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965B1 - 건설용 석재블록 - Google Patents

건설용 석재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965B1
KR101278965B1 KR1020110072229A KR20110072229A KR101278965B1 KR 101278965 B1 KR101278965 B1 KR 101278965B1 KR 1020110072229 A KR1020110072229 A KR 1020110072229A KR 20110072229 A KR20110072229 A KR 20110072229A KR 101278965 B1 KR101278965 B1 KR 10127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lock
construction
concret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230A (ko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9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석재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가공시 발생되는 자투리석 및 슬러지(Sludge)를 재활용한 친환경적인 건설용 석재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 석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면서 결속력을 제공하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과 같은 결속체에 접목시켜,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 석재 특유의 고품격 분위기가 콘크리트 블록에서 풍기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과 같은 결속체에 접목시켜, 폐기처분에 따른 비용 지출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폐기처분과 관련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과 같은 결속체에 접목시킴으로써, 석재 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단순 적층이 아닌 큰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지지기둥에 의해 견고히 적층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체(담벼락 또는 건물의 벽면) 내지 옹벽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견고함을 장기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건설용 석재블록{STONE BLOCK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설용 석재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가공시 발생되는 자투리석 및 슬러지(Sludge)를 재활용한 친환경적인 건설용 석재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석재블록은 담장 또는 건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블록과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옹벽블록과 같은 벽면 시공용 블록 및 차도블록 또는 보도블록 또는 도로경계석과 같은 도로 시설물 시공용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설용 석재블록의 종래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54254호(2002.02.20.)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580호(2011.01.10.)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건설용 석재블록은 통상 콘크리트 블록이나 대리석 또는 화강암과 같은 석재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콘크리트 블록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반면, 미적인 감각을 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 부합되지 않으며, 석재 블록은 질감과 미감이 우수한 반면, 석재 자체가 콘크리트에 비해 고가이며 가공비용과 높은 시공비 및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석재(원석(原石))는 건설분야에서 건축용과 토목용(건물 또는 도로 등)의 시공자재로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자면, 건물의 벽면 또는 도로경계석 또는 보도블록 등으로 가공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원석은 부피가 큰 직사각 상태로 채취(대략 20t 정도의 무게)되어, 적정 두께와 면적으로 절단하여 판제 그 자체로 사용되기도 하며, 규격에 맞게 다시 절단 후 표면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원석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외곽 부분은 절단되어 자투리석(폐석, 피죽이라고도 함)으로 남게 되며, 통상 이러한 자투리판석은 폐기되어진다.
또한, 원석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부위로부터 모래알 크기 정도의 슬러지들이 배출되는데, 이 역시도 폐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 즉, 버릴 경우에는 처리 비용이 소요되고, 자원을 낭비하게 될 뿐 아니라, 폐기 과정에서 환경을 헤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에 접목시켜, 콘크리트 블록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한편, 폐기처분과 관련한 비용 지출과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용 석재블록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담벼락), 옹벽 내지는 바닥재로 적용함에 있어서 견고한 건설용 석재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 상기 미감연출블록(10A)을 구성하는 결속부(12)의 면 또는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와, 석재 가공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로 이루어지되,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동일한 블록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되는 미감연출블록(10A); 석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면서 결속력을 제공하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21)이 형성되어, 다른 동일한 블록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2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22)이 형성되는 매설지지블록(20); 상기 결속부(12)의 면 또는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미감연출블록(10A)과 매설지지블록(20)의 기둥타설공(22) 부분을 연통시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연통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연결/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과 같은 결속체에 접목시켜,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 석재 특유의 고품격 분위기가 콘크리트 블록에서 풍기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과 같은 결속체에 접목시켜, 폐기처분에 따른 비용 지출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폐기처분과 관련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과 같은 결속체에 접목시킴으로써, 석재 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을 단순 적층이 아닌 큰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지지기둥에 의해 견고히 적층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체(담벼락 또는 건물의 벽면) 내지 옹벽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견고함을 장기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기 다른 비율의 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예를 일부분만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벽체(담벼락)으로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옹벽으로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들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 및 적층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 및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21 및 도 2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자투리석 채취 과정과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 상기 미감연출블록(10A)을 구성하는 결속부(12)의 면 또는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자투리석(1)은 석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부분이며, 절단된 면은 매끄럽고 절단되지 않은 면은 원석 그대로 거친면을 가진 석재로서, 소정의 크기로 파절되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크기 범위는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용처 및 용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므로, 구체적으로 한정 지을 수 없으나, 가로/세로가 1.5m x 1m인 블록을 예로 들자면, 가로/세로가 10cm ~ 20cm 사이이면 만족한다.
