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416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416B1
KR100763416B1 KR1020060008027A KR20060008027A KR100763416B1 KR 100763416 B1 KR100763416 B1 KR 100763416B1 KR 1020060008027 A KR1020060008027 A KR 1020060008027A KR 20060008027 A KR20060008027 A KR 20060008027A KR 100763416 B1 KR100763416 B1 KR 100763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ecast concrete
concrete
pedestrian crossing
cross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5769A (ko
Inventor
최준성
이규완
박원주
박은용
전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4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하여 험프식 횡단보도를 시공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높이가 인도의 높이와 일치시켜 험프식 횡단보도가 구축되고; 눈이나 결빙에 의한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패널내부에 융설용 열선을 배치하고; 보행자의 시야확보와 운전자의 경고를 위해 포장체에 도로 매립형 경고등을 설치하고; 장애인의 보행 안전을 위해 점자 유도블럭(470)이 설치되는 기능성 횡단보도를 말한다.
험프식 횡단보도, 횡단보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 횡단보도{Functional Hump-Crosswalk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작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횡단보도 시공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접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융설 및 융빙을 위한 열선과 온도, 습도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수평조절을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접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다웰바(110)와 충진슬롯(32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접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바(120)와 충진슬롯(32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아스팔트의 접합부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문양 및 횡단보도라인(42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장애인을 위한 점자 유도블럭(470)이 설치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설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기존 포장층 위에 설치).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Pull depth 기존면 제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Partial depth 기존면 제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설치 의 일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설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몸체
20 : 아스팔트 콘크리트 (차량진입부)
30 : 기존 노면에서 패널 상판까지의 구배
40 : 패널 두께
50 : 패널 세로길이
60 : 패널 가로길이
70 : 기존 노면
80 : 도로 매립형 경고등
90 : 타이바 충진슬롯
100 : 다웰바 충진슬롯
110 : 다웰바
120 : 타이바
130 : 높낮이 조절장치 포트
140 : 타이바 슬롯 그라우트 포트
150 : 다웰바 슬롯 그라우트 포트
160 : 그라운드 포트 (평면)
170 : 매립등 배선관
180 : 매립등 설치 측면도
190 : 매립등 설치 평면도
200 : 매립등 설치 정면도
210 : 상부철근
220 : 전기전열선
230 : 온도감지 센서
240 : 습도감지 센서
250 : 전원 컨트롤 박스
260 :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 조작용 렌치
270 :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
280 : 패널 높낮이 조절 너트 지지용 철근
290 : 패널 높낮이 조절 너트
300 : 그라운드 포트 (단면)
310 : 슬롯 그라우트 포트
320 : 충진슬롯
330 : 폼 가스켓
340 : 접합부 줄눈
350 : 방청페인트
360 : 다웰캡
370 : 그라우팅재
380 : 원형강봉 (다웰바)
390 : 이형철근 (타이바)
400 : 접합부 절단면
410 : 문양
420 : 횡단보도라인
430 : 거푸집
440 : 횡단보도라인 형성부재
450 : 문양을 낼 수 있는 거푸집
460 : 콘크리트 타설
470 : 장애인 유도블럭
480 : 기존 포장층
490 : 포장층 지반
상기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횡단보도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험프식 횡단보도라 함은 횡단보도의 높이를 인도와 동일하게 함으로서, 차량의 서행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함으로서 나아가 횡단보도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감소시키자는 취지로 건설되는 선진국형 횡단보도를 말한다.
하지만, 종래의 험프식 횡단보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일반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험프식 횡단보도를 시공할 경우 장기적인 공용에 있어 러팅현상, 패임, 균열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둘째, 보도용 블록으로 험프식 횡단보도를 시공할 경우 보도용 블록의 내구성이 약해 깨어지거나, 블록 시공 상 모래를 바닥에 깔고 설치하므로 불연속 침하 등이 발생되었다.
