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087Y1 - 보도블록 - Google Patents

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87Y1
KR200399087Y1 KR20-2005-0021373U KR20050021373U KR200399087Y1 KR 200399087 Y1 KR200399087 Y1 KR 200399087Y1 KR 20050021373 U KR20050021373 U KR 20050021373U KR 200399087 Y1 KR200399087 Y1 KR 200399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lock
aggregate
polymer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일 filed Critical 김대일
Priority to KR20-2005-0021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8Elements representing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안내 또는 공중이용시설 안내를 위해 다양한 색상과 문양으로 표현되는 다각형의 단위블록을 가지는 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보도블록은, 시멘트, 백화억제재, 혼화제, 물 및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골재가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몸체기층; 및 상기 블록몸체기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접착되며 골재, 무기안료, 백화억제재, 혼화제, 물 및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분자 몰탈이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두께로 몰드에 주입되어 형성되며 표면에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직 및 수평홈들에 의해 서로 다른 색상과 다양한 문양이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단위블록들이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고 구획되어져 형성된 블록색상표층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각형의 단위블록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보도블록을 바닥에 시공해 줌으로써, 주변경관과의 미적 조화는 물론 보행자의 시각적 인지성이 뛰어나고, 또한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현장에서 수직 및 수평홈을 이용, 서로 다른 면적의 단위블록별로 절단하여 맞춤작업을 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보도블록{THE SIDE WALK BLOCK}
본 고안은 예컨대, 일반도로 또는 운치와 자연미가 요구되는 아파트나 공원 등의 광장 및 보행로 등에 설치되어 보행의 편익을 제공하는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보도블록에 다양한 칼라와 도(道), 시(市), 구(區)를 나타내는 심볼 또는 도로안내표지 또는 공중이용시설 안내를 위한 다양한 문양과 명칭 등을 형성하여, 주변경관과의 미적 조화와 함께 보행자의 시각적 인지성을 향상시켜 행선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또 보도블록의 표면을 고분자 처리하여 선명한 칼라와 문양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보행자의 편익성과 보행의 안전은 몰론 도심의 깨끗한 환경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반도로 또는 아파트, 공원 등의 광장이나 보행로의 바닥 등에 다양한 모양과 칼라를 가지고 맞춤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시설물 중의 하나로서, 상기 보도블록은 가로수의 식수와 수분배출, 지하의 매설물 설치 및 교체 등을 고려하여 수시로 보도를 해체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형성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보도블록은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과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심미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보도블록에 있어서는 모래와 시멘트 및 안료의 혼합으로 제조한 시멘트 블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시멘트 블록은 블록성형틀에 시멘트, 모래 및 물을 혼합한 시멘트 혼합물을 투입하고, 그 상부에 시멘트 안료를 첨가 혼합시킨 칼라 규사를 투입한 후 프레스로 진동 압착시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직육면체 형상의 시멘트 블록은 제작비가 저렴하고 내구성과 표면강도가 높아 차량 등과 같은 중량체의 통행에도 파손의 우려가 적고,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도 변형 없이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반면에 시멘트 블록의 표면이 고분자 시멘트로 처리되어 있지 않아 칼라 규사에 혼합된 무기 안료가 침수나 기후 변화에 의해 악화되면서 색상이 퇴색됨은 물론 칼라 규사의 입자가 점진적으로 떨어지면서 표면이 거칠어지며 수명이 매우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블록성형틀에 시멘트 혼합물을 충진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하나의 규격화된 보도블록에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표현하는 것이 곤란하고, 이것에 의해 보도블록의 색상과 문양이 단조로워 보행자들의 시선을 끌거나 도시 전체의 미관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또는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절단이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의 절단 작업이 곤란하여 시공 또한 어렵고, 유지보수에 인력 및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보행로에 설치된 보도블록에 공중이용시설물의 심볼(예컨대 지하철, 시민공원, 공중화장실 등) 또는 인근의 각종 건물이나 소로(小路)에 대한 명칭 또는 기타의 도로안내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아 보행자가 부득이 도로 또는 보도 가장자리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각종의 도로안내 표지판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행선지를 찾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로표지판은 보행자의 시야보다 높은 관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인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하절기에는 