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022A -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022A
KR20090059022A KR1020080041926A KR20080041926A KR20090059022A KR 20090059022 A KR20090059022 A KR 20090059022A KR 1020080041926 A KR1020080041926 A KR 1020080041926A KR 20080041926 A KR20080041926 A KR 20080041926A KR 20090059022 A KR20090059022 A KR 2009005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urb
dr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442B1 (ko
Inventor
신 오 황
황현오
이종업
Original Assignee
신 오 황
황현오
이종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 오 황, 황현오, 이종업 filed Critical 신 오 황
Priority to PCT/KR2008/0071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72816A1/en
Publication of KR2009005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2Apparatus for laying the elements by rolling or unfolding, e.g. for temporary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경계석의 시공 시간 및 인력 투입이 적은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은 거푸집이 필요없는 직타 방식으로 측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바로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은 후 선형과 레벨을 보정하여 경계석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다.

Description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Dry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 또는 보도 사이를 구획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계석을 건식으로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운행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 사이의 경계에는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차도를 주행 중인 차량이 보도 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석이 설치된다.
경계석은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 위에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따라 이들 사이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그 재료로는 화강암과 같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한 것과 같은 인조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계석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통해 시공되며 통상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건설된다. 종래 경계석 시공방법은 습식 방식으로 한 쌍의 1차거푸집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부 물빠지기 후 그 위에 경계석이 규정된 높이에 위치 및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으면 기초콘트리트로부터 소정간격 차도 쪽으로 더 이격된 부위에 제2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사이에 L형 측구 콘크리트(경계석 고정용)를 타설한다. L형 측구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1,2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경계석의 시공이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습식 경계석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즉, 종래 습식 시공방법은 경계석을 실질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콘크리트 외에 경계석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기초콘크리트가 별도로 타설되어야 함은 물론, 이러한 기초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 되기를 기다렸다가 그 위에 경계석을 정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경계석 설치를 위한 시간과 인력이 과도하게 투입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의 시공 시간 및 인력 투입이 적은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은 직타 방식으로 측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은 후 레벨과 선형을 보정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구 콘크리트는 상면에 경계석을 올려놓기 위해 경계석보다 폭이 여유 있게 마련되는 요홈부를 구비하고, 요홈부의 여유 폭은 모르타르로 보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벨과 선형 보정은 다짐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구 콘크리트는 상면에 경계석을 올려놓기 위해 경계석보다 약간 여유 있게 마련된 요홈부를 구비하고, 측구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요홈부의 여유 폭을 메울 양을 요홈부의 양쪽 팁에 더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에 있어서 측구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30~60mm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화강 석 또는 인조화강석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은 거푸집이 필요없는 직타 방식을 이용하여 측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바로 경계석을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 속도가 빠르며, 그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2a 내지 도 2e는 경계석의 시공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층(1)을 형성한다(S100). 기층(1)은 통상 바닥 다짐을 하는 과정으로 건축물 시공 시 일반적으로 하는 공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구(10)를 마련한다(S200). 