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539B1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2539B1 KR101252539B1 KR1020110030699A KR20110030699A KR101252539B1 KR 101252539 B1 KR101252539 B1 KR 101252539B1 KR 1020110030699 A KR1020110030699 A KR 1020110030699A KR 20110030699 A KR20110030699 A KR 20110030699A KR 101252539 B1 KR101252539 B1 KR 101252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stone
- synthetic resin
- plate
- stone
- bound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7/00—Pavement lights, i.e. translucent constructions forming part of the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원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경계석이나 자전거 전용차로용으로 사용되는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별도로 제공하는 구조가 아니라,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도록 성형품을 이루되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 보강구조를 갖도록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거프집 기능을 갖도록 만들고, 합성수지 성형품 내부로 골재와 시멘트가 적절히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킴으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이 인도와 차도를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경계석의 차도 쪽을 향하는 식별면이 노란색 바탕면을 갖는 합성수지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야간 통행할 때 차량의 라이트 불빛을 받을 때 야광 반사면을 나타내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기능표시부 위치나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상판 내측으로 오목공간부를 형성하여 LED나 점멸전구 발광체를 내장시켜 식별기능을 높여주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이 인도와 차도를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경계석의 차도 쪽을 향하는 식별면이 노란색 바탕면을 갖는 합성수지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야간 통행할 때 차량의 라이트 불빛을 받을 때 야광 반사면을 나타내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기능표시부 위치나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상판 내측으로 오목공간부를 형성하여 LED나 점멸전구 발광체를 내장시켜 식별기능을 높여주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인도와 차도 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로경계석으로 사용되는 화강암석은 자연환경을 훼손하며 석산을 개발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국내에서 산출되는 화강암석은 거의 고갈되었고 현재 사용되는 화강암석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여 연간 약 3억 달러 규모로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의 화강석은 단순히 하중이 무거워서 쉽게 움직이지 않는 축대개념 블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주의·경계 식별 기능과 운전자와 보행자를 동시에 보호하며 도시 미관을 밝게 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측면에서 부족한 측면이 있다.
현대사회는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꾸며주고 인간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해 도시 공공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바 도심의 보도블록, 벽돌 하나에도 신경을 써서 자연과의 조화를 도모하며 설치해야하고 관리함으로 도시인들에게 안식과 평안함을 주는 배려가 필요하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은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거프집 형태로 만들어 제공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 배합물을 주입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한 도로경계석 성형품을 이루고자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차도 쪽을 향하는 경계석 측면은 노란색 바탕을, 경계석 상부면은 초록색 등으로 표시되는 경계석으로 제공되거나, 야간에는 차량의 라이트에 의해 야광 반사면을 이루는 형광물질을 합성수지 원료물에 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경계석을 제공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 양측 모두에 주의·경계 식별기능을 높여주며 도시미관을 밝게 조성할 수 있는 경계석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시작된 발명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도와 차도 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 같은 자연석을 가공하여 제작되는 도로경계석을 콘크리트구조물 상부로 재치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고 있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는바, 그 실시형태를 도 1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터파기와 지반다짐 공사를 한 후 L형 측구(30)를 이루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위치에 거프집(20a, 20b, 20c)을 만들어 먼저 고정하고, 도로경계석(10)이 재치될 부위에 먼저 1차 콘크리트(30a)를 타설 후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탈수와 굳기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재 성형하여 도로경계석(10)을 재치/설치하고, 1차 콘크리트(30a)의 전방에 2차 콘크리트(30b)를 타설하며, 1차 콘크리트(30a)의 후방에 3차 콘크리트(30c)를 타설하고 상부 거프집(20d, 20e)을 사용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L형 측구(30)가 완성되고, L형 측구(30) 상부에 도로경계석(10)이 재치/설치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왔다.
