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45B1 -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45B1
KR101044745B1 KR1020100112937A KR20100112937A KR101044745B1 KR 101044745 B1 KR101044745 B1 KR 101044745B1 KR 1020100112937 A KR1020100112937 A KR 1020100112937A KR 20100112937 A KR20100112937 A KR 20100112937A KR 101044745 B1 KR101044745 B1 KR 10104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compacting
leveling
hopper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유재홍
Original Assignee
유재홍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홍,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재홍
Priority to KR102010011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 E01C19/528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with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장에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경계석이 시공되는 지면의 바닥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일부 구간만의 평탄화를 통해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직후에 별도의 공정없이 경계석을 다짐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게 다수의 바퀴(11)와 손잡이(12)를 포함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점도를 가지는 콘트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투입받아 혼합 배출시키면서 경계석(1)을 성형하는 경계석 성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성형수단은, 상부 투입부(21)와 전방 개방부(22)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혼합 스크류(23)가 구비된 호퍼(20)와, 상기 혼합 스크류(23)를 연동 회전시키는 구동부(24)와, 상기 호퍼의 전방 개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유도하는 혼합물 충진이동관(25)과, 전후방과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면서 상기 혼합물 충진이동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경계석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부의 전방에 상기 성형부와 일렬로 배열되고 진동기(41)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다짐하는 다짐부(40)와; 상기 경계석의 시공 위치를 따라 지면 위에 평탄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바퀴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를 일정하게 레벨링하는 레일(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BOUNDARY STONE CONSTRUCTING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LEVELING AND HARDENING}
본 발명은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경계석이 시공되는 지면의 바닥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일부 구간만의 평탄화를 통해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직후에 별도의 공정없이 경계석을 다짐할 수 있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이라 함은, 도로에서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거나, 공원 또는 정원 등을 조경할 경우 인도와 조경물을 구획하여 인도를 확보하거나 조경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거나, 강변에 시공된 보행로의 가에 시공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경계석을 시공할 경우에는, 경계석을 블록으로 시공하는 방법과 타설을 통해 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먼저, 종래에 경계석을 블록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길이가 긴 블록들을 별도로 제작한 다음, 각 블록들의 단부를 콘크리트 등의 접착수단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경계석을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블록들로 경계석을 시공할 경우에는, 블록들을 시공 장소까지 옮긴 다음 각 블록들의 위치를 맞추면서 단부를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 경계석을 시공해야 함으로써, 경계석의 시공시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도로나 보행로의 가에 경계석을 시공하거나 공원에 조경을 하는 과정에서 곡선으로 경계석을 시공할 경우에는, 각 블록들을 곡선형으로 제작한 후 시공을 해야 함으로써, 많은 시공비용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 경계석을 타설을 통해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할 경계석의 주위에 거푸집을 시공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의 해체 과정을 통해 경계석을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타설을 통해 경계석을 시공할 경우에는, 거푸집을 시공하고 해체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시공비용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특허공개 제2009-0084294호(경계석 시공장치)가 있다.
상기 경계석 시공장치는 현장에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시켜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접착공정이나 거푸집의 시공공정을 거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 내에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경계석 시공 지역의 바닥이 평탄하지 않고 울퉁불퉁한 경우 경계석 시공장치가 울퉁불퉁한 바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성형부가 지면으로부터 상하로 이동하고, 성형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콘크리트가 성형부 밖으로 누출됨으로써 경계석이 고유의 형상(성형부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물론, 경계석이 시공되는 구역의 바닥을 평탄화하면 전술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경계석이 시공되는 모든 구역을 평탄화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현실성이 없기 때문에 전술한 단점을 그대로 안고 시공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성형부를 통해 경계석을 연속 시공할 수 있지만, 상기 성형부는 경계석의 형상만을 성형하는 것일 뿐이기 때문에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다짐을 필요로 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에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접착공정이나 거푸집의 시공공정을 거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 내에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고, 경계석이 시공되는 바닥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일부 구간만의 평탄화를 통해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직후에 별도의 공정없이 경계석을 다짐할 수 있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게 다수의 바퀴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점도를 가지는 콘트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투입받아 혼합 배출시키면서 경계석을 성형하는 경계석 성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성형수단은, 상부 투입부와 전방 개방부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혼합 스크류가 구비된 호퍼와, 상기 혼합 스크류를 연동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호퍼의 전방 개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유도하는 혼합물 충진이동관과, 전후방과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면서 상기 혼합물 충진이동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경계석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부의 전방에 상기 성형부와 일렬로 배열되고 진동기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다짐하는 다짐부와;
상기 경계석의 시공 위치를 따라 지면 위에 평탄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바퀴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를 일정하게 레벨링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거푸집을 대신하여 성형부의 이동을 통해 경계석의 형상을 연속 시공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와 철거 등에 따른 작업이 없어지므로 시공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경계석이 시공되는 바닥 전체를 평탄화하지 않고 필요한 구간만을 평탄화(레일)하여 성형부가 지면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구간에서 동일한 형상의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다짐부를 통해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다짐하여 후다짐의 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역시 공기를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에 적용된 성형부의 연결 상태 발췌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성형부의 하강/ 상승 상태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는, 이동이 가능하게 다수의 바퀴(11)와 손잡이(12)를 포함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점도를 가지는 콘트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이하 '콘크리트'라 칭함)를 투입받아 혼합 배출시키면서 경계석(1)을 성형하는 경계석 성형수단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차대 프레임으로서, 본 장치의 기초를 담당하며, 손잡이(12)는 베이스(10)의 후방에 세워지고 양 손으로 수취할 수 있는 수취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는 경계석(1)이 재료가 되는 시멘트, 석분, 자갈, 물등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토는 호퍼에 투입된 후 혼합되어 배출 성형될 수 있도록 일정한 수분을 함유한 점토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계석 성형수단은,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받는 호퍼(20), 호퍼(20)에 투입된 콘크리트를 경계석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로 구성된다.