가로수 등에 가려져 도로안내 표지판이 보이지 않아 행선지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위해 도로안내 표지판을 보행자의 시각성에 맞춰 다량으로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때에는 설치비용 및 관리 유지가 어렵고, 또 다수의 도로안내 표지판이 지상에 직립 설치되어져야 함으로 도심의 깨끗한 환경을 저해할 수가 있는 또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시설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렴한 보도블록을,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보행의 편익성과 보행자의 시각적 인지성을 향상시켜 행선지를 쉽게 찾을 있는 도로안내 표지용으로서의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규격단위의 보도블록에 다양한 칼라와 도로안내표지 또는 공중이용시설 안내를 위한 다양한 문양 및 명칭 등을 표현하여, 주변경관과의 미적 조화와 함께 보행자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행선지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보도블록은 골재, 고분자 몰탈, 무기안료, 백화억제재, 혼화제 및 물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얻어진 1차혼합몰탈을 바닥면에 다양한 문양과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획되어진 역각도 탈형이 가능한 레진몰드에 충진하여 일정 두께의 블록색상표층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색상표층에 골재, 시멘트, 백화억제재, 혼화제 및 물이 일정 비율로 배합되어 얻어진 2차혼합몰탈을 충진하여 일정 두께의 블록몸체기층을 형성한 후 양생 및 경화시켜 레진몰드로부터 탈형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도블록의 표면을 고분자 처리하여 선명한 칼라와 문양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보도블록은 상기 1차혼합몰탈의 고분자 몰탈을 내구성 증대와 색상변화 방지 및 접착력 증대를 위한 폴리머수지를 백시멘트와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또는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절단작업의 어려움 없이 현장에서 사용형태에 따라 쉽게 절단시켜 맞춤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보도블록은 절단이 용이하도록 규격화된 하나의 보도블록들을 다각형 단면형상으로 구획시켜 제조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보도블록에 의하면, 시멘트, 백화억제재, 혼화제, 물 및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골재가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몸체기층; 및 상기 블록몸체기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접착되며 골재, 무기안료, 백화억제재, 혼화제, 물 및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분자 몰탈이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두께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직 및 수평홈들에 의해 서로 다른 색상과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다각형의 단위블록들이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고 구획되어져 형성된 블록색상표층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블록색상표층의 고분자 몰탈은 백시멘트와 액상의 폴리머수지가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바닥면에 다양한 문양과 다각형의 단위블록을 갖도록 종, 횡격벽으로 구획되어진 역각도 탈형이 가능한 레진몰드에 1차혼합몰탈을 충진하여 일정 두께의 블록색상표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블록색상표층에 2차혼합몰탈을 포설하여 일정 두께의 블록몸체기층을 형성한 후 양생 및 경화시켜 줌으로써 원하는 보도블록을 얻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칼라와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보도블록을 바닥에 시공해 줌으로써, 주변경관과의 미적 조화는 물론 보행자의 시각적 인지성이 뛰어나고, 또한 고분자 몰탈로 블록색상표층을 성형함으로써, 내마모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그 블록색상표층의 선명한 칼라와 문양이 장기간 유지되고, 또한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현장에서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단위블록을 블록별로 절단하여 맞춤작업을 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도블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도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레진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레진몰드를 이용한 보도블록의 제작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a 내지 도 4c에 의해 제작된 보도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보도블록(1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재, 시멘트, 백화억제재, 접착이 용이하도록 응결작용을 하는 혼화제 및 물이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몸체기층(30)과, 블록몸체기층(30)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접착되며 골재, 내구성 증대와 색상변화 방지 및 접착력 증대를 위한 고분자 몰탈, 무기안료, 백화억제재, 접착이 용이하도록 응결작용을 하는 혼화제 및 물이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두께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직홈(11) 및 수평홈(12)들에 의해 다각형의 단위블록(20a 내지 20d)들로 구획되어져 형성된 블록색상표층(20)으로 구성되며, 이때 블록몸체기층(30)의 상기 골재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것이 사용되고, 블록색상표층(20)의 상기 고분자 몰탈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보도블록(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사각함체형의 레진몰드(100)와 이 레진몰드(100)에 충진되어 블록색상표층(20)을 형성하는 1차혼합몰탈 및 블록몸체기층(30)을 형성하는 2차혼합몰탈을 준비한다.