콘크리트 타설은 거푸집 없이 콘크리트 직접 타설하는 직타 방식을 이용하며, 이 방식은 현재 작업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콘크리트 직타 시공기계를 이용하거나 직타용 거푸집을 제작 시공하여 현장 맞춤용 진동 기계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콘크리트의 규격은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mm)/콘크리트강도(MPa)/슬럼 프치(mm)로 표시한다. 슬럼프치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질기가 무르며, 슬럼프치가 낮을수록 질기가 되다. 예를 들어, 일반 건축물 시공에 쓰이는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 치수가 25mm, 강도가 18~24MPa, 슬럼프가 80~150mm 정도인데, 본 발명에 따른 측구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나 슬럼프치는 30~60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럼프 규격을 갖는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질기가 적당하여 물빠지기 시간을 별도로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음 공정을 연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경계석(20)을 올려놓을 때 부분 침하 및 부서짐이 발생한다. 슬럼프치를 제외한 다른 골재 크기와 강도는 계절 및 골재의 함수율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시공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측구(10)에는 경계석(2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요홈부(12)가 상면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요홈부(12)는 실제 경계석의 폭보다 약간 넓게 마련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을 시공한다(S300). 측구(10) 위에 놓이는 경계석(20)은 화강석 또는 인조화강석을 사용해야 한다. 경계석 중에는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한 것도 있는데, 이러한 콘크리트 경계석은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충격을 받게 되는 도로 경계석에는 미관성 및 수명성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측구(10) 위의 요홈부(12)에 경계석(20)이 올려지면, 선형 및 레벨을 맞춘다(S400). 선형은 길이방향의 정렬 상태를 맞추는 것을 의미하며, 레벨은 경계석의 높이를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실에 맞춰서 선형은 약 2~ 10mm 정도로 보정 정렬하며, 레벨은 약 2~ 5mm 정도로 정밀 시공한다.
이어서, 요홈부(12)와 경계석(20) 사이에 모르타르(30)를 시공하여 경계석(20)을 고정시킨다(S500). 이 단계는 상기 S400과 순서를 변경해서 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르타르(30)를 먼저 요홈부(12)에 붓고 그 위에 경계석(20)을 올려놓을 수도 있는데, 다만 이 과정은 모르타르가 양생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완료되면, 도 2e와 같은 형태로 경계석이 시공된다. 이러한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은 종래 습식 시공방법에서 측구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가 상기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실시예의 경계석은 측구(10)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경계석(20)을 올려놓기 위해 실제 경계석의 폭보다 약간 여유 있게 마련되는 요홈부(12)의 양쪽 팁(14,16)에 요홈부(12)의 여유 폭을 메울 정도 양의 콘크리트를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 타설한다(S200'). 즉, 일 실시예서는 요홈부(12)의 여유 폭을 모르타르로 메우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요홈부(12)를 여유 분의 타설 콘크리트로 메우게 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일 실시예의 모르타르 시공 단계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 및 비용 관리에 보다 효율적이다.
둘째, 본 실시예의 경계석은 측구 타설 후 경계석을 시공하면, 고진동 다짐 기로 경계석과 측구를 정렬시킴과 동시에 다짐하면서 요홈부(12)의 여유 폭을 메운다(S40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경계석 건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진동 다짐기의 다짐판을 도시한 것이다. 고진동 다짐기는 구동원 및 진동유닛을 구비한 장치 본체(미도시)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면다짐판(42)과, 후면다짐판(46)을 설치하여 경계석(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계석의 선형 및 레벨을 맞춤과 동시에 요홈부(12)의 여유 폭(틈)을 메우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다짐판(42)은 경계석의 전면(20a)과 상면(20c)을 맞추며 화살표 방향으로 진동(Q)을 가하면서 여유분의 팁(16)을 이용하여 요홈부(12)의 틈을 메운다. 후면다짐판(46)은 측구의 후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주면서 진동을 가하여 여분의 팁(14)을 이용하여 요홈부(12)의 반대쪽 틈을 메움과 동시에 측구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각 다짐판(42,46)의 단부는 다짐기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스키와 같이 곡선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경계석의 전면(20a)측 측구는 요홈부(12)를 메우면서 다질 때 최초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경사도가 올라가게 되면, 물이 고이면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다짐 및 메움 과정은 측구 타설 후 30분 이내에 실시해야 하며, 콘크리트의 양생이 시작되기 전에 끝나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의 공정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건식 시공방법의 일부 공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건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다짐장치의 정면다짐판과 후면다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후면다짐판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측구 12..요홈부
20..경계석 30..모르타르
42..정면다짐판 46..후면다짐판

Claims (6)

