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264Y1 - 합성수지 경계석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264Y1
KR200324264Y1 KR20-2003-0013101U KR20030013101U KR200324264Y1 KR 200324264 Y1 KR200324264 Y1 KR 200324264Y1 KR 20030013101 U KR20030013101 U KR 20030013101U KR 200324264 Y1 KR200324264 Y1 KR 200324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synthetic resin
present
boundar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선
Original Assignee
최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선 filed Critical 최동선
Priority to KR20-2003-0013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연결돌기부와 연결돌기부수용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보행자가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부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를 구비하고,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로에 면한 측면에 광반사부재를 구비한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육면체 장방형이고,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와,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연결돌출부와,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돌출부가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된 연결돌출부수용홈과, 상기 경계석의 내부에 비중이 큰 물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에 설치된 마개와, 상기 경계석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 경계석{BOUNDARY STONE MADE OF SYNTHETIC RESIN}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연결돌기부와 연결돌기부수용홈을 구비하고 있으며, 보행자가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부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를 구비하고,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로에 면한 측면에 광반사부재를 구비한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계석은 일반적으로 석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작되었다. 석재 또는 콘크리트 경계석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 물류비 및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격에 약해 파손이 쉽고, 염화칼슘에 의하여 부식이 되며, 동절기의 내부에 흡수된 수분이 얼면서 파손이 발생하여 자주 경계석을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합성수지 재질의 경계석은 폐타이어 및 폐플라스틱과 같은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이고 제조원가를 어느 정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허공개 제 2001-0079156 호에는 돌출부 및 오목부를 구비하여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내부에 보강철선구조체를 삽입하여 전기 배관을 겸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경계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 177036호에는 폐타이어칩 15.7 중량부,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6:4의 중량부 비로 반응시킨 수지 2.39중량부 및 안료 1중량부를 혼재하여 몰드에서 열압축 성형하여 제조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합성수지 재질의 경계석은 무게가 가벼워 석재 또는 콘크리트 경계석과 달리 설치시 자체 하중으로 인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경계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에는 경계석을 지면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거나 또는 바닥에 고정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설치시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설치가 불편하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은 재질의 특성상 미끄러운 표면을 갖기 때문에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 또는 차량의 승하차 시에 경계석을 밟는 보행자가 미끄러져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 경계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계석의 설치시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된 경계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차가 경계석을 넘어서 인도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와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합성수지 경계석 11 수용공간
12 연결돌출부 13 연결돌출부수용홈
14 미끄럼방지 돌기 15 마개
16 고정침 17 연결돌출부
18 주입구 19 광반사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육면체 장방형이고,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있어서, 상부면에 고정된 미끄럼방지수단과, 상부면에 고정된 미끄럼방지수단과,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또는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연결돌출부와,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돌출부가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된연결돌출부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이고, 상기 경계석의 폭방향의 일측면 상부 모서리가 상부면 및 상기 폭방향의 일측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상기 경계석의 폭방향의 일측면 상부 모서리가 상부면 및 상기 폭방향의 일측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상기 경계석의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에 설치된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상기 경계석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은, 상기 모서리가 높게 돌출 형성된 일측면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광반사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의 일실시예의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경계석(10)은 육면체 장방형이고,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4)와,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연결돌출부(12)와,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돌출부가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된 연결돌출부수용홈(1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계석(10)은 상기 경계석의 내부에 비중이 높은 