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580B1 - 블록용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용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580B1
KR101085580B1 KR1020090096390A KR20090096390A KR101085580B1 KR 101085580 B1 KR101085580 B1 KR 101085580B1 KR 1020090096390 A KR1020090096390 A KR 1020090096390A KR 20090096390 A KR20090096390 A KR 20090096390A KR 101085580 B1 KR101085580 B1 KR 10108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machine
block
mov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105A (ko
Inventor
김상회
Original Assignee
(주)중원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원정공 filed Critical (주)중원정공
Priority to KR102009009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5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1Vibration-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9Changing the forming elements, e.g. exchanging moulds, d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록을 생산하는 성형기에 장착되는 보도블록용 상,하부 금형의 교체 및 장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블록용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기의 주위에 배치되고 테이블 상에서 새로운 상,하부 금형을 성형기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와,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하부 금형중 하부 금형의 플랜지 부위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과, 성형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부 금형을 성형기에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도블록용 상,하부 금형을 성형기 내부로 이송함과 아울러, 상,하부 금형을 록킹수단과 클램핑수단으로 각각 상,하부 프레임에 용이하게 교체 및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블록용 금형 장치{MOLD APPARATUS FOR BLOCK}
본 발명은 블록용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도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블록용 상,하부 금형의 교체 작업시 금형의 이송 및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안전하고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의 성형공정은 시멘트, 몰타르를 금형에 넣고 그 위에 안료, 색소층을 만들고 가압기 저면에 부착된 무늬 성형판을 탈형유로 닦을 시에도 별도의 도구(브러쉬, 롤러)를 이용해야 하며, 무거운 몰타르가 내장된 금형판을 들어서 가압기에 넣어 압력을 가하여 보도블록을 찍어내는 공정을 갖는다.
그 보도블록의 제조방식에서 물이 함유되는 양에 따라 건식과 습식방식으로 구분되며, 그중 습식방식은 주로 거푸집 방식으로 제작되며 물을 대량으로 넣어 반죽하여 만드는 방식으로서, 반죽시 물기가 많고 흘러내릴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완료된 후에 불량품일 경우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건식방식은 주로 진동 고압방식의 금형을 이용하여 만드는 방식으로서, 소량의 물을 넣어 반죽하므로 물기가 거의 없는 특성으로 인해 불량품이 생산되더라도 파쇄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 방식을 선 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금형은 상,하부 금형으로 구분되고, 고압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보도블록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금형의 마모 및 소손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금형의 교체 또는 보수작업시 성형기로부터 상,하부 금형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탈착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대략 800~900 kg의 무게로 인해 금형의 이송 및 탈 부착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상, 하부 금형이 성형기에 장착된 후에도 각각의 고정 부위가 고진동에 의해 제 위치에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중에 다시 체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보도블록용 상,하부 금형을 성형기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부위가 진동에 의해 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용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기의 주위에 배치되며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하부 금형을 상기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도록 전,후진 동작 가능한 이송부와,
상기 성형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하부 금형 중 하부 금형의 플랜지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성형기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고 에어의 압력에 의해 상,하 회전 동작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하부 금형의 플랜지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 금형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홈부가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부에 상기 받침부재의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배치되며 테이블 상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로드를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부재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이동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 본체는 일측 단부에 상기 하부 금형의 플랜지부위와 접촉되어 진동 감쇄 및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금형의 플랜지는 쿠션재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재는 상기 하부 금형의 고정돌기에 끼움 결합되도록 핀 홀이 형성된다.
상기 성형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 금형을 상기 성형기에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로 돌출되고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구와,
상기 성형기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록킹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를 상기 성형기에 고정시키는 고정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클램프 몸체의 타측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에어 공급에 따라 상기 클램프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어백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성형기의 주위에 배치되며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하부 금형을 상기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도록 전,후진 동작 가능한 이송부 와,
상기 성형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상,하부 금형 중 상부 금형을 록킹 결합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로 돌출되고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의 내부로 록킹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를 상기 성형기에 고정시키는 고정실린더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 금형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홈부가 형성된 받침부재와,
상부에 상기 받침부재의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배치되며 테이블 상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로드를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부재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이동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을 생산하는 성형기에 장착되는 보도블록용 상,하부 금형의 교체 및 장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블록용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도블록용 상,하부 금형을 성형기 내부로 이송함과 아울러, 상,하부 금형을 록킹수단과 클램핑수단으로 각각 상,하부 프 레임에 용이하게 교체 및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부 금형을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에 쿠션재가 구비됨으로써, 금형의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용 금형 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금형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기(100)의 주위에 배치되고 테이블 상에서 새로운 상,하부 금형(10)(20)을 성형기(100)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300)와,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상,하부 금형(10)(20)중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부위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과, 성형기(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부 금형(10)을 성형기(100)에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성형기(100)는 프레임 형태의 성형기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클램핑 수단이 배치되고, 상부에 록킹수단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성형기(100)는 성형기 본체(110)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부 금형(10)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20)의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이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130)과, 상부 프레임(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2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 1승강부(140)와, 상부 프레임(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 프레임(13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제 2승강부(150)로 구분된다.
