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193B1 -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 Google Patents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193B1
KR100556193B1 KR1020050055002A KR20050055002A KR100556193B1 KR 100556193 B1 KR100556193 B1 KR 100556193B1 KR 1020050055002 A KR1020050055002 A KR 1020050055002A KR 20050055002 A KR20050055002 A KR 20050055002A KR 100556193 B1 KR100556193 B1 KR 10055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alve
upper mold
air
air v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창구
Original Assignee
태화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화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화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08Venting channels, e.g. to avoid vacuum during demoulding or allowing air to escape during feeding, pressing or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1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가 통행하기 위한 인도에 시공되어지는 보도블럭 성형용 금형에 있어, 특히 상부금형을 저면에 에어밴트가 형성된 상측판과 복수개의 배기밸브를 갖는 하측판으로 분할 형성하고,상기 배기밸브는 상측판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하향 탄지력을 갖게 형성함으로서,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재료를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던 잔류공기를 상기 배기밸브에 의해 에어밴트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성형된 보도블럭 내의 잔류 공기가 거의 없게 되므로 보도블럭의 물리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된 보도블럭의 표면이 매끄러워 더욱 고급스러운 보도블럭을 생산할 수 있게 한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에 관한 것이다.
보도블럭, 상부금형, 에어밴트, 배기밸브, 공기층, 잔류공기

Description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Metal mold for forming pavement blocks with air v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용 상부금형의 전체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용 상부금형의 작동설명도로서,
도 3a는 상부금형의 가압 초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b는 상부금형의 가압 중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c는 상부금형의 가압 말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보도블럭 성형용 금형의 전체단면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금형 2 : 체결볼트
3 : 지지링 4 : 스프링
5 : 마감링 6 : 하부금형
10 : 상측판 11 : 나사부
12 : 결합공 13 : 에어밴트
20 : 하측판 21 : 가이드공
30 : 배기밸브 31 : 나사부
32 : 에어배출홈
본 발명은 보행자가 통행하기 위한 인도에 시공되어지는 보도블럭 성형용 금형에 있어, 특히 상부금형에 복수개의 배기밸브와 에어밴트를 형성함으로서, 보도브럭의 가압 성형과정 중에 그 혼합물이 지니고 있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보도블럭의 균열 및 취약파괴를 방지하므로 보다 견고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보도블럭을 성형할 수 있게 한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이나 건물 주변 등의 보행로에는, 보행인의 통행방향을 유도하면서도 도시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한 보도블럭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도블럭은 다양한 재질 및 색상을 갖고 있으면서도 개성있는 배열법에 따른 시공법이 이용된다.
특히, 상기한 보도블럭은 빗물 등이 쉽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통행시 고여있는 빗물에 의해 신발이나 하의 등이 젖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먼지나 각종 부유물의 비산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한 거리를 조성하는데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도블럭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부금형(100)에 적당한 량의 재료(101)를 주입한 후, 이를 상부금형(102)에 의해 하부로 가압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한 상부금형(102)는 별도의 프레스장치에 의해 고도의 압력을 가하므로 매우 단단한 성형체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렇게 성형된 블럭은 별도의 건조로 및 가열로 등을 거치면서 보다 경화된 상태로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보도블럭의 성형과정에 있어, 하부금형 내에 주입된 원재료를 상부금형에 의해 가압하는 순간, 원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던 많은 량의 공기는 외측으로 밀려나가게 되는데, 이렇게 밀려나가는 공기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긴밀한 간극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보도블럭의 외표면 및 하부금형의 내표면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잔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공기에 의해 성형된 보도블럭의 표면에는 압축공기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만큼의 길다란 장공 또는 크랙, 슬릿이 형성되므로, 이들 잔류공기홈은 보도블럭 자체의 강성을 크게 저하시키므로 건조 또는 가열공정에서 균열이나 취약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보도의 시공후에도 잦은 하중 및 충격을 받게 되면 물리적 특성이 크게 저하 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수명이 극히 짧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금형을 저면에 에어밴트가 형성된 상측판과 복수개의 배기밸브를 갖는 하측판으로 분할 형성하고,상기 배기밸브는 상측판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하향 탄지력을 갖게 형성함으로서,