상기에서 규격화된 사각함체형의 레진몰드(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의 바닥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각각 횡격벽(120)과 종격벽(110)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교호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횡격벽(120)과 종격벽(110)의 직교에 의해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단위블록요홈(130a 내지 130d)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레진몰드(100)를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보도블록(10)으로부터 보다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 것이 이상적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블록몸체기층(30)을 형성하는 2차혼합몰탈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시멘트, 백화억제재, 접착이 용이하도록 응결작용을 하는 혼화제, 물 및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골재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2차혼합몰탈은, 골재 100중량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33.3중량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화억제재 0.2중량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제 0.2중량부; 및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20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 후 일정시간 동안 고르게 혼합되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전술된 2차혼합몰탈의 배합비율은 본 고안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배합비율을 일 실시 예로 들은 것이며, 상기 2차혼합몰탈의 배합비율 범위는 상기 골재 100중량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28∼38중량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화억제재 0.18∼0.22중량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제 0.18∼0.22중량부; 및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8∼22중량부로 한정된다. 이때, 상기 2차혼합몰탈의 골재는 그 골재 100중량부 중에서 입경이 13mm 이하의 골재 67중량부와 입경이 6mm이하의 골재 33중량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블록색상표층(20)을 형성하는 상기 1차혼합몰탈 역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골재, 무기안료, 백화억제재, 접착이 용이하도록 응결작용을 하는 혼화제, 물 및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이상의 고분자 몰탈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블록색상표층(20)을 형성하는 1차혼합몰탈은,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골재 273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안료 4.54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화억제재 0.54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제 0.54중량부; 및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54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시간 동안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전술된 1차혼합몰탈의 배합비율 역시 본 고안의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배합비율을 일 실시 예로 들은 것이며, 상기 1차혼합몰탈의 배합비율 범위는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골재 268∼278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안료 4∼5.5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화억제재 0.4∼0.6중량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제 0.4∼0.6중량부; 및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50∼60중량부로 한정된다. 상기 1차혼합몰탈이 상기 전술된 범위에 미달되는 비율로 제조될 경우에는 상기 1차혼합몰탈로 형성되는 블록색상표층(20)의 공극률이 떨어져 밀실한 제품을 기대할 수 없게 되고, 보도블록(10)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색상의 변색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전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비율로 상기 1차혼합몰탈을 제조할 경우에는 과다 재료 사용으로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시공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술된 범위의 적정비율로 상기 1차혼합몰탈을 제조함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충족시킨다. 이때 상기 1차혼합몰탈의 고분자 몰탈은 그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 중에서 백시멘트 91중량부와, 색상변화 방지, 접착력 및 내구성 증대를 위한 액상의 폴리머수지 9중량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1차혼합몰탈에서 혼합되는 고분자 몰탈 배합비율을 상기 2차혼합몰탈에서 혼합되는 시멘트 배합비율보다 더 높게 배합하여 상기 1차혼합몰탈을 제조함으로써, 보도블록(1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1차혼합몰탈은 상기 언급된 배합비율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1차혼합몰탈 및 상기 2차혼합몰탈의 중량수치는 시공현장의 주변환경 및 기후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2차혼합몰탈과 색상이 서로 다른 상기 1차혼합몰탈을 제조한 후에 상기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1차혼합몰탈들을 도 4a와 같이, 상기 준비된 레진몰드(100)에 충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1차혼합몰탈들을 서로 면적이 다른 사각형의 단위블록요홈(130a 내지 130d)들에 고르게 도포하고 또한 횡격벽(120)과 종격벽(110)을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상기 1차혼합몰탈들이 넘치지 않도록 충진한 다음 수평면이 되게 일정한 진동을 가하여 일정한 두께, 예컨대 8mm의 두께를 갖는 블록색상표층(20)을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1차혼합몰탈은 진동수행에 의해서 레진몰드(100)의 사각형 단위블록요홈(130a 내지 130d)들에 고르게 분포되어 충진밀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1차혼합몰탈로 이루어진 블록색상표층(20) 상부 면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차혼합몰탈을 적절히 충진한 다음 일정두께를 이룰 수 있도록 진동하여 상기 블록몸체기층(30)을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진동에 의해서 상기 2차혼합몰탈이 상기 1차혼합몰탈에 고르게 분포되어 접착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록몸체기층(30)과 블록색상표층(20)을 성형한 후 레진몰드(100)를 양생실에서 35℃-40℃의 열풍으로 약 20시간 이상 충분하게 1차 양생시켜 도 4c와 같이 탈형시킨다. 즉, 레진몰드(100)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역각도 탈형이 가능한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어, 1차 양생된 블록몸체기층(30)과 블록색상표층(20)의 탈형 때, 그 레진몰드(100)를 외향으로 벌린 다음 거꾸로 뒤집어 줌으로써, 도 4c와 같이 블록몸체기층(30)과 블록색상표층(20)이 일체로 된 보도블록(10)이 손쉽게 탈형이 되는 것이다.