  1. 직타 방식으로 측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은 후 레벨과 선형을 보정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 콘크리트는 상면에 경계석을 올려놓기 위해 경계석보다 폭이 여유 있게 마련되는 요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홈부의 여유 폭은 모르타르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과 선형 보정은 다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 콘크리트는 상면에 경계석을 올려놓기 위해 경계석보다 약간 여유 있게 마련된 요홈부를 구비하고,
    측구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요홈부의 여유 폭을 메울 양을 요홈부의 양쪽 팁에 더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30~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화강석 또는 인조화강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KR1020080041926A 2007-12-05 2008-05-06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KR10105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7160 WO2009072816A1 (en) 2007-12-05 2008-12-04 Dry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5711 2007-12-05
KR1020070125711 2007-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022A true KR20090059022A (ko) 2009-06-10
KR101052442B1 KR101052442B1 (ko) 2011-07-28

Family

ID=4098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926A KR101052442B1 (ko) 2007-12-05 2008-05-06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4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313A (zh) * 2014-06-16 2014-08-27 葛洲坝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沥青混凝土路面分隔带路缘石施工方法
CN105200881A (zh) * 2015-10-21 2015-12-30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高寒区路基冻害综合处治结构的施工方法
CN113550195A (zh) * 2021-06-22 2021-10-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路缘石基础一次成型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859Y1 (ko) 1996-11-12 1999-06-15 정희용 교량용 차량방호책
JP2002138408A (ja) 2000-10-30 2002-05-14 Makoto Maeda 歩車道境界ブロック用の基礎ブロック
KR100432863B1 (ko) * 2001-12-29 2004-05-27 조용수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KR100777153B1 (ko) * 2006-09-21 2007-11-16 신 오 황 경계석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5313A (zh) * 2014-06-16 2014-08-27 葛洲坝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沥青混凝土路面分隔带路缘石施工方法
CN104005313B (zh) * 2014-06-16 2015-12-02 中国葛洲坝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沥青混凝土路面分隔带路缘石施工方法
CN105200881A (zh) * 2015-10-21 2015-12-30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高寒区路基冻害综合处治结构的施工方法
CN105200881B (zh) * 2015-10-21 2017-07-14 正平路桥建设股份有限公司 高寒区路基冻害综合处治结构的施工方法
CN113550195A (zh) * 2021-06-22 2021-10-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路缘石基础一次成型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442B1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729B1 (ko) 아스팔트 포장 보수 공법
KR101052442B1 (ko)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US8956075B1 (en) Tunnel mold, system and method for slip form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exposed rebars
CN107287999A (zh) 刚性桩复合地基联合排水固结加固公路软土地基施工工法
CN108411751A (zh) 沥青路面局部修复结构及修复方法
KR100958949B1 (ko) 자동 레벨 경계석과 측구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경 토목용 현장 타설용 경계석과 측구 시공 방법
KR101044745B1 (ko)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CN110055845B (zh) 一种公路桥涵两侧软土路基的施工方法
CN111074852B (zh) 渠道衬砌混凝土现浇方法及非直线型渠道衬砌施工方法
KR20120122193A (ko) 슬립폼 페이버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KR101287174B1 (ko) 요철형 도로의 시공방법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CN110195402B (zh) 一种道路修复模块及其施工方法
CN209854513U (zh) 一种市政道路路缘石安装结构及施工装置
CN1584209A (zh) 一种砌块路面的施工方法
CN113106801A (zh) 高速公路工程的路面拓宽方法
CN112900180A (zh) 道路修补维护施工方法
CN214401329U (zh) 一种水泥稳定碎石基层铺装结构
WO2009072816A1 (en) Dry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NL1019992C2 (nl) Geprefabriceerd constructie-element voor toepassing in een busperron, vluchtheuvel, verkeersgeleider of dergelijke.
CN111005299B (zh) 一种井盖周边沥青路面防开裂养护工艺
CN110258246B (zh) 一种人行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CN215857035U (zh) 一种活性粉末混凝土复合透水人行道砖
CN219527284U (zh) 一种叠加混凝土路面施工结构
KR19980020872A (ko) 맨홀의 인상 및 보수용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