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908A -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908A
KR20120067908A KR1020110021712A KR20110021712A KR20120067908A KR 20120067908 A KR20120067908 A KR 20120067908A KR 1020110021712 A KR1020110021712 A KR 1020110021712A KR 20110021712 A KR20110021712 A KR 20110021712A KR 20120067908 A KR20120067908 A KR 2012006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eable
forming
block
pi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화숙
Original Assignee
권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화숙 filed Critical 권화숙
Publication of KR2012006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forcing cores into filled mould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은 기초층(10)의 상부면(11)에 투수층(20)이 접합되고, 기초층(1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결합홈(12)의 바닥면(13)에 배수구멍(14)이 형성되어, 배수구멍(14)이 결합홈(12)의 바닥면(13)에서 기초층(10)의 하부면(15)까지 천공되며, 투수층(20)의 하부면(21)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투수층(20)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고, 결합돌기(22)의 바닥면(23)에 오목홈(24)이 형성되고, 투수층(20)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목홈(24)이 배수구멍(14)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PRECAST BLOCK FOR DRAINING WATER,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EROF}
본 발명은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층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투수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고, 결합돌기의 오목홈과 결합홈에 형성된 배수구멍이 일치되어, 투수성이 향상되고, 기초층과 투수층의 결합강도 및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평19-022872호(2007년 2월 1일, 공개)에 "투수성 콘크리트 부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투수성 콘크리트 부재는 다공질 콘크리트판을 미리 제작하여 양생한 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형틀에 붓고, 그 위에 상기 다공질 콘크리트판을 덮어 눌러줌으로써,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일부가 다공질 콘크리트판으로 스며들어 함께 양생됨으로써, 빗물이 다공질 콘크리트판으로 스며들어,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구멍을 통해 배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수성 콘크리트 부재는 다공질 콘크리트판이 외력에 의해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다공질 콘크리트판이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생산공정이 많아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층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투수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되고, 결합돌기의 오목홈과 결합홈에 형성된 배수구멍이 일치되어, 투수성이 향상되고, 기초층과 투수층의 결합강도 및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도가 높은 블록본체의 상부면에 포켓이 형성되고, 포켓에 배수구멍이 천공되며, 포켓에 투수성 채움재가 채워지고, 투수성 투수층의 하부면에 오목홈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충격에 잘 파손되지 않고, 빗물을 잘 흡수하여 배수구멍을 통해 잘 배출할 수 있는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형틀에 성형핀을 인서트한 후,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트리트를 투입하고, 누름판과 누름핀을 이용하여 결합홈을 형성한 후,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를 투입하여 결합홈에 모르타르가 채워져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결합된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의 일례는 기초층의 상부면에 투수층이 접합되고, 기초층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바닥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배수구멍이 결합홈의 바닥면에서 기초층의 하부면까지 천공되며, 투수층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기초층의 결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투수층의 결합돌기가 기초층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결합돌기의 바닥면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투수층의 결합돌기가 기초층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목홈이 배수구멍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초층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은 배수구멍의 상단에 위치하고, 직경이 배수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수층은 투수성을 갖도록 시멘트와 직경 돌가루를 혼합한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의 다른 예는 블록본체의 상부면에 포켓이 형성되고, 포켓의 바닥면에 배수구멍이 천공되며, 포켓에 투수성 채움재가 채워지고, 투수성 채움재에 오목홈이 형성되며, 오목홈이 배수구멍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록본체는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진흙과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수성 채움재는 투수성을 갖도록 시멘트와 돌가루를 혼합한 모르타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는 성형틀이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진동수단에 의해 성형틀이 진동되며, 성형틀의 하부에 탈형박스가 제 1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성형틀과 탈형박스 사이로 이송판이 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되어, 이송판의 핀구멍과 탈형박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핀구멍이 일치되고, 탈형박스의 내부에 배수구멍성형수단이 배치되어, 배수구멍성형수단의 성형핀이 제 2 실린더에 의해 탈형박스의 핀구멍과 이송판의 핀구멍을 통해 위로 성형틀의 내부로 돌출되며, 성형틀의 상부에 누름판이 배치되고, 누름판이 제 