상기, 범위로 이루어져야만, 마치 석재를 적층 시켜서 벽체 또는 옹벽을 시공한 것과 같은 미감을 연출하기에 적합하며, 자투리석(1)과 자투리석(1) 사이로 스며드는 콘크리트에 의해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자투리석(1)의 크기가 범위 이상으로 클 경우, 자투리석(1)과 자투리석(1) 사이로 스며드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력이 취약하여 자투리석(1)이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투리석(1)의 크기가 범위 이하로 작을 경우, 석재로 적층한 듯한 미감을 얻어낼 수 없다.
또한, 상기 자투리석(1)은 대리석 또는 화강암과 같은 것 일 수도 있으나, 그 밖에도 석재의 질감이 잘 표현된 것이면 만족하며, 용처 및 용도에 따라서는 타공(요철)이 형성된 석재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슬러지(2)는 석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 오니(汚泥)로서, 모래알 크기 정도의 알갱이일 수 있으며, 부피가 적은(약 0,5mm ~ 5mm) 자투리석(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미감연출부(11)는 자투리석(1)의 집합체로서, 상기 자투리석(1)을 소정의 틀 바닥에 접하도록 포설(布設)한 상태에서 결속부(12)를 타설(墮設)하여서 결속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투리석(1)의 포설은 절단되어 평평한 면이 바닥에 접하도록 포설될 수도 있고, 불규칙하게 포설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바닥면과 접한 자투리석(1)의 표면이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전면이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자투리석(1)이 포설되는 바닥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곡선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전면 부분이 평면이 될 수도 있고, 곡선면이 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결속부(12)는 시멘트+물+잔골재+굵은골재+혼화재료로 형성되는 구조재료와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일 수도 있고,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상기 슬러지(2)가 혼합된 합성수지혼합물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속부(12)인 합성수지재는 아크릴 또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상기에서, 결속부(12)와 슬러지(2)의 혼합비율은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용처와 용도에 따라 다르나, 60% : 40% 내지는 70% : 30%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비율은 결속부(12) 예컨대, 콘크리트 혼합물의 강도가 용처와 용도에 적합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이면 만족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12)는 상부면과 하부면 사방 모서리부분에 적층 결합을 위한 돌기(O)와 홈(I)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12)의 양 측면 사방 모서리부분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역시 연속 배열 결합을 위한 돌기와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의 두께 비율은 첨부 도면 도 3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1:1/2:1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벽체를 이룰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러할 경우, 별도의 고정브래킷 또는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반인 지면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에 마련되는 철근에 의해, 벽체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건설용 석재블록(1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부 도면 도 5는 수직상의 벽체(일반적인 벽 또는 건물의 벽면 등)일 경우이며, 첨부 도면 도 6은 경사진 옹벽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바닥 예컨대 인도 또는 차도 등의 지면에 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건설용 석재블록(10)이 벽체를 구성하는 것의 다른 예를 들어본다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미감연출부(11)에 의해 다채롭게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과 슬러지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에 접목시켜,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 석재 특유의 고품격 분위기가 콘크리트 블록에서 풍기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의 미감을 향상시키며, 미감연출부를 다채롭게 배치하여 더욱 세련된 벽체를 완성할 수도 있다.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1)과 슬러지(2)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종래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인 결속부에 접목시켜, 대리석 또는 화강암 등 석재 특유의 고품격 분위기가 콘크리트 블록에서 풍기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의 미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1)과 슬러지(2)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종래 콘크리트 블록 또는 합성수지 블록인 결속부에 접목시켜, 폐기처분에 따른 비용 지출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폐기처분과 관련 비용의 지출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석(1)과 슬러지(2)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종래 콘크리트 블록에 접목시킴으로써, 