012-01-31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1939101B1 (ko) 2018-08-13 2019-01-17 태재근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1978238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156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85Y1 (ko) * 2002-02-18 2002-05-27 이병국 황토벽돌 제조장치
KR101110163B1 (ko) 2010-03-12 2012-01-31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697760B1 (ko) 2016-08-12 2017-01-19 한국장애인편의증진협의회 주식회사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101939101B1 (ko) 2018-08-13 2019-01-17 태재근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1978238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156B1 (ko)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7423A (zh) * 2023-04-24 2023-06-23 连云港成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装配式建筑构件生产用快速脱模设备
CN116277423B (zh) * 2023-04-24 2024-02-09 连云港成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装配式建筑构件生产用快速脱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260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클램프
KR101939101B1 (ko)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2451269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US2495100A (en) Apparatus for making precast concrete units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EP0251966A1 (fr) Procédé et installation pour la fabrication d'un élément de construction imitant un empilage de pierres sèches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CA2806843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molding and palletizing cast concrete blocks
US201103161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 Casting Concrete Blocks Having A Decorative Face
WO2009031983A1 (en) Tilting equipment for production of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EP1454726A1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reinforced concrete parts
CN111042567B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混凝土楼梯表面修复处理方法
EP1262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ingle-layer tiles
CN112437715B (zh) 预制土墙体的成型系统及用此的土墙体筑造方法
CN212763995U (zh) 一种用于多孔砖的成型运输一体化装置
US349009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ile panels
CN211225742U (zh) 一种数码印刷机用具有整理功能的纸张运输装置
CN210798332U (zh) 一种建筑地板砖施工用转运装置
KR100632156B1 (ko)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0778075B1 (ko)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생산 방법
EP1262296B1 (en) Filtration structure for the pad of a press for producing single-layer cement tiles with filtration surfaces and apparatus for replacing such filtration surfaces
KR100928809B1 (ko)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KR20100037708A (ko) 접착식 보.차도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20814620U (zh) 预制混凝土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