셋째, 칼라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험프식 횡단보도를 시공한 경우에도 재료의 특성상 내구성 및 균열저항성이 약해 장기적인 공용수명이 보장되지 못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사전에 공장제작하므로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교통개방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패널과 패널 사이는 다웰바(110)와 타이바(120) 접합방식으로 콘크리트 포장공법과 같은 구조로서 신축거동 및 일체화거동에 유리하며, 높이조절장치로 정교한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노면매립 등과 융설 및 융빙을 위한 열선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속에 미리 포함되어 제품화되므로 단순화된 시공공정에 비해 그 기능성은 극대화 시켰다.
넷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 시 상면이 아래로 향하게 제작하므로 여러 가지 문양 및 홈을 확보함으로서 횡단보도라인(420)을 보다 시각화시켜 안전성을 더욱 높였다.
차도는 그 단어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다니는 길로서 차량중심의 도로설계가 우선시 되어왔다. 하지만 보행자가 다니는 횡단보도는 보행자중심으로 설계되어야 되고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시설이 확충되어야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취지이며, 특히 보행자가 다니는 인도와 같은 높이로 시공되는 이른바 험프식 횡단보도에 있어 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장기공용수명이 확보되고; 무엇보다 보행자의 안전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의 외주면 상에 다웰바(110)과 타이바(120)가 충진슬롯(320)으로 접합되어 인접되는 다른 패널몸체(10)과 상호 결합시킴으로서, 시공이 간단하여 차량통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과 인접되는 다른 패널몸체(10)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에 다웰바(110), 타이바(120) 및 몰탈이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과 연통되는 충진슬롯(320)을 포함하고, 상기 다웰바(110), 타이바(120) 및 충진슬롯(320)은 인접된 패널몸체(10)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패널을 안착시켜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맞추기 위해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진입을 위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구배를 갖도록 시공하고, 횡단보도라인(420)을 형성하여 완성되는 기능성 험프식 횡단보도를 말한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면에는 그라우팅시 테두리 역할을 하는 폼 가스켓(330)이 형성되고, 상기 폼 가스켓(330) 내부로 그라우팅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300)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착색제를 배합하여 색상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표면에는 문양을 낼 수 있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문양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표면에는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에 착색제를 배합하거나 폴리머계열의 칼라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횡단보도라인(420)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표면에는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인지시킬 목적으로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내부에는 융설 및 융빙을 목적으로 하는 전기전열선(22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는 도로의 결빙방지를 위하여 전기전도성 발열시멘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섬유보강재를 혼합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는 단면이 경사지도록 하여 배수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일반적으로 “콘크리트”라 함)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터, 에폭시 등의 폴리머계 콘트리트로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면에는 그라우팅 시 테두리 역할을 하는 폼 가스켓(330)이 형성되고, 상기 폼 가스켓(330) 내부로 그라우팅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폼 가스켓(330)은 고무, 석면 코르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착색제를 배합하여 횡단보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착색제로는 빨간색 합성산화철(적색), 빨간색 산화철(적색), 황색 합성산화철(갈색), 황색 합성산화철(황색), 산화크롬(녹색), 시멘트그린(녹색), 울트라 마린(청색), 쿠퍼 프탈로시아닌 블루(copper phthalocyanine blue)(청색), 코발트 블루(청색), 시멘트그린(청색), 자주색 산화철(자주색), 카본블랙(검정색), 흑색합성산화철(검정색), 산화티탄(백색)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은 콘크리트 타설시 섬유보강재를 혼합시켜 인장강도, 휨강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 인성 전단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섬유보강재로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특수섬유 등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험프식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거푸집(430) 준비공정
제1공정은 거푸집(430) 준비공정으로서, 패널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거푸집(430)을 준비하는 것이다.
상기 거푸집(430)은 평면의 형상이 사각형상 뿐만 아니라 곡선도로에 설치하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가 설치될 도로의 형태에 따라 평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거푸집(430)의 재질은 강재뿐만 아니라 목재 및 플라스틱계열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공정: 철근배근 및 다웰바(110), 타이바(120) 배치공정
제2공정은 철근배근 및 다웰바(110), 타이바(120) 배치공정으로서, 준비된 거푸집(430)의 내부에 충진슬롯(320) 형성부재을 해당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패널 바닥면의 그라우팅을 목적으로 하는 그라운드 포트(300)의 설치를 포함한다.