호퍼(20)는 상부 투입부(21)와 전방 개방부(22)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혼합 스크류(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방 개구부(22)의 전방(성형부(30)쪽)에는 성형부(30)에 연결되는 혼합물 충진이동관(25)이 형성된다.
또한 혼합 스크류(23)는 구동부(24)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혼합 스크류(2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로서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4)는 바퀴(11)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바퀴(1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호퍼(20)의 상부 투입부(2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구비되어 있으며, 중간에는 콘트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자갈이나 불순물 걸러내는 절골망(21a)이 더 구비된다.
성형부(30)는, 경계석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전,후방과 하부가 개방되게 구비되고 상부는 평판, 경사판, 굴곡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혼합물 충진이동관(25)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부(30)를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여러 단면을 가지는 경계석(1)으로 호환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성형부(30)의 일측에는 권취롤(27)에 권취된 봉, 관, 야광봉, 발광관 중 어느 하나를 삽입 공급받아 성형부(30)를 통과한 경계석(1)의 상부 또는 측부에 삽입 노출되게 공급하는 경사 투입관(28)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봉,관은 투명이나 색깔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관은 내부에 발광 다이오드가 내장되어 야간에 전기의 통전을 통해 발광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제2009-84294호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성형부(30)를 통과한 경계석(1)을 다짐할 수 있도록 다짐부(40)가 함께 구성된다. 다짐부(40)는 성형부(3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단 다짐시 지면과의 접촉을 감안하여 성형부(30)보다 낮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짐부(40)는 진동기(41)(공지의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여 성형부(30)를 통과한 경계석(1)을 다짐한다.
따라서, 다짐부(40)는 성형부(30)의 일측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예를 들어, 주름막(4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다짐부(40)는 진동시 주름막(42)을 통해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하면서 경계석(1)을 다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짐부(40)는 저부가 지면에 충돌할 때 파손되지 않도록 탄성 재질의 스커트(43)가 구비된다. 스커트(43)는 다짐부(40)에 체결구 등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경계석(1)의 시공시 모든 부분을 평탄화하지 않고 바퀴(11)가 이동하는 부분만의 평탄화를 통해 모든 구간에서 동일한 형상의 경계석(1)을 시공할 수 있도록 레일(50)이 갖추어진다.