3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고, 누름판에 다수개의 누름핀이 장착되어, 누름핀이 제 4 실린더에 의해 누름판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고, 제 1 투입수단과 제 2 투입수단에서 성형틀로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크리트와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가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틀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격자형 격판이 배치되어, 격자형 격판에 의해 내부가 블록 크기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형박스는 양 측부에 슬라이더가 장착되고, 슬라이더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구멍성형수단은 받침판에 다수개의 성형핀이 장착되고, 받침판이 제 2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핀은 바디부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부의 상단에 반구 형상부가 형성되고, 바디부의 하단에 로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부 둘레에 스프링이 배치되고, 로드부가 받침판의 장착홈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고, 로드부의 하단에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핀은 바디부 및 반구 형상부가 고무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방법은 이송판의 핀구멍과 탈형박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핀구멍이 일치되도록, 탈형박스의 상부로 이송판이 공급되는 단계와,
제 2 실린더에 의해 배수구멍성형수단이 상승되어, 성형핀이 탈형박스의 핀구멍과 이송판의 핀구멍에 끼워지는 단계와,
제 1 실린더에 의해 탈형박스 및 이송판이 상승되어, 이송판이 성형틀의 개방된 하부를 막게 되고, 배수구멍성형수단의 성형핀이 성형틀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단계와,
누름판이 시멘트 콘크리트의 표면을 누름과 동시에 진동수단에 의해 시멘트 콘크리트에 진동이 가해져, 시멘트 콘크리트를 다지는 단계와,
누름핀이 기초층을 이루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표면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4 실린더에 의해 누름핀이 원위치로 상승되고, 제 3 실린더에 의해 누름판이 원위치로 상승되면, 성형핀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어, 압축되었던 스프링에 의해 성형핀이 원위치로 상승됨으로써, 성형핀의 반구 형상부가 결합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계와,
제 2 투입수단이 성형틀 상부로 이동되어, 성형틀에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를 공급하고,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모르타르가 시멘트 콘크리트 위로 공급되어, 시멘트 콘크리트가 결합홈에 채워지는 단계와,
제 3 실린더에 의해 누름판이 하강되어, 누름판이 모르타르의 표면을 누름과 동시에 진동수단으로 모르타르에 진동이 가해, 모르타르를 다지는 단계와,
제 2 및 제 3 실린더에 의해 배수구멍성형장치 및 누름판이 원위치되면, 기초층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기초층의 결합홈에 투수층의 결합돌기가 결합된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성형되고, 제 1 실린더에 의해 원위치로 탈형박스가 하강되면, 성형된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성형틀에서 분리되어, 이송판에 놓이게 되고, 이송판이 이송수단에 걸림으로써,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놓인 이송판이 이송수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은 기초층과 투수층의 결합강도 및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고,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도시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의해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성형되는 공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은 기초층(10)의 상부면(11)에 투수층(20)이 접합되고, 기초층(1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결합홈(12)의 바닥면(13)에 배수구멍(14)이 형성되어, 배수구멍(14)이 결합홈(12)의 바닥면(13)에서 기초층(10)의 하부면(15)까지 천공되며, 투수층(20)의 하부면(21)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투수층(20)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고, 결합돌기(22)의 바닥면(23)에 오목홈(24)이 형성되고, 투수층(20)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목홈(24)이 배수구멍(14)과 일치된다.
상기 기초층(10)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블록의 강도가 높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홈(12)은 배수구멍(14)의 상단에 위치하고, 직경이 배수구멍(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투수층(20)은 투수성을 갖도록 시멘트와 직경 2mm의 정도의 돌가루를 혼합한 모르타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은 투수층(20)의 두께(t1)를 8mm 정도로 최소화하여도 결합돌기(22)가 투수층(2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투수층(20)이 국부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결합돌기(22)이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어 있어, 배수구멍(14) 상부의 투수층(20)이 집중하중을 받더라도, 집중하중이 결합돌기(22)를 통해 기초층(10)으로 전달됨으로써, 배수구멍(14)의 직 상부 위치에서 투수층이 국부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투수층(20)의 두께(t1)를 최소화함으로써, 투수층(20)의 투수율을 높일 수 있어, 빗물이 투수층을 통해 배수구멍으로 흘러가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배수성능이 향상되며, 투수층의 공극 사이로 이물질이 끼더라도 고압살수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여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멍(14)과 일치되는 오목홈(24)이 결합돌기(22)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오목홈(24)은 투수층(20)을 통과한 빗물이 빠져나오는 배출 표면적을 확장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투수층(20)을 통과한 빗물이 배수구멍(14)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은 블록본체(210)의 상부면(211)에 포켓(212)이 형성되고, 포켓(212)의 바닥면(213)에 배수구멍(214)이 천공되며, 포켓(212)에 투수성 채움재(220)가 채워지고, 투수성 채움재(220)에 오목홈(223)이 형성되며, 오목홈(223)이 배수구멍(214)과 일치된다.