제3공정: 높낮이 조절장치 배치 공정으로서, 높낮이 조절장치는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 패널 높낮이 조절 너트(290) 그리고 지지용 철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렌치(260)로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를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장치 형성부재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 형성부재는 양생이 끝나고 탈형할 때 제거되며, 계속적인 재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4공정: 융설장치 설치 공정
제4공정은 융설장치 설치 공정으로서, 상기 거푸집(430) 내부에 융설 및 융빙을 목적으로 하는 전기전열선(220)의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전열선(220)의 효율을 위하여 열선과 열선의 간격은 30cm내외로 하며, 피복두께는 5cm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의 상황 및 규모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에너지효율을 위해 온도 및 습도센서의 감지로 융설 및 융빙이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공정: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형성부재 설치 공정
제5공정은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형성부재 설치 공정으로서, 상기 거푸집(430) 내부에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목적으로 하는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을 설치하기 위한 형성부재를 배치하는 것이다.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형성부재는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본체와 탈부착이 쉬운 형태의 것이며, 덧씌우기 작업 시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제6공정: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
제6공정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으로서, 상기 거푸집(43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다.
제7공정: 탈형 공정
제7공정은 탈형 공정으로서, 거푸집(430) 내부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430) 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패널을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하게 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그라우팅 시 테두리 역할을 하는 폼 가스켓(33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험프식 횡단보도뿐만 아니라 일반 횡단보도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주야에 상관없이 조속한 횡단보도의 시공과 양질의 품질확보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제1공정: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공정
제1공정은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 공정으로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거푸집(430)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과 인접되는 다른 패널몸체(10)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의 다웰바(110), 타이바(120) 및 몰탈이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와 연통되는 충진슬롯(320)을 포함하고, 상기 다웰바(110), 타이바(120)과 충진슬롯(320)은 인접된 패널몸체(10)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패널을 안착시켜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맞추기 위해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진입을 위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구배를 갖도록 시공하고, 횡단보도라인(420)을 형성하여 완성되는 기능성 험프식 횡단보도를 말한다.
또한,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면에는 그라우팅 시 테두리 역할을 하는 폼 가스켓(330)이 형성되고, 상기 폼 가스켓(330) 내부로 그라우팅을 실시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패널몸체(10)에 폼 가스켓(330)을 설치하고,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에 몰탈을 공급함으로서, 상기 슬롯 그라운드 포트(300)를 통해 공급된 몰탈이 폼 가스켓(330)의 내부에 분산되면서 패널몸체(10)는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폼 가스켓(330)은 고무, 석면 코르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정: 패널 설치를 위한 포장층 표면처리공정
제2공정은 패널 설치를 위한 포장층 표면처리공정으로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평삭기 또는 여타의 장비를 이용하여 평탄치 못한 표면을 절삭하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표면상태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폴리머 계열의 수지를 그라우트재로 사용할 경우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진입을 위한 구배설치용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의 밀림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전단키 설치용 홈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원활한 패널의 설치를 위해 도로면에 설치된 표지병 및 여타의 시설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공정: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설치공정
제3공정은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설치공정으로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성 처리된 상기 기층위에 미리 제작된 복수개의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다웰바(110), 타이바(120)과 충진슬롯(32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설치하는 것이다.