상기 공법은 하절기에는 포설된 1차 콘크리트(30a)가 도로경계석 설치 전에 양생되는 경우 도로경계석(10)이 정 위치를 잡도록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 동절기에는 1차 콘크리트(30a)의 탈수 및 양생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로경계석(10)을 설치한 후에 도로경계석(10) 후면에 3차 콘크리트(30c)를 타설하여 뒷 채움을 하는 것은 기 포설되어 탈수되었거나 어느 정도 굳은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됨으로 시공이 조잡해지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업공정에 의해 완성된 L형 측구(30) 상부에 안치된 도로경계석(10)은 예를 들어 주변 도로변에 심긴 가로수의 뿌리가 자라면서 차도 쪽으로 측압이 발생하여 전면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들고 통행인이 반속적으로 통행하며 지속적으로 경계석을 압박하기 때문에 도로경계석(10)은 설치 후 3~4년이 지난 것은 거의 차도 쪽으로 경사면을 이루며 기울어져 있으면서 먼지 등이 쌓여서 흉물스러운 모습으로 변형되어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원은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의 외형을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노란색, 그린색 등으로 운전자나 통행자가 경계석을 쉽게 구분하여 안전식별 기능과 사고예방 기능을 충족하고 시각적으로 도시를 밝게 하고 자연환경을 훼손하여 제공되는 자연석의 수입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경계석이나 자전거 전용차로용으로 사용되는 경계석을 얻되 종래와 같이 L 형 측구와 화강석(경계석)을 별도로 구성하여 합성하는 구조가 아니라,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내부에 격자형 보강구조를 갖도록 거프집 형태를 이루고, 그 내부에 골재와 시멘트가 적절히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킴으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을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원은 경계석의 외연 식별기능을 갖는 부분이 합성수지로 감싸지는 구조로 제공되어 예를 들면 합성수지 원료배합시 안료나 형광재를 배합시켜 원하는 색상을 표현하거나 야광 반사면을 이루는 형광물질을 합성수지 원료물에 배합시키거나 투명수지를 사용하고 내부에 발광체를 내장시켜 방향표시나 조명기능을 갖도록 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 양측 모두에 주의.식별 기능을 높여주며 도시미관을 밝게 조성할 수 있는 경계석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본원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 경계석이나 자전거 전용차로용으로 사용되는 경계석을 종래와 같이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별도로 제공하는 구조가 아니라,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도록 성형품을 이루되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 보강구조를 갖도록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거프집 기능을 갖도록 만들고, 합성수지 성형품 내부로 골재와 시멘트가 적절히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킴으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경계석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이 인도와 차도를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경계석의 차도 쪽을 향하는 식별면이 노란색 바탕면을 갖는 합성수지면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야간 통행할 때 차량의 라이트 불빛을 받을 때 야광 반사면을 나타내도록 합성수지 원료 배합과정에서 형광원료나 발광제가 추가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계석의 제조방법으로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재생 수지나 폐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품의 몸체 내, 외부로 다수개의 격벽 보강구조를 이루어서 내압성을 높이는 구조로 압착성형품을 얻고, 상기 압착성형품 내부에 골재와 시멘트가 적절히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는 경계석을 얻을 수 있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착성형품으로 거프집을 이루는 단계에서 L 형 측구부와 경계석 사이에 배수로를 이루기 위해 V자 홈이나 자 형상의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압착성형품이 수평구조의 L 형 측구부와 수직구조의 경계석 사이에 원형파이프의 1/2~1/3 정도 깊이로 눌려지며 배수로를 형성하도록 제공되어 최종 경계석 제품에서 수평구조의 L 형 측구부가 수직구조의 경계석 쪽으로 1~3°범위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수로에 물이 모이고 배수로의 물은 일측으로 구배를 따라 흐르도록 제공되어 L 형 측구부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배제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의 경계석을 수용하는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의 바닥부에는 지표면 조절 레버가 부착되어 도로경계석의 구배를 조절하는 구성이 추가되어 현장작업의 