상기 볼록본체(210)는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진흙과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투수성 채움재(220)는 투수성을 갖도록 시멘트와 직경 2mm의 정도의 돌가루를 혼합한 모르타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은 블록본체(210)의 강도가 높아 외부충격에 잘 파손되지 않고, 투수성 채움재(220)로 빗물이 스며든 후, 블록본체(210)의 배수구멍(21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오목홈(223)은 투수성 채움재(220)를 통과한 빗물이 빠져나오는 배출 표면적을 확장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투수성 채움재(220)를 통과한 빗물이 배수구멍(214)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성형하는 성형장치를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는 성형틀(110)이 고정 프레임(115)에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115)에 장착된 진동수단(120)에 의해 성형틀(110)이 진동되며, 성형틀(110)의 하부에 탈형박스(130)가 제 1 실린더(S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성형틀(110)과 탈형박스(130) 사이로 이송판(140)이 이송수단(145)에 의해 공급되어, 이송판(140)의 핀구멍(141)과 탈형박스(130)의 상부면(132)에 형성된 핀구멍(131)이 일치되고, 탈형박스(130)의 내부에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이 배치되어,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의 성형핀(151)이 제 2 실린더(S2)에 의해 탈형박스(130)의 핀구멍(131)과 이송판(140)의 핀구멍(141)을 통해 위로 성형틀(110)의 내부로 돌출되며, 성형틀(110)의 상부에 누름판(160)이 배치되고, 누름판(160)이 제 3 실린더(S3)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고, 누름판(160)에 다수개의 누름핀(165)이 장착되어, 누름핀(165)이 제 4 실린더(S4)에 의해 누름판(16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고, 제 1 투입수단(170)과 제 2 투입수단(175)에서 성형틀(110)로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크리트와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가 각각 공급된다.
상기 성형틀(11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격자형 격판(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격자형 격판에 의해 내부가 블록 크기로 구획된다.
상기 진동수단(120)은 캠 방식의 진동장치이다.
상기 탈형박스(130)는 양 측부에 슬라이더(133)가 장착되고, 슬라이더(133)가 가이드 레일(13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탈형박스(130)가 제 1 실린더(S1)에 의해 승하강될 때, 슬라이더(133)와 가이드 레일(134)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이송판(140)은 성형틀(110)에서 성형된 투수성 보차도블록을 운반하기 위한 것이며, 이송수단(145)은 체인 컨베이어이다.
상기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은 받침판(152)에 다수개의 성형핀(151)이 장착되고, 받침판(152)이 제 2 실린더(S2)에 의해 승하강된다.
상기 성형핀(151)은 바디부(151a)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부(151a)의 상단에 반구 형상부(151b)가 형성되고, 바디부(151a)의 하단에 로드부(151c)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부(151c) 둘레에 스프링(151d)이 배치되고, 로드부(151c)가 받침판(152)의 장착홈(152a)에 형성된 구멍(152b)에 끼워지고, 로드부(151c)의 하단에 너트(151d)가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누름핀(165)에 의해 성형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성형핀(151)의 바디부(151a) 및 로드부(151c)가 하강되고, 스프링(151d)이 압축된다. 이후,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151d)에 의해 성형핀(151)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성형핀(151)은 바디부(151a) 및 반구 형상부(151b)가 고무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성형틀(110)에 진동을 가해 다짐할 때, 그 진동이 성형핀(151) 주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진동으로 성형핀(151) 주위의 모르타르가 미장처리한 것처럼 매끄럽게 되면, 성형핀(151)에 의해 투수층(20 ; 도 3 참조)에 형성되는 오목홈(24 ; 도 3 참조)의 표면 공극이 막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투수층으로 