석재 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1은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유입용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 바둑판 형태로 적층되면,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콘크리트 타설홈(12a)과 인접한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만나면서 기둥타설공(12a')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기둥타설공(12a')을 통해 외부에서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타설하게 되면, 경화된 후에 격자 형상의 기둥 즉, 지지용 기둥이 형성되어, 상하좌우로 적층 배열된 건설용 석재블록(10)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1에 의하면, 건설용 석재블록(10)을 단순 적층이 아닌 큰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지지기둥에 의해 견고히 적층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벽체 내지 옹벽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견고함을 장기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는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유입용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되어지되, 두께면 상하방을 수직 관통하여 콘크리트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통공(12a")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된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과 같이 어느 한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콘크리트 타설홈(12a)과 인접한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만나면서 기둥타설공(12a')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기둥타설공(12a')을 통해 외부에서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타설하게 되면, 경화된 후에 격자 형상의 기둥 즉, 지지용 기둥이 형성되어, 상하좌우로 적층 배열된 건설용 석재블록(10)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2는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어지되, 바둑판 형태가 아닌 벽돌 쌓기 형태로 교차하면서 적층되고, 상기 관통공(12a")이 상방 또는 하방에 적층된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기둥타설공(12a')과 연통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다른실시예1의 구조에서 보다 더욱 견고한 지지 구조를 가지며 적층 배열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2에 의하면, 건설용 석재블록(10)을 단순 적층이 아닌 큰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지지기둥이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중간 부분을 수직 관통하면서 적층 구조를 견고히 지지 고정하게 되므로, 벽체(담벼락), 옹벽 내지는 바닥재로 적용함에 있어서 더욱더 견고함을 장기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3은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투리석(1)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미감연출부(11)가 결속부(12)의 양측의 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쪽 모두에서 석재의 미감이 표출되어, 양쪽 모두에서 보는 이로 하여금 신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와, 석재 가공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로 이루어지되,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동일한 블록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되는 미감연출블록(10A); 석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면서 결속력을 제공하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21)이 형성되어, 다른 동일한 블록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2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22)이 형성되는 매설지지블록(20); 상기 결속부(12)의 면 또는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미감연출블록(10A)과 매설지지블록(20)의 기둥타설공(22) 부분을 연통시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연통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연결/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자투리석(1)은 석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필요한 부분이며, 절단된 면은 매끄럽고 절단되지 않은 면은 원석 그대로 거친면을 가진 석재로서, 소정의 크기로 파절되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크기 범위는 건설용 석재블록(10)의 용처 및 용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므로, 구체적으로 한정 지을 수 없으나, 가로/세로가 1.5m x 1m인 블록을 예로 들자면, 가로/세로가 10cm ~ 20cm 사이이면 만족한다.
상기, 범위로 이루어져야만, 마치 석재를 적층 시켜서 벽체 또는 옹벽을 시공한 것과 같은 미감을 연출하기에 적합하며, 자투리석(1)과 자투리석(1) 사이로 스며드는 콘크리트에 의해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자투리석(1)의 크기가 범위 이상으로 클 경우, 자투리석(1)과 자투리석(1) 사이로 스며드는 콘크리트에 의한 결속력이 취약하여 자투리석(1)이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투리석(1)의 크기가 범위 이하로 작을 경우, 석재로 적층한 듯한 미감을 얻어낼 수 없다.
