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202B1 -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 Google Patents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202B1
KR101332202B1 KR1020120044648A KR20120044648A KR101332202B1 KR 101332202 B1 KR101332202 B1 KR 101332202B1 KR 1020120044648 A KR1020120044648 A KR 1020120044648A KR 20120044648 A KR20120044648 A KR 20120044648A KR 101332202 B1 KR101332202 B1 KR 10133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rtar
mortar
permeable layer
block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445A (ko
Inventor
권화숙
Original Assignee
권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화숙 filed Critical 권화숙
Priority to KR102012004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2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로 이루어진 블록에서 휨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투수층몰탈의 밑면에 기초층몰탈을 형성하되,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투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성형틀 내부로 출입되는 다수의 핀으로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에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성형틀에 진동을 가하면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상기 핀의 외주면을 타고 상승되어 투수층몰탈로 스며들고 저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수막 내부로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저장되므로, 낮 동안에 상기 빗물이 햇빛으로 증발되면서 도심 열섬현상을 줄일 수 있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투수층몰탈투입대에 담긴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투입대에 담긴 미장층몰탈이 차례로 투입되어 블록이 만들어지는 성형틀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는 상기 투수층몰탈 내부로 묻혀 배수구멍을 만들어 주는 다수개의 핀을 갖는 밑판이 승강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성형틀과 밑판의 사이에는 상기 성형틀에서 만들어지는 블록을 받쳐주고 완성된 블록을 건조장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판에는 상기 밑판에 형성된 핀들이 관통되는 다수개의 핀구멍을 갖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몰탈투입대의 앞쪽으로 기초층몰탈투입대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가 먼저 상기 성형틀로 이동하면 내부의 기초층몰탈이 상기 성형틀에 투입된 뒤 상기 투수층몰탈이 투입되고, 이후 상기 미장층몰탈이 순차적으로 투입되고, 상기 미장층몰탈의 투입 전에 상기 성형틀 내부를 누름판으로 누르면서 진동을 가해 내부의 몰탈들을 다짐하는 동안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핀의 외주면과 접한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어 저수막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층몰탈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막으로 감싸지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Automatic block forming device and using the same block}
본 발명은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로 이루어진 블록에서 휨강도와 투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투수층몰탈의 밑면에 기초층몰탈을 형성하되, 다수의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투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성형틀 내부로 출입되는 다수의 핀으로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에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성형틀에 진동을 가하면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상기 핀의 외주면을 타고 상승되어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고 저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수막에 의해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저장되므로, 낮 동안에 빗물이 햇빛으로 증발되면서 도심 열섬현상을 줄일 수 있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보도 및 차도블록의 경우 빗물이 노면에 스며들지 않고 도로의 우수구로 흘러들기 때문에 블록이 설치된 지반 내부의 지하수가 부족하게 되고 특히 폭우가 내리면 빗물이 하천에 빠르게 유입되어 하천범람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투수블록이 제작되었는데, 대부분 투수콘크리트로 양생되었다. 