레일(50)은 바퀴(11)가 이탈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며, 경계석 시공장치가 적은 힘으로도 안착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 단부는 각각 경사형 도입부(51)가 구비되고, 경계석(1)의 구간에 맞도록 다수개가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레일(50)은 지면을 평탄화 후 설치되어 바퀴(11)가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경계석(1)의 시공시 바퀴(11)가 지면으로부터 레일(50)의 높이만큼 상부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렇다 하더라도 성형부(30)는 지면에 닿거나 근접되어 있어야 할 것이므로 성형부(30)는 바퀴(1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성형부(30)가 경계석(1)의 시공과 상관없이 항상 바퀴(11)보다 낮다면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성형부(30)는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처럼, 혼합물 충진이동관(25)의 전방에는 승강안내핀(29)이 설치되며, 성형부(30)에는 승강안내핀(29)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안내부(31)(구멍이나 홈의 형태)가 갖추어진다. 도면에서처럼, 성형부(3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승강안내부(31)가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며, 승강안내핀(29)은 성형부(30)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안내부(31)보다 큰 단면적의 헤드가 구성되고 승강안내부(31)를 관통하여 혼합물 충진안내관(25)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경계석을 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바퀴(11)가 지면에 지지됨에 따라 성형부(30)가 혼합물 충진이동관(25) 보다 높게 상승하여 저면이 지면에 지지되며((A) 상태),
경계석(1)의 시공을 위하여 바퀴(11)가 레일(5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성형부(30)가 승강안내핀(29)과 승강안내부(31)를 통해 지면측으로 하강하여 지면에 닿거나 근접된다(B) 상태).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경계석 시공장치를 통해 경계석(1)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경계석(1)이 시공되는 위치에 맞춰 레일(50)을 설치한다. 레일(50)의 설치 이전에 지면을 평탄화하며, 평탄화된 지면에 레일(50)을 설치한다. 즉, 한 쌍의 레일(50) 사이에 경계석(1)을 시공하며, 레일(50) 사이의 지면은 평탄하지 않더라도 바퀴(11)가 레일(50)을 통해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므로 성형부(30)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경계석(1)이 시공될 지면에 홈파기 공사를 진행할 수 있다. 즉 경계석(11)이 시공될 지면에 시공되는 경계석(1)의 하부가 함몰 삽입되는 함몰홈을 길게 판다.
그런 다음, 경계석(1)이 시공될 부분에 시공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30)의 전방이 위치되게 한 다음, 호퍼(20)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투입하면서 혼합 스크류(23)의 구동부(24)를 작동시킴으로써, 베이스(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중에 콘크리트가 혼합물 충진이동관(25)을 경유한 후 성형부(30)에 공급되어 성형부(30)의 형상인 경계석(1)으로 성형된다.
한편, 진동부(40)는 진동기(41)에 의해 진동하여 성형부(30)를 통과한 경계석(1)을 다짐하며, 따라서, 별도의 다짐 작업을 거치지 않고 성형부(30)에 의해 성형된 경계석(1)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다짐부(40)의 다짐시 주름막(42)에 의해 다짐부(40)와 성형부(30)는 파손을 일으키지 않는다.
경계석(1)의 시공이 완료되면 경계석 시공장치를 레일(50)에서 내리며, 이렇게 되면 바퀴(11)가 지면에 안착되고 따라서 성형부(30)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된다.
1 : 경계석,
10 : 베이스
11 : 바퀴, 12 : 손잡이
20 : 호퍼, 29 : 승강안내핀
30 : 성형부, 31 : 승강안내부
40 : 다짐부, 41 : 진동기
42 : 주름막,
50 : 레일, 51 : 도입부

Claims (6)

  1. 삭제
  2. 이동이 가능하게 다수의 바퀴(11)와 손잡이(12)를 포함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점도를 가지는 콘트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투입받아 혼합 배출시키면서 경계석(1)을 성형하는 경계석 성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성형수단은, 상부 투입부(21)와 전방 개방부(22)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혼합 스크류(23)가 구비된 호퍼(20)와, 상기 혼합 스크류(23)를 연동 회전시키는 구동부(24)와, 상기 호퍼의 전방 개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유도하는 혼합물 충진이동관(25)과, 전후방과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면서 상기 혼합물 충진이동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경계석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부(30)와;
    상기 성형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저부에 탄성재질의 스커트(43)가 형성되어 상기 성형부의 전방에 상기 성형부와 일렬로 배열되고 진동기(41)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다짐하는 다짐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3. 이동이 가능하게 다수의 바퀴(11)와 손잡이(12)를 포함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점도를 가지는 콘트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투입받아 혼합 배출시키면서 경계석(1)을 성형하는 경계석 성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석 성형수단은, 상부 투입부(21)와 전방 개방부(22)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혼합 스크류(23)가 구비된 호퍼(20)와, 상기 혼합 스크류(23)를 연동 회전시키는 구동부(24)와, 상기 호퍼의 전방 개방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에 투입되는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유도하는 혼합물 충진이동관(25)과, 전후방과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면서 상기 혼합물 충진이동관의 전방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경계석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성형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저부에 탄성재질의 스커트(43)가 형성되어 상기 성형부의 전방에 상기 성형부와 일렬로 배열되고 진동기(41)에 의해 진동하면서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다짐하는 다짐부(40)와;
    상기 경계석의 시공 위치를 따라 지면 위에 평탄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바퀴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를 일정하게 레벨링하는 레일(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짐부는 상기 성형부에 유연성 있는 주름막(42)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충진이동관(25)의 전방에는 승강안내핀(29)이 설치되며, 상기 성형부(30)에는 상기 승강안내핀(29)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안내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성형부가 상기 바퀴의 높이에 따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를 이용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방법으로서,
    경계석의 시공 위치에 맞춰 한 쌍의 레일(50)을 설치하되, 상기 레일이 설치될 지면을 평탄화한 후 상기 레일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해 설치된 레일 위에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의한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의 바퀴를 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에 콘크리트 혼합물 또는 점토를 투입하여 상기 성형부에 의해 경계석(1)을 시공한 직후 상기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의 다짐부를 통해 상기 성형부를 통과한 경계석을 다짐하도록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방법.
