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04A -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 Google Patents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04A
KR20190027504A KR1020170114349A KR20170114349A KR20190027504A KR 20190027504 A KR20190027504 A KR 20190027504A KR 1020170114349 A KR1020170114349 A KR 1020170114349A KR 20170114349 A KR20170114349 A KR 20170114349A KR 20190027504 A KR20190027504 A KR 2019002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layer
mold
fine
plas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077B1 (ko
Inventor
원 옥 백
Original Assignee
원 옥 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옥 백 filed Critical 원 옥 백
Priority to KR102017011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0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층과 중간층 및 미장층이 한번의 진동다짐에 의해 블록으로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중간층과 미장층은 경계면에 요철이 형성되어서 수평적인 경계면에서 벗어나 입체적이고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미장층이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중간층에서 이탈되지 않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형틀 내부에 기초골재와 중간골재 및 미장골재를 차례로 투입하고 한번의 진동다짐으로 만들어진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에 있어서, 상기 미장골재를 상기 형틀에 투입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형틀의 측면으로 형성된 출입구로 막대를 투입하여 상기 중간골재의 표면에 내부로 들어간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누름판으로 상기 미장골재와 중간골재 및 기초골재를 누르면서 상기 형틀에 진동을 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홈에 미장골재의 일부가 파고들어 연장부가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A block with enhanced bonding strength}
본 발명은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층과 중간층 및 미장층이 한번의 진동다짐에 의해 블록으로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중간층과 미장층은 경계면에 요철이 형성되어서 결속되도록 하고, 상기 기초층과 중간층을 관통하는 배수구멍의 상단이 상기 요철과 통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미장층이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중간층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또한 배수구멍이 미장층으로 연장되어 배수성이 향상되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굵은골재로 기초층을 만들고 그 위에 작은골재를 덮어 미장층을 만들었다. 특허 제863197호, 특허 제960955호 및 특허 제1020633호에서 기초층과 미장층은 건식공법으로 제작되는데, 먼저 형틀에 기초층을 깔고 가압 및 진동을 실시하여 다짐한 뒤 기초층 위에 미장층을 씌우고 가압 및 진동을 실시하는 이중의 다짐으로 생산되었다. 건식공법은 주로 진동 고압방식의 금형을 이용하여 만드는 형식으로서, 소량의 물을 넣어 시멘트와 골재를 반죽하므로 물기가 거의 없는 특성으로 인해 불량품이 생산되더라도 파쇄 후 골재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특허들은 하나의 형틀에서 기초층과 미장층을 가압 성형해야되므로 기초층을 먼저 눌러 미장층이 투입될 자리를 확보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였다. 종래의 생산방법은 2단계의 누름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기초층을 누른 뒤 미장층을 붓고 재차 누르는 공정으로 인하여 기초층과 미장층이 층분리되어 결속력이 약화되고 투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특허공개 제2015-0017165호 에서 하나의 형틀로 기초층과 미장층을 동시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골재 공급통의 하부에 보조틀을 갖는 골재안내수단을 마련한 것으로서, 보조틀이 형틀의 상부에 놓여서 미장층의 골재가 기초층의 골재 위에 쌓이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번의 누름공정으로 기초층과 미장층이 동시에 다짐되므로 생산성이 두배 빨라지고 층분리현상이 배제되어 투수성도 향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특허는 상기 미장층과 기초층이 경계면에서 결합되는 수평적인 적층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미장층에 충격이 가해지면 미장층이 기초층에서 탈락되어 부분적으로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층과 중간층 및 미장층이 한번의 진동다짐에 의해 블록으로 성형되도록 하되, 상기 중간층과 미장층은 경계면에 요철이 형성되어서 수평적인 경계면에서 벗어나 입체적이고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미장층이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중간층에서 이탈되지 않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간층과 미장층에 형성되는 요철부에 내부의 배수구멍이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미장층과 배수구멍이 연결되어서 배수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형틀 내부에 기초골재와 중간골재 및 미장골재를 차례로 투입하고 한번의 진동다짐으로 만들어진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에 있어서, 상기 미장골재를 상기 형틀에 투입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형틀의 측면으로 형성된 출입구로 막대를 투입하여 상기 중간골재의 표면에 내부로 들어간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누름판으로 상기 미장골재와 중간골재 및 기초골재를 누르면서 상기 형틀에 진동을 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홈에 미장골재의 일부가 파고들어 연장부가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를 요구하는 기초층의 위쪽으로 상기 기초층보다 물시멘트비가 상대적으로 낮아 투수성을 향상시키는 중간층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층의 위쪽으로 미장층이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미장층과의 경계면에 다수의 수용홈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에 미장층의 일부가 파고들어 미장층이 상기 중간층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연장된 미장층이 상기 중간층과의 결속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특히 상기 중간층에 형성된 수용홈은 입구가 좁고 내부로 확장되는 삼각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상기 미장층의 연장부가 상기 삼각 구조의 수용홈에서 양생되면 입구가 좁아서 빠지지 않으므로 결속력이 더욱 강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층과 중간층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상기 미장층의 연장부로 돌출되어서 미장층으로 스며드는 빗물을 배수구멍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므로 배수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투수블록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투수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투수블록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투수블록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투수블록은 기초층(10)과 중간층(20) 및 미장층(30)의 3단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초층을 구성하는 기초골재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중간골재보다 물비멘트비(w/c)가 높아 큰 하중에 견딘다. 그리고 상기 중간골재는 투수성을 높이는 것이며, 미장층을 구성하는 미장골재는 골재입도가 다른 골재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투수성 및 모양을 내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형틀(40)의 개방된 하부를 밑판(44)으로 막고 내부에 기초골재를 투입한다. 상기 밑판(44)에는 다수의 핀(45)이 형틀(40) 내부로 돌출되는데, 이들 핀(45)은 블록에 배수구멍(46)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기초골재를 투입한 뒤 중간골재를 투입하여 적층하고, 상부의 누름판(43)을 하강시켜 중간골재의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핀(45)의 상단은 누름판(43)의 밑면과 근접된다.