스며든 빗물이 배수구멍(14)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160)은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크리트와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를 눌러 다져주는 역할을 하고, 성형핀(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핀(165)이 각각 배치되어, 누름핀(45)이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크리트의 상부면을 눌러 결합홈(12)을 성형할 때, 시멘트 콘트리트의 상부면과 일치되어, 시멘트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누름핀(165)은 연결대(166)의 하단에 헤드부(167)가 형성되고, 연결대(166)의 상단이 받침판(168)에 장착되고, 받침판(168)이 제 4 실린더(S4)에 장착되고, 제 4 실린더(S4)가 누름판용 행거 프레임(161)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를 이용한 성형방법을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판(140)의 핀구멍(141)과 탈형박스(130)의 상부면(132)에 형성된 핀구멍(131)이 일치되도록, 탈형박스(130)의 상부로 이송판(140)이 공급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린더(S2)에 의해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이 상승되어, 성형핀(151)이 탈형박스(130)의 핀구멍(131)과 이송판(140)의 핀구멍(141)에 끼워진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린더(S1)에 의해 탈형박스(130) 및 이송판(140)이 상승되어, 이송판(140)이 성형틀(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게 되고,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의 성형핀(151)이 성형틀(110)의 내부로 인서트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입수단(170)이 성형틀(110) 상부로 이동되어, 성형틀(110)에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크리트(CC)를 공급하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린더(S3)에 의해 누름판(160)이 하강되어, 누름판(160)이 시멘트 콘크리트(CC)의 표면을 누름과 동시에 진동수단(120)에 의해 시멘트 콘크리트(CC)에 진동이 가해져, 시멘트 콘크리트(CC)가 다져지게 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린더(S4)에 의해 누름핀(165)이 하강됨으로서, 누름핀(165)에 의해 기초층(10)을 이루는 시멘트 콘크리트(CC)의 표면에 결합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핀(165)은 성형핀(151)을 가압하여, 성형핀(151)이 눌려지고, 스프링(151d)이 압축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린더(S4)에 의해 누름핀(165)이 원위치로 상승되고, 제 3 실린더(S3)에 의해 누름판(160)이 원위치로 상승되면, 성형핀(151)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어, 압축되었던 스프링(151d)에 의해 성형핀(151)이 원위치로 상승됨으로써, 성형핀(151)의 반구 형상부(151c)가 결합홈(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투입수단(175)이 성형틀(110) 상부로 이동되어, 성형틀(110)에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M)를 공급하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모르타르(M)가 시멘트 콘크리트(CC) 위로 공급되어, 시멘트 콘크리트(CC)가 결합홈(12)에 채워진다.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린더(S3)에 의해 누름판(160)이 하강되어, 누름판(160)이 모르타르(M)의 표면을 누름과 동시에 진동수단(120)에 의해 모르타르(CC)에 진동이 가해져, 모르타르(M)가 다져지게 된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 실린더(S2, S3)에 의해 배수구멍성형장치(150) 및 누름판(160)이 원위치됨으로써, 기초층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기초층의 결합홈에 투수층의 결합돌기가 결합된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성형되고, 제 1 실린더(S1)에 의해 원위치로 탈형박스(130)가 하강되면, 성형된 투수성 보차도블록(1)이 성형틀(110)에서 분리되어, 이송판(140))에 놓이게 되고, 이송판(140)이 이송수단(145)에 걸림으로써,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놓인 이송판(140)이 이송수단(14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투수성 보차도블록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판이 이송장치에 의해 성형틀과 탈형박스 사이로 공급되어, 투수성 보차도블록의 성형이 다시 진행된다.