또한, 상기 자투리석(1)은 대리석 또는 화강암과 같은 것 일 수도 있으나, 그 밖에도 석재의 질감이 잘 표현된 것이면 만족하며, 용처 및 용도에 따라서는 타공(요철)이 형성된 석재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슬러지(2)는 석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 오니(汚泥)로서, 모래알 크기 정도의 알갱이일 수 있으며, 부피가 적은(약 0,5mm ~ 2mm) 자투리석(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미감연출부(11)는 자투리석(1)의 집합체로서, 상기 자투리석(1)의 절단되어 매끄러운 면을 소정의 틀 바닥에 접하도록 포설(布設)한 상태에서 콘크리트혼합물인 결속부(12)를 타설(墮設)하여서 결속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결속부(12)는 시멘트+물+잔골재+굵은골재+혼화재료로 형성되는 구조재료와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되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일 수도 있고,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상기 슬러지(2)가 혼합되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속부(12)는 상부면과 하부면 사방 모서리부분에 적층 결합을 위한 돌기(O)와 홈(I)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12)의 양 측면 사방 모서리부분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역시 연속 배열 결합을 위한 돌기와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은 상부면과 하부면 사방 모서리부분에 적층 결합을 위한 돌기(O)와 홈(I)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의 양 측면 사방 모서리부분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역시 연속 배열 결합을 위한 돌기와 요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은 관체일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은 콘크리트 관체일 수도 있고 합성수지 관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의 양단은 직경이 작은 단턱(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체 내부에 보강용 철근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의 양측 단턱(31) 부분은 상기 미감연출블록(10A)과 매설지지블록(20)에 마련되는 각각의 안치홈(10A')(20')에 안치되어 각 기둥타설공(12a')(22)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의 일측 단턱(31)이 안치되는 미감연출부(10A)의 안치홈(10A')은 상하좌우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원의 1/4 만큼의 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의 타측 단턱(31)이 안치되는 매설지지블록(20)의 안치홈(20')은 상부와 하부 중간 부분에 형성(원의 1/2 만큼의 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감연출부(10A)와 매설지지블록(20)을 각각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적층 배열시키되, 연결/지지수단(30)을 안치홈(10A')(20')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기둥타설공(12a')(22)을 통해 콘크리트를 유입시켜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보강지지기둥(13)(23)이 형성된다. 그리되면, 상하좌우로 적층 배열된 건설용 석재블록(10)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건설용 석재블록(10)을 단순 적층이 아닌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지지기둥 즉, 보강지지기둥(13)(23)에 의해 견고히 적층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벽체(담벼락) 내지 옹벽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견고함을 장기적으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감연출부(10A)와 매설지지블록(20) 사이로 토사가 채워져 옹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감연출부(10A)의 결속부(12)의 면에는 첨부 도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가 유입되어 토압에 의해 지지력이 발생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장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홈(14)은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하면, 유입된 토사가 내측으로 가면서 확장되어 토압이 더욱 크게 작용함으로써,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의 외곽 테두리부분에 마감용 프레임(40)이 마련되어, 거친 테두리 부분을 깔끔하게 마감 처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40)은 합성수지재일 수도 있고, 금속재(스테인리스)일 수도 있으며, 목재(합성목재 포함)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40)이 마련되는 것은,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의 두께가 슬림한 패널로 적용될 때 적합한 것으로, 이때, 상기 결속부(12)는 콘크리트혼합물 보다는 합성수지 혼합물이 적합하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석된 원석을 일정한 두께와 면적으로 절단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판석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선 형태의 논슬립을 형성하고 상부면을 하나씩 떼어낸다. 상기와 같이 하여서 된 자투리판석은 후가공(격자 형태로 표면가공(논슬립))하여 별도의 건설용 석재블록으로 재활용하고, 상기 자투리판석에서 떼 내어진 부분은 본 발명의 자투리석(1)으로 재활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자투리석(1)을 소정의 사각 틀에 가지런히 배열시키고, 그 상부에 결속제인 콘크리트혼합물 또는 합성수지혼합물을 타설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첨부 도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된 건설용 석재블록(10)은 거친 질감을 가지며 평행하게 배열되는 자투리석(1)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미감연출부(11)가 원석 그대로의 거친 질감을 가지며 자연적 미감을 연출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정형화된 미감을 동시에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채석된 원석을 일정한 두께와 면적으로 절단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자투리판석을 그대로 자투리석(1)으로 적용하여 미감연출부(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면, 정형화된 예컨대, 길이(가로) 2000mm, 높이(세로) 600mm의 자투리판석을 나란히 배열하여 건설용 석재블록(10)을 완성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10A : 건설용 석재블록 1 : 자투리석
2 : 슬러지 11 : 미감연출부