이러한 투수블록은 빗물이 블록 내부로 스며들어 지반에 유입되도록 한 것인데, 빗물이 보다 빠르게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종래 실용등록 제236949호 및 실용등록 제393671호 에는 블록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수구멍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 블록은 배수구멍이 블록의 상,하측을 단순 관통하는 구성이므로 블록의 표면에 구멍이 노출되어 막힐 우려가 있는 등의 기술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의 표면에 구멍이 천공된 것이므로 미관상 좋지 않으며, 하이힐 같은 굽높은 신발은 굽이 구멍에 빠져 보행자가 다칠 수 있는 등의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고, 또한 재질이 투수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자동차가 지나갈 경우 하중이나 충격에 파손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 내부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블록들이 일본특개평 5-305606호 및 일본특개평 10-44114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생산과정에서 보도블록의 성형틀 내부에 상기 배수구멍 형성용 핀을 갖는 별도의 템플릿이나 구멍성형재료를 바닥에 깔고 보도블록을 성형한 뒤 이들 템플릿이나 구멍성형재료를 수작업으로 분리해야되므로 배수구멍이 있는 블록을 자동생산할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이 투입되는 성형틀 하부에 성형중인 블록이 놓이는 이송판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의 아래에는 탈형박스를 승강식으로 구비하되 상기 이송판의 핀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성형틀 내부로 들어가는 다수의 핀들에 의해 상기 투수층몰탈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탈형박스가 하강되면 핀들이 상기 이송판의 핀구멍에서 벗어나고 상기 이송판에는 배수구멍을 갖는 블록이 놓이게 되므로 상기 이송판을 건조장으로 이송시키면 수작업으로 상기 핀을 제거하지 않고도 배수구멍을 갖는 블록을 자동으로 연속으로 생산할 수 있는 블록 성형장치를 특허 제1110160호로 등록한 바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특허를 좀더 개량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로 이루어진 블록에서 휨강도와 투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투수층몰탈의 밑면에 기초층몰탈을 형성하되, 다수의 배수구멍을 형성하여 투수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성형틀 내부로 출입되는 다수의 핀으로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에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성형틀에 진동을 가하면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상기 핀의 외주면을 타고 상승되어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고 저수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수막에 의해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저장되므로, 낮 동안에 빗물이 햇빛으로 증발되면서 도심 열섬현상을 줄일 수 있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투수층몰탈투입대에 담긴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투입대에 담긴 미장층몰탈이 차례로 투입되어 블록이 만들어지는 성형틀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는 상기 투수층몰탈 내부로 묻혀 배수구멍을 만들어 주는 다수개의 핀을 갖는 밑판이 승강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성형틀과 밑판의 사이에는 상기 성형틀에서 만들어지는 블록을 받쳐주고 완성된 블록을 건조장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판에는 상기 밑판에 형성된 핀들이 관통되는 다수개의 핀구멍을 갖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몰탈투입대의 앞쪽으로 기초층몰탈투입대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가 먼저 상기 성형틀로 이동하면 내부의 기초층몰탈이 상기 성형틀에 투입된 뒤 상기 투수층몰탈이 투입되고, 이후 상기 미장층몰탈이 순차적으로 투입되고, 상기 미장층몰탈의 투입 전에 상기 성형틀 내부를 누름판으로 누르면서 진동을 가해 내부의 몰탈들을 다짐하는 동안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핀의 외주면과 접한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어 저수막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층몰탈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막으로 감싸지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휨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기초층몰탈, 투수를 목적으로 하는 투수층몰탈 및 외부로 노출되는 미장층몰탈의 3개층으로 블록이 형성된다. 상기 기초층몰탈은 모래와 시멘트가 주성분으로써, 양생되면 공극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불투수성을 갖는다. 상기 기초층몰탈은 고강도 시멘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강도보강용 접착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 및 차도블록용으로 제작되는데, KS 규격에서 요구하는 보도블록은 두께가 60mm이고, 4MPa의 휨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기초층몰탈을 두께 10mm에 10MPa의 강도가 나오도록 제작하고, 나머지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을 두께 50mm에 3MPa의 강도가 나오도록 제작한 뒤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약 6.4MPa의 강도를 나타냈다. 이는 KS규격의 종래 보도블록보다 약 1.6배의 휨강도가 증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건에서 투수층몰탈 및 미장층몰탈을 3MPa로 제작할 경우 상기 기초층몰탈이 이를 보완해주므로 전체적인 강도 증가를 보였다. 또한 상기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이 종래 보도블록보다 1MPa 약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투수성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KS규격에서 요구하는 차도블록은 두께가 80mm 이고, 5MPa의 휨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기초층몰탈을 두께 20mm에 10MPa의 강도가 나오도록 제작하고, 나머지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을 두께 60mm에 4MPa의 강도가 나오도록 제작한 뒤 휨강도를 측정하였더니, 약 8MPa의 강도를 나타냈다. 