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480A -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480A
KR20120007480A KR1020110130656A KR20110130656A KR20120007480A KR 20120007480 A KR20120007480 A KR 20120007480A KR 1020110130656 A KR1020110130656 A KR 1020110130656A KR 20110130656 A KR20110130656 A KR 20110130656A KR 20120007480 A KR20120007480 A KR 20120007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block
boundary
height
pres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102011013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480A/ko
Publication of KR2012000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도로 사이 또는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는, 경계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 측면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면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형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경계블록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경계블록 설치 후 경계블록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경계블록 보수의 필요성이 대폭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경계블록{Road-boundary lock}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도로 사이 또는 도로와 인도를 구획하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는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경계블록은 인도와 차도를 경계지어 보행자의 안전과 차량의 소통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토목용 구조물로 대략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다. 복수개의 경계블록을 보도와 차도의 경계를 따라 연속하여 연결 설치함으로써 보도와 차도가 구획되는 것이다. 통상 경계블록의 하부는 차도보다 아래에 묻히며, 상부는 보도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치된다.
종래 방식에 따라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콘크리트, 인조 화강석, 화강석, 폐타이어 등으로 제작된 경계블록(500)은 차도(510)와 인도(520) 사이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데, 경계블록(500)의 상부는 인도(52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시공되고, 하부는 타설된 콘크리트나 포장된 아스팔트(511)에 일부 매설된다.
경계블록은 이것이 설치될 위치에 소정 깊이로 지반 공사를 한 후 기초 콘크리트(양생 전일 수도 있고 후일 수도 있음) 등으로 형성된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높낮이를 맞추어 균형있게 배치된 후에 그 하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함으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기초 콘크리트(530)의 상부에 경계블록(500)을 올려놓고 높낮이를 맞추기 위해 경계블록(500)의 하부에 잡석 등을 끼워넣어 맞추게 됨에 따라 작업상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공기가 지연되는 원인과 함께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계블록(500)의 높낮이를 맞춘 초기에는 그 높낮이가 같으나, 양생되는 과정에 자중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침하가 발생될 경우, 경계블록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고정된 이후에도 사소한 충격에 의해 인접한 경계블록들 사이의 높낮이가 변경되거나 심지어는 경계블록이 이탈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경계블록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받침판 상부로 상하높이조절 가능한 포스트를 복수개 설치한 후 포스트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 그 포스트 위에 경계블록을 안착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등록실용신안 제437489호). 또한 바닥에 놓여지는 한쌍의 지지부 양측이 제연결부에 의하여 결합되어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고, 지지부에 받침부가 나사결합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짐으로써, 받침부의 상부에 안착되어진 각각의 경계블록의 높낮이가 일치되어지도록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경계블록 높이조절 설치구가 제안된 바 있다(등록특허 제86076호).
그러나 이들 방법에 의하면 거의 경계블록에 준하는 새로운 구조물이 필요하므로 경제성이 없을 뿐 아니라 받침판 자체를 균형있게 안착시키기도 힘들고 포스트 또는 받침부위에 경계블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들 방법에 의하더라도 경계블록 설치 후 충격에 의해 높낮이가 변하거나 경계블록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어렵다.
한편, 경계블록은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제작되고 있다.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나 미관상으로 좋지 못하며 풍화작용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석재 경계블록은 미관이 수려하고 견고하긴 하지만 암석을 파쇄하여 가공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환경파괴라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합성수지제 경계블록은 제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충격 강도가 약하고 제품의 자체 중량이 가벼워 설치 후 안정감 있게 고정되지 못하고 외부 충격이나 추돌에 파손되기 쉽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미관에 좋고 환경보호 개념에도 적합한, 폐타이어 소재의 경계블록이 요청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437489호 등록특허 제86076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여서 경제성이 있고, 일단 고정된 이후에는 그 높낮이가 변하거나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떤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인접한 경계블록간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하고 그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시켜주면서 자연스럽게 동일높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을 겸비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계블록 본체의 길이방향 측면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면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형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에서 상기 측면홈은 경계블록 본체의 하단 또는 상단과 평행하며, 경계블록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고, 최소한 양말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은,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의 측면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 사이의 높이를 일치시키고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연결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에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는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폐타이어 또는 금속을 주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소재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용이하고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경계블록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경계블록 설치 후 경계블록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경계블록 보수의 필요성이 대폭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가 연결핀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되므로 설치시 경계블록의 높이를 세밀하기 조절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타이어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성과 안정성을 겸비하는 경계블록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각도를 이루고 연결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2a에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첨부하였다. 도면상에서는 측면홈(11)이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측면홈(11)은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길이방향 양말단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일부의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측면홈(11)의 연장선 부근에 연결핀(20)을 함께 도시하였으나, 연결핀(20)은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b에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설치된 상태의 인도-경계블록-차도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은 본체(10)의 길이방향 측면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면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형 경계블록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구체적인 형태는 적용될 현장의 상황에 따라, 곡선형, 직선형 등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시된 경계블록은 상부면 중에서 곡선으로 마무리된 쪽 면이 도로(높이가 낮은 곳)를 향하고, 그 반대쪽 면이 인도(높이가 높은 곳)에 접하게 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소재는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폐타이어 또는 금속을 주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내부는 폐타이어 소재, 외부는 콘크리트나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시멘트 콘크리트 등으로 1차 타설된 고르지 않은 바닥면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수한 구조의 경계블록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고가이면서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때 상당한 노동력(일일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 경계블록 하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더 넣거나 덜어내는 방식으로 높이를 맞추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작업으로도 "설치단계"에서 경계블록의 높이를 조절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한 경우, 바닥의 콘크리트가 양생된 이후(인도-경계블록-차도의 공사가 완료된 이후)에 차량 또는 중량물에 의해 경계블록에 충격이 가해질 때 경계블록의 높낮이가 변하거나 쉽게 이탈(또는 결합이 느슨해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의 경우,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양생되는 과정에서, 도 2b에 적색원으로 표시된 부위에서 볼 수 있듯이, 콘크리트가 경계블록 측면홈(11)에 끼어들어간 상태에서 양생되므로 경계블록과 콘크리트의 결합력이 매우 강력하게 된다. 따라서 충격에 의한 높낮이 변화나 이탈 가능성이 매우 적어진다.
한편, 경계블록은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현장의 상황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지만, 어떤 경우라도 인접한 경계블록은 높이가 균형잡히도록 상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연결핀(20)을 인접한 경계블록의 측면홈(11)에 끼움(삽입)결합시킴으로써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를 균일한 높이에서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 두 개를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인접한 경계블록 측면홈(11)에 걸쳐 연결핀(2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때 연결핀(20)의 길이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연결핀(20)을 추가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들이 현장에 적용될 때 경계블록의 높이균일화 및 이탈방지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경계블록은 단일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각이진 경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계블록을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해야 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경계블록이 각도를 이루고 연결되는 상황을 평면도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각도에 맞추어 인접된 경계블록 본체(10) 중 한 쪽 또는 양쪽 경계블록의 맞닫는 부위를 소정의 길이와 각도로 절단한 후 연결설치함으로써 각이진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 연결핀(20)을 인접한 경계블록의 측면홈(11)에 삽입함으로써 인접한 경계블록이 각이 지면서도 견고하게, 그리고 높이가 일정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강조하거니와,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폐타이어를 활용할 수 있다. 폐타이어를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입자가 2~5㎜인 칩을 만든다. 여기에 소정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와 혼합하고, 강력접착제로 사용되는 우레탄 본드를 섞어 재혼합하여 소정의 금형에 투입한 후 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가열 압축함으로 생산될 수 있다.
폐타이어를 소재로 하는 경우, 폐타이어의 재활용에 따른 환경보호와 경제적인 비용절감의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상기 경계블록의 색상을 다양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단순히 경계블록의 역할 이외에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폐타이어 칩을 이용함으로써 경계블록 자체가 탄성을 보유하게 되어 충격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11. 측면홈
20. 연결핀