10 : 기초층 12 : 결합홈
14 : 배수구멍 20 : 투수층
22 : 결합돌기 24 : 오목홈

Claims (14)

  1. 기초층(10)의 상부면(11)에 투수층(20)이 접합되고, 기초층(1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고, 결합홈(12)의 바닥면(13)에 배수구멍(14)이 형성되어, 배수구멍(14)이 결합홈(12)의 바닥면(13)에서 기초층(10)의 하부면(15)까지 천공되며, 투수층(20)의 하부면(21)에 복수개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투수층(20)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되고, 결합돌기(22)의 바닥면(23)에 오목홈(24)이 형성되고, 투수층(20)의 결합돌기(22)가 기초층(10)의 결합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오목홈(24)이 배수구멍(14)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10)은 시멘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은 배수구멍(14)의 상단에 위치하고, 직경이 배수구멍(14)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20)은 투수성을 갖도록 시멘트와 직경 돌가루를 혼합한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5. 블록본체(210)의 상부면(211)에 포켓(212)이 형성되고, 포켓(212)의 바닥면(213)에 배수구멍(214)이 천공되며, 포켓(212)에 투수성 채움재(220)가 채워지고, 투수성 채움재(220)에 오목홈(223)이 형성되며, 오목홈(223)이 배수구멍(214)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본체(210)는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진흙과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채움재(220)는 투수성을 갖도록 시멘트와 직경 2mm의 정도의 돌가루를 혼합한 모르타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8. 성형틀(110)이 고정 프레임(115)에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115)에 장착된 진동수단(120)에 의해 성형틀(110)이 진동되며, 성형틀(110)의 하부에 탈형박스(130)가 제 1 실린더(S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성형틀(110)과 탈형박스(130) 사이로 이송판(140)이 이송수단(145)에 의해 공급되어, 이송판(140)의 핀구멍(141)과 탈형박스(130)의 상부면(132)에 형성된 핀구멍(131)이 일치되고, 탈형박스(130)의 내부에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이 배치되어,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의 성형핀(151)이 제 2 실린더(S2)에 의해 탈형박스(130)의 핀구멍(131)과 이송판(140)의 핀구멍(141)을 통해 위로 성형틀(110)의 내부로 돌출되며, 성형틀(110)의 상부에 누름판(160)이 배치되고, 누름판(160)이 제 3 실린더(S3)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고, 누름판(160)에 다수개의 누름핀(165)이 장착되어, 누름핀(165)이 제 4 실린더(S4)에 의해 누름판(16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고, 제 1 투입수단(170)과 제 2 투입수단(175)에서 성형틀(110)로 기초층 성형을 위한 시멘트 콘크리트와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가 각각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110)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격자형 격판이 배치되어, 격자형 격판에 의해 내부가 블록 크기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형박스(130)는 양 측부에 슬라이더(133)가 장착되고, 슬라이더(133)가 가이드 레일(13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은 받침판(152)에 다수개의 성형핀(151)이 장착되고, 받침판(152)이 제 2 실린더(S2)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핀(151)은 바디부(151a)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부(151a)의 상단에 반구 형상부(151b)가 형성되고, 바디부(151a)의 하단에 로드부(151c)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드부(151c) 둘레에 스프링(151d)이 배치되고, 로드부(151c)가 받침판(152)의 장착홈(152a)에 형성된 구멍(152b)에 끼워지고, 로드부(151c)의 하단에 너트(151d)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핀(151)은 바디부(151a) 및 반구 형상부(151b)가 고무 또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장치.
  14. 이송판(140)의 핀구멍(141)과 탈형박스(130)의 상부면(132)에 형성된 핀구멍(131)이 일치되도록, 탈형박스(130)의 상부로 이송판(140)이 공급되는 단계와,
    제 2 실린더(S2)에 의해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이 상승되어, 성형핀(151)이 탈형박스(130)의 핀구멍(131)과 이송판(140)의 핀구멍(141)에 끼워지는 단계와,
    제 1 실린더(S1)에 의해 탈형박스(130) 및 이송판(140)이 상승되어, 이송판(140)이 성형틀(110)의 개방된 하부를 막게 되고, 배수구멍성형수단(150)의 성형핀(151)이 성형틀(110)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단계와,
    제 3 실린더(S3)에 의해 누름판(160)이 하강되어, 누름판(160)이 시멘트 콘크리트(CC)의 표면을 누름과 동시에 진동수단(120)에 의해 시멘트 콘크리트(CC)에 진동이 가해져, 시멘트 콘크리트(CC)를 다지는 단계와,
    제 4 실린더(S4)에 의해 누름핀(165)이 하강됨으로서, 누름핀(165)에 의해 기초층(10)을 이루는 시멘트 콘크리트(CC)의 표면에 결합홈(12)이 형성되는 단계와,
    제 4 실린더(S4)에 의해 누름핀(165)이 원위치로 상승되고, 제 3 실린더(S3)에 의해 누름판(160)이 원위치로 상승되면, 성형핀(151)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어, 압축되었던 스프링(151d)에 의해 성형핀(151)이 원위치로 상승됨으로써, 성형핀(151)의 반구 형상부(151b)가 결합홈(12)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계와,
    제 2 투입수단(175)이 성형틀(110) 상부로 이동되어, 성형틀(110)에 투수층 성형을 위한 모르타르(M)를 공급하고,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모르타르(M)가 시멘트 콘크리트(CC) 위로 공급되어, 시멘트 콘크리트(CC)가 결합홈(12)에 채워지는 단계와,
    제 3 실린더(S3)에 의해 누름판(160)이 하강되어, 누름판(160)이 모르타르(M)의 표면을 누름과 동시에 진동수단(120)이 모르타르(CC)에 진동을 가해, 모르타르(M)를 다지는 단계와,
    제 2 및 제 3 실린더(S2, S3)에 의해 배수구멍성형장치(150) 및 누름판(160)이 원위치되면, 기초층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기초층의 결합홈에 투수층의 결합돌기가 결합된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성형되고, 제 1 실린더(S1)에 의해 원위치로 탈형박스(130)가 하강되면, 성형된 투수성 보차도블록(1)이 성형틀(110)에서 분리되어, 이송판(140))에 놓이게 되고, 이송판(140)이 이송수단(145)에 걸림으로써, 투수성 보차도블록이 놓인 이송판(140)이 이송수단(14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차도블록 성형방법.