이는 KS규격의 종래 차도블록 보다 약 1.6배의 휨강도가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 미장층몰탈과 투수층몰탈을 종래 차도블록보다 1MPa 약하게 제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투수성은 향상되는데 반하여, 상기 기초층몰탈에서 강도를 보완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도블록 및 차도블록의 상기 기초층몰탈에는 상기 투수층몰탈로 연장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므로 상기 미장층몰탈을 통하여 상기 투수층몰탈로 스며든 빗물이 상기 배수구멍을 타고 지면으로 배수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구멍을 갖는 블록이 자동으로 생산된다. 탈형박스에 이송판이 놓이면 상기 탈형박스 내부의 밑판이 상승되어 다수의 핀이 상기 탈형박스와 이송판에 형성된 핀구멍을 관통하여 위로 돌출된다. 이후 상기 탈형박스가 상승되어 성형틀 밑에 놓이면 상기 핀들이 성형틀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이송판으로 성형틀의 밑면이 막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이 투입되면 상기 핀들에 의해 배수구멍이 블록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성형틀에 진동을 가해 기초층몰탈, 투수층몰탈 및 미장층몰탈이 층분리되지 않고 결속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상기 핀의 외주면을 타고 위로 상승되어 상기 투수층몰탈의 공극 사이로 스며들고 양생과정에서 저수막을 형성하는 특이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과 핀은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에 접하고 있으므로 아래위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성형틀에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기초층몰탈의 모래와 시멘트 일부가 이들 성형틀의 내측면 및 핀의 외주면을 타고 상승되어 투수층몰탈의 공극 사이로 스며든다. 상기 투수층몰탈은 투수성을 고려하여 4mm ∼ 13mm의 자갈이 주성분이므로 공극이 많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극 사이로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스며들어 채워지고 양생되면 저수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의 경계층에 상기 저수막으로 인하여 오목한 그릇 형태의 저수공간이 형성되므로 빗물이 미장층몰탈을 따라 투수층몰탈로 스며들면 상기 저수공간으로 모이고, 빗물이 많이 모여 넘치면 상기 배수구멍을 타고 지면으로 스며드는 형태를 보인다. 이로써 도심 한낮에 햇빛으로 가열된 블록의 경우 상기 저수공간에 모인 빗물이 표면으로 증발되면서 블록 표면 온도를 낮춰주므로 도심 열섬현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 자동성형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의 저수공간 형성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의 자동생산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블록 단면도
도 1 및 도 3에서 성형틀(10)은 상하부가 관통되는데, 블록의 크기에 따라 블록을 다수개로 분할하는 격자형 격판을 내장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틀(10)의 하부에는 완성된 블록을 건조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판(3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30)의 하부에는 탈형실런더(24)로 승강되는 탈형박스(23)가 구비된다. 상기 탈형박스(23) 내부에는 판실린더(21)로 승강되는 밑판(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밑판(20)에는 상기 탈형박스(23) 및 이송판(30)에 형성된 핀구멍(25)(31)을 관통하여 성형틀(10)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핀(22)이 구비된다.
누름판(40)은 상기 성형틀(10)의 상부에 마련되며, 누름판 실린더(41)에 의해 승강되는데, 기초층몰탈, 투수층몰탈 및 미장층몰탈을 눌러 블록을 다져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핀(22)은 원추형으로 경사져 있으며, 표면은 몰탈이 잘 달라붙지 않도록 이형처리된다.
상기 성형틀(10)의 상부에는 좌측으로 기초층몰탈투입대(50) 및 투수층몰탈투입대(60)가 연이어 구비되고, 우측으로 미장층몰탈투입대(70)가 구비되는데, 이들 투입대(50)(60)(70)들은 상기 성형틀(10)에 순차적으로 왕복이동된다.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는 내부에 정량공급기(53)가 구비되어 기초층몰탈이 상기 성형틀(10)에 정량 투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의 상부에는 정량공급기(52)를 갖는 기초층호퍼(51)가 구비되어 기초층몰탈을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로 정량 공급한다.
상기 성형틀(10)의 측면에는 다수의 측면핀구멍(11)이 관통 구비되는데, 상기 밑판(20)의 핀(22) 직 상부에 놓이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핀구멍(11)을 통하여 상기 성형틀(10) 내부로 출입되는 측면핀(13)을 갖는 측판(12)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 자동성형장치에서 상기 기초층몰탈(81)은 모래 : 시멘트가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물의 중량을 시멘트의 중량으로 나눈 물 시멘트비(w/c)가 25 ∼ 35중량%로써 불투수성을 갖는 대신 휨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투수층몰탈(82)은 모래 : 시멘트 : 자갈이 1 : 2.5 : 6.5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자갈은 4 ∼ 13mm의 크기이며, 물 시멘트비가 20중량% 이내의 건식으로써 투수성을 높인다. 또한 미장층몰탈(83)은 알갱이 : 시멘트가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알갱이는 백운석이나 오석으로써 0.5 ∼ 4mm의 크기이며, 물 시멘트비가 20중량% 이내의 건식으로써 투수성을 높인다.
