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865A -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865A
KR20090035865A KR1020070100882A KR20070100882A KR20090035865A KR 20090035865 A KR20090035865 A KR 20090035865A KR 1020070100882 A KR1020070100882 A KR 1020070100882A KR 20070100882 A KR20070100882 A KR 20070100882A KR 20090035865 A KR20090035865 A KR 20090035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road
waste tire
stone body
roa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0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865A/ko
Publication of KR2009003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도나 차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폐타이어로 성형되며,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경계석 몸체; 이 경계석 몸체에 형성되어 경계석 몸체를 보도나 차도에 고정 시 고정부재의 통로가 되는 고정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이 제공된다.
도로 경계석, 폐 타이어, 앵커, 페인트 식별부, 보도, 차도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A boundary stone of road reusing waste tires}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도로 경계석은 일반적으로 보도나 차도에 설치되어 운전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도로 경계석은 대개 콘크리트로 성형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강암이나 대리석이 사용되기도 한다.
콘크리트 경계석의 경우 자동차 충돌시 차량 전복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운전자가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아 큰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휠 파손 및 타이어의 펑크 및 찢어짐이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경계석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 시공성이 저하되고, 설치시 추가 건설장비가 필요하여 공사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경계석 설치 시 기초 지반 다짐 불량에 따른 경계석의 기울어짐 또는 넘어짐이 발생된다. 콘크리트 대신 화강암이나 대리석을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에 비해서 그 내구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고가이 기 때문에 그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전술한 콘크리트나 화강암이나 대리석 대신에 폐 타이어와 같은 합성수지제를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폐 타이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177036호(1999.05.15) "폐타이어를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합성수지제의 경계석을 형성함에 있어서, 몸체 저부의 수곳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양측 마구리 면에는 파형 요철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완충효과가 크게 됨으로써 충격에 따른 파손이나 소음이 적고, 재료의 대부분이 분쇄된 폐 타이어로 이루어져 환경 공해물의 재활용적 이점과 파손 없는 경계석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잇점 등이 있으나, 몸체를 바닥에 고정시 고정구, 커버,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 작업 과정이 단순하지 않고, 몸체의 하부만이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몸체 자체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어두운 타이어 색으로 인해 야간 주행시 시인성이 떨어지며, 보도 경계석으로 사용할 경우 몸체의 상면이 미끄러워 보행자가 미끄러져 다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로 경계석을 보도나 차도에 견고히 고정함과 더불어 미끄럼 방지 및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과 관련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보도나 차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폐타이어로 성형되며,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경계석 몸체; 이 경계석 몸체에 형성되어 경계석 몸체를 보도나 차도에 고정 시 고정부재의 통로가 되는 고정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폐 타이어의 충격 흡수 능력을 이용하여 차량 충돌 시 차량 속도 감소와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차량 충돌 시 폐 타이어 자체의 탄성력으로 도로경계석이 찌그려졌다가 다시 회복되어 구조적으로 파손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유지 관리비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경계석 몸체의 상측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여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도로 경계석의 일측에 페인트 식별부를 형성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다섯째, 앵커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을 1차적으로 고정하고, 경계석 몸체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2차적으로 끼워 맞춤 결합 되어 큰 충격에도 견더낼 수 있는 도로 경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다양한 색상으로 제품을 생산하여 도로 안전 시설물의 본래 기능에 미적 기능을 추가하여 아름다운 거리 조성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간의 결합 상태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을 보도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은 도 1에 도시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1)은 경계석 몸체(10), 고정홀(20), 미끄럼 방지홈(30), 페인트 식별부(40), 고정 부재(50)를 포함한다.
경계석 몸체(10)는 폐타이어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쭉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단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상응하는 결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1)는 바람직하게는 평면도상 삼각형 형상으로 경계석 몸체(10)의 바닥에서 상면까지 즉 경계석 몸체(10)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11)와 결합홈(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경계석 몸체(10)를 결합시 연결고리 역할을 함과 더불어 충격을 받는 경우 각각의 경계석 몸체(10)가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고정홀(20)은 상기 경계석 몸체(10)에 다수 개 바람직하게는 2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미끄럼 방지홈(30) 상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와 같은 고정 부재(50)의 수용 공간이 되며, 이 고정홀(20)의 상단에는 너트(50c)와 와셔(50b) 등이 놓여 지는 걸림턱(20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0a)에 수용된 너트(50c)와 와셔(50b) 등은 미끄럼 방지홈(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장애 요소가 되지 않는다.
미끄럼 방지홈(30)은 상기 경계석 몸체(10)의 상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이용자의 미끄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미끄럼 방지홈(30)은 경계석 몸체(10)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등 간격을 이루도록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페인트 식별부(40)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몸체(10)의 전면에 폭 10cm 정도로 야광 또는 형광 페인트를 칠하여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계석 몸체(10)의 전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형광 또는 야광 페인트를 칠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몸체(10)를 보도나 차도에 설치 시 사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앵커 볼트(50a)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와셔(50b), 너트(50c)로 구성되는 앵커(anchor)를 사용한다. 이 앵커를 사용하면 차도나 보도에 고정된 앵커 볼트(50a)가 경계석 몸체(10)의 고정홀(20)을 관통한 후 너트(50c)에 의해 경계석 몸체(10)에 결합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간의 결합 상태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을 보도에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도 1에 도시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로 경계석 10 : 경계석 몸체
11 : 결합돌기 12 : 결합홈
20 : 고정홀 20a : 걸림턱
30 : 미끄럼 방지홈 40 : 페인트 식별부
50 : 고정 부재 50a : 앵커 볼트
50b : 와셔 50c : 너트