상부금형의 하강에 의해 재료를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던 잔류공기를 상기 배기밸브에 의해 에어밴트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성형된 보도블럭 내의 잔류 공기가 거의 없게 되므로 보도블럭의 물리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된 보도블럭의 표면이 매끄러워 더욱 고급스러운 보도블럭을 생산할 수 있게 한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성형용 상부금형의 전체단면도이다.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1)을 상측판(10)과 하측판(20)으로 분할 형성하여 이를 별도의 체결볼트(2)에 의해 결합되게 하고,
상기 상측판(10)에는, 선단에 나사부(11)를 갖는 복수개의 결합공(12)을 수직 관통 형성하고, 그 상측판(10)의 저면에는 요홈조상의 에어밴트(13)를 형성하며,
상기 하측판(20)에는, 상기 결합공(12)과 동심상의 가이드공(21)을 대응 형성하고, 그 가이드공(21)의 내측에는 선단의 나사부(3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나선상의 에어배출홈(32)이 형성된 배기밸브(30)를, 상기 가이드공(21)의 하측으로부터 삽입 형성하되,
상기 배기밸브(30)의 나사부(31)에는 별도의 지지링(3)을 나사 결합하고, 그 지지링(3)에는 스프링(4)을 위치시켜 상기 스프링(4)의 선단이 상측판(10)의 결합공(12)에 나사 결합되어진 마감링(5)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배기밸브(30)가 하향 가압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은 하부금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상부금형은, 프레스 장치의 가동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프레스 장치의 가동측이 하강하면 이와 함께 하강하여 재료를 가압 성형함으로서 보도블럭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금형(1)을, 프레스 장치의 가동측에 장착되는 상측판(10)과, 하부금형(6)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보드블럭을 가압 성형하는 하측판(20)으로 분할 형 성되어, 이를 별도의 체결볼트(2)에 의해 상,하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상측판(10)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공(12)의 선단에는 별도의 마감링(5)을 체결할 수 있는 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상측판(10)의 저면에는 다양한 형태 및 방향으로 된 요홈조상의 에어밴트(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하측판(20)에는 상기 결합공(12) 보다는 작은 크기의 가이드공(21)이 상기 결합공(12)과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결합공(12)의 내부에는 상기 하측판(2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진 별도의 배기밸브(30)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기밸브(30)는 그 선단의 나사부(31)에 의해 하측판(20)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별도의 지지링(3)이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배기밸브(30)는 상기 지지링(3)에 의해 하측으로는 유동되지 아니하고 상측으로만 상승할 수 있는 결합상태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배기밸브(30)는 상기 지지링(3)이 하측판(20)의 상부면에 맞닿아 있을 경우 그 배기밸브(30)의 하단이 하측판(20)의 저면보다 돌출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돌출이유는 상기한 배기밸브(30)의 하단에 형성된 에어배출홈(32)이 일정부분 노출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금형의 결합상태에서 도 3a 내지 도 3c의 가압성형 공정별 상태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a의 도시와 같이 하부금형(6)의 내부에 적정량의 재료를 투입한 상태에서 프레스장치를 구동시키면 상기한 상부금형(1)이 하강하게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하강상태에서 상기한 상부금형(1)의 저면에 의해 상기 재료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하강상태에서는 상기한 배기밸브(30)는 내측의 스프링(4)이 상기 배기밸브(30)를 하측으로 밀어내는 힘이 강하므로 상기 배기밸브(30)가 하측판(2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으므로 단부로 노출되어 있는 배기밸브(30)의 에어배출홈(32)을 통해 압축되어 밀려나오는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유입상태에서 상부금형(1)의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한 가압력은 상기 스프링(4)을 압축시키게 되므로 상기한 배기밸브(30)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배기밸브(30)의 상승 작용에 의해 가이드공(21)의 상측을 밀폐하고 있던 지지링(3)이 상승하므로 고압으로 압축되어 있는 재료 내의 공기는 상기 에어배출홈(32) 및 가이드공(21)을 통해 상측판(10) 저면의 에어밴트(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잔류공기의 배출작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기의 특성상 일정 압력하에서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상부금형의 지속적인 가압에 의한 재료의 성형 종료 지점에서는 더이상의 공기 배출이 없으므로 이때에는 상기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한 배기밸브(30)의 돌출부가 완전히 하측판(20)의 저면과 일치하는 평탄면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이때부터의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한 재료의 표면에는 평편한 상태의 마무리 면이 얻어지는 것이며, 잔류공기가 충분히 제거된 상태의 보도블럭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기밸브(30)는 그 가이드공(21)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가장 높은 상태의 삽입지점은 그 배기밸브(30)의 하단과 하측판(20)의 저면이 일치되는 지점이 되고, 가장 높은 하향 돌출점은 상기 배기밸브(30)의 나사부(31)에 체결되는 지지링(3)의 체결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것으로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하향 돌출길이를 조절함으로서 가압 성형되는 보도블럭의 두께나 크기에 따라 공기의 배출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과정이 종료됨과 동시에 도 3c의 도시와 같이 지속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면, 상기한 가압력은 배기밸브(30)를 가이드공(21)의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 넣어 더이상 불필요한 공기의 배출과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그 하측판(20)의 하부 전체면에 의해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여 균일면을 갖는 보도블럭이 가압 