<본 발명 블록과 일반 블록의 휨강도 비교>
종류 일반 투수블록(종래) 본 발명 블록
SIZE
Figure 112012033960233-pat00001

Figure 112012033960233-pat00002

fb
(휨강도)
전체 : 4MPa ① : 3MPa
② : 10MPa
Ix
(단면2차모멘트)
3.6 X 10-6 m4 ① : 2.33 X 10-6 m4
② : 1.27 X 10-6 m4
Zx
(단면계수)
1.2 X 10-4 m3 ① : 1.17 X 10-4 m3
② : 4.23 X 10-5 m3
휨강도에 따른 블록의
허용 수직하중
3.84 kN 6.18 kN
일반 투수블록
대비 하중비율
1 1.61
상기 비교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단면2차모우멘트와 단면계수값이 기초층몰탈(81)에 의해 보강되었으므로 일반 블록 대비 1.6배의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블록은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먼저 이송판(30)이 탈형박스(23)로 위치되면 상기 탈형박스(23)가 상승되고 이후 상기 밑판(20)이 상승되어 이의 핀(22)들이 핀구멍(25)(31)을 관통하여 이송판(30)의 위로 돌출된다. 이후 상기 탈형박스(23)가 계속 상승되면 상기 이송판(30)이 성형틀(10)의 밑면을 막아준다. 이때 상기 핀(22)이 성형틀(10) 내부로 들어간다. 또한 측판(12)이 성형틀(10)로 접근하여 이의 측면핀(13)이 성형틀(10) 내부로 들어가 상기 핀(22)들의 직상부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 및 투수층몰탈투입대(60)가 상기 성형틀(10)로 위치되면 상기 성형틀(10)의 내부로 기초층몰탈(81)과 투수층몰탈(82)이 순차적으로 투입된다.
상기 투수층몰탈투입대(60)는 상기 투수층호퍼(61)로 부터 정량의 투수층몰탈(82)이 공급되어 채워진 상태이고,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는 상기 기초층호퍼(51)로 부터 정량의 기초층몰탈(81)이 투입되어 채워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각 투입대(50)(60)의 밑면은 고정식 밑판으로 막힌 상태이므로 내부로 투입된 몰탈들이 유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와 투수층몰탈투입대(60)가 동시에 움직여 상기 성형틀(10)로 이동된 뒤 복귀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초층몰탈(81)이 먼저 성형틀(10)의 상부로 지나가면서 기초층몰탈(81)이 투입되고 이어서 투수층몰탈(82)이 투입된다. 이때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50)에 구비된 정량공급기(53)는 기초층몰탈이 균일하게 상기 성형틀(10) 내부 바닥에 퍼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누름판(40)을 하강시켜 상기 투수층몰탈(82)을 눌러주면서 성형틀(10)에 진동을 가하면, 상기 기초층몰탈(81)과 투수층몰탈(82)이 다져지면서 층분리된 몰탈들이 결속된다. 진동 과정에서 투수층몰탈(82)보다 물시멘트비가 커서 상대적으로 함수율이 높은 기초층몰탈(81)의 일부가 성형틀(10)의 내측면 및 핀(22)의 외주면을 타고 투수층몰탈(82)의 내부 공극으로 스며들어 채워지고, 이는 저수막(85)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22)에 의해 기초층몰탈(81)과 투수층몰탈(82)의 내부로 배수구멍(84)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핀(13)에 의해 투수층몰탈(82)의 내부로 측면배수구멍(84a)이 수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수막(85)에 의해 상기 투수층몰탈(82)의 하부에는 저수공간(86)이 형성된다.
상기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성형틀(10)의 상부로 미장층몰탈투입대(70)가 위치되어 상기 투수층몰탈(82)의 상부로 미장층몰탈(83)이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틀(10) 상부의 누름판(40)이 하강되어 미장층몰탈(83)의 상부를 눌러줌과 동시에 상기 성형틀(10)에 진동을 가하면 상기 미장층몰탈(83)과 투수층몰탈(82)이 결속되면서 블록(80)이 완성된다.
이후 상기 탈형박스(23) 및 이송판(30)이 하강되는데, 상기 누름판(40)은 완성된 블록(80)이 상기 성형틀(10)에서 빠져 상기 이송판(30)에 놓이도록 하강된다. 상기 이송판(30)이 하강으로 원위치되어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얹혀지면 상기 탈형박스(23)는 계속 하강되는데, 이때 상기 탈형박스(23) 내부의 밑판(20)도 함께 하강되어 이의 핀(22)이 상기 탈형박스(23) 내부로 들어가면서 완성된 블록(80)에서 분리된다.
