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781B1 -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781B1
KR100786781B1 KR1020070041516A KR20070041516A KR100786781B1 KR 100786781 B1 KR100786781 B1 KR 100786781B1 KR 1020070041516 A KR1020070041516 A KR 1020070041516A KR 20070041516 A KR20070041516 A KR 20070041516A KR 100786781 B1 KR100786781 B1 KR 10078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weight
parts
concre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환
허명선
안세천
박윤용
유정원
서곤성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주) 서호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주) 서호건업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07004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베이스부와 연장부로 구성되고, 그 연장부가 베이스부의 일측에 높이가 다르게 단차지도록 연장 형성된 것이며, 베이스부와 연장부의 모서리 부위가 완만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일측 하부에서 측구 콘크리트층으로 경사지게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구 콘크리트층과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층없이 거푸집 하나로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통해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성이 대폭 향상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 베이스부의 일측에 측구 콘크리트층의 콘크리트 매설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인 정렬작업이 간편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FUNCTIONAL SLOPPING CURB}
도 1은 일반적인 보차도 경계블록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측구 콘크리트층
100 : 경계블록 110 : 베이스부
112 : 돌기 114 : 요홈
115 : 표시부 120 : 연장부
210 : 기층부 212 : 모래
214 : 석분 216 : 시멘트
218 : 골재 220 : 표층부
222 : 생석회가루 226 : 안료
228 : 방수용 혼화제
본 발명은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와 연결되는 측구 콘크리트층과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결합과정에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해 인도와 차도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그 경계선상에 보차도 경계블록이 설치된다.
종래 도로용 경계블록은 사각형 단면구조를 갖는 육면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보도에 설치되는 경우에 보도 경계블록이라 하고, 보차도에 연접하여 설치될 경우 보차도 경계블록이라 지칭한다.
여기서는 보차도 경계블록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보도 경계블록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그 도로용 경계블록은 그 소재 및 가공방식에 따라, 천연 화강 경계석과 일반콘크리트 경계석 및 인조 화강 경계석등으로 구분된다.
그중 천연 화강 경계석은 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가격이 비싸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계석은 '도로설계편람 제 3편 기하구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속도가 80km 이상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버티컬 형태가 아니라 경사진 연석 형태가 바람직하나, 화강 경계석일 경우에는 제작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인조 화강 경계석의 경우에는 대리석 조각과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경계석을 제조하고, 그 표면을 물과 연마기를 이용하여 연삭하여 제조하는 방식의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일반콘크리트 경계석보다는 외관 품질이 우수하지만 천연 화강 경계석보다는 다소 떨어지며, 또 연마 가공작업에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중에서 콘크리트 경계석은 색상 및 질감등의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과 적용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가 다른 제품들보다 우수하므로 공공사업등에 적합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콘크리트 경계석(이하에서는, 경계블록이라 칭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기초 바닥에 거푸집(3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크리트층(40)을 형성하고, 그 타설된 기초 콘크리트층(40)의 상측에 경계블록(10)을 안착시켜, 경계블록(10)의 하부를 기초 콘크리트층(40)과 일체화시킨 후에, 도로와의 연결부위에 거푸집(30)을 형성시킨 후에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 콘 크리트층(40)과 일체화되는 측구 콘크리트층(20)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초 콘크리트층(40)과 측구 콘크리트층(20)을 형성하기 위해 최소한 두번 이상의 거푸집(30) 제작 및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거쳐야만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기존 보차도 경계블록은 기초 콘크리트층과 접촉되어 일체화되는 부위가 경계블록의 하부 부위에만 한정될 뿐만 아니라, 그 경계블록의 구조 특성상 직선 벽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기초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결합력이 다소 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경계블록은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그 자체 하중에 의해 하측의 기초 콘크리트층으로 침식될 우려가 있으므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계블록의 상부면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정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경계블록은 취성이 크기 때문에 직각 형태로 구성된 모서리 부분, 특히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충격 전달이 용이한 내측 모서리부위가 쉽게 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차도 경계블록의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측구 콘크리트층과의 결합 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구 콘크리트층과의 결합시 높낮이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지면의 내부로 매설될 부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면이 도로와 연결된 측구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구 콘크리트층과 같이 매설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부는 일측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부와 연장부는 각각 기층부와 상기 기층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표층부로 구분되며,