Claims (4)

  1. 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의 길이방향 측면하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면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홈(11)은 경계블록 본체(10)의 하단 또는 상단과 평행하며, 최소한 양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10)의 측면홈(11)에 동시에 삽입되어 인접한 경계블록 본체 (10)사이의 높이를 일치시키고 인접한 경계블록 사이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연결핀(2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록.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록 본체(10)는 콘크리트, 석재, 합성수지, 폐타이어 또는 금속을 주소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록.
KR1020110130656A 2011-12-08 2011-12-08 경계블록 KR201200074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56A KR20120007480A (ko) 2011-12-08 2011-12-08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656A KR20120007480A (ko) 2011-12-08 2011-12-08 경계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684A Division KR101116628B1 (ko) 2009-05-07 2009-05-07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80A true KR20120007480A (ko) 2012-01-20

Family

ID=4561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656A KR20120007480A (ko) 2011-12-08 2011-12-08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4934A (zh) * 2018-04-09 2018-11-09 南通德瑞森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钢路缘石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4934A (zh) * 2018-04-09 2018-11-09 南通德瑞森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钢路缘石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9626A1 (en) Concrete pavers layable in a herringbone pattern
US9027290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US9398996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KR20060082832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도로보수공법
KR101116628B1 (ko)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100889252B1 (ko)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KR100892419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US362512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upporting layers or road surfaces
KR20170030170A (ko) 블록 포장용 패드 및 이를 이용한 블록 포장 방법
KR101097995B1 (ko)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KR100785311B1 (ko) 이탈 방지구조의 도로안전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7480A (ko) 경계블록
KR10076341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KR20110115638A (ko) 식별 및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100967180B1 (ko) 팽창백을 이용하는 도로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공법 과 도로 보수 공법
KR100772671B1 (ko)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200437489Y1 (ko)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CN211522720U (zh) 一种预制路面修复模块结构
CN203834313U (zh) 一种公路路面拦水带
KR20120013623A (ko) 차도용 투수형 골재 셀 블록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1050205B1 (ko) 단지 토목과 조경과 도로에서 사용되는 경계석과 경계석 받침 및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평탄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0445627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70074994A (ko) 아스콘 포장도로의 차량 급정차지역에 시공되는 재활용이가능한 도로포장 구조물 및 이 도로포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31

Effective date: 201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