원활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적용양태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인바, 합성수지 신재 원료는 값이 고가이므로 거프집 기능을 갖고 외부로 표출되지 않는 부분은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적용하는 차원에서 폐 플라스틱 원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로경계석의 차도 쪽을 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기능표시부나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상판 등은 기능식별부로 제공되어 노란색이나 초록색 등의 밝은 색상을 나타내도록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으로, 기능식별부는 단순히 신재 합성수지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글씨나 문양을 디자인한 UV차단필름류나 섬유, 제지, 아크릴, 부직포 등에 UV잉크로 출력한 프린트물을 붙이고 에폭시수지 등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단 등이 적용되어 도시를 밝고 아름답게 조화(amenity)를 형성하는 디자인 경계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능식별부에 LED나 점멸전구 등의 발광체를 내장시켜 방향표시나 조명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바, 본원에서 거프집용으로 제공되는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의 기능표시부 위치나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상판 내측으로 오목부를 형성하여 LED 를 내장하고 투명수지를 씌워주는 수단으로 적용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 양측 모두에 주의.경계 식별기능을 높여주며 도시미관을 밝게 조성할 수 있는 경계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기타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적용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란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은 종래의 도로경계석이 천연 자원인 화강암 석재를 수입하여 외화를 낭비하며 사용해야 하는 현실이고 종래의 석재나 콘크리트제가 회색도시를 형성하여 사람의 마음까지도 어둡게 하였다면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계석은 플라스틱의 우수한 물성을 살리고 안료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그린의 초록색이나 블루의 하늘색이나 엘로의 노란색 등으로 밝은 색을 부여하여 도시미관을 도모하여 밝고 깨끗하고 활기찬 도시환경을 제공하는 효과와 폐 플라스틱 자원을 유효하게 리사이클 시켜 합성수지 성형품을 거프집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는 2중, 3중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계석은 종래의 석재가 딱딱한 강도, 충격흡수성이 거의 없는 소재이므로 차량이나 사람이 부딪치는 경우 차량의 손상뿐 만 아니라 보행자가 신체에 큰 손상을 입는 경우에 비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충격흡수성으로 인하여 그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고, 특히 조심성이 부족한 어린이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사람들이 경계석과 충돌하는 경우에도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종래에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설치하는 시공양태 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일체로 형성하는 시공양태 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설치양태 예시도.
도 4 :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의 또 다른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일체로 형성하는 시공양태 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설치양태 예시도.
도 4 :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의 또 다른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또한 본원 출원서의 도면을 통하여 제시되는 적용양태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구현예를 제시한 구성에 불과한 것이고, 본원의 청구범위 권리가 도면에 의해 제한받지 않고 본원에서 제시되는 기술사상에 균등적으로 폭 넓게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계석이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거프집 형상을 만들고 그 내부로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져서 양생시킴으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경계석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계별 작업공정을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도 2a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거프집 형태를 이루기 위해 전면판(41), 기능표시부인 중간판(42), 후면판(43)과 양 측부로 측면판(44)을 갖고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지는 