이후 형틀(4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출입구(41)로 막대(42)를 통과시켜 상기 중간골재로 구성되는 중간층(20)의 표면으로 파고들어 다수의 수용홈(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출입구(41)는 상기 중간골재의 표면과 일치되는 높이가 되도록 상기 형틀(4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43)이 중간골재를 평탄하게 누른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43)의 밑면은 상기 출입구(41)의 윗면과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막대(42)가 중간층(20)의 표면으로 파고드는 과정에서 상기 핀(45)의 상단은 상기 막대(42)의 밑면과 닿는다.
상기 막대(42)를 상기 형틀(40)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막대(42)가 있던 자리에 수용홈(21)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21)의 표면으로 상기 핀(45)의 상단이 노출된다. 이후 미장골재를 형틀(40)에 투입한 뒤 상기 누름판(43)을 하강시켜 상기 미장골재와 중간골재 및 기초골재를 동시에 가압하면서 형틀(40)에 진동을 가하면 기초층(10)과 중간층(20) 및 미장층(30)이 만들어진다.
상기 미장골재가 형틀(40)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홈(21)으로 미장골재의 일부가 파고들어가는데, 형틀(40)의 진동다짐 과정에서 상기 수용홈(21)으로 파고 들어간 미장골재는 연장부(31)로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31)의 일부가 누름판(43)의 하강으로 압축되는 과정에서 핀(45)의 상단으로 파고들어간다.
진동 다짐후 밑판(44)을 하강시키면 형틀(40)에서 투수블록이 분리된다. 상기 수용홈(21)은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으며, 양쪽의 측면은 상향으로 축소 경사진 경사면(22)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연장부(31)는 수용홈(21)의 형태대로 아래쪽이 넓고 위쪽은 좁은 형태가 되어서 연장부(31)와 수용홈(21)이 서로 맞물려 결속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핀(45)이 있던 자리에 배수구멍(46)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멍(46)의 상단이 상기 연장부(31)까지 연결되어서 빗물이 미장층으로 스며든 뒤 연장부(31)를 통하여 배수구멍(46)으로 쉽게 유도되는 효과도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투수블록은 형틀(40)에 기초골재와 중간골재를 투입한 뒤 누름판(43)을 하강시켜 중간골재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고, 이후 출입구(41)로 막대(42)를 넣어서 중간골재의 표면에 파고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중간골재의 표면에 수용홈(21)이 형성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형틀(40)로 미장골재가 투입되면 상기 수용홈(21)으로 미장골재의 일부가 파고들어가서 진동다짐 과정에서 연장부(31)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1)는 아래가 넓고 위쪽이 좁은 삼각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미장층(30)과 중간층(20)의 결속력이 강화된다. 상기 미장층(30)은 사람이 걸어다니거나 또는 차량의 바퀴가 지나가는 곳이므로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데, 이 과정에서 미장층(30)과 중간층(20)의 경계면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 한 실시예는 연장부(31)로 인하여 미장층(30)과 중간층(20)의 층분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형틀(40)의 진동다짐과정에서 연장부(31)의 일부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핀(45)의 상단으로 파고들어가는데, 진동다짐 후 형틀에서 투수블록을 분리시키고 밑판(44)을 제거하면 핀(45)이 있던 자리가 배수구멍(46)으로 형성된다. 이때 배수구멍(46)의 상단은 연장부(31)와 연결되어서 배수성능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형틀(40)에 기초층(10)과 중간층(20)을 구성하는 기초골재 및 중간골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이후 형틀(10)에 약한 진동을 가해서 중간골재의 상부가 평탄해 지도록 한다. 그리고 막대(42)를 형틀(10)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중간골재의 상부에 놓이도록 한다. 이때 막대(42)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중간골재의 상측 일부는 형틀(10)에서 배출되거나 또는 양옆으로 밀려서 벌어진 형태를 취한다.
