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628B1 -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628B1
KR101116628B1 KR1020090039684A KR20090039684A KR101116628B1 KR 101116628 B1 KR101116628 B1 KR 101116628B1 KR 1020090039684 A KR1020090039684 A KR 1020090039684A KR 20090039684 A KR20090039684 A KR 20090039684A KR 101116628 B1 KR101116628 B1 KR 10111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height
boundary
bol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842A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102009003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도로 사이 또는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경계블록 본체와; (B) 상기 경계블록의 하부면에 하기 높이조절수단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최소한 3개 이상의 결합공간; (C)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며 상부가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결합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높이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한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경계블록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가 연결보조핀에 의해 경고하게 연결되므로 설치시 경계블록의 높이를 세밀하기 조절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타이어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을 겸비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경계블록, 인도, 보도, 차도, 블록, 높낮이, 연결, 폐타이어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Road-boundary lock for easy establishmen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도로 사이 또는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경계블록은 보도와 차도를 경계지어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토목용 구조물로 대략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경계블록을 보도와 차도의 경계를 따라 연속하여 연결 설치함으로써 보도와 차도가 구획되는 것이다. 통상 경계블록의 하부는 차도에 묻히며, 상부는 보도와 같은 높이로 설치된다.
종래 방식에 따라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콘크리트, 인조 화강석, 화강석, 폐타이어 등으로 제작된 경계블록(500)은 차도(510)와 보도(520)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데, 경계블록(500)의 상부는 보도(52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시공되고, 하부는 타설된 콘크리트나 포장된 아스팔트(511)에 일부 매설된다.
경계블록은 이것이 설치될 위치에 소정 깊이로 지반 공사를 한 후 기초 콘크리트(양생 전일 수도 있고 후일 수도 있음) 등으로 형성된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높낮이를 맞추어 균형있게 배치된 후에 그 하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짐으로써 도로에 고정된다. 그러나 기초 콘크리트(530)의 상부에 경계블록(500)을 올려놓고 높낮이를 맞추기 위해 경계블록(500)의 하부에 잡석 등을 끼워넣어 맞추게 됨에 따라 작업상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공기가 지연되는 원인과 함께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계블록(500)의 높낮이를 맞춘 초기에는 그 높낮이가 같으나, 양생되는 과정에 자중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침하가 발생될 경우, 경계블록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경계블록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받침판 상부로 상하높이조절 가능한 포스트를 복수개 설치한 후 포스트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그 포스트 위에 경계블록을 안착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등록실용신안 제437489호). 또한 바닥에 놓여지는 한쌍의 지지부 양측이 제연결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고, 지지부에 받침부가 나사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짐으로써, 받침부의 상부에 안착되어진 각각의 경계블록의 높낮이가 일치되어지도록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가 제안된 바 있다(등록특허 제86076호).
그러나 이들 방법에 의하면 거의 경계블록에 준하는 새로운 구조물이 필요하므로 경제성이 없을 뿐 아니라 받침판 자체를 균형있게 안착시키기도 힘들고 포스트 또는 받침부위에 경계블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경계블록은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제작되고 있다.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나 미관상으로 좋지 못하며 풍화작용에 의해 송상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석재 경계블록은 미관이 수려하고 견고하긴 하지만 암석을 파쇄하여 가공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환경파괴라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합성수지제 경계블록은 제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충격 강도가 약하고 제품의 자체 중량이 가벼워 설치 후 안정감 있게 고정되지 못하고 외부 충격이나 추돌에 파손되기 쉽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미관에 좋고 환경보호 개념에도 적합한, 폐타이어 소재의 경계블록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소요되는 부품수가 적어 경제성이 있고, 어떤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경계블록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시켜주면서 자연스럽게 동일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을 겸비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경계블록 본체(10)와; (B) 상기 경계블록의 하부면에 하기 높이조절수단(3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최소한 3개 이상의 결합공간(20); (C)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며 상부가 상기 결합공간(20)에 삽입결합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높이조절수단(30); (D)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 측면에 상기 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으로 형성된 연결보조홈(11); 및 (E)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10)의 연결보조홈(11)에 동시에 삽입되어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10) 사이의 높이를 일치시키고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연결보조핀(40);을 포함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삭제
높이조절수단(30)은 회전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그 어떤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순 너트-볼트 개념의 것일 수도 있고, 볼트-양쪽너트-볼트 개념의 것일 수도 있다.