이후 레진몰드(100)에서 탈형되어진 보도블록(10)을 자연상태의 상온에서 5-7일간 2차 양생하는 것에 의해 도 5와 같은 본 고안의 보도블록(10)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보도블록(1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블록색상표층(20)에, 전술한 레진몰드(100)의 종격벽(110)과 횡격벽(120)에 대응하는 수직홈(11)과 수평홈(12)이, 그리고 레진몰드(100)의 단위블록요홈(130a 내지 130d)들에 대응하는 서로 면적이 다른 사각형의 단위블록(20a 내지 20d)들이 구획되어져 형성되어진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도블록(10)의 표면에 도로안내표지를 위한 지리적 명칭 또는 방향표시를 위한 화살표 또는 공중이용시설물의 심볼(예컨대, 지하철, 공중화장실, 시민공원) 등의 다양한 문양을 각각 형성하여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된 레진몰드(100)의 바닥면에 격자형으로 다수의 종격벽(110)과 횡격벽(120)을 소정 높이로 교호하게 성형하여, 서로 면적이 같은 다수의 사각형의 단위블록요홈들을 형성한다. 그리고 레진몰드(100)의 상기 단위블록요홈들에 상기와 같은 문양 등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해 문양윤곽 격벽(도면에 미도시)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문양윤곽 격벽은 횡격벽(120)과 종격벽(110)의 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한 다음 상기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1차혼합몰탈을 단위블록요홈(130a 내지 130d) 및 상기 문양윤곽 격벽이 이루는 문양윤곽홈(도면에 미도시)에 충진한 다음 상기 2차혼합몰탈을 그 위에 충진하여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1차 양생, 탈형 및 2차 양생을 해 줌으로써, 도 6과 같이 서로 면적이 같고 색상이 다른 다수의 단위블록(20a 내지 20d)들 및 이 단위블록(20a 내지 20d)들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보도블록(10) 또는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을 아파트, 공원 등의 광장이나 보행로의 바닥에 맞춤 결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보도블록(10) 또는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에 수직홈(11) 및 수평홈(12)들이 형성되어 있어,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또는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절단작업의 어려움 없이 현장에서 사용형태에 맞도록 상기 수직홈(11)과 수평홈(12)을 따라 단위블록(20a 내지 20d)들을 블록 별로 쉽게 절단시켜 맞춤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레진몰드(100)의 바닥면에 사각형의 단위블록요홈(130a 내지 130d)들을 형성하여 도 5 및 도6과 같이, 사각형의 단위블록(20a 내지 20d)들을 가지는 보도블록(10) 또는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을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원형, 육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위블록요홈들을 형성하여, 원형, 육각형, 삼각형 등의 단위블록들을 가지는 보도블록 또는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또는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절단이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의 절단 작업이 곤란하고, 또 보행로에 설치된 보도블록에 도로안내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아 보행자가 부득이 도로 또는 보도 가장자리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도로안내 표지판을 이용하여 행선지를 찾아야 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보도블록에 다양한 색상과 도로안내표지를 위한 다양한 문양을 갖는 다각형의 단위블록이 구획되어져 있고, 또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또는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현장에서 사용형태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을 블록 별로 절단시켜 맞춤작업을 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보도블록을 바닥에 시공해 줌으로써, 주변경관과의 미적 조화는 물론 보행자의 시각적 인지성이 뛰어나고, 또한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현장에서 간편하게 단위블록별로 절단하여 맞춤작업을 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보도블록에 의하면, 다양한 색상과 도로안내표지를 위한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보도블록을 바닥에 시공해 줌으로써, 주변경관과의 미적 조화는 물론 보행자의 시각적 인지성이 뛰어나 행선지를 쉽게 찾을 수 있고, 또 고분자 몰탈로 블록색상표층을 처리해 줌으로써, 내마모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그 블록색상표층의 선명한 칼라와 문양이 장기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의 가장자리를 맞추거나 또는 횡단보도 등의 경사진 부분을 맞출 때 절단작업의 어려움 없이 현장에서 사용형태에 따라 쉽게 절단시켜 맞춤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보도블록의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 및 관리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도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레진몰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의 레진몰드를 이용한 보도블록의 제작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a 내지 도 4c에 의해 제작된 보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제작된 도로안내표지용 보도블록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도블록 11 : 수직홈
12 : 수평홈 20 : 블록색상표층
20a 내지 20d : 단위블록 30 : 블록몸체기층
100 : 레진몰드 110 : 종격벽
120 : 횡격벽 130a 내지 130d : 단위블록요홈

Claims (6)

  1. 시멘트, 백화억제재, 혼화제, 물 및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골재가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한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몸체기층; 및