제4공정: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한 패널 수평 조절공정
제4공정은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한 패널 수평 조절공정으로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장치는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 패널 높낮이 조절 너트(290), 너트 지지용 철근(280)으로 구성되며,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할 때 삽입되어 생산된다. 그리고, 한 패널 당 모서리부에 4개가 배치되며, 필요시 패널의 넓이에 따라 4개 이상의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기존도로면과 수평을 맞추기 위해 렌치(260)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며,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을 조작할 수 있는 여타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5공정: 그라우팅 공정
제5공정은 그라우팅 공정으로서, 상호 연결된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를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진슬롯(320)내에 결합된 연결부재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패널에 외주면에 형성된 다웰바(110), 타이바(120)과 다른 패널에 형성된 충진슬롯(320)을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에 몰탈을 주입하게 되면 몰탈에 의해 패널 사이가 연결되어 도로를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라운드 포트(300)를 통해 몰탈을 주입하게 되면 그라운드 포트(300)를 통해 폼 가스켓(330) 내부에 몰탈이 공급되어 패널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공정: 패널 차량진입부 아스콘 타설 및 다짐공정
제6공정은 패널 차량진입부 아스콘 타설 및 다짐공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관련규정에 맞는 적정구배로 아스팔트를 타설하고, 여타의 다짐 장비를 동원하여 차량 통행이 원활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량진입부에 있어, 아스팔트뿐만 아니라 개질아스콘, 칼라아스콘, 일반콘크리트, 폴리머계 콘크리트 등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량진입부에 차량진입으로 인한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진입부 바닥면에 전단키를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7공정: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설치 및 각종배선 공정
제7공정은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설치 및 각종배선 공정으로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인지시킬 목적으로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을 설치하는 것이다. 패널제작 시 설치되었던, 도로 매립형 경고등 형성부재에 의해 생성된 포트를 이용하여 도로 매립형 경고등을 설치하며, 배선관을 통해 도로 매립형 경고등이 작동 가능하도록 배선하고, 전원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온도감지 센서(230), 습도감지 센서(240), 전기전열선(220)을 배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은 보행자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통상적으로 배치되나, 횡단보도의 규모 및 형상에 따라 배치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로 매립형 경고등(80) 배선이 신호등과 연결되어 보행신호가 들어올 때만 작동하도록 만든 것이다.
제8공정: 패널 접합부 줄눈(340)설치 공정
제8공정은 패널 접합부 줄눈(340)설치 공정으로서, 도 10내지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포장에 관한 시방서에 준하여 접합부에 줄눈을 설치한다.
또한, 차량진입부와 패널간의 접합부에 있어서, 시공 직후 절삭기 및 여타의 장비를 이용하여 접합부를 절삭하여 줄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량진입부와 패널간의 접합부에 있어서, 횡단보도 시공 후 일정시간의 경과 후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횡방향 틈으로 줄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표면에 횡단보도의 표시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흰색계열의 콘크리트 영역과 어두운색 계열의 골재를 사용하여 노출시킨 영역을 적절히 배치하여 횡단보도 표시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며, 이 실시 예는 기존도로의 전깊이(full depth)를 제거하여 횡단보도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이하 일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여 설명의 혼잡을 방지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며, 이 실시 예는 기존도로의 일부깊이(partial depth)를 제거하여 횡단보도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이하 일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여 설명의 혼잡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 아스콘이나 보도용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험프식 횡단보도에 있어, 일반 아스콘으로 만든 험프식 횡단보도의 경우 러팅과 패임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보도용 블록을 이용한 험프식 횡단보도의 경우 시공 당시 미관은 수려하나 블록의 특성상 내구성능이 떨어져 깨어지거나 경계석과 아스팔트접합부 균열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블록의 색상이 표면마모에 의해 탈색 및 변색이 일어나 장기적인 미관성에 있어 취약함을 드러내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험프식 횡단보도는 시공이 간편하고, 장기공용수명이 확보되고, 무엇보다 보행자의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횡단보도로서, 그 가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8)

  1. 패널몸체(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거푸집(430)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준비된 거푸집(430)의 내부에 충진슬롯(320) 형성부재를 해당위치에 배치하고, 그라운드 포트(300)와 철근배근 및 다웰바(110), 타이바(120)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준비된 거푸집(430)의 내부에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 패널 높낮이 조절 너트(290) 그리고 너트 지지용 철근(280)으로 구성되어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준비된 거푸집(430)의 내부에 융설 및 융빙을 하는 전기전열선(220)의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준비된 거푸집(430)의 내부에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하도록 하는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을 설치하기 위한 형성부재의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준비된 거푸집(43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공정과,
    상기 거푸집(430) 내부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430)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패널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제작방법.