성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던 잔류공기가 상기 배기밸브(30) 및 에어밴트(13)를 통해 대부분 외부로 배출되므로 성형된 보드블럭에는 고압공기층에 의한 요홈조나 균열홈,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더욱 물리적 특성이 강화된 보도블럭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은, 상부 금형의 하강에 의해 재료를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재료속에 포함되어 있던 잔류공기를 상기 배기밸브에 의해 에어밴트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성형된 보도블럭 내의 잔류 공기가 거의 없게 되므로 보도블럭의 물리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된 보도블럭의 표면이 매끄러워 더욱 고급스러운 보도블럭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에 나사부(11)를 갖는 결합공(12)들을 수직 관통 형성한 상측판(10)과, 상기 결합공(12)과 동심상의 가이드공(21)들을 대응형성한 하측판(20)과, 상기 하측판의 가이드공에 요입되어 가이드공을 개폐하되 선단에 나사부(31)가 형성된 배기밸브(30)와, 상기 배기밸브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지지링(3)과 스프링(4)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측판(10)의 저면으로 요홈조상의 에어밴트(13)를 형성하고, 가이드공(21)을 개폐하는 배기밸브의 외주면으로 나선상의 에어배출홈(32)을 형성하며, 상측판(10)과 하측판(20)이 체결볼트(2)에 의해 조립 분해가 가능토록 분할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KR1020050055002A 2005-06-24 2005-06-24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KR10055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002A KR100556193B1 (ko) 2005-06-24 2005-06-24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002A KR100556193B1 (ko) 2005-06-24 2005-06-24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193B1 true KR100556193B1 (ko) 2006-03-03

Family

ID=3717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002A KR100556193B1 (ko) 2005-06-24 2005-06-24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826B1 (ko) 2019-04-23 2020-04-06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112A (ja) * 1983-12-14 1985-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成形金型のエア抜き装置
JPS61255813A (ja) * 1985-05-09 1986-11-13 Nissan Motor Co Ltd 射出成形方法
JPH01288411A (ja) * 1988-05-16 1989-11-20 Omron Tateisi Electron Co 自動調庄式成形金型
JPH08207102A (ja) * 1994-10-24 1996-08-13 Texas Instr Inc <Ti> モールド装置及びモールド装置の排気方法
JPH1024463A (ja) * 1996-07-10 1998-01-27 Kinugawa Rubber Ind Co Ltd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19980022806A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프레스 금형의 에어 배출 장치
KR19990016491U (ko) * 1997-10-28 1999-05-25 정몽규 사출 성형시 공기압이 배출되는 금형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112A (ja) * 1983-12-14 1985-07-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成形金型のエア抜き装置
JPS61255813A (ja) * 1985-05-09 1986-11-13 Nissan Motor Co Ltd 射出成形方法
JPH01288411A (ja) * 1988-05-16 1989-11-20 Omron Tateisi Electron Co 自動調庄式成形金型
JPH08207102A (ja) * 1994-10-24 1996-08-13 Texas Instr Inc <Ti> モールド装置及びモールド装置の排気方法
JPH1024463A (ja) * 1996-07-10 1998-01-27 Kinugawa Rubber Ind Co Ltd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19980022806A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프레스 금형의 에어 배출 장치
KR19990016491U (ko) * 1997-10-28 1999-05-25 정몽규 사출 성형시 공기압이 배출되는 금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826B1 (ko) 2019-04-23 2020-04-06 주식회사 대영테크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0236C2 (ru) Изостатический штамп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литки
KR101978156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1978238B1 (ko) 보도블록 제조장치
KR102097826B1 (ko) 블록 성형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록
KR101978155B1 (ko) 보도블록 및 보도블록 제조장치용 하부금형
CN101676085B (zh) 汽车轮胎硫化模具的排气装置
NZ59790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flat agglomerated stone products
KR100556193B1 (ko) 에어밴트가 형성된 보도블럭 성형용 상부금형
MX2007010089A (es) Prensa para bloque de concreto.
DE502006005334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bausteinen
DK3000571T3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ONCRETE FORM
KR101202951B1 (ko) 맨홀 받침틀 주형 성형용 금형과 주형 성형방법
JP2008114497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063314B1 (ko) 양면 배수홈을 갖는 보도블럭 성형장치
BRPI0510454B1 (pt) mÉtodo para comprimir areia de fundiÇço e aparelho para comprimir areia de fundiÇço.
KR101110160B1 (ko) 투수 보도블록 성형장치
CN107346856B (zh) 便于取出的碳刷模具
KR100450042B1 (ko) 타일 성형장치
KR100844490B1 (ko) 열간 단조의 피니셔 공정에 의한 피스톤 스커트 반제품의제조용 금형 장치
KR101973796B1 (ko) 블록 성형 장치
JPH0623726A (ja) 蟻溝付タイルの成型装置
CN210820069U (zh) 一种生物特质陶瓷注塑系统
US1302191A (en) Machine for molding ceramics.
CN220348654U (zh) 一种提高混凝土基层表面粗糙度铝合金模具
JP3976378B2 (ja) レンガ調タイ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