L 형 측구의 전면주입부(51)와 경계석 형성주입부(52)를 형성한 구조로 도 2a와 같은 형상으로 폐 수지를 용융시켜 압착성형품(40)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압착성형품(40) 내부로는 먼저 L 형 측구의 전면주입부(51)를 통하여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지고 상부거프집(54)이 덮여진 후 경계석 형성주입부(52)를 통하여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져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압착성형품(40) 내부에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지고 일정 형상을 이루며 양생 될 때까지 충분한 내압성을 확보하도록 보강구조를 이루기 위해 압착성형품(40) 내부로 다수개의 가로보강축(46) 및 세로보강축(47)이 서로 교차되면서 격자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압착성형품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도 2b는 도 2a의 도면에서는 중간판(42) 및 측면판(44)이 감싸고 있어서 경계석 형성부의 내부 가로보강축(46) 및 세로보강축(47)이 보이지 않으므로 중심부를 절단하여 측면판(44)가 생략된 상태에서 내부의 가로보강축(46) 및 세로보강축(47)의 배열상태를 나타내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는 상기 도 2b 상태의 압착성형품(40)에 콘크리트 배합물(50)이 부어지는 작업상태를 L 형 측구의 전면 주입부(51)와 경계석 형성 주입부(52)로 작업상태를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c에서는 먼저 전면판(41)과 중간판(42) 사이에서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지면서 L 형 측구의 전면 주입부(51)를 채울 때 압착성형품(40)의 양 측면판(44)이 수직구조의 경계석 쪽, 즉 배수로(44a) 쪽으로 1~3°범위로 하향 경사를 이루다가 경계석을 만나는 부위에서 배수로(44a)를 형성하기 위한 반원봉(53)이 마련되어 오목홈을 형성하고자 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나 이는 V자 홈이나 U자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는 다른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d는 상기 도 2c 공정에서 L 형 측구의 전면 주입부(51) 채움 작업이 압착성형품(40)의 양 측면판(44)이 수직구조의 경계석 쪽, 즉 배수로(44a) 쪽으로 1~3°범위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배수로(44a)를 형성하는 공정이 완료된 후 상부거프집(54)을 이용하여 전면판(41)과 중간판(42) 사이에서 양 측면판(44)을 감싸서 경계석 형성 주입부(52)에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질 때 내용물이 돌출되지 않도록 감싸주는 구조로 적용되어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지는 작업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거프집(54)을 고정시키기 위해 부수적 필요장비가 사용되는 것이나 이는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는다.
도 2e는 상기 도 2d의 작업공정이 완료되고 어느 정도 콘크리트 배합물이 양생이 된 후 도 2d 공정에서 사용한 상부거프집(54) 및 반원봉(53)을 제거하고 종래에 폐 수지 성형품으로 제공되었던 중간판(42) 외측으로 신제 합성수지로 제공되는 기능식별부(48)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기능식별부(48)는 경계석의 차도 쪽을 향하는 측면으로 노란색 바탕을 갖도록 제공되어 운전자에세 도로경계석을 분명하게 식별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거나, 도로경계석의 상부에 위치하는 후면상판(45)은 도 2d의 공정에서 경계석 형성 주입부(52)에 콘크리트 배합물이 부어지는 공간부로 형성되어 있다가 마감공정에서는 초록색이나 보도블록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상을 갖는 후면상판(45)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기능식별부(48) 및 후면상판(45)으로 제공되는 신재수지를 배합할 때 형광물질이 포함되도록 배합되어 야간에 차량의 라이트나 조명 불빛에 의해 반사면을 갖도록 제공됨으로 야간 식별력을 높여주는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능식별부(48)나 후면상판(45)이 압착성형품(40)에 부착되는 구성은 간극을 마련하여 끼움구조가 마련되어 적용되거나 단순히 부분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압착성형품(40)의 내부구조 및 현장 설치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본원 기술사상의 일 실시양태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의 현장 설치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를 통하여 본원의 압착성형품(40)에 격자형 구조로 가로보강축(46) 및 세로보강축(47)을 갖고 압착성형품(40)의 전면판(41)은 차도포장물과 접하게 되며 압착성형품(40)의 중간판(42) 외부로 기능식별부(48)가 부착되어 식별기능을 강화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바, 중간판(42) 외부로 부착되는 기능식별부(48)는 노란색이나 초록색 등의 특정색상을 나타내는 밝은 바탕면의 수지판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순히 합성수지판만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글씨나 문양을 디자인한 UV차단 