제 1,2승강부는 공지의 금형 장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를 이용하여 성형기 본체(110)에 배치된 승강 가이드(160)를 따라 상,하부 프레임(120)(130)을 승강시키는 구조로 된 것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클램핑수단은 하부 프레임(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 부위가 시이소오 운동되는 클램프 몸체(210)로 구성된다.
클램프 몸체(210)의 일측 단부는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부위를 상,하측에서 파지하여 클램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클램프 몸체(210)의 일측 부위는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22)와, 안착부(222)의 상부에서 회전 동작되어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상부와 접촉시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를 파지하는 클램핑부(224)로 구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클램프 몸체(210)는 안착부(222)와 클램핑부(224)에 하부 금형(2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 및 감쇄시키는 쿠션재(250)가 배치된다.
쿠션재(250)는 일 예로 고무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수단은 클램프 몸체(210)의 타측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에어 공급에 따라 상기 클램프 몸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어백(230)이 배치된다.
에어백(230)은 외부의 에어가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신장되고, 에어가 외부 로 인출됨에 따라 수축되어 클램프 몸체(21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는 쿠션재(250)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쿠션재(250)는 하부 금형(20)의 고정돌기(2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핀 홀(25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고정돌기(22)는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상측에 형성되거나, 플랜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안착부(222)에 배치된 쿠션재(250)에도 핀 홀(255)이 형성된 것을 채용한다.
이송부(300)는 성형된 블록 제품이 이송되는 테이블(350)의 양측 상부에 배치되고 이동수단을 매개로 성형기(100) 측으로 전,후진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동수단은 하부 금형(2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홈부(25a)가 형성된 받침부재(25)와, 상부에 받침부재(25)의 홈부(25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365)가 배치되며 테이블(350) 상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한 이동부재(360)와, 이동부재(360)의 일측에 로드를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부재(360)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이동실린더(370)를 구비한 것이다.
홈부(25a)는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끼움부(365)는 홈부(25a)와 대응되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 금형(20)의 하강시 테이블(350) 상의 이동부재(360)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착된 후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이동수단은 테이블(350) 상에 배치된 이동부재(360)를 공압이나 유압으로 작동되는 이동실린더(370)를 이용하여 전,후진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록킹수단은 상부 금형(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결합홈(12a)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구(12)와, 성형기(1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결합홈(12a)의 내부로 록킹 결합되어 고정구(12)를 성형기(100)의 상부 프레임(120)에 고정시키는 고정실린더(410)로 구성된다.
고정구(12)는 상부 금형(10)의 상부 테두리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봉 형태로 복수개 배치되고, 고정실린더(410) 측으로 결합홈(12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고정실린더(410)는 실린더 하우징의 양측에 동일한 방향으로 전,후진 동작되는 결합로드(420)를 구비하며, 외부의 유압이 실린더 하우징에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결합로드(420)가 결합홈(12a)의 내부로 진입 동작하거나, 이탈 동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용 금형 장치는, 상부 금형(10)이 하부 금형(20)에 안착된 상태로 테이블(350) 상에 안착된 후에,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하부 금형(10)(20)을 성형기(1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하부 금형(20)은 플랜지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재(25)가 테이블(350) 상의 이동부재(36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받침부재(25)의 홈부(25a)에 이동부 재(360)의 끼움부(365)가 삽입된다.
이어서, 이동부재(360)가 이동실린더(370)의 로드 전진 동작에 의해 테이블(350) 상에서 성형기(100) 측으로 이동한다.