물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수용공간(11)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구(18)와, 상기 주입구에 설치된 마개(15)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경계석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침(16)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경계석(10)은 육면체 장방형을 하고 있으며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육면체 장방형으로 도로와 보도사이에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높이가 낮게 제작할 경우에 상부면에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경계석의 재료가 되는 합성수지는 강도와 탄성을 함께 지닌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합성수지로는 우레탄 수지, 고충격폴리스티렌 수지, ABS(Acrilonitrile-Butadiene-Stylene)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 통상 사용되는 수지를 들 수 있으며, 폐타이어와 같은 폐고무 또는 폐플라스틱을 혼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환경오염 방지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돌출부(12)는 설치시 이웃하는 경계석의 연결돌출부수용홈(13)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돌출부(12)와 연결돌출부수용홈(13)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수용홈이 돌출부를 적당한 틈새를 가지고 수용할 수 있도록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돌출부(12)의 형태는 사각형의 기둥 또는 테이퍼 형태일 수 있으며 특별히 형상이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돌출부(12) 및 연결돌출부수용홈의 의 개수는 하나로 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돌출부(12)가 형성된 반대편 측면에는 이웃하여 설치되는 경계석의 연결돌출부(12)와 끼워맞춤할 수 있는 연결돌출부수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출부(12)는 경계석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돌출부수용홈(13)은 상기 연결돌출부(12)가 형성된 면의 반대방향의 측면에서 돌출부와 결합이 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어 홈이 형성된다. 즉, 시공에는 기 설치된 경계석(10)의 연결돌출부(12)와 설치할 경계석의 수용홈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시키면서 조립하여 경계석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돌기부와 수용홈이 상부면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수단으로 돌기를 형성하기가 용이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경계석은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수단(1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합성수지 재질은 그 표면이 미끄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더욱 미끄럽게 되어 보행자가 경계석을 무심코 밟게되는 경우 또는 차량 승하차시 부상의 위험이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계석은 보행자가 밟는 부분인 경계석의 상부면에 미끄럼방지수단(14)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본 고안의 미끄럼 방지 수단(14)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면에 복수의 돌기(14)가 형성되도록 엠보싱 처리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각 또는 양각처리, 마찰력이 큰 러버부재 등의 설치 등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도 1 및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용공간(11)은 경계석과 유사하게 육면체 장방형을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수지 재질의 경계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석재 또는 콘크리트 경계석에 비해 장점이 많지만, 제조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상용화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과 같이 경계석 내부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제작한다면 제작비용이 저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에 물 또는 모래, 골재와 같은 밀도가 큰 물질을 수납하여 합성수지 경계석이 갖는 단점인 가벼운 중량으로 인한 설치시의 안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크기는 전체 경계석의 체적을 기준으로 4분의 1 내지 4분의 3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차도와 인접하는 부분은 차량의 바퀴와 충돌시에도 파손되지 않을 만큼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수납공간이 인도쪽에 치우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계석의 상부면에는 상기 밀도가 큰 물질을 수용공간 내부로 주입하기 위하여 외부와 수용공간(11)을 연통시키기 위한 주입구(18)가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18)에는 비중이 큰 물질을 주입한 후 주입구(18)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15)가 설치되어 있다. 주입구 및 마개(15)의 형상, 위치 및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수준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물질을 수납하는 시기는 경계석을 설치하기 전 또는 설치한 후 모두 가능하지만, 운반 및 설치과정에서 경계석의 중량이 가벼운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설치시 또는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물질을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경계석은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침(16)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고정침(16)은 끝단이 뾰족한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어서 시공시 자중에 의하여 지면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석재 또는 콘크리트 경계석은 통상 시멘트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접착수단으로 하여 고정되고 또한 자체 하중이 크기 때문에 설치 후 안정감있게 고정된다. 