KR1020100112937A 2010-11-12 2010-11-12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04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937A KR101044745B1 (ko) 2010-11-12 2010-11-12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937A KR101044745B1 (ko) 2010-11-12 2010-11-12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745B1 true KR101044745B1 (ko) 2011-06-27

Family

ID=4440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937A KR101044745B1 (ko) 2010-11-12 2010-11-12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132B1 (ko) 2012-06-15 2014-09-01 유한회사 엘씨건설 터널 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공동구 및 라이닝콘크리트의 리드 헌치부의 콘크리트 기계타설 장치 및 시공방법
KR20190096000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골재 채움기
KR102172110B1 (ko) * 2020-04-22 2020-10-30 (주)상봉이엔씨 도로 소구조물 성형 장치 및 도로 소구조물 성형 방법
CN112239985A (zh) * 2020-10-12 2021-01-19 侯钦娅 一种道路施工用人行道铺设辅助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665A (ja) * 2000-07-17 2002-01-31 Marumi Kogyo:Kk 移動式シールコン型枠
US20020021938A1 (en) * 2000-08-17 2002-02-21 The Concrete Edge Company Curb form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s
KR20060089383A (ko) * 2005-02-04 2006-08-09 태갑성 터널내 현장타설 오픈형 배수로 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84294A (ko) * 2008-01-31 2009-08-05 유재홍 경계석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665A (ja) * 2000-07-17 2002-01-31 Marumi Kogyo:Kk 移動式シールコン型枠
US20020021938A1 (en) * 2000-08-17 2002-02-21 The Concrete Edge Company Curb form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s
KR20060089383A (ko) * 2005-02-04 2006-08-09 태갑성 터널내 현장타설 오픈형 배수로 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84294A (ko) * 2008-01-31 2009-08-05 유재홍 경계석 시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132B1 (ko) 2012-06-15 2014-09-01 유한회사 엘씨건설 터널 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공동구 및 라이닝콘크리트의 리드 헌치부의 콘크리트 기계타설 장치 및 시공방법
KR20190096000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골재 채움기
KR102064205B1 (ko) * 2018-02-08 2020-02-11 주식회사 누리종합기술단 골재 채움기
KR102172110B1 (ko) * 2020-04-22 2020-10-30 (주)상봉이엔씨 도로 소구조물 성형 장치 및 도로 소구조물 성형 방법
CN112239985A (zh) * 2020-10-12 2021-01-19 侯钦娅 一种道路施工用人行道铺设辅助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338963U (zh) 用于道路工程混凝土路面加固施工用的加铺设设备
CN203296022U (zh) 渠道铺砂机
KR101024275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101044745B1 (ko) 레벨링과 다짐이 동시에 가능한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
US3363524A (en) Curb extruding machine
CN209338964U (zh) 一种生态透水景观路面施工设备
CN102168398B (zh) 一种大跨度道路混凝土路面摊铺机
CN201495477U (zh) 普通、特种混凝土路面振实振平机
CN108035219A (zh) 一种精平透水混凝土的工具
KR101100410B1 (ko) 콘크리트 도로 포장 방법 및 장치
KR100958949B1 (ko) 자동 레벨 경계석과 측구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경 토목용 현장 타설용 경계석과 측구 시공 방법
KR20110132880A (ko)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CN101634133A (zh) 人行道地砖铺设模具
CN209759976U (zh) 一种道路施工用人行道路面铺设装置
KR20120122193A (ko) 슬립폼 페이버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CN108457163B (zh) 一种道路维修装置及补强方法
CN210657905U (zh) 一种市政道路人行道铺砖装置
CN209243525U (zh) 一种滑模机
KR101052442B1 (ko)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
CN207277140U (zh) 水工专用沥青摊铺机
KR101050205B1 (ko) 단지 토목과 조경과 도로에서 사용되는 경계석과 경계석 받침 및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평탄 시공 장치 및 방법
CN212801116U (zh) 一种用于混凝土铺设路面的摊平装置
CN212801117U (zh) 一种用于筑路的路缘石滑模机
CN2549038Y (zh) 黑色路缘石自动行走成型机
CN203296023U (zh) 渠道铺砂机的摊铺夯实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