상기 기층부는 모래 100중량부에 대해서 석분 80~120 중량부, 시멘트 30~70중량부, 골재 30~70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표층부가 생석회 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15~40 중량부, 안료 1.0~5.0중량부, 방수용 혼화제 0.001~0.05중량부가 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요철 형태의 요홈과 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요홈과 돌기가 상호 요철 결합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구 콘크리트층의 매설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베이스부(110)와 연장부(120)로 구성되고, 그 연장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일측 하부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것이며, 베이스부(110)와 연장부(120)의 모서리 부위가 완만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베이스부(110)는 상부면이 측구 콘크리트층(20)의 상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돌기(112)와 요홈(114)이 형성되어 다른 보차도 경계블록(100)의 측면들끼리 요철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 돌기(112)와 요홈(114)은 베이스부(110)의 양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조립상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나, 중간부위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베이스부(110)와 연장부(120)는 각각 기층부(210)와, 그 기층부(2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표층부(220)로 구분되며, 기층부(210)는 모래(212) 100중량부에 대해서 석분(214) 80~120 중량부, 시멘트(216) 30~70중량부, 골재(218) 30~70중량부가 포함되고, 표층부(220)가 생석회 가루(222) 1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216) 15~40 중량부, 안료(226) 1.0~5.0중량부, 방수용 혼화제(228) 0.001~0.05중량부가 배합되어 구성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보차도 경계블록(100)은 그 구성을 모래(212) 600kg, 석분(214) 600kg, 굵은 골재(218)(통상적인 의미로 일정 입도 즉, 5mm체에 걸러서 중량비 85프로이상 남을 정도의 콘크리트용 골재)300kg, 시멘트(216) 300kg를 배합하여 믹서기에 넣고 물을 투입하여 혼합한 후에 성형 몰드에 넣어서 진동 가압 성형하여 기층부(210)를 형성한 후에, 이어서 생석회 가루(222) 300kg, 백시멘트(216) 60kg, 색소를 부여할 수 있는 안료(226) 6kg, 방수용 혼화제(228) (백시멘트의 0.1%)0.06kg를 믹서기에 넣고 물을 혼합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 몰드내에 투입하여 기층부(210)의 표면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다시 진동 가압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 안료는 주행중 시선 유도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물의 양은 습식 또는 건식 제조방식에 따라 함유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굳이 언급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습식이나 건식 제조방식에 통용되는 양을 가질 수 있다.
그 방수용 혼화제(228)는 표층부(220)의 표면에 미세한 막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겨울철 제설용 염화칼슘(CaCl₂)의 투입을 차단시켜 염해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 생석회 가루(222)는 탄산칼슘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산성비의 주오염물질 인 황산화물이나 차량배기가스의 주성분인 질소산화물(Nox)와 반응하여 중화작용을 갖는 것으로, 일 예로 백운석 가루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연장부(120)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으로 측구 콘크리트층(20)의 매설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5)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표시부(115)는 다른 부위와 다르게 베이스부(110)와 연장부(120)의 사이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횡방향 기준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또, 그 표시부(115)는 횡방향으로 양각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요홈진 음각 형태의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 표시부(115)는 표면에 도료를 이용하여 띠형태로 칠하거나, 별도의 색소를 함유시켜 띠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100)은, 인도와 도로 아스팔트층(50)사이의 경계부위에 위치하는 기초 바닥면의 상측에 보차도 경계블록(100)을 안착시킨 후에, 그 보차도 경계블록(100)의 전면과 도로 아스팔트층(50) 사이의 경계부위에 측구 콘크리트층(20)을 형성시키도록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보차도 경계블록(100)과 측구 콘크리트층(20)이 일체화되도록 한다.
이때, 측구 콘크리트층(20)의 상부 표면은 보차도 경계블록(100)의 표시부(115)가 표시된 높이까지 위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연장부(120)가 측구 콘크리트층(20)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장부(120)의 상측에 위치한 측구 콘크리트층(20)이 위치하게 되면서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으로 측구 콘크리트층(20)과 보차도 경계블록(100)이 일체화되어 시공이 간편해지게 된다.
또한, 각 보차도 경계블록(100)은 그 시공과정중에 측면 부위에 각각 형성된 요홈(114)과 돌기(112)가 상호 맞물리게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외부 충격력이 전달되더라도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베이스부(110)의 표시부(115)를 기준으로 측구 콘크리트층(20)의 매설 높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높낮이 조절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되고 각 경계블록(100)들의 연결작업시 동일한 높이로 정렬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베이스부(110)와 연장부(120)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속도가 80km 이상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그 베이스부(110)의 내측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바퀴가 부딪히더라도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도로에 차량이 정차된 후에 자동차 도어가 보차도 경계블록(100)에 부딪히거나 사람이 보도측으로 넘어갈 때 걸리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기초 바닥면에 모래층(60)을 형성시키는 공정은 경계블록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생략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하면, 단지 베이스부(110)의 일측 하부로부터 형성된 연장부(120)의 각도가 수평에 가깝게 완만하게 형성되어 측구 콘크리트층(20)의 지면에 대해 깊이 매설되므로, 연장부(120)와 측구 콘크리트층(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되, 다만 표시부(115)의 형상이 단턱진 형상이 아니라, 측면에서 볼 때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표시부(115)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단턱지게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되거나 요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일측 하부에서 측구 콘크리트층으로 경사진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구 콘크리트층과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기존 시공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초 콘크리트층없이 거푸집 하나로 한 번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통해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성이 대폭 향상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경계블록이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고 베이스부의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대해 취성을 강화시킴과 아울러, 차량 바퀴의 접촉시 바퀴의 파손 정도를 약화시키고, 차량 도어의 개폐시 부딪히거나 주행중에 차량 탑승자가 인도측으로 넘어갈 때 걸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경계블록을 구성하는 기층부와 표층부중 표층부에 함유된 생석회 가루가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중화작용을 하므로 환경오염을 억제하고 경계블록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수용 혼화제가 함유되어 동절기 제설용 염화칼슘의 침투를 차단하여 염해 방지효과를 갖는 이점등이 있다.