상기 이송판(30)에는 완성된 블록(80)만 남게 되므로 상기 이송판(30)을 건조장으로 이송시키면 하나의 블록이 완성되며 위의 과정을 연속으로 반복하면 기초층몰탈(81) 및 투수층몰탈(82) 내부에 배수구멍(84)이 형성되고, 투수층몰탈(82)에는 측면배수구멍(84a)이 형성된 블록(80)을 만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블록(80a)(80b)으로써, 상기 기초층몰탈(81)과 투수층몰탈(82)을 관통하는 배수구멍(84)만 형성된 블록(80a)을 제작하거나 또는 측면판(12)의 측면핀(13)이 성형틀(10) 내부로 들어가 투수층몰탈(82)에 측면배수구멍(84a)만 형성된 블록(80b)을 제작한 것을 제외하곤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블록(80a)은 성형과정에서 측면판(12)을 작동시키지 않고 밑판(20)만 작동시킨 것이다. 이때 블록(80a)에 형성되는 저수막(85)은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로 구성된다.
또한 블록(80b)은 측면판(12)만 작동시킨 것인데, 성형과정에서 성형틀(10)의 내주면과 접하는 부분의 기초층몰탈(81) 일부가 상기 투수층몰탈(82)의 공극 사이로 스며들어 저수막(85)을 형성한다. 이러한 저수막(85)에 의해 상기 투수층몰탈(82)의 하부에 저수공간(86)이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이 상기 미장층몰탈(83)을 통하여 상기 투수층몰탈(82)로 스며든 뒤 상기 저수공간(86)에 모이고, 또한 상기 저수공간(86)에서 빗물이 넘치면 상기 측면배수구멍(84a)을 타고 블록(80a)의 옆으로 배수된다.
10 : 성형틀 11 : 측면핀구멍
12 : 측판 13 : 측면핀
20 : 밑판 21 : 판실린더
22 : 핀 23 : 탈형박스
24 : 탈형실린더 30 : 이송판
31 : 핀구멍 40 : 누름판
50 : 기초층몰탈투입대 51 : 기초층호퍼
52,53 : 정량공급기 60 : 투수층몰탈투입대
70 : 미장층몰탈투입대 80,80a,80b : 블록
81 : 기초층몰탈 82 : 투수층몰탈
83 : 미장층몰탈 84 : 배수구멍
84a : 측면배수구멍 85 : 저수막
86 : 저수공간

Claims (7)

  1. 투수층몰탈투입대에 담긴 투수층몰탈과 미장층몰탈투입대에 담긴 미장층몰탈이 차례로 투입되어 블록이 만들어지는 성형틀이 구비되고,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는 상기 투수층몰탈 내부로 묻혀 배수구멍을 만들어 주는 다수개의 핀을 갖는 밑판이 승강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성형틀과 밑판의 사이에는 상기 성형틀에서 만들어지는 블록을 받쳐주고 완성된 블록을 건조장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판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송판에는 상기 밑판에 형성된 핀들이 관통되는 다수개의 핀구멍을 갖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수층몰탈투입대의 앞쪽으로 기초층몰탈투입대가 연속으로 구비되어,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가 먼저 상기 성형틀로 이동하면 내부의 기초층몰탈이 상기 성형틀에 투입된 뒤 상기 투수층몰탈이 투입되고, 이후 상기 미장층몰탈이 순차적으로 투입되고,
    상기 미장층몰탈의 투입 전에 상기 성형틀 내부를 누름판으로 누르면서 진동을 가해 내부의 몰탈들을 다짐하는 동안 상기 성형틀의 내측면 및 핀의 외주면과 접한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어 저수막을 형성하고, 상기 투수층몰탈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막으로 감싸지는 저수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몰탈투입대에는 상기 기초층몰탈이 상기 성형틀에 정량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정량공급기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의 측면에는 상기 투수층몰탈과 대응되는 측면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측면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투수층몰탈 내부에 묻히는 측면핀을 갖는 측판이 왕복이동되게 구비되어, 블록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투수층몰탈에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4. 삭제
  5. 기초층몰탈, 투수층몰탈 및 미장층몰탈이 성형틀 내부에 순차적으로 투입 적층되면서 가압 성형되고, 상기 기초층몰탈과 투수층몰탈의 내부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미장층몰탈에서 투수층몰탈로 스며든 빗물이 상기 배수구멍으로 유입되어 상기 기초층몰탈의 밑면으로 배수되도록 한 보·차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몰탈은 상기 투수층몰탈보다 함수율을 크게 하여 양생 후 휨강도가 증가 되는 불투수층으로 구성되고,
    블록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성형틀의 진동시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투수층몰탈의 외부 경계면 및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투수층몰탈을 관통하는 상기 배수구멍들의 내부 경계면에는 함수율이 높은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어 저수막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막들에 의해 상기 투수층몰탈의 하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저수공간에 모인 뒤 넘치면 상기 배수구멍을 타고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6. 삭제
  7. 기초층몰탈, 투수층몰탈 및 미장층몰탈이 성형틀 내부에 순차적으로 투입 적층되면서 가압 성형되고, 상기 투수층몰탈의 내부에는 다수의 측면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미장층몰탈에서 투수층몰탈로 스며든 빗물이 상기 측면배수구멍으로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한 보·차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기초층몰탈은 상기 투수층몰탈보다 함수율을 크게 하여 양생 후 휨강도가 증가 되는 불투수층으로 구성되고,
    블록의 성형과정에서 상기 성형틀의 진동시 상기 기초층몰탈과 상기 투수층몰탈의 외부 경계면에는 함수율이 높은 상기 기초층몰탈의 일부가 상기 투수층몰탈의 공극으로 스며들어 저수막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막들에 의해 상기 투수층몰탈의 하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저수공간에 모인 뒤 넘치면 상기 측면배수구멍을 타고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차도블록.