즉, ① 상기 결합공간(20)의 저면부에는 너트(2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높 이조절수단(30)은 상기 너트(21)에 대응되는 볼트(31)일 수도 있고, ②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양측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진 긴 너트(34)와, 상기 너트(3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호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진 상볼트(32)-하볼트(33)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은, 상기 (하)볼트 머리부가 삽입되는 볼트머리수용부(52) 및 볼트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하는 볼트이동홈(51)을 가지는 보조받침(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에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는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폐타이어 또는 금속을 주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소재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한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경계블록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가 연결보조핀(40)에 의해 경고하게 연결되므로 설치 시 경계블록의 높이를 세밀하기 조절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타이어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을 겸비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2a 및 2b,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는 도면 및 사시도이다. 도에는 경계블록 본체(10)의 양측면과 양말단에 모두 연결보조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만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은 (A) 경계블록 본체(10)와; (B) 상기 경계블록의 하부면에 하기 높이조절수단(3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최소한 3개 이상의 결합공간(20); (C)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며 상부가 상기 결합공간(20)에 삽입결합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구체적인 형태는 적용될 현장의 상황에 따라, 곡선형, 직선형 등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시된 경계블록은 상부면 중에서 곡선으로 마무리된 쪽 면이 도로(높이가 낮은 곳)를 향하고, 그 반대쪽 면이 인도(높이가 높은 곳)에 접하게 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소재는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폐타이어 또는 금속을 주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내부는 폐타이어 소재, 외부는 콘크리트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계블록의 하부면에는 높이조절수단(30)이 나사결합되거나, 단순 끼움고정되는 결합공간(20)이 3개 이상 형성되도록 한다. 결합공간(20)의 최소수를 3개로 하였으나, 실제 사용상의 편의성 내지 상황에 따라 경계블록 본체(10)의 일부를 절단하여 사용하더라도 결합공간(20)이 복수개 남아있어 복수개의 높이조절수단(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8~10개 정도의 결합공간(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그 일측(상부) 말단이 상기 결합공간(20)에 나사결합되거나 단순 끼움고정되며, 자체의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다. 높이조절수단(30)은 최소한 2개로도 "경계블록 본체의 균형(평형)을 유지한다"는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최소한 3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수단(30)은 단순 볼트(31)일 수도 있고, 볼트-양쪽너트-볼트로 된 것일 수도 있는데, 상기 결합공간(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조 작에 의해 용이하게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것이다. ① 상기 결합공간(20)의 저면부에는 너트(2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상기 너트(21)에 대응되는 볼트(31)인 예를 도 2a 및 도 2b에, ② 양측에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진 긴 너트(34)와, 상기 너트(3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호 반대 방향의 나사산을 가진 상볼트(32)-하볼트(33)로 구성된 예를 도 3a 및 3b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일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부품이 높이조절수단(30)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경계블록은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지만, 어떤 경우라도 인접한 경계블록은 높이가 균형잡히도록 상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경계블록 본체(10)의 일측면(추후 인도측에서 묻히게 될 면) 또는 양단의 동일한 위치에 상기 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으로 연결보조홈(11)을 형성한 후, 상기 연결보조홈(11)에 끼움(삽입)결합되어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연결보조핀(40)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보조받침(50)과 높이조절수단(30)의 (하)볼트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볼트의 머리부가 볼트머리수용부(52)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이동홈(51)을 따라 높이조절수단(30)이 보조받침(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지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뿐 아니라, 설치된(그러나 아직 최종 고정되지 않은) 경계블록의 미세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a 및 2b에 예시된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보조받침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시멘트 콘크리트 등으로 1차 타설된 고르지 않은 바닥면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후 복수개의 경계블록 라인에서 인도측에는 토양 또는 콘크리트를 채우고 보도블록 등을 설치하며, 차도측에는 아스콘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최종 도로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계블록 연속 설치시에 경계블록 본체(10)는 하부의 높이조절수단(30)의 조절에 따라 울퉁불퉁한 바닥면에서도 균형있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10)의 연결보조홈(11)에 연결보조핀(40)이 삽입되므로 인접된 경계블록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통상 경계블록은 단일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각이진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계블록을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해야 한다. 도 6a 및 6b에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각도를 이루고 연결되는 상황을 평면도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각도에 맞추어 인접된 경계블록 본체(10) 중 한 쪽 또는 양쪽 경계블록의 맞닫는 부위를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절단한 후 연결설치함으로써 각이진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 연결보조핀(40)을 인접한 경계블록의 연결보조홈(11)에 삽입함으로써 인접한 경계블록이 각이 지면서도 견고하게, 그리고 높이가 일정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보조홈(11)이 외부에 형성되는 경우, 연결보조핀(40)의 유무에 관계없이 추후 타설되는 콘크리트게 상기 연결보조홈(11)에 끼워들어가 양생되므로 완성된 경계블록이 더욱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거니와,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폐타이어를 활용할 수 있다. 폐타이어를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입자가 2~5㎜인 칩을 만든다. 여기에 소정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와 혼합하고, 강력접착제로 사용되는 우레탄 본드를 섞어 재혼합하여 소정의 금형에 투입한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가열 압축함으로 생산될 수 있다.