Claims (5)

  1. 보도나 차도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에 있어서,
    폐타이어로 성형되며, 일단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타단에 형성된 결합홈을 갖는 경계석 몸체; 및
    상기 경계석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 몸체를 보도나 차도에 고정 시 고정부재의 통로가 되는 고정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몸체의 상측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미끄럼 방지홈상에 형성되며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 몸체의 일측에는 페인트 식별부가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앵커를 사용하여 상기 경계석 몸체를 보도나 차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
KR1020070100882A 2007-10-08 2007-10-08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20090035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882A KR20090035865A (ko) 2007-10-08 2007-10-08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882A KR20090035865A (ko) 2007-10-08 2007-10-08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865A true KR20090035865A (ko) 2009-04-13

Family

ID=4076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882A KR20090035865A (ko) 2007-10-08 2007-10-08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8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67B1 (ko) * 2009-10-21 2010-06-21 (주) 부성 리싸이클링 고정장치가 구비된 폐타이어이용 고무블럭
KR200455699Y1 (ko) * 2009-10-29 2011-09-20 박근수 안전 보호단
CN115387258A (zh) * 2022-08-22 2022-11-25 山西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发光路缘石系统及路缘石模具以及制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67B1 (ko) * 2009-10-21 2010-06-21 (주) 부성 리싸이클링 고정장치가 구비된 폐타이어이용 고무블럭
KR200455699Y1 (ko) * 2009-10-29 2011-09-20 박근수 안전 보호단
CN115387258A (zh) * 2022-08-22 2022-11-25 山西建设投资集团有限公司 基于bim技术的发光路缘石系统及路缘石模具以及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102Y1 (ko) 도로용 볼라드 구조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101079727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565849B1 (ko) 충격흡수형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101081725B1 (ko) 경계석용 패드
KR102246940B1 (ko) 경계석 안전장치
KR100955063B1 (ko) 과속 방지턱 및 이를 갖는 도로 시설물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100986310B1 (ko) 과속방지턱에 의한 차량 및 도로 보호 장치
KR101079724B1 (ko) 포장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브 시공방법
KR200189319Y1 (ko) 과속방지장치
KR100489665B1 (ko)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200304808Y1 (ko) 다기능 도로경계석의 설치구조
KR100483174B1 (ko) 충격흡수형 도로 경계블록
KR200194045Y1 (ko) 복공판 구멍용 커버
CN210238199U (zh) 一种防止车辆上人行道的路边石
KR200389104Y1 (ko) 차량의 충격 방지용 경계석
KR100966851B1 (ko) 탄성 보도블록
KR200364413Y1 (ko) 도로경계석용 이음완충부재
KR200408881Y1 (ko) 조립식 과속방지턱용 부재
KR100966905B1 (ko) 안전펜스 기능을 갖는 도로안전경계석
KR200219090Y1 (ko) 과속 방지 장애물
KR200358598Y1 (ko) 충격흡수형 도로 경계블록
KR20210000903U (ko) 도로 경계석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