KR1020110021712A 2010-12-16 2011-03-11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20067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02 2010-12-16
KR20100129502 2010-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908A true KR20120067908A (ko) 2012-06-26

Family

ID=4668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712A KR20120067908A (ko) 2010-12-16 2011-03-11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908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7615A (zh) * 2017-08-16 2017-12-08 仁创生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砌块
KR20180136545A (ko) * 2016-04-28 2018-12-24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조성물, 유리 섬유, 유리 클로스 및 유리 섬유의 제조 방법
KR20190027504A (ko) * 2017-09-07 2019-03-15 원 옥 백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KR101978238B1 (ko) *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156B1 (ko) *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CN110904771A (zh) * 2019-12-16 2020-03-24 黄灿灿 一种防止雨水飞溅的渗水砖
KR102097826B1 (ko) * 2019-04-23 2020-04-06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KR20210022325A (ko) * 2019-08-20 2021-03-03 원 옥 백 투수블록 배수구멍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20220033022A (ko) * 2020-09-08 2022-03-15 원 옥 백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WO2022055177A1 (ko) * 2020-09-08 2022-03-17 백원옥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20220125651A (ko) * 2021-03-05 2022-09-14 이강암 자동 장돌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장돌 제조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545A (ko) * 2016-04-28 2018-12-24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조성물, 유리 섬유, 유리 클로스 및 유리 섬유의 제조 방법
CN107447615A (zh) * 2017-08-16 2017-12-08 仁创生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砌块
KR20190027504A (ko) * 2017-09-07 2019-03-15 원 옥 백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KR101978238B1 (ko) *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155B1 (ko) *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978156B1 (ko) * 2018-12-14 2019-05-14 태재근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097826B1 (ko) * 2019-04-23 2020-04-06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KR20210022325A (ko) * 2019-08-20 2021-03-03 원 옥 백 투수블록 배수구멍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CN110904771A (zh) * 2019-12-16 2020-03-24 黄灿灿 一种防止雨水飞溅的渗水砖
CN110904771B (zh) * 2019-12-16 2022-01-07 贵州瑞泰实业有限公司 一种防止雨水飞溅的渗水砖
KR20220033022A (ko) * 2020-09-08 2022-03-15 원 옥 백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WO2022055177A1 (ko) * 2020-09-08 2022-03-17 백원옥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20220125651A (ko) * 2021-03-05 2022-09-14 이강암 자동 장돌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장돌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908A (ko)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939101B1 (ko) 다수의 배수공과 다수의 배수홈을 구비한 컬러투수보도블럭 제조장치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FI121809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nostolenkkien asettamiseksi betonista valettuun ontelolaattaan
KR101332202B1 (ko)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KR101872954B1 (ko) 다층 동시성형 보도블록 그리고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60131968A (ko) 다층 보도블럭 제조방법
KR100609453B1 (ko) 자연석 무늬를 가지는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220033022A (ko)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KR102080077B1 (ko)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KR100632156B1 (ko)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3266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7708A (ko) 접착식 보.차도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78465B1 (ko) 고강도 테라조 판 제조방법
KR20090059022A (ko)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KR102080075B1 (ko) 도로용 경계석 및 이의 성형장치
KR102267290B1 (ko)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JP259003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成形される製品
KR20120055857A (ko) 상부 가압 구조의 뚜껑을 구비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제작용 거푸집 장치
KR100673995B1 (ko) 맨홀용 인버트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생산되는맨홀용 조립식 인버트와 이 인버트를 사용하는 맨홀
JP4406321B2 (ja) 排水溝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15212A (ja) 水硬性無機質成形品の成形用型
KR100566236B1 (ko) 알씨(rc) 침목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