12 : 결속부 12a : 콘크리트 타설홈
12a': 기둥타설공 12a ": 관통공
13 : 보강지지기둥 14 : 장홈
20 : 매설지지블록 20'; 안치홈
30 : 연결지지수단 31 : 단턱
40 : 프레임 O : 돌기
I : 홈

Claims (24)

  1.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
    상기 결속부(12)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
    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투리석(1)은 절단된 면은 매끄럽고, 절단되지 않은 면은 원석 그대로 거친면을 가진 석재로서, 소정의 크기로 파절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투리석(1)의 너비는 가로/세로가 1.5m x 1m인 블록을 기준으로, 가로/세로가 10cm ~ 20cm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2)는 석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 오니로서, 모래알 크기 정도의 알갱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2)는 크기가 0.5mm ~ 5mm의 자투리석(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는 자투리석(1)의 집합체로서, 상기 자투리석(1)을 소정의 틀 바닥에 접하도록 포설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12)를 타설하여서 결속되어지되, 결속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부분은 평면 또는 곡선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는 시멘트+물+잔골재+굵은골재+혼화재료로 형성되는 구조재료와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지거나,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상기 슬러지(2)가 혼합된 합성수지혼합물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는 상부면과 하부면 사방 모서리부분에 적층 결합을 위한 돌기(O)와 홈(I)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의 두께 비율은 1:2 또는 1:1 또는 2:1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 중 상기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 중 상기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건설용 석재블록(10)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되어지되, 두께면 상하방을 수직 관통하여 콘크리트의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관통공(12a")이 더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2. 제 1항 또는 제 10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가 결속부(12)의 양측 면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3.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석재를 가공하고 남은 자투리석(1)이 외부 전면에 배열 배치되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와, 석재 가공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고,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로 이루어지되, 결속부(12)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12a)이 형성되어, 다른 동일한 블록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1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12a')이 형성되는 미감연출블록(10A);
    석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면서 결속력을 제공하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되, 두께면 사방에 콘크리트 타설홈(21)이 형성되어, 다른 동일한 블록이 상하좌우로 적층되면서 보강지지기둥(23)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질 기둥타설공(22)이 형성되는 매설지지블록(20);
    상기 결속부(12)의 면 또는 상기 매설지지블록(20)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미감연출블록(10A)과 매설지지블록(20)의 기둥타설공(22) 부분을 연통시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연통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연결/지지수단(30);
    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는 자투리석(1)의 집합체로서, 상기 자투리석(1)의 절단되어 매끄러운 면을 소정의 틀 바닥에 접하도록 포설한 상태에서 콘크리트혼합물인 결속부(12)를 타설하여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는 시멘트+물+잔골재+굵은골재+혼화재료로 형성되는 구조재료와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콘크리트혼합물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이거나, 경질의 합성수지재에 상기 슬러지(2)가 혼합된 합성수지혼합물이 타설된 후, 경화되면서 이루어진 적층/지지기반 블록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6. 삭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은 관체로서, 콘크리트 관체 또는 합성수지 관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의 양측 단턱(31) 부분은 상기 미감연출블록(10A)과 매설지지블록(20)에 마련되는 각각의 안치홈(10A')(20')에 안치되어 각 기둥타설공(12a')(22)을 연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수단(30)의 양단은 직경이 작은 단턱(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체 내부에 보강용 철근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20. 삭제
  21. 삭제
  22. 제 1항 또는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홈(14)은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감연출부(11)와 결속부(12)의 외곽 테두리부분에 마감용 프레임(4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24. 건설용 석재블록(10)에 있어서,
    거친 질감을 가지며 평행하게 배열되는 자투리석(1)이 석재의 적층 미감을 연출하는 미감연출부(11);
    석재 가공 시 발생된 슬러지(2)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자투리석(1)들의 틈으로 침투하여 결속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미감연출부(11)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면서 전체 블록의 기본적인 두께를 형성하는 결속부(12);
    상기 결속부(12)의 면에 공간 형태로 마련되어, 토사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유동방지를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장홈(14);
    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석재블록.