필름류나 섬유, 제지, 아크릴, 부직포 등에 UV잉크로 출력한 프린트물을 붙이고 에폭시수지 등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단 등이 적용되어 도시를 밝고 아름답게 조화(amenity)효과를 높이는 디자인 경계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를 통하여서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이 종래에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분리되어 두 개를 하나로 묶기 위해 여러 작업공정이 필요하였으나 본원에서와 같이 하나의 몸체를 이룬 형태로 제공되고, 도로경계석의 외형을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노란색, 그린색 등으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거나 UV차단 필름류나 다양한 형성의 프린트물을 붙이고 에폭시수지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단 등으로 운전자나 통행자가 경계석을 쉽게 구분하여 안전식별 기능과 사고예방 기능을 충족하고 시각적으로 도시를 밝게 하는 도로경계석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도로경계석을 수용하는 합성수지 압착성형품(40)의 바닥면 후박부(40a)에는 암나사홈(40b)을 갖고 나사홈(40b)에는 지표면 조절레버(56)의 축에 숫나사부(55)가 형성되어 끼워 부착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도로경계석의 높,낮이 구배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의 변형구조로서 거프집 용도의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을 얻는 단계에서 중간판(42) 위치에 오목공간부1(57)을 마련하고 오목공간부1(57)에 LED나 점멸전구 발광체를 내장하는 실시양태로 적용되거나 또는 후면상판(45)을 만들 때 내측으로 오목공간부2(58)를 형성하여 오목공간부2(58)에 LED나 점멸전구 발광체를 내장하는 구성으로 제공되고 발광체가 (+, -)전원과 연결되어 야간에 발광되도록 하여 식별기능을 높여주는 수단이 추가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또한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중간판(42)이 90°각도로 직립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4에서는 시각적 미감을 도모하고 운전자의 시야 식별력을 높여 주기 위하여 약 3~6°각도로 후면상판(45) 쪽으로 경사각을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표면이 민판으로 제공되는 것보다 올록볼록 돌기부를 형성할 때 더욱 시야 식별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변형구조로서, 중간판(42) 외측으로 노란색이나 초록색 바탕의 기능식별부(48)가 부착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타 본원의 설명에서 도로경계석을 얻기까지의 과정을 도 2a 내지 도 2f의 공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 즉,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도록 성형품을 이루되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 보강구조를 갖도록 합성수지 성형품을 만들어 거프집 형태로 이용하고, 합성수지 성형품 내부로 골재와 시멘트가 적절히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킴으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어 제공되는 기술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f의 공정에서는 전면판(41), 중간판(42), 후면판(43)과 양 측부로 측면판(44) 및 후면상판(45)을 갖는 구성의 압착성형품(40)을 예시하여 설명하면서 콘크리트 배합물(50)을 주입하는 작업상태를 L 형 측구의 전면부(51)와 경계석 형성부(52) 작업상태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량으로 본원의 도로경계석을 제공할 때는 압착성형품(40')의 전면판(41), 기능표시부인 중간판(42), 후면판(43) 및 후면상판(45)과 상부거프집(54) 부분까지 모두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으로 밀봉구조를 이루고 양 측부에 마련되는 측면판(44)의 한쪽 측면만을 개구시키는 구조를 갖도록 압착성형품을 이루고 다수개의 압착성형품(40')을 동시에 수용하는 진동장치가 부착된 프레임 내부에 세워서 개구 측면부가 상부를 향하게 하고 프레임의 반대편 측면판(44) 저부에서는 진동장치가 진동을 주며 흔들어주는 구성으로 배치하여 측면판(44)의 한쪽 개구부에서 콘크리트물을 부어주면서 진동판에 진동을 주는 수단이 적용되는 경우 콘크리트물 쏠림 현상을 배제하며 많은 물량의 도로경계석을 양산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일측의 측면판에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타측의 측면판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현장에 설치할 때 오목부에 볼록부가 내삽되며 암수결합구조를 갖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등은 현장조건에 따라서 얼마든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구태어 설명이 필요없다 할 것이며, 또한 본원의 폐합성수지로 제공되는 압착성형품(40, 40')은 완전 밀폐되어 수밀구조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공기가 통하여 콘크리트가 양생 될 수 있도록 중간 중간에 다공구조를 갖는 압착성형품으로 제공됨은 당연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다 할 것이다.