  2.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와 인접되는 다른 패널몸체(10)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의 다웰바(110), 타이바(120) 및 몰탈이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와 연통되는 충진슬롯(320)을 포함하고, 패널을 안착시켜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맞추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300)가 형성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작공정과,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평삭기 또는 여타의 장비를 이용하여 평탄치 못한 표면을 절삭하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표면상태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존 포장면의 표면처리공정과,
    미리 제작된 복수개의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다웰바(110), 타이바(120)과 충진슬롯(32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패널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설치된 복수개의 패널의 상호 수평을 맞추기 위해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는 패널 수평조절 공정과,
    상호 연결된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진슬롯(320)내에 결합된 연결부재을 고정하도록 하는 그라우팅 공정과,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차량진입부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시키기 위해 아스콘을 타설하고 다짐하는 공정과,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인지시키기 위해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을 설치하는 공정과,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패널과 아스팔트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콘크리트 포장에 관한 시방서에 준하여 접합부에 줄눈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시공방법.
  3.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과 인접되는 다른 패널몸체(10)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의 다웰바(110), 타이바(120) 및 몰탈이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과 연통되는 충진슬롯(320)을 포함하고, 패널을 안착시켜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맞추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300)가 형성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작공정과,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설치를 위해 기존도로의 전깊이(full depth)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거된 부분에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전 지반의 평탄성을 처리하는 공정과,
    미리 제작된 복수개의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다웰바(110), 타이바(120)과 충진슬롯(32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패널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설치된 복수개의 패널의 상호 수평을 맞추기 위해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패널 수평조절 공정과,
    상호 연결된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진슬롯(320)내에 결합된 연결부재을 고정하도록 하는 그라우팅 공정과,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차량진입부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시키기 위해 아스콘을 타설하고 다짐하는 공정과,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인지시키기 위해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을 설치하는 공정과,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패널과 아스팔트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콘크리트 포장에 관한 시방서에 준하여 접합부에 줄눈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시공방법.
  4.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과 인접되는 다른 패널몸체(10)에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의 다웰바(110), 타이바(120) 및 몰탈이 공급되는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과 연통되는 충진슬롯(320)을 포함하고, 패널을 안착시켜 기존 포장면과 평탄하게 맞추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몸체(10)에 수직으로 관통된 그라운드 포트(300)가 형성된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작공정과,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설치를 위해 기존도로의 일부깊이(partial depth)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거된 부분에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하기 전 지반의 평탄성을 처리하는 공정과,
    미리 제작된 복수개의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다웰바(110), 타이바(120)과 충진슬롯(320)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패널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순차적으로 연결하면서 설치된 복수개의 패널의 상호 수평을 맞추기 위해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패널 수평조절 공정과,
    상호 연결된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슬롯 그라우트 포트(310)을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충진슬롯(320)내에 결합된 연결부재을 고정하도록 하는 그라우팅 공정과,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차량진입부에 일정한 구배를 형성시키기 위해 아스콘을 타설하고 다짐하는 공정과,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에 보행자 및 운전자의 주의를 인지시킬 목적으로 도로 매립형 경고등(80)을 설치하는 공정과,
    험프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패널과 아스팔트의 접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콘크리트 포장에 관한 시방서에 준하여 접합부에 줄눈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430)은 평면의 형상이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곡선도로에 설치하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가 설치될 도로의 형태에 따라 평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거푸집(430)의 재질은 강재뿐만 아니라 목재 및 플라스틱계열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용 거푸집(43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배근 및 다웰바(110), 타이바(120) 배치공정에 있어 상기 준비된 거푸집(430)의 내부에 충진슬롯(320) 형성부재를 해당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패널 바닥면의 그라우팅을 목적으로 하는 그라운드 포트(300)의 설치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작용 거푸집(43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를 배치하는 공정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 패널 높낮이 조절 너트(290), 너트 고정철근으로 구성되며, 콘크리트 패널을 