이동부재(360)를 매개로 성형기(100) 측으로 이동된 상,하부 금형(10)(20)은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부위가 클램핑수단에 의해 하부 프레임(130)에 고정되고, 상부 금형(10)이 상부 프레임(120)에 록킹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클램핑수단은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부위를 집게 형태의 안착부(222)와 클램핑부(224)로 클램핑하는 과정은, 클램프 몸체(210)의 타측 부위에 배치된 에어백(230) 내부에 외부의 에어가 공급되면, 에어백(230)이 신장되면서 클램프 몸체(210)를 회전시켜 클램핑부(224)를 안착부(222) 측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이로 인해 클램핑부(224)의 쿠션재(250)가 하부 금형(20)의 플랜지 부위를 파지함과 아울러, 쿠션재(250)의 핀 홀(255)에 하부 금형(20)의 고정돌기(22)가 끼움 결합된다.
이후에, 클램핑수단이 배치된 하부 프레임(130)을 제 2승강부(150)를 매개로 상승시키면 이동부재(360)에 안착된 하부 금형(20)이 이탈되므로, 이동부재(360)를 다시 원 위치로 후진 동작시켜 복귀동작시킨다.
이때, 하부 프레임(130)의 상승동작시 하부 금형(20)이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받침부재(25)의 홈부(25a)와 이동부재(360)의 끼움부(365)가 서로 분리되어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상부 프레임(120)을 제 1승강부(140)를 매개로 하강 동작시켜 상부 금형(10)을 록킹수단으로 록킹 결합시키는 과정은, 상부 프레임(120)의 하강동작시 상부 금형(10)의 고정구(12)가 관통되고, 상부 프레임(120)에 관통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구(12)의 결합홈(12a)에 고정실린더(410)의 결합로드(420)가 진입되어 록킹 결합된다.
상부 금형(10)을 상부 프레임(120)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하부 금형(20)을 이동부재(360)로부터 분리시키기 전이나, 분리시킨 후에 진행할 수 있으므로 순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고정실린더(410)는 양측의 결합로드(420)가 같이 연동되어 외측으로 인출동작되면, 양측 결합로드(420)가 서로 마주보는 고정구(12)의 결합홈(12a) 내부로 진입되어 고정구(12)를 상부 프레임(12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상부 금형(10)을 상부 프레임(120)에 고정실린더(410)를 이용한 록킹 결합으로 결합시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금형(10)(20)을 성형기(100)로부터 분리시키는 공정은 앞서 설명한 조립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하부 금형(20)의 분리과정은 에어백(230)의 내부에 충전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에어백(230)이 수축되면서 클램프 몸체(210)를 회전 동작시킴에 따라 클램핑부(224)를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130)이 승강 동작되고, 이동부재(360)가 이동실린더(370)에 의해 전, 후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 된다.
상부 금형(10)의 분리과정은 고정실린더(410)의 양측 결합로드(420)를 실린더 하우징 측으로 인입시키면, 고정실린더(410)의 결합로드(420)와 상부 금형(10)의 고정구(12)의 록킹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부 금형(10)이 상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낙하되어 이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하부 금형(20)을 하부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클램핑수단과, 상부 금형(10)을 상부 프레임(120)에 고정하는 록킹수단을 각각 채용하거나, 같이 채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기(100)에 장착되는 상,하부 금형(10)(20)의 교체 작업시나 분해 작업시 간편하게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금형(10)(20)의 분리 및 장착작업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용 금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 금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 금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상,하부 금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상,하부 금형이 이송부의 테이블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도 8은 본 발명 클램핑수단의 작동 전, 후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쿠션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이송부에 상,하부 금형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a,11b는 본 발명의 상,하부 금형이 이동부재에 안착된 후에 성형기 측으로 이송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록킹수단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금형 12 : 고정구
12a : 결합홈 20 : 하부 금형
22 : 고정돌기 25 : 받침부재
25a : 홈부 100 : 성형기
110 : 성형기 본체 120 : 상부 프레임
130 : 하부 프레임 210 : 클램프 몸체
222 : 안착부 224 : 클램핑부
230 : 에어백 250 : 쿠션재
255 : 핀 홀 300 : 이송부
350 : 테이블 360 : 이동부재
365 : 끼움부 370 : 이동실린더
410 : 고정실린더 420 : 결합로드

Claims (11)

  1. 성형기(100)의 주위에 배치되며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하부 금형(10)(20)을 상기 성형기(100) 측으로 이송하도록 전,후진 동작 가능한 이송부(300)와,
    상기 성형기(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상,하부 금형(10)(20) 중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성형기(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 금형(10)을 상기 성형기(100)에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 금형(2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홈부(25a)가 형성된 받침부재(25)와,
    상부에 상기 받침부재(25)의 홈부(25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365)가 배치되며 테이블(350) 상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한 이동부재(360)와,