KR1020120044648A 2012-04-27 2012-04-27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KR10133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648A KR101332202B1 (ko) 2012-04-27 2012-04-27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648A KR101332202B1 (ko) 2012-04-27 2012-04-27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445A KR20130121445A (ko) 2013-11-06
KR101332202B1 true KR101332202B1 (ko) 2013-11-22

Family

ID=4985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648A KR101332202B1 (ko) 2012-04-27 2012-04-27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290B1 (ko) 2020-08-12 2021-06-18 서곤성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95A (ko) * 2015-12-30 2017-07-10 원 옥 백 시공상태 유지력이 우수한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709151B1 (ko) * 2016-05-23 2017-02-22 권화숙 2단 및 3단블록 성형시스템
KR102080077B1 (ko) * 2017-09-07 2020-02-21 백원옥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KR102348302B1 (ko) * 2019-08-20 2022-01-10 백원옥 투수블록 배수구멍 성형장치
KR102126301B1 (ko) * 2020-01-29 2020-06-25 이현호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혼성 폴리머 콘크리트 그레이팅 및 투수 콘크리트 적층 친환경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제조 또는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114A (ja) * 1996-08-06 1998-02-17 Nippon Kogyo 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5002684A (ja) * 2003-06-12 2005-01-06 Ito Yogyo Co Ltd 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110103078A (ko) * 2010-03-12 2011-09-20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JP2012046971A (ja) * 2010-08-27 2012-03-08 Takamura Sogyo Kk 透水性コンクリート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114A (ja) * 1996-08-06 1998-02-17 Nippon Kogyo 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5002684A (ja) * 2003-06-12 2005-01-06 Ito Yogyo Co Ltd 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110103078A (ko) * 2010-03-12 2011-09-20 권화숙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JP2012046971A (ja) * 2010-08-27 2012-03-08 Takamura Sogyo Kk 透水性コンクリート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290B1 (ko) 2020-08-12 2021-06-18 서곤성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445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202B1 (ko)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KR101110163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CN101619558B (zh) 引气真空混凝土路面及施工方法
KR20120067908A (ko)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N203295913U (zh) 一种新型生态透水道路结构
CN211104585U (zh) 一种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设备
CN208293343U (zh) 一种园林透水路面
CN109440733B (zh) 一种胶凝砂砾石坝及其施工工艺
CN107877667A (zh) 一种双料透水砖基料铺设方法
KR100984775B1 (ko)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CN109252434A (zh) 一种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10112008A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CN111074852A (zh) 渠道衬砌混凝土现浇方法及非直线型渠道衬砌施工方法
KR100450369B1 (ko) 호안블록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109457569A (zh) 一种排水沥青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10160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101238327B1 (ko) 고강도 테라조 판의 제조장치
KR101263189B1 (ko) 우드 칩을 이용한 보도 및 그 포장 방법
KR102080077B1 (ko)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CN106988182A (zh) 渗水型面砖及其安装方法
KR102080075B1 (ko) 도로용 경계석 및 이의 성형장치
RU2526442C1 (ru) Дорожное покрытие &#34;авф-1&#34; и способ его устройства
CN111662047A (zh) 具有过滤功能透水砖的制作工艺
KR101178465B1 (ko) 고강도 테라조 판 제조방법
CN105544568B (zh) 用于电梯集水基坑的轻质盖板及其成型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