제작할 때 삽입되어 생산되고, 한 패널 당 모서리부에 4개가 배치되며, 필요시 패널의 넓이에 따라 4개 이상의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기존도로면과 수평을 맞추기 위해 렌치(260)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며, 패널 높낮이 조절 볼트(270)를 조작할 수 있는 여타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융설장치 설치 공정에 있어 전기전열선(220)의 효율을 위하여 열선과 열선의 간격은 30cm 내외로 하며, 피복두께는 현장의 상황 및 규모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융설장치 설치 공정에 있어 에너지효율을 위해 온도 및 습도센서의 감지로 융설 및 융빙이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에 있어 상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패널몸체(10)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터, 에폭시 등의 폴리머계 콘크리트로도 제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는 도로의 결빙방지를 위하여 전기전도성 발열시멘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는 콘크리트 타설시 섬유보강재를 혼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10)는 단면이 경사지도록 하여 배수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14.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 공정에서 상기 패널몸체(10)에 형성된 그라운드 포트(300)를 통해 몰탈을 주입하여 상기 패널몸체(10)에 설치된 폼 가스켓(330)의 내부에 분산되어 평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
  1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상면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계열의 콘크리트 또는 칼라시멘트 콘크리트를 덧씌우거나 부분적으로 타설하여 횡단보도 표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
  1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성 처리하는 공정은 아스콘 또는 폴리머계 콘크리트를 포설한 후 다짐롤러로 면 마무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
  1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성 처리하는 공정은 물-시멘트비가 적은 무슬럼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다짐롤러로 전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
  1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성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 횡단보도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하측에 섬유보강 시트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횡단보도 시공방법.
KR1020060008027A 2006-01-26 2006-01-2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KR100763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027A KR100763416B1 (ko) 2006-01-26 2006-01-2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027A KR100763416B1 (ko) 2006-01-26 2006-01-2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769A KR20060015769A (ko) 2006-02-20
KR100763416B1 true KR100763416B1 (ko) 2007-10-04

Family

ID=3712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027A KR100763416B1 (ko) 2006-01-26 2006-01-2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80B1 (ko) * 2009-10-19 2010-07-0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팽창백을 이용하는 도로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공법 과 도로 보수 공법
KR20230093697A (ko)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1960A (zh) * 2019-03-26 2019-08-02 四川奇石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道路车辆动态称重平台及其道路施工安装方法
CN114960326A (zh) * 2022-06-01 2022-08-30 广东中路防护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超高性能混凝土道面板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979U (ko) * 1997-12-19 1999-07-15 정정용 일반도로와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의 교통체계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979U (ko) * 1997-12-19 1999-07-15 정정용 일반도로와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의 교통체계 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180B1 (ko) * 2009-10-19 2010-07-0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팽창백을 이용하는 도로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공법 과 도로 보수 공법
WO2012053669A1 (en) * 2009-10-19 2012-04-26 Hyundai Engineering Co.,Ltd. Concrete panel for road pavement using expansion bag, paving method and repai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30093697A (ko)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769A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210B1 (ko)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0892B1 (ko)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공법
US6890124B2 (en) Method for providing a pre-cast detectable warning tile system
KR10076341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US6939078B1 (en) Tactile detectable warning ramps for pedestrian pathways
KR20120135711A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101199916B1 (ko)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63419B1 (ko)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기능성 횡단보도
EP2148957A1 (en) Manufactured-items making device for pedestrian crossings and all kinds of street furniture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JP3713527B2 (ja) 車両の走行速度抑制用舗装体
KR100786781B1 (ko)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KR200413525Y1 (ko) 도로 포장재
KR101406295B1 (ko) 경계석
CN211772993U (zh) 石质人行横道线
KR100562746B1 (ko) 폐유리를 이용한 포장 방법
US20050238426A1 (en) Inlaid paving unit
CN216006476U (zh) 用于解决检查井与路缘石冲突的铺装盖板及其路缘构造
KR100741410B1 (ko) 흡수성 포장층의 시공방법
KR100376424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102206774B1 (ko) 매설형 신호등이 구비된 험프형 횡단보도
CN111302716A (zh) 一种彩色混凝土设计方法
WO2009146754A1 (en) Signaling device and relative method of production
KR200308513Y1 (ko) 측구와 경계석 일체형 프리캐스트 블록
KR19980020872A (ko) 맨홀의 인상 및 보수용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