또한 폐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여 압축성형품을 얻는 수단은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제0491480호 등에서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의 도로경계석을 얻기 위하여 상기의 도 2e 설명에서는 종래에 폐 수지 성형품으로 제공되었던 된 기능표시부인 중간판(42) 외측으로 기능식별부(48)가 부착되는 구성의 적용예로 설명하였으나, 기능식별부(48)는 단순히 신재 합성수지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필요한 글씨나 문양을 디자인한 UV차단 필름류나 섬유, 유리섬유, 제지, 아크릴, 부직포 등에 UV잉크로 출력한 프린트물을 붙이고 에폭시수지 등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아름다운 그림이나 문양이 새겨진 디자인 경계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40 : 압착성형품 41 : 전면판
42 : 중간판(기능표시부) 43 : 후면판
44 : 측면판 45 : 후면상판
46 : 가로보강축 47 : 세로보강축
48 : 기능식별부 49 : 보도블록
50 : 콘크리트 배합물 51 : L 형 측구의 전면 주입부
52 : 경계석 형성 주입부 53 : 반원봉
54 : 상부거프집 55 : 조절레버 축 숫나사부
56 : 지표면 조절레버 57 : 오목공간부 1
58 : 오목공간부 2 100 :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계석
42 : 중간판(기능표시부) 43 : 후면판
44 : 측면판 45 : 후면상판
46 : 가로보강축 47 : 세로보강축
48 : 기능식별부 49 : 보도블록
50 : 콘크리트 배합물 51 : L 형 측구의 전면 주입부
52 : 경계석 형성 주입부 53 : 반원봉
54 : 상부거프집 55 : 조절레버 축 숫나사부
56 : 지표면 조절레버 57 : 오목공간부 1
58 : 오목공간부 2 100 : 본원에서 제공되는 경계석
Claims (7)
-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하나의 몸체로 성형하여 도로경계석이나 자전거 전용차로경계석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경계석에 있어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하나의 몸체로 성형하기 위해 압착성형품으로 전면판(41), 중간판(42), 후면판(43)과 양 측부로 측면판(44) 및 후면상판(45)을 갖는 구조로 폐 수지를 이용하여 압착성형품을 만들어 거프집 형태를 이루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가로보강축(46) 및 세로보강축(47)을 배열시킨 후 압착성형품의 내부로 골재와 시멘트가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킴으로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시켜 경계석을 만들면서 차도 쪽에서 경계석 쪽으로 1~3°범위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L 형 측구와 경계석 사이에 V자 홈이나 ∪자 형상의 오목홈으로 배수로를 형성하고, 중간판(42)이나 후면상판(45)은 기능식별부로 제공되어 특정색상이나 야광 반사면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의 압착성형품을 얻는 단계에서 중간판(42)이나 후면상판(45) 위치에 오목공간부(57,58)을 마련하고 오목공간부(57,58)에 LED나 점멸전구 발광체를 내장시켜 야간에 주의.경계 식별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을 수용하는 합성수지 압착성형품의 바닥부에 지표면 조절 레버가 부착되어 경계석의 구배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이나 자전거 전용차로용으로 사용되는 경계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을 하나의 몸체로 성형하기 위해 압착성형품으로 전면판(41), 중간판(42), 후면판(43)과 양 측부로 측면판(44) 및 후면상판(45)을 갖는 구조로 압착성형품을 만들어 거프집 형태를 이루고 그 내부에 다수개의 가로보강축(46) 및 세로보강축(47)을 배열하는 단계;
상기 압착성형품 내부에 골재와 시멘트가 배합된 콘크리트물을 부어서 양생시키면서 차도 쪽에서 경계석 쪽으로 1~3°범위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L 형 측구와 경계석 사이에 V자 홈이나 ∪자 형상의 오목홈으로 배수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착성형품의 중간판(42)이나 후면상판(45) 위치에 오목공간부(57,58)을 마련하고 오목공간부(57,58)에 LED나 점멸전구 발광체를 내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L 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성형되고 야간에 주의.경계 식별기능을 높인 경계석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699A KR101252539B1 (ko) | 2011-04-04 | 2011-04-04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0699A KR101252539B1 (ko) | 2011-04-04 | 2011-04-04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3031A KR20120113031A (ko) | 2012-10-12 |