이후 미장층(30)을 구성하는 미장골재를 투입하고 상기 막대(42)를 제거하면 중간골재의 상부에 수용홈(21)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누름판(43)을 하강시켜 미장골재를 누르면서 형틀(40)에 진동을 가하면 미장골재의 일부가 상기 수용홈(21)으로 파고들면서 연장부(31)로 형성되는데, 이때 연장부(31)의 일부는 핀(45)의 상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성형완료 후 형틀(40)에서 투수블록을 제거하면 핀(45)이 있던 자리가 배수구멍(46)으로 형성되고, 배수구멍(46)의 상단은 연장부(31)와 연결되어서 배수성능이 향상된다.
10 : 기초층 20 : 중간층
30 : 미장층 40 : 형틀
41 : 출입구 42 : 막대
43 : 누름판 44 : 밑판
45 : 핀 46 : 배수구멍

Claims (3)

  1. 형틀 내부에 기초골재와 중간골재 및 미장골재를 차례로 투입하고 한번의 진동다짐으로 만들어진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에 있어서,
    상기 미장골재를 상기 형틀에 투입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형틀의 측면으로 형성된 출입구로 막대를 투입하여 상기 중간골재의 표면에 내부로 들어간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누름판으로 상기 미장골재와 중간골재 및 기초골재를 누르면서 상기 형틀에 진동을 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홈에 미장골재의 일부가 파고들어 연장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입구가 좁고 내부가 넓은 삼각형태로 구성되어서 상기 연장부의 단면이 삼각형태로 만들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개방된 밑면을 받쳐주는 밑판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어서 상기 기초골재 및 중간골재로 파고들어서 배수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되, 진동다짐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의 일부가 상기 핀의 상단으로 들어가 상기 배수구멍과 상기 연장부가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KR1020170114349A 2017-09-07 2017-09-07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KR10208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49A KR102080077B1 (ko) 2017-09-07 2017-09-07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49A KR102080077B1 (ko) 2017-09-07 2017-09-07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04A true KR20190027504A (ko) 2019-03-15
KR102080077B1 KR102080077B1 (ko) 2020-02-21

Family

ID=6576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349A KR102080077B1 (ko) 2017-09-07 2017-09-07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931A (ko) 2019-12-31 2021-07-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투수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132A (ko) * 2005-11-09 2005-12-15 한상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고무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20120067908A (ko)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30121445A (ko) * 2012-04-27 2013-11-06 권화숙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132A (ko) * 2005-11-09 2005-12-15 한상관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고무 블록과 그 제조방법
KR20120067908A (ko) * 2010-12-16 2012-06-26 권화숙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130121445A (ko) * 2012-04-27 2013-11-06 권화숙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931A (ko) 2019-12-31 2021-07-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투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077B1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163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KR20120067908A (ko) 투수성 보차도블록, 이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60109837A (ko) 흑연을 함유하는 전도성 콘크리트 블록의 형성 방법
KR101332202B1 (ko) 보·차도블록 자동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블록
KR20190027504A (ko) 결속력이 강화된 투수블록
CN103278360A (zh) 预留硐室模拟试件制备模具总成及其用于制备试件的方法
KR101676998B1 (ko) 다층 보도블럭 제조방법
KR101872954B1 (ko) 다층 동시성형 보도블록 그리고 이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10112008A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US34975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aced concrete blocks
CA225648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crete block
KR102591500B1 (ko) 투수블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CN104712098A (zh) 一种拉锁式建筑墙板及一种制作拉锁式建筑墙板时使用的拉锁键
KR20170111622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US399064A (en) Alexander mclean
KR101238327B1 (ko) 고강도 테라조 판의 제조장치
KR101110160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CA2237652A1 (en) A method of producing an inorganic molded product
KR100500575B1 (ko)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06048467U (zh) 一种带孔土工试验试块制作模具
KR101178465B1 (ko) 고강도 테라조 판 제조방법
KR20190039844A (ko) 도로용 경계석 및 이의 성형장치
CN209099517U (zh) 预制件与建筑基础的连接结构
CN203310683U (zh) 预留硐室模拟试件制备模具总成
JPS60175602A (ja) 舗装用透水性平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