    상기 블록몸체기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되어 접착되며 골재, 무기안료, 백화억제재, 혼화제, 물 및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분자 몰탈이 일정비율로 배합되어 일정두께로 압축 형성되며 표면에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수직 및 수평홈들에 의해 서로 다른 색상과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 다각형의 단위블록들이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고 구획되어져 형성된 블록색상표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기층은,
    (1) 상기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골재 100중량부;
    (2)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28∼38중량부;
    (3)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화억제재 0.18∼0.22중량부;
    (4)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제 0.18∼0.22중량부; 및
    (5)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8∼2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기층의 골재는, 상기 골재 100중량부 중에서 입경이 13mm이하인 골재 67중량부와 입경이 6mm이하인 골재 33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색상표층은,
    (1) 상기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
    (2)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골재 268∼278중량부;
    (3)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안료 4∼5.5중량부;
    (4)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백화억제재 0.4∼0.6중량부;
    (5)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혼화제 0.4∼0.6중량부; 및
    (6)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50∼6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록색상표층의 상기 고분자 몰탈은, 상기 고분자 몰탈 100중량부 중에서 백시멘트 91중량부와 액상의 폴리머수지 9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색상표층의 두께는 8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KR20-2005-0021373U 2005-07-22 2005-07-22 보도블록 KR200399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373U KR200399087Y1 (ko) 2005-07-22 2005-07-22 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373U KR200399087Y1 (ko) 2005-07-22 2005-07-22 보도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566A Division KR20070011899A (ko) 2005-07-22 2005-07-22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87Y1 true KR200399087Y1 (ko) 2005-10-20

Family

ID=4370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373U KR200399087Y1 (ko) 2005-07-22 2005-07-22 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60B1 (ko) * 2005-11-14 2008-01-21 주식회사 정우 적층형 블록과 제조방법
KR101753663B1 (ko) * 2015-08-03 2017-07-0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성의 프레임을 갖는 투수성 판 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60B1 (ko) * 2005-11-14 2008-01-21 주식회사 정우 적층형 블록과 제조방법
KR101753663B1 (ko) * 2015-08-03 2017-07-0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성의 프레임을 갖는 투수성 판 블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2279A1 (en) Photoluminescent sand
CN111747695A (zh) 一种耐久性发光路面砖或侧石及其制备方法
KR200399087Y1 (ko) 보도블록
KR20070011899A (ko)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5711A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EP3121334A1 (en) Prefabricated element containing a permanently embedded sign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element
KR20120114918A (ko) 합성목재와 콘크리트(우레탄, 고무)를 일체화한 보도블럭
KR102272793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화분형 경계석
US3106878A (en) Highway markers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RU138700U1 (ru) Тактильный наземный указатель
KR200340104Y1 (ko) 화단 경계용 인조석 블럭
EP0983401B1 (en) Elevated paving structure
KR930011265B1 (ko) 투수성 유색 세라믹 포장블록
KR200255629Y1 (ko) 바닥 표지판
KR100620899B1 (ko) 투광성 유리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CA3123128C (en) Photoluminescent sand
NZ543573A (en) Translucent paving system
TW202338184A (zh) 具警示/標示功能之道路設施及其製造方法與製造設備
CN211772993U (zh) 石质人行横道线
RU200270U1 (ru) Тактильная плитка
KR200255675Y1 (ko) 맨홀용 덮개
KR101277571B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연속 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0741410B1 (ko) 흡수성 포장층의 시공방법
KR200320598Y1 (ko) 보도 및 차도 포장용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