폐타이어를 소재로 하는 경우, 폐타이어의 재활용에 따른 환경보호와 경제적인 비용절감의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경계블록의 색상을 다양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단순히 경계블록의 역할 이외에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폐타이어 칩을 이용함으로써 경계블록 자체가 탄성을 보유하게 되어 충격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보조받침과 높이조절수단의 (하)볼트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각도를 이루고 연결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연결보조홈
20. 결합공간
21. 너트
30. 높이조절수단
31. 볼트 32. 상볼트 33. 하볼트
34. 너트
40. 연결보조핀
50. 보조받침
51. 볼트이동홈 52. 볼트머리수용부

Claims (7)

  1. (A) 경계블록 본체(10)와;
    (B) 상기 경계블록의 하부면에 하기 높이조절수단(3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최소한 3개 이상의 결합공간(20);
    (C)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며 상부가 상기 결합공간(20)에 삽입결합되는 최소한 2개 이상의 높이조절수단(30);
    (D)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 측면에 상기 본체(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으로 형성된 연결보조홈(11); 및
    (E)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10)의 연결보조홈(11)에 동시에 삽입되어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10) 사이의 높이를 일치시키고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연결보조핀(4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간(20)에는 저면부에 너트(2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상기 너트(21)에 대응되는 볼트(31)이며,
    상기 볼트(31) 머리부가 삽입되는 볼트머리수용부(52) 및 볼트(31)가 좌우이동 가능하게 하는 볼트이동홈(51)을 가지는 보조받침(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는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폐타이어 또는 금속을 주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
KR1020090039684A 2009-05-07 2009-05-07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10111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84A KR101116628B1 (ko) 2009-05-07 2009-05-07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684A KR101116628B1 (ko) 2009-05-07 2009-05-07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656A Division KR20120007480A (ko) 2011-12-08 2011-12-08 경계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42A KR20100120842A (ko) 2010-11-17
KR101116628B1 true KR101116628B1 (ko) 2012-03-07

Family

ID=4340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684A KR101116628B1 (ko) 2009-05-07 2009-05-07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92B1 (ko) * 2020-05-19 2020-12-24 주식회사 씨에스에코 줄눈밴드 일체형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7536A (ko) * 2012-02-24 2013-09-03 김대환 강화 합성수지용 기능성 도로경계블록
KR102272793B1 (ko) * 2018-11-16 2021-07-05 이민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KR102446905B1 (ko) * 2020-02-28 2022-09-26 바위산업 주식회사 징검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893A (ja) 2004-04-27 2005-11-10 Ishida Tekko Kk 縁石排水溝
KR200438779Y1 (ko) * 2007-12-26 2008-03-06 오철호 경계 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KR100860760B1 (ko) 2008-05-09 2008-09-29 오철호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893A (ja) 2004-04-27 2005-11-10 Ishida Tekko Kk 縁石排水溝
KR200438779Y1 (ko) * 2007-12-26 2008-03-06 오철호 경계 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KR100860760B1 (ko) 2008-05-09 2008-09-29 오철호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92B1 (ko) * 2020-05-19 2020-12-24 주식회사 씨에스에코 줄눈밴드 일체형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42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15B1 (ko)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1116628B1 (ko)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20060082832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도로보수공법
US9398996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KR20060071384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조립식 포장공법
CN112695582A (zh) 公路路面的装配式建造与修复结构及其快速施工方法
KR101012968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기능을 가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252B1 (ko)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101097995B1 (ko)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KR20110115638A (ko) 식별 및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20120007480A (ko) 경계블록
KR101206688B1 (ko) 미끄럼 방지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CN211522720U (zh) 一种预制路面修复模块结构
KR100772671B1 (ko)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20120013623A (ko) 차도용 투수형 골재 셀 블록
KR20070074994A (ko) 아스콘 포장도로의 차량 급정차지역에 시공되는 재활용이가능한 도로포장 구조물 및 이 도로포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1050205B1 (ko) 단지 토목과 조경과 도로에서 사용되는 경계석과 경계석 받침 및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평탄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CN216514945U (zh) 一种用于道路的抗倾倒侧石
KR101622766B1 (ko) 과속방지턱
KR101406295B1 (ko) 경계석
CN213625050U (zh) 一种路面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