    상기 이동부재(360)의 일측에 로드를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부재(360)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이동실린더(3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성형기(10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고 에어의 압력에 의해 상,하 회전 동작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 몸체(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몸체(210)는 일측 단부에 상기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부위와 접촉되어 진동 감쇄 및 충격을 완충하는 쿠션재(2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20)의 플랜지는 쿠션재(250)와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고정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재(250)는 상기 하부 금형(20)의 고정돌기(2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핀 홀(2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10)의 상부로 돌출되고 내측으로 결합홈(12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구(12)와,
    상기 성형기(10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12a)의 내부로 록킹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12)를 상기 성형기(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실린더(4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클램프 몸체(210)의 타측 부위에 배치되어 외부의 에어 공급에 따라 상기 클램프 몸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어백(23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9. 성형기(100)의 주위에 배치되며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하부 금형(10)(20)을 상기 성형기(100) 측으로 이송하도록 전,후진 동작 가능한 이송부(300)와,
    상기 성형기(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상부 금형(10)을 상기 성형기(100)에 고정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기 상부 금형(10)의 상부로 돌출되고 내측으로 결합홈(12a)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구(12)와,
    상기 고정구(12)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12a)의 내부로 록킹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12)를 상기 성형기(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실린더(4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하부 금형(2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홈부(25a)가 형성된 받침부재(25)와,
    상부에 상기 받침부재(25)의 홈부(25a)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365)가 배치되며 테이블(350) 상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한 이동부재(360)와,
    상기 이동부재(360)의 일측에 로드를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부재(360)를 전,후진 동작시키는 이동실린더(3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용 금형 장치.
KR1020090096390A 2009-10-09 2009-10-09 블록용 금형 장치 KR10108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390A KR101085580B1 (ko) 2009-10-09 2009-10-09 블록용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390A KR101085580B1 (ko) 2009-10-09 2009-10-09 블록용 금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05A KR20110039105A (ko) 2011-04-15
KR101085580B1 true KR101085580B1 (ko) 2011-11-25

Family

ID=4404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390A KR101085580B1 (ko) 2009-10-09 2009-10-09 블록용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80B1 (ko)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9330B (zh) * 2020-12-25 2022-10-21 核工业北京地质研究院 米级尺度回填材料大型方形砌块压制模具及砌块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40Y1 (ko) 2003-06-25 2003-09-29 이성율 고무프레스의 금형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540Y1 (ko) 2003-06-25 2003-09-29 이성율 고무프레스의 금형 클램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80B1 (ko) 2023-02-15 2023-04-26 주식회사에코블럭 투수 블록 성형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05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91341A (zh) 水泥基仿石材型路沿石的成型装置
KR101085580B1 (ko) 블록용 금형 장치
JPH01222901A (ja) 陶器の加圧成形装置
JP7196261B2 (ja) 成形機用迅速金型交換装置
CN104139490A (zh) 一种注塑拉头快速成型装置及方法
KR100847540B1 (ko) 블록성형장치
KR20170032539A (ko) 원심 주조장치
CN107322846B (zh) 一种减震橡胶支座的自动脱卸组合模
CN107303599B (zh) 一种砂箱锁钩机构
KR102281944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조립체의 판넬하부 지지장치
KR100708351B1 (ko) 콘크리트제품 성형기용 하부몰드 지지장치
KR101384114B1 (ko) 섬유표피재를 갖는 성형물 제작을 위한 사출성형장치
KR20190111476A (ko)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IT202100030869A1 (it) Pressa di tranciatura e metodo di pulizia di un semistampo
KR200219285Y1 (ko) 일체형 대형용기의 성형장치
KR101912367B1 (ko) 저소음 거푸집 조립체와 이의 시공 및 해체 방법
US20160271829A1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concrete parts
KR101798383B1 (ko) 중량 가류몰드 교체설비
US2615228A (en) Building block machine
CN106965301B (zh) 一种预制混凝土梁柱构件的快速开合模模具及制作方法
KR101162725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CN101200089A (zh) 阳极糊料成型振动台
CN110756747A (zh) 活塞环砂型成型方法
KR102673380B1 (ko) 슬라브 판넬 거치 슬라이딩 플레이트
CN219281291U (zh) 一种建筑铝模螺杆防碰撞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