KR1020110072229A 2011-07-21 2011-07-21 건설용 석재블록 KR10127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229A KR101278965B1 (ko) 2011-07-21 2011-07-21 건설용 석재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229A KR101278965B1 (ko) 2011-07-21 2011-07-21 건설용 석재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230A KR20130011230A (ko) 2013-01-30
KR101278965B1 true KR101278965B1 (ko) 2013-07-02

Family

ID=4784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229A KR101278965B1 (ko) 2011-07-21 2011-07-21 건설용 석재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8763B6 (cs) * 2019-04-03 2021-05-05 Herkul A.S. Stavební prvek
CZ202060A3 (cs) * 2020-02-06 2021-04-28 Aleš Petříš Stavební prvek a způsob jeho výroby
KR102226328B1 (ko) 2020-05-19 2021-03-11 (주)동화산업 투명 커버 개방형 그레이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14A (ja) * 1995-07-25 1997-02-04 Touyoko Giken Kk 擁壁の施工方法
JP2002054254A (ja) * 2000-08-10 2002-02-20 Imd:Kk 建築用壁構造材
KR20100011802U (ko) * 2009-05-27 2010-12-07 윤상용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KR20110002580A (ko) * 2009-07-02 2011-01-10 강선욱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14A (ja) * 1995-07-25 1997-02-04 Touyoko Giken Kk 擁壁の施工方法
JP2002054254A (ja) * 2000-08-10 2002-02-20 Imd:Kk 建築用壁構造材
KR20100011802U (ko) * 2009-05-27 2010-12-07 윤상용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KR20110002580A (ko) * 2009-07-02 2011-01-10 강선욱 자연석재를 전면에 부착한 옹벽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230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2457B1 (en) Process for making water receptacles in general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KR101278965B1 (ko) 건설용 석재블록
DE60023159D1 (de) Hohlplatte zur herstellung von einem bodenfeld in welches leitungen eingebaut werden könn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odenfelds mit leitungen
KR100927342B1 (ko) 거푸집 겸용 벽체 마감재
KR101289049B1 (ko) 투수 및 공기순환 판석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0708344B1 (ko) 보수 및 투수 포장 스페이서
JP4300232B2 (ja) コンクリート床構造
AU2004241359B2 (en) Building block
KR200472648Y1 (ko) 석재를 이용한 이중 바닥재
JP2010127052A (ja) 浸透側溝構造体
JP2005023777A (ja) 強化化粧パネル
US20120159888A1 (en) Cultured stone masonry unit
JP3141199U (ja) 歩道用路板材
CN211340262U (zh) 一种架空铺装的无机人造石结构
KR101203123B1 (ko)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KR101052085B1 (ko) 폐자재를 이용한 보도판석 및 그 제작방법
GB2463680A (en) A draining paving block comprising a porous receptacle filled with aggregate
KR101091728B1 (ko) 친환경 레진블록
TWM609441U (zh) 預鑄環保連鎖護坡磚
KR20160125586A (ko) 옹벽블록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9990046237A (ko) 방음 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_
CN205348865U (zh) 一种模压挡板组合件及其构建的贮液池
KR20210002402U (ko)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CN109024149A (zh) 一种自透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