또, 베이스부의 일측에 측구 콘크리트층의 콘크리트 매설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인 정렬작업이 간편하고 콘크리트의 매설 부위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상부면이 도로와 연결된 측구 콘크리트층(2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측구 콘크리트층(20)과 같이 매설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110)와 연장부(120)는 각각 기층부(210)와 상기 기층부(2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표층부(220)로 구분되며,
    상기 기층부(210)는 모래(212) 100중량부에 대해서 석분(214) 80~120 중량부, 시멘트(216) 30~70중량부, 골재(218) 30~70중량부가 포함되고,
    상기 표층부(220)가 생석회 가루(222) 1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216) 15~40 중량부, 안료(226) 1.0~5.0중량부, 방수용 혼화제(228) 0.001~0.05중량부가 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10)의 일측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측구 콘크리트층(20)의 매설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KR1020070041516A 2007-04-27 2007-04-27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KR10078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16A KR100786781B1 (ko) 2007-04-27 2007-04-27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16A KR100786781B1 (ko) 2007-04-27 2007-04-27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781B1 true KR100786781B1 (ko) 2007-12-18

Family

ID=3914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16A KR100786781B1 (ko) 2007-04-27 2007-04-27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865B1 (ko) * 2014-07-15 2015-01-12 흥덕산업 주식회사 동절기 제설제에 강한 자원순환형 콘크리트 보차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0705A (ko) * 2014-04-18 2015-10-28 박효진 도로경계블록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0622U (ko) * 1974-11-07 1976-05-13
JPS55118007U (ko) * 1979-02-10 1980-08-20
JPH01120504U (ko) * 1988-02-05 1989-08-15
KR900017138U (ko) * 1989-03-22 1990-10-05 이근희 경계석
KR960031588U (ko) * 1995-03-14 1996-10-24 조정연 차선경계블럭
KR20000000848U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냉장고 도어 개방기구
KR100272802B1 (ko) * 1998-09-03 2000-11-15 황익현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층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0622U (ko) * 1974-11-07 1976-05-13
JPS55118007U (ko) * 1979-02-10 1980-08-20
JPH01120504U (ko) * 1988-02-05 1989-08-15
KR900017138U (ko) * 1989-03-22 1990-10-05 이근희 경계석
KR960031588U (ko) * 1995-03-14 1996-10-24 조정연 차선경계블럭
KR20000000848U (ko) * 1998-06-17 2000-01-15 윤종용 냉장고 도어 개방기구
KR100272802B1 (ko) * 1998-09-03 2000-11-15 황익현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층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705A (ko) * 2014-04-18 2015-10-28 박효진 도로경계블록
KR101683685B1 (ko) * 2014-04-18 2016-12-07 박효진 도로경계블록
KR101480865B1 (ko) * 2014-07-15 2015-01-12 흥덕산업 주식회사 동절기 제설제에 강한 자원순환형 콘크리트 보차도블럭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781B1 (ko) 기능성 보차도 경계블록
KR20120135711A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101310333B1 (ko) 투수성 및 식별성을 갖는 분리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76341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KR200401214Y1 (ko) 도로 경계석
JPH11181707A (ja) 透水性樹脂舗装材を使用しての舗装方法とブロック製造方法。
KR100877350B1 (ko) 자연석 및 인조석을 이용한 투수성 마감층 포장재 및 마감층의 포장방법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CN208701457U (zh) 人行道砖、应用人行道砖的人行道以及工程道路
KR200413525Y1 (ko) 도로 포장재
KR101135350B1 (ko)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102258398B1 (ko) 보도경계블록.
CN211772993U (zh) 石质人行横道线
CN111302716A (zh) 一种彩色混凝土设计方法
KR20000065760A (ko) 빛 반사를 위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1135324B1 (ko) 간선도로용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20090008925A (ko) 격자망을 가지는 보도용 포장 구조체
KR101394509B1 (ko) 이중구조로 형성된 도로 경계석
KR101406295B1 (ko) 경계석
KR200191777Y1 (ko) 형광성 표식기호를 갖는 경계블록
KR100736918B1 (ko) 포도용 블록의 파손방지를 위한 블록버퍼
KR100376424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US20050238426A1 (en) Inlaid paving unit
JP2000204509A (ja) 簡易半剛性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