KR101252539B1 true KR101252539B1 (ko) | 2013-04-08 |
Family
ID=4728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0699A KR101252539B1 (ko) | 2011-04-04 | 2011-04-04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25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0652B1 (ko) * | 2018-07-11 | 2019-04-19 | (주)플러버 | 탄성 롤시트 접합을 위한 바닥면의 보정방법 |
KR101967225B1 (ko) * | 2018-12-27 | 2019-04-09 | (주)에스씨알 | 고무냄새 없는 어린이 놀이시설용 무독성 폴리우레아 바닥재 시공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329B1 (ko) * | 2004-05-12 | 2005-03-14 | 주식회사 오륙개발 | 기능성 경계석을 가지는 엘형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
KR200416773Y1 (ko) * | 2006-02-22 | 2006-05-22 | 최동선 |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
KR200416774Y1 (ko) * | 2006-02-22 | 2006-05-22 | 최동선 |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
-
2011
- 2011-04-04 KR KR1020110030699A patent/KR1012525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5329B1 (ko) * | 2004-05-12 | 2005-03-14 | 주식회사 오륙개발 | 기능성 경계석을 가지는 엘형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
KR200416773Y1 (ko) * | 2006-02-22 | 2006-05-22 | 최동선 |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 경계석 |
KR200416774Y1 (ko) * | 2006-02-22 | 2006-05-22 | 최동선 |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동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경계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3031A (ko) | 2012-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039752A1 (en) | Detectable warning-dots demarkation for pedestrian safety | |
KR101252539B1 (ko) | 엘자형 측구와 경계석이 일체로 제공되는 도로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 |
US20130260075A1 (en) | Method for Producing Molded Elements Comprising Photoluminescent and/or Night Luminous Particles, a Molded Element and Composite Plate Made of a Plurality of Molded Elements | |
CN113638285A (zh) | 一种基于固弃物的自发光路缘石及其制备方法 | |
KR10076341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 |
KR101357990B1 (ko) | 석재 칼라 톤 경계석 | |
KR102272793B1 (ko)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 |
RU99787U1 (ru) |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й с подсветкой | |
CN211897677U (zh) | 一种嵌挤式建筑垃圾路缘石 | |
KR100898873B1 (ko) | 도로구획용 조명 시설물과 그 제조방법 | |
RU98014U1 (ru) | Изделие для дорожной разметки | |
KR100616916B1 (ko) | 실체 수목 투명 몰드 야광 조경 경관 베이스 커버 및 그제조방법 | |
KR20100102343A (ko) | 도로용 경계석 | |
CN110258376A (zh) | 一种承载式混凝土地面的显示装置 | |
JP2008215061A (ja) | 路面構造体 | |
CN2869116Y (zh) | 一种金属塑料混凝土多功能路边石 | |
KR102691974B1 (ko) | 다양한 칼라로 도로의 용도를 구분하는 매립경계석 | |
JP2011094371A (ja) | 蓄光標識ライン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217740B1 (ko) | 상부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빛 반사가 가능한 도로블록 | |
CN101274447A (zh) | 彩色混凝土侧石专用塑料组合模具 | |
CN215925499U (zh) | 一种带功能标识的砂基路缘石 | |
KR101848834B1 (ko) | 빛 반사 블록의 제조 방법 | |
KR200255629Y1 (ko) | 바닥 표지판 | |
RU173435U1 (ru) | Бордюр дорожно-тротуарный | |
KR200423505Y1 (ko) | 합성수지 재활용 반사 보/차도 경계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