그러나, 합성수지 경계석의 중량은 동일 체적의 석재 경계석에 비해 5분의 1 내지 3분의 1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고안의 경계석은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그 안에 밀도가 큰 물질을 채워 안정성을 보완하고 있으나, 그것만으로는 경계석이 외력을 받아서 지면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안정성을 보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계석은 고정침(16)을 추가로 구비하여 바닥에 보다 밀접하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고정침(16)을 사용함으로 인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돼 설치공정이 간단해지고 또한 철거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경계석을 바닥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인 실시예에서는 하부 모서리에 4개의 고정침을 구비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고정침(16)의 형태, 위치 및 갯수는 제한적이지 않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경계석(10)은 도4에서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경계석의 폭방향의 일측면 상부 모서리가 상부면 및 상기 폭방향의 일측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 점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모서리부가 상부면 및 도로에 면하는 측면 양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된 형상은 운전자가 고의 또는 부주의로 차량을 차도에서 보도로 운전할 경우, 차량의 보도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경계석의 모서리를 밟고 보행할 때, 차도록 발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경계석(10)에는 상기 모서리가 높게 돌출 형성된 일측면 즉, 도로에 면하는 측면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광반사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반사부재(19)는 야광 테이프 또는 도포된 페인트를 포함하며, 광을 산란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물건이면 어느것이라도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의 경계석(1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기 때문에 석재로 된 경계석에 비하여 상기 광반사부재를 성형시 직접 부착하거나, 성형후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접착제 등으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광반사부재(19)를 구비한 본 고안의 경계석은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와 보도의 경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어서 차량의 보도에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과 측면에 연결돌출부 및 연결돌출부수용홈과 하부면에 고정침을 구비한 경계석을 제공하여 설치시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된 경계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를 향한 측면의 모서리가 상부로 돌출되고 측면에 광반사부재를 구비한 경계석을 제공하여 자동차가 경계석을 넘어서 인도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5)

  1. 육면체 장방형이고, 합성수지로 된 경계석에 있어서,
    상부면에 고정된 미끄럼방지수단과,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하여 또는 상부면에서 하부면을 향하여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연결돌출부와,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상기 연결돌출부가 끼워져서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된 연결돌출부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이고,
    상기 경계석의 폭방향의 일측면 상부 모서리가 상부면 및 상기 폭방향의 일측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의 내부에 비중이 큰 물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에 설치된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고정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가 높게 돌출 형성된 일측면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광반사부재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KR20-2003-0013101U 2003-04-28 2003-04-28 합성수지 경계석 KR200324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01U KR200324264Y1 (ko) 2003-04-28 2003-04-28 합성수지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101U KR200324264Y1 (ko) 2003-04-28 2003-04-28 합성수지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264Y1 true KR200324264Y1 (ko) 2003-08-21

Family

ID=4941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101U KR200324264Y1 (ko) 2003-04-28 2003-04-28 합성수지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26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830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KR100806861B1 (ko) * 2006-09-14 2008-02-22 권영탁 교통안내 경계석
KR100925153B1 (ko) * 2008-08-28 2009-11-06 선민영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그 제조방법 및 인공어초
KR101387643B1 (ko) * 2012-09-13 2014-04-23 김효정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도로경계블록
KR101387054B1 (ko) * 2013-04-04 2014-04-23 이한근 합성수지 경계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830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KR100806861B1 (ko) * 2006-09-14 2008-02-22 권영탁 교통안내 경계석
KR100925153B1 (ko) * 2008-08-28 2009-11-06 선민영 폐기물을 이용한 블록, 그 제조방법 및 인공어초
KR101387643B1 (ko) * 2012-09-13 2014-04-23 김효정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도로경계블록
KR101387054B1 (ko) * 2013-04-04 2014-04-23 이한근 합성수지 경계석
WO2014163224A1 (ko) * 2013-04-04 2014-10-09 Lee Han Geun 합성수지 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7061B (zh) 用于铺面的透水式地格
US6086285A (en) Interlocking control barrier systems
KR200324264Y1 (ko) 합성수지 경계석
KR0133380Y1 (ko) 도로용 경계블럭
KR100525944B1 (ko) 배수 시설이 구비된 공동 주택 단지 진입 도로 과속 방지턱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0119966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441854Y1 (ko) 전도방지용 라바콘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101310892B1 (ko) 합성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보도블록
KR200191753Y1 (ko) 보.차도 경계용 블록
KR200320465Y1 (ko) 도로 경계석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200185705Y1 (ko) 배수기능을 갖는 보도블럭 경계석
KR102245436B1 (ko)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도로 경계석
KR0177036B1 (ko) 폐 타이어를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KR102508397B1 (ko)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KR19990003891U (ko) 다용도 블럭
KR200172434Y1 (ko) 조립식 보도블럭
KR200330766Y1 (ko) 폐타이어 고무칩를 이용한 조경용 잔디블록
KR200326777Y1 (ko) 도로표지병
KR100966851B1 (ko) 탄성 보도블록
KR200423505Y1 (ko) 합성수지 재활용 반사 보/차도 경계블록
KR200413607Y1 (ko) 타이어 재생품을 이용한 측구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